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939U -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 Google Patents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939U
KR19980015939U KR2019960029218U KR19960029218U KR19980015939U KR 19980015939 U KR19980015939 U KR 19980015939U KR 2019960029218 U KR2019960029218 U KR 2019960029218U KR 19960029218 U KR19960029218 U KR 19960029218U KR 19980015939 U KR19980015939 U KR 19980015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boiler
closing ball
heat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수
Original Assignee
김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2019960029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939U/ko
Publication of KR19980015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3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의 내부 또느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접속부를 가지고, 입수공의 하부로 여과망과, 여과망의 상부쪽으로 고무 패킹이 내설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상기 고무패킹과 대응하는 고무패킹을 내측으로 구비하고 내면에 탭이 형성된 배출관을 가지는 커버가 결합되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입설되고, 중앙으로 통수공을 가지는 시드관과;
상기 커버의 배출관에 나사결합되어 하부로 형성된 푸시봉이 상부개폐볼을 밀어 배기공을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출수관과; 시드관의 통수공 상부에서 스프링 탄설치되어진 상부개폐볼과, 시드관의 하부로 내설되어진 하부개폐볼이 보일러의 순환모터 동작에 의해 상하로 연동하면서 배출관의 배기공과 입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본 고안은 난방용 보일러의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제거해 주는 공기 제거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여 난방온수의 원활한 순환으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난방에 따른 연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난방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일러 난방온수배관 내공기자동 제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반용 보일러에 의한 난방법은 주로 가열버너에 의해 상온으로 데워진 온수가 거실 또는 방바닥으로 매설된 난방온수배관을 따라 순환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이다.
한편, 난방과 동시에 난방온수배관 내의 온수를 뽑아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를 뽑아쓴 만큼 난방온수배관 내에는 물이 보충되어져 난방온수배관 내의 온수가 원활하게 순환되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순환방식을 이용한 난방 방식에서는 난방온수배관 내에 공기가 발생하면 난방온수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난방온수관 내에 공기가 발생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보면, 정전이나, 단수인 줄을 모르고 난방온수배관 내의 온수를 뽑아쓸 경우, 난방온수배관 내에 온수는 빠지는데 반하여 물은 공급되어 지지 못하여 온수가 빠진만큼 난방온수관 내에는 공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충수가 공급되더라도 난방온수배관에는 이미 공기가 발생되어 있어 공기가 난방온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난방온수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난방효율이 떨어지고, 보일러만 과열되어져 불필요한 연료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으며, 과열에 의한 보일러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난방온수배관 내에 공기를 빼기위한 밸브를 입수쪽과 출수쪽에 각각 설치하여 밸브를 통해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빼게되는데, 종래에는 밸브를 사용자가 직접 개방하여 난방온수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한 후 공기제거가 완료되면 밸브를 차단하도록된 수동밸브를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수동밸브를 사용할 경우, 공기제거가 적시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보일러의 운전에도 불구하고 난방상태가 양호하지못함을 감지하고서야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야기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일러의 내부 또는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접속부를 가지고, 입수공의 하부로 여과망과, 여과망의 상부쪽으로 고무패킹이 내설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상기 고무패킹과 대응하는 고무패킹을 내측으로 구비하고 내면에 탭이 형성된 배출관을 가지는 커버가 결합되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입설되고, 중앙으로 통수공을 가지는 시드관과; 상기 커버의 배출관에 나사결합되어 하부로 형성된 푸시봉이 상부개폐볼을 밀어 배기공을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출수관과; 시드관의 통수공 상부에서 스프링 탄설치되어진 상부개폐볼과, 시드관의 하부로 내설되어진 하부개폐볼이 보일러의 순환모터 동작에 의해 상하로 연동하면서 배출관의 배기공과 입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제거용 자동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제거용 자동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A부를 발췌한 확대 구성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로써,
(a)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상태와 공기의 배출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출수관을 작동시켜 공기와 함께 공기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12: 입수공
13: 여과망14,15: 고무패킹
17: 배출관18: 커버
19: 배기공20: 시드관
21: 통수공30: 출수관
31: 푸시봉40,41: 상,하부 개폐볼
42: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제거용 자동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를 발췌한 확대 구성도 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로써, (a)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상태와 공기의 배출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공기의 배출을 완료한 상태도이며, (c)는 출수관을 작동시켜 공기와 함께 공긱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제거용 자동밸브는, 보일러(1)의 내부 또는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접속부(11)를 가지고, 입수공(12)의 하부로 여과망(13)과, 여과망의 상부쪽으로 고무패킹(14)이 내설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상기 고무패킹(14)과 대응하는 고무패킹(15)을 내측으로 구비하고 내면에 탭(16)이 형성된 배출관(17)을 가지는 커버(18)가 결합되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입설되고, 중앙으로 통수공(21)을 가지는 시드관(20)과; 상기 커버(18)의 배출관(17)에 나사결합되어 하부로 형성된 푸시봉(31)이 상부개폐볼(40)을 밀어 배기공(19)을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출수관(30)과; 시드관(20)의 통수공(21) 상부에서 스프링(41) 탄설치되어진 상부개폐볼(40)과, 시드관(20)의 하부로 내설되어진 하부개폐볼(41)이 보일러의 순환모터 동작에 의해 상하로 연동하면서 배출관(17)의 배기공(19)과 입수공(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방온수배관(50) 내에 발생되어진 공기는 순환모ㅌ가 작동하면, 커버(18)의 내측으로 설치된 고무패킹(15)에 밀착되어 배출관(17)의 배기공(19)을 차단하고 있던 상부 개폐볼(40)과 시드관(20)의 통수공(21)쪽으로 위치하여 있던 하부개폐볼(41)이 제3도 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내려와 하부개폐볼(41)은 입수공(12)을 차단하고, 상부개폐볼(40)도 연동하여 배출관(17)의 배기공(19)을 개방시킨다.
상기한 상,하부 개폐볼(40)(41)의 작동에 의하여 본체(10)의 입수공(1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차단되고, 본체(10)에 있던 공기는 배기공(19)을 거쳐 출수관(30)으로 배출되어진다.
한편, 순환모터가 정지하면, 하부개폐볼(41)이 상부로 상승하여 입수공(12)이 개방되어지면서 난방온수배관(50) 내에 있던 공기가 본체(10)로 유입되어지고, 이때 상부 개폐볼(40)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배기공(19)을 차단한다.
또한, 수동으로 공기를 배출하고자할 때에는 출수관(30)을 잠기는 방향으로 돌려 출수관(30)의 하부로 형성된 푸시봉(31)이 상부개폐볼(40)을 아래로 밀어 개방시킴으로써, 공기가 제거됨과 동시에 물을 배출시킨다.(제3도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내부 또는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가 설치된 위치에 공기에 의해 개폐되면서 난방온수배관 내의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자동제거밸브를 설치하여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해주고, 난방온수의 원활한 순환으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난방에 따른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난방열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내부 또는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가 설치된 위치에 공기에 의해 개폐되면서 난방온수배관 내의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자동제거 밸브를 설치하여 난방온수배관 내에 발생된 공기를 자동으로 제거해주고, 난방온수의 원활한 순환으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난방에 따른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난방열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일러 난방온수배관내 공기자동 제거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또한 출수관의 조작으로 난방온수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보일러 난방온수배관 내 공기자동 제거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Claims (1)

