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317A -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317A
KR20200039317A KR1020180119067A KR20180119067A KR20200039317A KR 20200039317 A KR20200039317 A KR 20200039317A KR 1020180119067 A KR1020180119067 A KR 1020180119067A KR 20180119067 A KR20180119067 A KR 20180119067A KR 20200039317 A KR20200039317 A KR 2020003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s
weight
ethylen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795B1 (ko
Inventor
김태영
이윤환
전일배
이우열
이형원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95B1/ko
Priority to EP19199053.0A priority patent/EP3632979B9/en
Priority to CN201910943418.9A priority patent/CN111004430B/zh
Publication of KR2020003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8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일 수지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과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므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Highly rigi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feeling to touch and heat resistanc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본 발명은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polyamide)를 하나의 수지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뛰어난 복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범용 수지의 일종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경제성은 물론이고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내화학성 등이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기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복합 수지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수지는 촉감이 향상되는 반면, 강성이 떨어지거나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내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장섬유와 무기 충전제를 첨가하여 복합 수지를 제공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수지는 성형품의 촉감이 뛰어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혹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장섬유와 무기 충전제를 첨가하여 사출한 후 원단을 사용하여 이를 감싸는 방법을 통해 고강성 소재에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추가 공정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며, 원단을 감쌀 때 소재 구성에 따른 융착 문제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추가의 공정 없이 한번의 사출 성형을 통해, 촉감이 우수하면서도 강성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스크래치에 강한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강성과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서,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2~15 중량부,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인 복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유리 장섬유(b)는 평균 직경이 10~30 ㎛이고 평균 길이가 5~2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는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5~40 g/10분이고, 에틸렌 함량이 2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2.16 kg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40 g/10분이고, 에틸렌과 탄소수 4~8개인 α-올레핀이 공중합된 고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f)는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1, 나일론12 및 나일론6/66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팔라듐 아미노 메틸 안식향산과 ε-카프로락탐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AHBA/6) 및 테레프탈산과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 THDT)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핵제(g)는 벤질리덴 솔비톨, 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벤질리덴 솔비톨 및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솔비톨계 핵제, 알루미늄 히드록시-디-t-부틸벤조에이트인 알루미늄계 핵제 및 소듐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인 나트륨계 핵제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제(h)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B)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5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혼합하여 제2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인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위 복합 수지 조성물 또는 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성형품이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polyamide)를 하나의 수지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과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2~15 중량부,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이다.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는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용융지수가 25~35 g/10분 또는 28~32 g/1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용융지수가 700~1,200 g/10분 또는 900~1,100 g/10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혼합 비율은 3:7 내지 7:3의 중량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혼합 비율은 약 6:4 중량비일 수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각각 위 용융지수를 만족하는 두 종류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가 위 중량비로 혼합되어 얻어지는 혼합물일 경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가 유리 장섬유 다발 사이로 잘 스며들어 혼련 시 분산성이 뛰어나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고, 각각 위 용융지수를 만족하는 두 종류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를 직접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는 10~40 중량부, 15~35 중량부, 또는 20~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유리 장섬유(b)의 분산이 충분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이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강성과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b) 유리 장섬유
