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411B1 -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411B1
KR100824411B1 KR1020070007062A KR20070007062A KR100824411B1 KR 100824411 B1 KR100824411 B1 KR 100824411B1 KR 1020070007062 A KR1020070007062 A KR 1020070007062A KR 20070007062 A KR20070007062 A KR 20070007062A KR 100824411 B1 KR100824411 B1 KR 10082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heating
electric boiler
inner tub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행
강선국
노홍구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쥴
Priority to KR102007000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01H9/0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by using ult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순환수를 회전시켜 유출시킴으로써 가열중 발생되는 기포를 회전되는 순환수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시간의 증가로 효율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가열시킬 수 있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연통되게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순환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한 펌핑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히터로 이루어진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중공형의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외부관(10)의 타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타측에 상기 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이 삽입되는 내부관(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순환펌프(20)와 가열히터(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순환펌프(20)의 동작으로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수가 상기 내부관(15)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내부관(15)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수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07062
외부관, 내부관, 에어배출홀, 순환수회전부재, 에어제거구, 가열히터

Description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DIRECT HEATING TYPE ELECTRIC BOIL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2는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를 보인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의 개폐마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의 개폐마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바뀐 상태의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부관 11: 유입구
12: 단열재 13: 과열감지센서
15: 내부관 16: 유출구
17: 에어배출홀 20: 순환펌프
25: 가열히터 26: 가열봉
30: 제어부 40: 회전날개판
45: 회전스크류 50: 에어제거구
52: 하우징 53: 배출공
54: 나사부 55: 연통공
56: 개폐마개 58: 스프링
본 발명은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순환수를 회전시켜 유출시킴으로써 가열중 발생되는 기포를 회전되는 순환수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시간의 증가로 효율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가열시킬 수 있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적정 연료의 연소 및 에너지 변환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난방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기를 의미하며, 연료의 종류에 따라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전기보일러, 연탄보일러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중 전기보일러는 다른 보일러에 비해 위생적이며, 가스중독과 폭발 등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적어 점점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 다.
종래의 전기보일러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히터 등과 같은 것을 열원으로 이용하여 저수조에 저장, 순환되는 난방수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열시키고, 난방배관 및 급수배관으로 공급시킴으로써 난방 및 급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기이다.
그러나 전열히터로 저수조에 저장된 난방수를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보일러는 가열대상인 저수조의 관수용량이 커서 전열소모가 매우 클 뿐 아니라 저수조에 저장된 난방수를 가열하는 시간이 길어서 초기 난방이 이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지 않다. 또 순환펌프에 의해 배출되고 유입되는 난방수량 뿐 아니라 축열을 위해 실내 온도에 상관 없이 항상 뜨거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저수조에 난방수를 저장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난방용수를 직접 가열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었으나, 가열 중 난방 용수에 발생되는 기포로 인한 온수 배관 내부에서의 잦은 순환 장애와 기포 발생에 따른 소음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정 크기의 저수조를 구비한 상태로 보일러를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가 필요없어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함과 아울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설치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유입된 순환수를 회전시켜 유출시 킴으로써 가열중 발생되는 기포를 회전되는 순환수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시간의 증가로 효율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가열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기포발생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포의 제거로 온수의 순환이 용이하며, 직접가열에 따른 순환으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호 연통되게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순환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한 펌핑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히터로 이루어진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중공형의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외부관(10)의 타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타측에 상기 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이 삽입되는 내부관(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순환펌프(20)와 가열히터(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순환펌프(20)의 동작으로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수가 상기 내부관(15)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내부관(15)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수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의 유입구(11)에 인접되는 내주면과 상기 내부관(15) 사이에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길이방향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회전날개판(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스크류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스크류(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의 외부에는 일정 두께로 씌워지는 단열재(12) 및 상기 가열히터(25)의 과열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도록 상기 외부관(10)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히터(25)에 연결되는 과열감지센서(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20)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저장되지 않고 가열되면서 유출됨에 따라 상기 가열히터(25)의 동작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연동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부관(10)의 타측에는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외부관(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에어제거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15)의 타측에는 상기 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는 순환수에 포함된 에어를 상기 외부관(10)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에어배출홀(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의 개폐 마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제거구의 개폐마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바뀐 상태의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를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는 일정 길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순환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0)와, 상기 순환펌프(20)에 의한 펌핑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히터(25)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순환펌프(20)와 가열히터(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순환수를 회전시키는 순환수회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일측에 상기 순환펌프(20)에 의해 펌핑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 중공형의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내부관(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관(10)의 외부에는 단열을 위해 일정 두께의 단열재(12)가 씌워지고, 상기 내부관(15)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관(10)에는 상기 가열히터(25)의 과열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도록 상기 외부관(10)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히터(25)에 연결되 는 과열감지센서(13)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과열감지센서(13)는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열봉(26)의 과열여부와 더불어 가열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는 것으로, 오작동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수의 온도측정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관(10)에 삽입되는 상기 내부관(15)은 일측이 상기 외부관(10)의 타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되며, 타측은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유출되도록 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순환펌프(20)의 동작으로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수가 상기 내부관(15)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내부관(15)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관(10)의 유입구(11)에 인접되는 내주면과 상기 내부관(15) 사이에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길이방향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회전날개판(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판(40)은 상기 내부관(15)의 개구부 내주면과 상기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 사이에 더 구비시켜 회전력이 약해진 순환수가 다시 회전되면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스크류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스크류(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날개판(40)과 같이 순환수의 유입시 최초 유입방향을 제어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전스크류(45)와 같이 최초 유입시부터 상기 내부관(15)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로상에 계속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날개판(40) 또는 회전스크류(45)는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가 회전되는 순환수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몸체의 내부에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순환펌프(20)는 별도의 저수조가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즉,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저장되지 않고 가열되면서 유출됨에 따라 상기 가열히터(25)의 동작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된다.
