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597A - 배선기판 - Google Patents
배선기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9597A KR20200039597A KR1020190123186A KR20190123186A KR20200039597A KR 20200039597 A KR20200039597 A KR 20200039597A KR 1020190123186 A KR1020190123186 A KR 1020190123186A KR 20190123186 A KR20190123186 A KR 20190123186A KR 20200039597 A KR20200039597 A KR 20200039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board
- mounting
- mounting area
- bas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5—Ceramic or glass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유지하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배선기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은 기재의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기재의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진다. 규제부는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해결수단)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은 기재의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기재의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진다. 규제부는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배선기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등의 탑재부품의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제의 기재(基材)를 틀체에 장착한 배선기판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기재는 틀체에 대해서 경납땜재 등의 접합재를 통해서 접합된다.
틀체와 기재의 접합시에, 용융된 접합재가 전자부품 등의 탑재부품의 탑재를 예정하는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면, 탑재 에리어에서 접합재가 경화되어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에 의해서 탑재부품의 기재에 대한 접합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기울어지는 탑재 불량이 발생한다. 탑재 불량은 탑재부품의 접합강도, 방열성, 탑재 위치 정밀도 등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틀체에 단차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틀체에 단차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접합재의 흐름을 억제하는 구성에서는 단차부에 의해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접합부분의 기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일 국면은,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유지하면서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배선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은 기재의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기재의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진다. 규제부는,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와 틀체의 접합시에 접합층을 형성하는 접합재의 유동(流動)이 규제부에 의해서 규제된다. 그러므로, 기재와 틀체의 접합면적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기재의 표면 중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탑재부품을 높이가 다른 위치에 3차원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 기재의 표면에 받침대를 구비하는 경우, 받침대가 기재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다. 기재의 표면에 돌기를 가지는 경우, 유동하는 접합재가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규제부는 한층 더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받침대 및 규제부는 기재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 및 규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받침대에서부터 기재까지의 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에 탑재되는 탑재부품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의 영역 중 탑재 에리어와 틀체 사이에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규제부의 형성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선기판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재의 표면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받침대의 기재와의 이음 부분에 접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하는 접합재가 유입되기 쉬운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인 받침대의 이음 부분으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접합재에 의한 필릿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탑재부품의 탑재 불량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는 받침대와 규제부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더 확실하게 탑재 에리어로의 접합재의 유입과 받침대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적어도 홈으로 구성되고, 홈의 깊이는 기재의 두께의 1/2 이하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의 방열성 저하나 기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규제부는 적어도 돌기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합재의 유동량이 많은 경우에서도 접합재를 탑재 에리어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틀체에 형성됨과 아울러, 탑재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예정되어 있는 접속패드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돌기의 높이는 접속패드의 기재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이하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탑재부품과 틀체에 형성된 접속패드를 접속할 경우, 접속수단(예를 들면, 와이어 본드 등)이 기재에 접촉하여 쇼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접속시의 작업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틀체는 세라믹을 주된 성분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열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기재는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의 전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에 탑재된 탑재부품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B-I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ⅡB-Ⅱ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2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ⅡB-Ⅱ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2A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배선기판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가 적용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1. 제 1 실시형태]
[1-1. 구성]
도 1A, 1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1)은 기재(基材)(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
<기재>
기재(2)는 표면(2A) 및 이면(2B)을 가지는 금속제의 판재이다. 기재(2)는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의 방열부재로서 기능한다. 기재(2)는 전열성의 관점에서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면 좋다. 또한, 구리 합금으로서는, 구리를 주된 성분으로 하면서 니켈, 인, 아연, 주석, 알루미늄 등이 함유된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주된 성분"이란 90질량% 이상 함유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구리 복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에 의해서 골격을 형성하는 다공체 내에 구리가 함침된 복합체나, 구리와 몰리브덴이 교호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2)의 이면(2B)에는 방열 핀 등을 가지는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도 좋다.
기재(2)는, 기재(2)의 표면(2A) 중 제 2 탑재부품(8)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2C)를 가진다. 탑재 에리어(2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즉, 표면(2A)이 펼쳐지는 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탑재부품(8)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2C)에는 제 2 탑재부품(8)이 실제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탑재 에리어(2C)는 제 2 탑재부품(8)과 완전히 겹쳐저 있다. 제 2 탑재부품(8)은,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접합되어 있다.
또, 탑재 에리어(2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술하는 틀체(3)와 받침대(4)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탑재 에리어(2C)는 틀체(3)와 이간됨과 동시에 받침대(4)와도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틀체>
틀체(3)는 기재(2)의 표면(2A) 주위에 접합층(3A)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부재이다. 틀체(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2C) 및 받침대(4)를 둘러싸도록 기재(2)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틀체(3)는 복수의 절연층을 겹친 적층체이다. 또, 틀체(3)에는 배선(도시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은 절연층의 표면에 배치된 배선 패턴, 절연층을 관통하는 도체, 탑재부품(7, 8)에 통전이 필요한 경우에 탑재부품(7, 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접속패드(9) 등을 포함하고 있다.