유리 장섬유(b)는 평균 직경이 10~30 ㎛이고 평균 길이가 5~20 ㎜일 수 있다. 유리 장섬유(b)의 평균 직경이 이 범위 내이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의 함침 시 유리 장섬유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장섬유(b)의 평균 길이가 이 범위 내이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강성과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유리 장섬유(b)는 보빈(bobbin)에 감겨 있는 유리 섬유 로빙(fiberglass roving)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로빙에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를 함침하고 이를 5~20 ㎜ 크기의 펠렛(pellet)으로 만들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리 장섬유(b)는 25~60 중량부, 30~50 중량부, 또는 35~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유리 장섬유(b)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강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유리 장섬유(b)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의 함침 시 분산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은 용액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무수 말레산의 그래프트율이 0.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8~1.5 중량%로 높아서 극성 기질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0.5~3 g/10분인 폴리프로필렌에 무수 말레산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는 0.2~15 중량부, 0.2~12 중량부, 또는 0.2~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 섬유 및 폴리아미드 수지와 다른 수지 성분 사이의 혼화성(compatibility)이 좋아지지만, 이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및 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d)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는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5~40 g/10분, 바람직하게는 5~35 g/10분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의 용융지수가 이 범위 내일 경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는 에틸렌 함량이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일 수 있다. 에틸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성형품의 촉감이 나빠질 수 있으며, 에틸렌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내열성이 부족할 수 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는 1~15 중량부, 1~12 중량부, 또는 2~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d)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촉감이 나빠질 수 있다.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2.16 kg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10 g/10분, 바람직하게는 1~10 g/10분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의 용융지수가 0.5 g/10분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이 용융지수가 10 g/10분을 초과하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에틸렌과 탄소수 4~8개인 α-올레핀이 공중합된 고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가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가 에틸렌-1-옥텐 고무이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는 30~50 중량부, 35~45 중량부, 또는 40~4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촉감이 개선되지만, 이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f)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f)는 폴리머 체인에 반복 단위로서 아미드기를 갖는 중합체이고,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무정형) 폴리아미드의 어느 쪽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하나의 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아민과의 결합, 또는 락탐의 개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아미드로서, 예를 들어,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6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성분을 함유한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이러한 방향족 성분을 함유한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아미노산 또는 방향족 디아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다.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팔라듐 아미노 메틸 안식향산과 ε-카프로락탐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AHBA/6), 테레프탈산과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 THDT)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수지(f)는 0.1~10 중량부, 0.1~8 중량부, 또는 0.2~7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내열성이 증가하지만, 이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합 수지 조성물 내의 분산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g) 핵제
핵제(g)는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제조되는 성형품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벤질리덴 솔비톨, 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벤질리덴 솔비톨 및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솔비톨계 핵제, 알루미늄 히드록시-디-t-부틸벤조에이트인 알루미늄계 핵제 및 소듐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인 나트륨계 핵제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핵제(g)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0~3,000 ppm, 750~2,500 ppm, 또는 1,000~2,000 ppm의 함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핵제(g)의 함량이 500 ppm 미만이면, 성형품의 강성이 부족하거나 성형품의 외관이 불량할 수 있다. 반면 핵제(g)의 함량이 3,000 ppm을 초과하면, 핵제(g)가 수지 조성물로부터 용출되거나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h) 첨가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핵제를 제외한 첨가제(h) 0.01~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염료 등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등과 같은 페놀계 내열안정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트계 내열안정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1 중량부의 함량부로 추가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의 산화방지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0.2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B)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5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혼합하여 제2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이다.
(A) 제1 마스터배치의 제조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마스터배치를 얻는다. 이때,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는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이다.
구체적으로, 1축 또는 2축 압출기에 유리 장섬유 로빙을 공급하면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의 일부를 공급하여 유리 장섬유 다발 사이에 용융 함침시킨다. 이어서 수지가 함침된 유리 장섬유를 펠렛타이저(pelletizer)를 이용하여 5~20 ㎜ 크기의 펠렛으로 만든다.
(B) 제2 마스터배치의 제조
복합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5 중량부; 및 핵제 500~3,000 ppm을 혼합하여 제2 마스터배치를 얻는다.
구체적으로, 1축 또는 2축 압출기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나머지 일부 및 핵제를 적절히 공급하여 160~220℃의 온도에서 용융 및 혼련하여 제2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C)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위에서 각각 얻어진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혼합하여 복합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이때,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의 혼합은 드라이 블렌딩(dry blending)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에 투입한 후 충분히 블렌딩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복합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복합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 수지 성형품은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아래와 같은 수지 및 화합물을 표 1에 표시된 함량(단위: 중량부, 핵제의 단위는 ppm)으로 사용하였다.