다시 말해, 종래와 같이 저수조가 구비된 상태에서는 제어부에 전원이 들어옴과 동시에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써, 초기에 온수를 사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저수조 용량에 의해 오래 걸렸으나,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가 필요하지 않아 가열히터(25)의 동작과 동시에 순환 펌프(20)를 동작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짧은 시간에 온수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관(10)의 타측에는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외부관(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에어제거구(50)가 더 구비되는데, 이 경우, 상기 에어제거구(50)는 표면에 다수의 배출공(5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외부관(10)에 나사결합되게 나사부(54)가 형성되며 저부에 일정 직경의 연통공(55)이 형성된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 일측이 내장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52)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하 유동되면서 상기 연통공(55)을 개폐하는 개폐 마개(56)와, 상기 개폐마개(56)의 일측과 상기 연통공(55)의 주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마개(56)의 상승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8)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기포발생시 자동으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개폐마개(56)의 중량을 상기 스프링(58)의 탄성력보다 크게 하여 다량의 기포발생으로 공기가 증가할 경우 상기 개폐마개(56)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상기 연통공(55)으로 유입되어 배출공(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가 미비하여 순환수가 상기 개폐마개(56)를 부력으로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마개(56)가 상기 연통공(55)을 폐쇄하게 되며, 상승시 상기 스프링(58)의 탄성력으로 보다 원활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개폐마개(56)는 상기 스프링(58)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개폐마개(56)의 자중과 스프링(58)의 탄성력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관(15)의 타측에는 상기 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는 순환수에 포함된 소량의 에어가 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지 않고 상기 외부관(10)으로 다시 되돌아가도록 하나 이상의 에어배출홀(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배출홀(17)은 상기 외부관(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공기의 유출이 제한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부관(15)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11)을 통해 내부관(15)으로 유입된 물의 유속에 의해 상기 에어배출홀(17)을 통해 외부관(10)으로 배출되어지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관(10)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관(15)에 유출구(16)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로 흐른 후 상기 내부관(15)의 내측을 통해 상기 유출구(16)로 유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구(16)를 통해 내부관(15)으로 유입되게 하여 외부관(10)과 내부관(15) 사이로 흐른 후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출구(16)에 근접한 상기 내부관(15)의 일측 내주면과 가열봉(26) 사이와 상기 내부관(15)의 타측과 상기 외부관(10)의 사이에 각각 회전날개판(4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에어배출홀(17)의 경우 상기 유출구(16)를 통해 유입됨에 따라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실내에 난방수를 공급시키기 위해 제어부(30)에서 가열히터(25)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킴과 아울러 순환펌프(20)를 작동시켜 배관에 내장된 물을 외부관(10)의 유입구(11)로 펌핑시킨다.
