KR20140004962U -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62U
KR20140004962U KR2020130001548U KR20130001548U KR20140004962U KR 20140004962 U KR20140004962 U KR 20140004962U KR 2020130001548 U KR2020130001548 U KR 2020130001548U KR 20130001548 U KR20130001548 U KR 20130001548U KR 20140004962 U KR20140004962 U KR 20140004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utomatic
main body
water dispenser
automa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복식
Original Assignee
서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복식 filed Critical 서복식
Priority to KR2020130001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962U/ko
Publication of KR20140004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겨울 혹한기 축사용 자동급수기와 급수관로의 동파 방지의 목적으로 자동급수기 내에 인입된 2개의 급수관과 배수관을 서로 연결해 순환모터을 이용해 물의 순환을 유도함에 있어서;
온도센서의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의 자동제어를 통해 겨울 혹한기에도 외기에 노출된 자동급수기와 급구관로 및 저장물탱크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ATOMATIC WATER SUPPLY FOR STALL}
본 고안은 축사용 자동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겨울철 혹한기에도 동파를 방지목적으로 급수관 및 배수관을 연결하여 물의 순환을 유도하여 자동급수기와 급수관로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가축들을 가두어 기르는 축사의 일측에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아두어 가축이 물을 먹어 비워지는 만큼 물을 자동으로 급수하여주는 것으로서, 현재 대부분의 자동급수기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수도시설을 설비하여 물이 급수되도록 설치된다.그러나, 이와 같은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축사가 있는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겨울 혹한기에는 급수관로가 동파 되거나, 자동급수기 내의 저장된 물이 얼어서 급수를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동급수기 통의 물이 얼지 않도록 비워두면 급수관 자체가 얼어서 동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파사고를 방지하고자 난방기구 등 별도의 동파방지 기구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비효율적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급수기 의 겨울철 혹한기에도 급수관로 및 자동급수기 의 동파를 방지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급수기 내부로 인입되는 2개의 급수관과 배수관을 이용해 미리 저장된 물탱크의 용수를 순환모터를 이용해 자동급수기와 상호 순환시켜 줌으로서 혹한기에도 외기에 노출된 관로 및 저장물탱크를 난방기구 등 별도의 동파방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상기 본체의 급수관 플로트 밸브 관부를 자동급수기 만수위 아래인 수중에 설치시켜 외기와의 노출을 차단하여 동파의 위험에서 보호 하는데 있다.
상기 본체로 인입된 용수의 수중에서 작동하는 플로트 밸브 관부의 내부에 발열히터를 장착하여 자동급수기에 담수된 물을 가축이 음용하지 않을때에는 보온을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 본체의 발열히터와 순환모터 및 관로에 설치한 솔레노이드 밸브 개폐를 온도센서에 의해 자동제어 작동시키는 제어부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겨울철 혹한기에도 편리하게 사용 유지할수 있는 자동제어를 통해 물의 순환유동 방식을 이용해 자동급수기와 노출된 급수관로 및 저장 물탱크의 동파를 별도의 난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동파를 방지 해줌으로서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수 있고, 동파시 가축이 물을 못먹는데 따른 스트레스레서 해소시켜 가축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 - 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1에 따라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2에 따라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의 조절부 제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플로트 11; 플로트 밸브
12; 급수관 13; 배수관
14; 플로트 밸브 관부
17; 플로트 밸브 급수관부 속에 설치된 발열히터
20; 온도센서
21; 컨드롤러
100; 저장 물탱크
101; 솔레노이드 밸브
102; 순환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축사용 자동 급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의 단면도로서 물을 담을수 있도록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공간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2)파이프와 동시에 배출하는 배수관(13)파이프를 바닥 일측에 밀폐 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인입된 급수관(12)이나 배수관(13)파이프 끝부분에 공급되는 물을 수위에 따라 플로트(10)가 승강하여 개폐되는 플로트밸브(11)가 구비된 관부(14)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저장된 물의 만수위 아래인 수중에 급수관(12),배수관(13) 및 플로트밸브 관부(14)가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플로트밸브 관부 내부에 발열 히터(17)를 설치하여 본체에 저장된 물을 데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1로 구성한 사시도로
상기 본체와 저장물탱크(100) 사이에 사용자가 편리한 장소에 급수관로에 순환모터(102)를 설치하여 겨울 혹한기에 상기 본체내부에 하나로 연결되 설치된 급(12)/배수관(13)을 이용해서 저장물탱크(100)와 상기본체와의 지속적인 순환을 유도하여 별도의 난방기구 등 동파방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노출된 관로(15,16)와 저장물탱크(100)의 동파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승강하여 개폐되는 플로트밸브 관부(14)내부에 설치된 발열 히터(17)을 통해 담수된 물을 데워줌으로서 얼지 않도록 한다.