틀체(3)의 절연층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의 관점에서 틀체(3)는 세라믹을 주된 성분으로 하면 좋다. 이 세라믹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베리리아,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세라믹은 단체(單體)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합층(3A)은 유동성을 가지는 접합재의 응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접합층(3A)의 융점으로서는 3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접합층(3A)을 형성하는 접합재로서는,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경납땜재 또는 연납땜재가 바람직하다. 경납땜재로서는 은계 경납땜재가 예시된다. 연납땜재로서는 금 주석 연납땜재가 예시된다.
<받침대>
받침대(4)는 기재(2)의 표면(2A) 중 틀체(3)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형성된 금속제의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4)는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4)는 기재(2)의 표면(2A)의 일부가 솟아오르도록 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받침대(4)는 기재(2) 중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큰 부위이다.
받침대(4)에는 제 1 탑재부품(7)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탑재부품(7)은, 예를 들면 경납땜재, 연납땜재, 수지 접착제 등에 의해서 받침대(4)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 받침대(4)는 틀체(3)와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에 배치된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홈은 기재(2)에 있어서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작게 된 부위이다.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와 탑재 에리어(2C)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규제부(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틀체(3)의 내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즉, 규제부(5)는 틀체(3)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영역(A1)과,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도 1A에서의 좌우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도 1A에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는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즉, 규제부(5)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받침대(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를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기재(2)의 두께의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홈이 너무 깊으면, 기재(2)의 체적이 저감하여 방열성이 저하되거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규제부(5)를 구성하는 홈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 또는 탑재 에리어(2C){즉, 제 2 탑재부품(8)}와 일부가 겹쳐저 있어도 좋다.
또, 규제부(5)는 기재(2)의 표면(2A)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규제부(5)를 돌기로 함으로써, 접합재의 유동량이 많은 경우에서도 접합재를 탑재 에리어(2C)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5)는 홈과 돌기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규제부(5)를 구성하는 돌기의 높이는, 틀체(3)에 배치된 접속패드(9)의 기재(2)의 표면(2A)으로부터의 높이 이하가 바람직하다. 돌기가 너무 높으면,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과 틀체(3)에 형성된 접속패드(9)를 접속할 경우에 접속수단(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본드 등)이 기재에 접촉하여 쇼트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당해 접속시의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탑재부품>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은 각각 가동(稼動)에 의해서 열을 발하는 부품이다.
예를 들면, 제 1 탑재부품(7)으로서 LED(발광 다이오드)나 LD(레이저 다이오드), 제 2 탑재부품(8)으로서 형광체를 가지는 광파장 변환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조합에 의해서 헤드 램프, 각종 조명 기기,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광원용의 배선기판이 얻어진다.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은, 틀체(3)가 접합층(3A)에 의해서 기재(2)에 접합된 후에, 받침대(4) 또는 기재(2)에 직접 장착된다. 또한, 각 탑재부품에 통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한 틀체(3)의 접속패드(9)에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1-2.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a) 기재(2)와 틀체(3)의 접합시에, 접합층(3A)을 형성하는 접합재의 유동이 규제부(5)에 의해서 규제된다. 그러므로, 기재(2)와 틀체(3)의 접합면적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1b) 규제부(5)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받침대(4)와 탑재 에리어(2C)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더 확실하게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탑재부품(8)의 탑재 불량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1c) 받침대(4)가 기재(2)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있어, 유동하는 접합재가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탑재 에리어로 유입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규제부(5)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1d) 받침대(4) 및 규제부(5)가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받침대(4) 및 규제부(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받침대(4)에서부터 기재(2)까지의 열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4)에 탑재되는 제 1 탑재부품(7)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2. 제 2 실시형태]
[2-1. 구성]
도 2A, 2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11)은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1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은 도 1A의 배선기판(1)과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규제부>
규제부(1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띠형상의 제 1 부(15A)와,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띠형상의 제 2 부(15B)와 띠형상의 제 3 부(15C)를 가진다.