상기 유입구(11)로 펌핑되어 상기 외부관(10)으로 유입된 물은 회전날개판(40)에 부딪히면서 상기 외부관(10)의 길이 방향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흐르게 되어 상기 내부관(15)의 외주면에서 회전됨에 따라 통상 유입되는 유속보다 빠른 유속으로 이동되면서 1차적으로 가열된 후 내부관(1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히터(25)에 의해 2차적으로 가열되어 유출구(16)를 통해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가열히터(25)에 의한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는 상기 물의 회전에 의해 기포가 와해되면서 사라지게 되어 열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된 경우에는 에어제거구(50)에 의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외부관(10)의 내부에 잔존하는 에어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대로 에어가 발생된 경우에는 개폐마개(56)가 하우징(52)의 연통공(55)을 개방하게 되어 에어가 연통공(55)을 지나 배출공(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에어가 소량 또는 잔존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폐마개(56)가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연통공(55)을 폐쇄하게 됨에 따라 물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날개판(40)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스크류(45)를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스크류(45)의 경우 스크류의 간격 조절로 가열시간을 증가시켜 공급된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을 저장시킨 상태로 가열하지 않고, 순환펌프(20)에 의한 순환과 동시에 물을 가열할 수 있어 단시간내에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가 필요없어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함과 아울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설치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유입된 순환수를 회전시켜 유출시킴으로써 가열중 발생되는 기포를 회전되는 순환수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시간의 증가로 효율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가열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기포발생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포의 제거로 온수의 순환이 용이하며, 직접가열에 따른 순환으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상호 연통되게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순환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한 펌핑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히터로 이루어진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중공형의 외부관(10)과;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외부관(10)의 타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타측에 상기 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히터(25)의 가열봉(26)이 삽입되는 내부관(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순환펌프(20)와 가열히터(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순환펌프(20)의 동작으로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수가 상기 내부관(15)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내부관(15)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수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의 유입구(11)에 인접되는 내주면과 상기 내부관(15) 사이에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의 길이방향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회전날개판(40)인 것을 특징으로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회전부재는, 상기 외부관(10)과 내부관(15)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스크류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스크류(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10)의 외부에는 일정 두께로 씌워지는 단열재(12) 및 상기 가열히터(25)의 과열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도록 상기 외부관(10)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히터(25)에 연결되는 과열감지센서(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20)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저장되지 않고 가열되면서 유출됨에 따라 상기 가열히터(25)의 동작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연동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10)의 타측에는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외부관(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에어제거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에어제거구(50)는, 표면에 다수의 배출공(5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외부관(10)에 나사결합되게 나사부(54)가 형성되며, 저부에 일정 직경의 연통공(55)이 형성된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 일측이 내장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52)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하 유동되면서 상기 연통공(55)을 개폐하는 개폐마개(56)와;
    상기 개폐마개(56)의 일측과 상기 연통공(55)의 주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마개(56)의 상승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5)의 타측에는 상기 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는 순환수에 포함된 에어를 상기 외부관(10)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에어배출홀(17)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20070007062A 2007-01-23 2007-01-23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082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62A KR100824411B1 (ko) 2007-01-23 2007-01-23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62A KR100824411B1 (ko) 2007-01-23 2007-01-23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411B1 true KR100824411B1 (ko) 2008-04-23

Family

ID=3957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062A KR100824411B1 (ko) 2007-01-23 2007-01-23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667B1 (ko) 2016-02-26 2017-10-26 김용수 이중가열 온수 생성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53Y1 (ko) * 1993-12-16 1996-11-0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의 순환펌프에 부착된 기수분리장치
KR19980015939U (ko) * 1996-09-13 1998-06-25 김관수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KR20000020931U (ko) * 1999-05-17 2000-12-15 장치국 진공전도 가온식 전기보일러
KR20030012375A (ko) * 2001-07-31 2003-02-12 오경태 보일러 급수 탈기장치용 이중 스프링 분사밸브
KR20040069418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장치
KR20040110776A (ko) * 2003-06-20 2004-12-31 박성돈 전기보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53Y1 (ko) * 1993-12-16 1996-11-0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의 순환펌프에 부착된 기수분리장치
KR19980015939U (ko) * 1996-09-13 1998-06-25 김관수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KR20000020931U (ko) * 1999-05-17 2000-12-15 장치국 진공전도 가온식 전기보일러
KR20030012375A (ko) * 2001-07-31 2003-02-12 오경태 보일러 급수 탈기장치용 이중 스프링 분사밸브
KR20040069418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장치
KR20040110776A (ko) * 2003-06-20 2004-12-31 박성돈 전기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667B1 (ko) 2016-02-26 2017-10-26 김용수 이중가열 온수 생성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US4959526A (en) Storage type electric water heater having a closed circulation loop with a bubble pump
KR101087063B1 (ko) 무압력식 온수기
TWI526658B (zh) 可瞬熱供水之貯熱型電熱水器及其控制方法
KR20090020822A (ko) 순간가열식 난방시스템
KR100824411B1 (ko)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EP3640563A1 (en) Electric water heater having instantaneous hot water storage-type structure
KR20110006913A (ko) 전기 순간온수기
KR200385858Y1 (ko) 심야 전기보일러와 상시 전기보일러의 병합 전기보일러 장치
KR20090090076A (ko) 차량난방용 고효율 피티시히터
KR20050090031A (ko) 중형 전기보일러
WO2008000076A1 (en) Engine pre-heater
RU2659686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с накопительной ёмкостью
EP0309199B1 (en) Hot water boiling apparatus
KR20090090137A (ko) 차량난방 고효율 히터코어
KR101706176B1 (ko) 대형온수공급탱크를 구비한 난방용 보일러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KR20090020768A (ko) 에너지절감형 초소형전기보일러
KR20100107679A (ko) 헬리오스태트형 태양열시스템
KR20100107689A (ko) 2축식 태양추적트래킹장치
KR20090096010A (ko) 보조공간부와 보조탱크를 설치한 절전형 소형 온수보일러의물탱크
KR20100107660A (ko) 헬리오스태트형 고효율 집열기
KR200442776Y1 (ko) 벽난로의 온수공급장치
JP2005095826A (ja) 高温水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