수지 a: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 30과 1,000인 두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6:4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유리 섬유 b1: 평균 직경 15 ㎛와 평균 길이 12 ㎜의 유리 장섬유
유리 섬유 b2: 평균 직경 15 ㎛평균 길이 1 ㎜의 유리 단섬유
수지 c: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1 중량%로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수지 d: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융융지수 10 g/10분, 에틸렌 함량 25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수지 e: 2.16 kg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5 g/10분인 에틸렌-1-옥텐 고무
수지 f: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융융지수 15 g/10분인 나일론6
핵제 g: 디소듐 (1S,2S,3R,4R)-비시클로[2.2.1]헵탄-2,3-디카르복실레이드(disodium (1S,2S,3R,4R)-bicyclo[2.2.1]heptane-2,3-dicarboxylate)
실시예 비교예
1 1 2 3 4 5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a) 22 10 13 23 40 22
유리 장섬유(b1) 25 0 15 30 0 25
유리 단섬유(b2) 0 30 0 0 28 0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 단계 (A) 2 2 1.5 2 2 2
단계 (B) 2 2 2.5 2 2 4
프로필렌계 수지(d) 3 10 12 10 20 6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 41 38 46 33 0 32
폴리아미드 수지(f) 5 8 10 0 8 9
핵제(g) 1,500 2,000 2,500 1,000 2,500 0
실험예
위 표 1과 같은 함량(단위: 중량부)이 되도록 유리 섬유(b1 또는 b2)를 공급하면서 수지 (a)와 수지 (c)의 일부를 공급하여 200~230℃의 온도에서 용융 함침시킨 후 펠렛화하여 제1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단계 (A)). 또한, 표 1과 같은 함량(단위: 중량부, 핵제의 단위는 ppm)의 수지 (c)의 나머지 일부와 수지 (d) 내지 수지 (f) 및 핵제(g)를 이축 스크루 압출기에서 210~24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함으로써 제2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단계 (B)). 이후,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혼련기에서 드라이 블렌딩하여 각각의 복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단계 (C)).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TOYO사 TOYO-180T(형체력 180톤)에서 사출 온도를 피딩 호퍼부에서 노즐 순으로 0/180/230/230/230℃, 금형 온도 60℃, 사출 압력은 60∼100 bar의 조건으로 사출 성형하여 ISO 규격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밀도, 인장강도, 신율,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 쇼어 경도를 아래 방법으로 평가하였고, 부식이 있는 평판 시편으로 촉감과 내스크래치성을 확인하였다.
(1) 밀도
ISO 1183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및 신율
ISO 527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ISO 178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4) 샤르피(Charpy) 충격강도
ISO 179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23℃)과 저온(-30℃)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5) Shore D
ISO 868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6) 열변형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ISO 75-B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7) 내스크래치성
동일한 평판 시편으로 GMW14688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8) 촉감
동일한 부식 평판 시편으로 10명 이상 패널이 시편을 z-축으로 눌러 보고 xy-축으로 문지르며 소재의 소프트감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1 2 3 4 5
밀도 g/㎤ 1.112 1.120 1.035 1.122 1.118 1.114
인장강도 MPa 37 33 28 56 85 37
신율 % 11 17 8 5 7 11
굴곡강도 MPa 47 26 24 45 130 43
굴곡탄성율 MPa 2,720 1,040 1,200 3,800 5,800 2,700
샤르피 충격강도(23℃) KJ/㎡ 39.2 51.2 43.1 52.5 19.3 35.7
샤르피 충격강도(-30℃) KJ/㎡ 17.4 15.3 27.6 33.1 11.8 15.2
shore D(15 s) - 55 45 46 58 - 56
열변형온도 157 79 124 147 160 154
내스크래치성 ΔL -0.120 -0.307 -0.353 -0.422 -0.406 -0.217
촉감 우수 우수 우수 나쁨 나쁨 우수
외관 우수 보통 우수 보통 보통 나쁨
위 표 1 및 2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복합 수지 조성물의 경우 성형품의 촉감, 내열성,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에, 유리 장섬유 대신에 유리 단섬유를 사용한 비교예 1과 유리 장섬유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2의 경우, 성형품의 강성이 부족하였다.