제 1 부(15A)는 틀체(3) 및 탑재 에리어(2C)와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부(15A)는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제 1 부(15A)가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나, 제 1 부(15A)는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각각 일방의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고 있다. 즉,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서 받침대(4)와 이간되는 방향{즉, 도 2A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각각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고,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는 제 1 부(15A)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규제부(15)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즉, 탑재 에리어(2C)는 받침대(4)와 규제부(15)에 의해서 비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2-2.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2a)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는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에 의해서, 유동하는 접합재가 유입되기 쉬운 돌기의 외측 가장자리인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으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접합재에 의한 필릿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B)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부(15A)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의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서 틀체(3)와 기재(2)를 접합하는 접합재가 탑재 에리어(2C)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4)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의 받침대(4) 측에서 틀체(3)와 기재(2)를 접합하는 접합재가 탑재 에리어(2C)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2c)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15)는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의 영역 중 탑재 에리어(2C)와 틀체(3) 사이에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함과 아울러, 규제부(15)의 형성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선기판(11)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재(2)의 표면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3. 제 3 실시형태]
[3-1. 구성]
도 3A, 3 B에 나타내는 배선기판(21)은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규제부(25)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을 구비한다. 기재(2)와 틀체(3)와 받침대(4)와 제 1 탑재부품(7)과 제 2 탑재부품(8)은 도 1A의 배선기판(1)과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규제부>
규제부(25)는,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1 영역(A1)과, 탑재 에리어(2C)와 받침대(4)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를 사이에 두는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25)는 양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는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재 에리어(2C)는 받침대(4)와 규제부(25)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 규제부(25)는 틀체(3)로부터 이간되게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25)는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고,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3-2.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3a) 받침대(4)와 규제부(25)를 이용함에 의해서 탑재 에리어(2C)를 둘러싸므로써, 탑재 에리어(2C)로의 접합재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규제부(25)의 양 단부가 받침대(4)의 기재(2)와의 이음 부분(4A)에 접하므로써, 받침대(4)의 이음 부분(4A)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4.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4a)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은 복수의 받침대(4)를 구비하여도 좋다. 반대로, 배선기판(1, 11, 21)은 반드시 받침대(4)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 기재(2)는 복수의 탑재 에리어(2C)를 가져도 좋다.
(4b)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에 있어서, 받침대(4)는 반드시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받침대(4)는 접합재에 의해서 기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규제부(5, 15, 25)를 구성하는 돌기는 반드시 기재(2)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 받침대(4)를 기재(2)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준비하고, 받침대(4)와 기재(2)를 접합할 경우, 받침대(4)의 재료는 기재(2)와 동일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받침대(4)와 기재(2)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경우, 받침대(4)의 재료는 예를 들면 질화알루미늄, 알루미나, 구리, 구리 합금, 구리 복합체, 알루미늄, 철 니켈 합금 등의 방열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4c)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에 있어서, 탑재 에리어(2C)는 반드시 규제부(5), 또는 받침대(4)와 규제부(15, 25)의 조합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A의 배선기판(11)에 있어서, 규제부(15)는 제 1 부(15A), 제 2 부(15B) 및 제 3 부(15C) 중 어느 1개만을 가져도 좋다.
(4d) 상기 실시형태의 배선기판(1, 11, 21)은 제 1 탑재부품(7) 및 제 2 탑재부품(8) 중 적어도 일방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즉, 본 개시는 배선기판에 탑재되는 복수의 탑재부품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탑재부품이 탑재되기 전의 배선기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4e)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구성요소가 가지는 기능을 복수의 구성요소로서 분산시키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가지는 기능을 1개의 구성요소에 통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부가하거나 치환 등을 하여도 좋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문언으로부터 특정되는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형태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이다.
[5. 실시예]
이하에, 본 개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 시험의 내용과 그 평가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A의 규제부(25)를 돌기로 하여 형성한 기재(2)(돌기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평균두께 500㎛)에 틀체(3)를 납땜하였다. 경납땜재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형성된 필릿의 두께를 계측한 바, 20㎛이었다. 또, 탑재 에리어(2C)로의 경납땜재(즉, 접합재)의 유입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도 3A의 규제부(25)를 형성하지 않은 기재(2)(두께는 실시예 1과 같음)에 틀체(3)를 납땜하였다. 경납땜재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형성된 필릿의 두께를 계측한 바, 51㎛이었다. 또, 탑재 에리어(2C)에 있어서, 받침대(4)와는 반대측에서 경납땜재(즉, 접합재)가 유입되어, 탑재 에리어(2C) 내에 10㎛의 단차가 확인되었다.