동절기가 아닌 때인 순환모터의 비가동철에는 순환모터 중간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01)를 개방하여 저장물탱크(100)와 상기 본체의 수압차를 통해 물의 순환이 아닌 물의 공급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2로 구성한 사시도로
도 3의 내용과 같은 원리로서 단지 도 3의 급수관로와 배수관로의 2개라인을 여럿의 상기 본체와의 병렬 연결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반면 도 4는 1개의 급수관로를 이용해서 급수관(12)과 배수관(13)을 통과해서 여럿의 상기 본체와의 직렬 형태로도 연결도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 되어져야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어 조절부의 블록도로
겨울철 혹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0)를 외부에 설치하여 온도센서(20)를 통하여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21)를 통하여 검출된 신호에 의해
가동시 순환모터(102)를 작동시켜 물을 순환 시켜주고, 동시에 상기 본체의 플로트밸브 관부(14) 내부에 위치한 발열 히터(17)를 작동시켜 담수된 물을 데워주고, 순환모터(102)중간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01)를 단속하여 물의 역류를 방지해준다.
검출된 신호에 의해 비가동시 순환모터(102)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동시에 발열 히터(17)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101)를 개방해주어 저장물탱크(100)의 수압차를 이용해 상기 본체로의 물을 공급 해줌으로서 자동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상기 본체에 설치된 발열 히터(17) 작동을 별도로도 할 수도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을 구성한 사시도로
하나의 급수관만이 자동급수기 내부로 인입되어 물의 순환을 유도할 수 없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기술은 겨울철 혹한기에 별도의 난방기구 등 동파방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동파를 방지할 수 없는 예을 참고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자동금수기 내부로 인입된 2개의 급수관(12)과 배수관(13)을 서로 연결한 구조를 갖고;
    이를 이용해 순환모터(102)로 물의 순환을 유도해 겨울 혹한기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하고;
    급/배수관(12,13) 끝부분에 공급되는 물을 수위에 따라 플로트(10)가 승강하여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11)가 구비된 관부(14)를 연결하여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갖고;
    플로트 밸브 관부(14) 내부에 설치된 발열 히터(17)를 통하여 담수된 물을 데워주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본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기 본체의 설치된 급수관(12) 배수관(13) 플로트밸브 관부(14)의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장치가 상기 자동급수기 본체로 공급된 물의 만수시 수중에 위치하여 작동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기 본체와 저장물탱크(100) 사이의 급수로에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순환모터(102)와 순환모터의 중간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01) 및 상기 본체의 담수된 물을 데워주는 발열 히터(17)를 외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0)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는 제동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21) 구성하여 자동으로 편리하게 작동을 하여 겨울 혹한기에도 별도의 동파방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파를 방지해주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20130001548U 2013-02-28 2013-02-28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140004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548U KR20140004962U (ko) 2013-02-28 2013-02-28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548U KR20140004962U (ko) 2013-02-28 2013-02-28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62U true KR20140004962U (ko) 2014-09-16

Family

ID=5245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548U KR20140004962U (ko) 2013-02-28 2013-02-28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96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180A (zh) * 2015-04-09 2015-06-24 赛西雅拉图 一种全自动防冻牲畜供水装置
CN108967240A (zh) * 2018-09-28 2018-12-11 韩援 一种牲畜防冻饮水槽及其集成应用系统
KR20200002234U (ko) 2019-04-03 2020-10-14 서복식 축사용 급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180A (zh) * 2015-04-09 2015-06-24 赛西雅拉图 一种全自动防冻牲畜供水装置
CN108967240A (zh) * 2018-09-28 2018-12-11 韩援 一种牲畜防冻饮水槽及其集成应用系统
KR20200002234U (ko) 2019-04-03 2020-10-14 서복식 축사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930B2 (en) Freeze protection for hot water systems
JP5067858B2 (ja) 給湯装置
US9151021B2 (en) Modular water-saving device
JP5041914B2 (ja) 給湯装置
KR101676858B1 (ko) 차량용 온수 제공 장치
JP6055788B2 (ja) 個別に動作可能な2系統の熱殺菌経路を備えた給水機
US8201553B2 (en) Solar hot wa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olar hot water system
KR20140004962U (ko) 동파 방지용 축사용 자동급수기
US20110203786A1 (en) Waste Water Heat Transfer System
JP5133773B2 (ja) 給湯装置
JP2008020099A (ja) 給湯装置
JP4872550B2 (ja) 給湯機
KR20120086869A (ko) 상수관 삽입형 순환 동파방지 장치
JP5866217B2 (ja) 給湯装置
JP6133690B2 (ja) 給湯機
KR100868911B1 (ko) 선박용 급배수파이프의 보온장치
JP2004271102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JP5201471B2 (ja) 温水装置
JP4465624B2 (ja) 畜舎用給水装置
JP6440033B2 (ja) 給湯装置
JP2008064338A (ja) 貯湯装置
JP2006349200A (ja) 配管内蔵型貯湯式給湯装置
KR101455026B1 (ko) 사계절 매트용 보일러
CN207369750U (zh) 电热式自动空气调温设备
JP2007071445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