  1. 보일러(1)의 내부 또는 분배기 상,하 퇴수밸브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접속부(11)를 가지고, 입수공(12)의 하부로 여과망(13)과, 여과망의 상부쪽으로 고무패킹(14)이 내설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상기 고무패킹(14)과 대응하는 고무패킹(15)을 내측으로 구비하고 내면에 탭(16)이 형성된 배출관(17)을 가지는 커버(18)가 결합되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입설되고, 중앙으로 통수공(21)을 가지는 시드관(20)과;
    상기 커버(18)의 배출관(17)에 나사결합되어 하부로 형성된 푸시봉(31)의 상부개폐볼(40)을 밀어 배기공(19)을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출수관(30)과;
    시드관(20)의 통수공(21) 상부에서 스프링(41) 탄설치되어진 상부개폐볼(40)과, 시드관(20)의 하부로 내설되어진 하부개폐볼(41)이 보일러의 순환모터 동작에 의해 상하로 연동하면서 배출관(17)의 배기공(19)과 입수광(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KR2019960029218U 1996-09-13 1996-09-13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KR199800159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18U KR19980015939U (ko) 1996-09-13 1996-09-13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18U KR19980015939U (ko) 1996-09-13 1996-09-13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39U true KR19980015939U (ko) 1998-06-25

Family

ID=5397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218U KR19980015939U (ko) 1996-09-13 1996-09-13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9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1B1 (ko) * 2007-01-23 2008-04-23 주식회사 쥴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0952969B1 (ko) * 2009-09-24 2010-04-15 김충효 자동 흡배기밸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1B1 (ko) * 2007-01-23 2008-04-23 주식회사 쥴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0952969B1 (ko) * 2009-09-24 2010-04-15 김충효 자동 흡배기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9859B2 (ja) 貯湯式温水器の排水装置
KR19980015939U (ko) 보일러 난방온수관내 공기자동 제거용 밸브
JP4585799B2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JPH0237226A (ja) 給湯器付風呂釜の逆流防止装置
CN212390437U (zh) 一种配气式集成灶
KR100616603B1 (ko) 다기능 자동 에어벤트 밸브 장치
KR200337521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060034349A (ko) 차량의 브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KR200188264Y1 (ko) 대류 조절형 심야전기 온수기
KR200296185Y1 (ko) 난방 배관용 공기 배출밸브의 여과장치
CN214385526U (zh) 一种循环水洗宠物洗浴装置
JPS5842533Y2 (ja) 逆流防止型水抜用3方弁
KR20050034044A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JPS6315724Y2 (ko)
KR0120063Y1 (ko) 냉온풍기의 공기배출기
JPS6011401Y2 (ja) 太陽熱温水器の水抜装置
KR19990024109A (ko) 보일러의 공기방출용 배관시스템
CN2357226Y (zh) 三开式采暖淋浴炉
KR910009020Y1 (ko) 난방 배관속의 불순물 제거 및 스케일 방지장치
JPS6243242Y2 (ko)
CN2303255Y (zh) 过热蒸汽疏水阀
CN114046548A (zh) 一种集成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KR200178744Y1 (ko) 응축수 배출 시스템
JPH08285188A (ja) フロ―ト式トラップ
KR870002469Y1 (ko) 온수보일러용 배수(排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