<고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규제부(25)에 의해서 받침대(4)의 이음 부분에 있어서의 필릿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 탑재 에리어(2C)로 접합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1 - 배선기판
2 - 기재
2A - 표면 2B - 이면
2C - 탑재 에리어 3 - 틀체
3A - 접합층 4 - 받침대
4A - 이음 부분 5 - 규제부
7 - 제 1 탑재부품 8 - 제 2 탑재부품
11 - 배선기판 15 - 규제부
15A - 제 1 부 15B - 제 2 부
15C - 제 3 부 21 - 배선기판
25 - 규제부
2A - 표면 2B - 이면
2C - 탑재 에리어 3 - 틀체
3A - 접합층 4 - 받침대
4A - 이음 부분 5 - 규제부
7 - 제 1 탑재부품 8 - 제 2 탑재부품
11 - 배선기판 15 - 규제부
15A - 제 1 부 15B - 제 2 부
15C - 제 3 부 21 - 배선기판
25 - 규제부
Claims (12)
-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금속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접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층을 통해서 접합된 절연성의 틀체를 구비하는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배치된 홈, 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는 탑재부품의 탑재가 예정되어 있는 탑재 에리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 중 상기 틀체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또한 상기 탑재 에리어와는 다른 영역에 형성된 받침대를 더 구비하는 배선기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기재와 일체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의 영역 중 상기 탑재 에리어와 상기 틀체 사이에 상기 받침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배선기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받침대의 상기 기재와의 이음 부분에 접하는 배선기판.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탑재 에리어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규제부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둘러싸이는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기재의 두께의 1/2 이하인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돌기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틀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탑재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예정되어 있는 접속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속패드의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이하인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세라믹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구리, 구리 합금 및 구리 복합체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는 배선기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 에리어에 탑재된 상기 탑재부품을 더 구비하는 배선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90121 | 2018-10-05 | ||
JPJP-P-2018-190121 | 2018-10-05 | ||
JP2019152451A JP6936839B2 (ja) | 2018-10-05 | 2019-08-23 | 配線基板 |
JPJP-P-2019-152451 | 2019-08-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9597A true KR20200039597A (ko) | 2020-04-16 |
KR102434982B1 KR102434982B1 (ko) | 2022-08-19 |
Family
ID=7022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186A KR102434982B1 (ko) | 2018-10-05 | 2019-10-04 | 배선기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936839B2 (ko) |
KR (1) | KR10243498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3024A (ko) * | 1997-08-19 | 2001-03-26 | 가나이 쓰토무 | 멀티칩 모듈 구조체 및 그 제작 방법 |
JP2015185622A (ja) * | 2014-03-22 | 2015-10-22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素子実装用基板及び電子装置 |
JP2015204426A (ja) | 2014-04-16 | 2015-11-16 | Ngkエレクトロデバイス株式会社 | 電子部品収納用パッケージ |
JP2018110263A (ja) * | 2016-08-10 | 2018-07-12 | 京セラ株式会社 | 電気素子搭載用パッケージ、アレイ型パッケージおよび電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964U (ja) * | 1993-12-28 | 1995-08-11 | 株式会社住友金属セラミックス |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
JPH10303323A (ja) * | 1997-04-25 | 1998-11-13 | Fukushima Nippon Denki Kk | 半導体集積回路の気密封止パッケージ |
US6058023A (en) * | 1998-11-06 | 2000-05-02 |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 Isolation of high-voltage components in a dense environment |
WO2009008457A1 (ja) * | 2007-07-09 | 2009-01-15 | Jfe Precision Corporation | 電子部品用放熱部品、電子部品用ケース、電子部品用キャリアおよび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 |
-
2019
- 2019-08-23 JP JP2019152451A patent/JP6936839B2/ja active Active
- 2019-10-04 KR KR1020190123186A patent/KR102434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3024A (ko) * | 1997-08-19 | 2001-03-26 | 가나이 쓰토무 | 멀티칩 모듈 구조체 및 그 제작 방법 |
JP2015185622A (ja) * | 2014-03-22 | 2015-10-22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素子実装用基板及び電子装置 |
JP2015204426A (ja) | 2014-04-16 | 2015-11-16 | Ngkエレクトロデバイス株式会社 | 電子部品収納用パッケージ |
JP2018110263A (ja) * | 2016-08-10 | 2018-07-12 | 京セラ株式会社 | 電気素子搭載用パッケージ、アレイ型パッケージおよび電気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4982B1 (ko) | 2022-08-19 |
JP6936839B2 (ja) | 2021-09-22 |
JP2020061544A (ja) | 2020-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4989B1 (ko) | 발광 장치 | |
US7161190B2 (en)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887338B2 (en) | Light emitting diode device | |
JP2018152465A (ja) | 半導体モジュール | |
JP6754769B2 (ja) | 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9314170B (zh) | 用于优化的热阻、焊接可靠性和smt加工良率的led金属焊盘配置 | |
KR20200039597A (ko) | 배선기판 | |
KR102244251B1 (ko) | 배선기판 | |
US10985087B2 (en) | Wiring board | |
US11410895B2 (en) | Wiring board | |
US20230138210A1 (en) | Semiconductor device | |
CN116314526A (zh) | 用于优化的热阻、焊接可靠性和smt加工良率的led金属焊盘配置 | |
JP2021166315A (ja) | 発光装置 | |
JP2012049302A (ja) | 発光モジュ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