한편,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성형품의 열변형온도가 낮았으며, 높은 경도로 인해 촉감이 좋지 않았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성형품의 강성은 우수하였으나 내충격강도가 낮았고 촉감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핵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성형품의 외관 특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의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과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므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2~15 중량부,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 장섬유(b)의 평균 직경이 10~30 ㎛이고, 평균 길이가 5~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c)가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가 2.16 kg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3 g/10분이고, 에틸렌과 탄소수 4~8개인 α-올레핀이 공중합된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e)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가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f)가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1, 나일론12 및 나일론6/66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팔라듐 아미노 메틸 안식향산과 ε-카프로락탐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AHBA/6) 및 테레프탈산과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나일론 THDT)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핵제(g)가 벤질리덴 솔비톨, 메틸벤질리덴 솔비톨, 에틸벤질리덴 솔비톨 및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솔비톨계 핵제, 알루미늄 히드록시-디-t-부틸벤조에이트인 알루미늄계 핵제 및 소듐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인 나트륨계 핵제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
  10. 아래 성분 (a) 내지 (f)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10~40 중량부; (b) 유리 장섬유 25~60 중량부; 및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B) (d)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15 중량부; (e)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수지 30~50 중량부; (f) 폴리아미드 수지 0.1~10 중량부; (c)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0.1~5 중량부; 및 (g) 핵제 500~3,000 ppm을 혼합하여 제2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1 마스터배치와 제2 마스터배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a)가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20~40 g/10분인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0~1,500 g/10분인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수지 조성물 또는 제10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복합 수지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 전자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자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수지 성형품.
KR1020180119067A 2018-10-05 2018-10-05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5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67A KR102153795B1 (ko) 2018-10-05 2018-10-05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19199053.0A EP3632979B9 (en) 2018-10-05 2019-09-23 Highly rigi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tact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CN201910943418.9A CN111004430B (zh) 2018-10-05 2019-09-30 具有优异的触感和耐热性的高刚性复合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67A KR102153795B1 (ko) 2018-10-05 2018-10-05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17A true KR20200039317A (ko) 2020-04-16
KR102153795B1 KR102153795B1 (ko) 2020-09-08

Family

ID=6806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67A KR102153795B1 (ko) 2018-10-05 2018-10-05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32979B9 (ko)
KR (1) KR102153795B1 (ko)
CN (1) CN1110044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00A (ko) * 2020-09-28 2022-04-05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3185504A1 (zh) * 2022-03-29 2023-10-05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长玻纤增强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0412A (zh) * 2023-01-10 2023-04-14 辽宁石油化工大学 一种聚烯烃弹性体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114A (ja) * 1995-04-28 1996-11-19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70049155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081457A (ko) * 2016-01-04 2017-07-12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8982A1 (de) * 1989-06-10 1990-12-13 Basf Ag Thermoplastische polypropylen-polyamid-formmassen hoher zaehigkeit, steifigkeit und waermeformbestaendigk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140163154A1 (en) * 2012-12-12 2014-06-12 Asahi Kasei Plastics North America Inc. Polypropylene compounds with enhanced hapt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459951B1 (ko) * 2013-09-27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촉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CN105504511A (zh) * 2016-01-05 2016-04-20 苏州润佳工程塑料股份有限公司 低缩壁表面质感优异的聚丙烯材料
US11053378B2 (en) * 2016-10-28 2021-07-06 Asahi Kasei Plastics North America, Inc.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N107903490A (zh) * 2017-12-16 2018-04-13 贵州凯科特材料有限公司 一种低挥发性有机物、低气味的软触感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114A (ja) * 1995-04-28 1996-11-19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70049155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081457A (ko) * 2016-01-04 2017-07-12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00A (ko) * 2020-09-28 2022-04-05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3185504A1 (zh) * 2022-03-29 2023-10-05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长玻纤增强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04430A (zh) 2020-04-14
EP3632979A1 (en) 2020-04-08
KR102153795B1 (ko) 2020-09-08
CN111004430B (zh) 2022-08-05
EP3632979B1 (en) 2021-10-27
EP3632979B9 (en)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951B1 (ko) 촉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0857185B1 (ko) 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3270472B2 (ja) 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ブレンド
KR100854322B1 (ko)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153795B1 (ko)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357908B1 (ko)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20123572A1 (en) Polyolefin-base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strength and low linear expansion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476057B1 (ko)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027322A (ko) 강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30135519A (ko) 압출-사출 일체 성형공법을 이용한 직접 유리 장섬유 강화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S62158739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EP1362080B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102573484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02003485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2390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31525B1 (ko) 섬유 질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2047381A (ja) 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2084860B1 (ko) 스크래치 및 휨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136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110118970A (ko) 강성과 충격 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30026675A (ko) 장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5274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