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220A -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220A
KR20200039220A KR1020180118873A KR20180118873A KR20200039220A KR 20200039220 A KR20200039220 A KR 20200039220A KR 1020180118873 A KR1020180118873 A KR 1020180118873A KR 20180118873 A KR20180118873 A KR 20180118873A KR 20200039220 A KR20200039220 A KR 2020003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ring
fixed
fix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혁순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220A/ko
Publication of KR2020003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구비된다.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몰드바 또는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과,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끼워지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사이에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리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Structure for securing safety rings and Overhead travel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 레일 구조에서 상부 레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주행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되어 주행 레일과 비히클을 이용하여 카세트와 같은 대상물을 이송한다.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단층 레일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층 레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이 단층 레일 구조를 갖는 경우,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레일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이 복층 레일 구조를 갖는 경우, 리프트를 이용하여 하부 레일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상방에 구비된 발판을 통해 상부 레일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한다. 상기 상부 레일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한 유지 보수 도중 추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층 레일 구조에서 상부 레일의 유지 보수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구비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몰드바 또는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과,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끼워지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사이에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리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진 상기 와이어는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고리 볼트와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의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은 상기 고정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리 볼트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 다수의 몰드바와,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몰드바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격자 형태를 갖는 상부 레이스웨이와, 상기 몰드바와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를 상기 몰드바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과,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상부 레일들과, 상기 상부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상부 비히클들과,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장 부재들과, 상기 연장 부재들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 하부 레이스웨이와,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하방에서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하부 레일들과, 상기 하부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하부 비히클들과,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상의 작업자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의 안전 고리를 고정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과,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지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끼워지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사이에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리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상부 레일들의 Y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천장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몰드바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몰드바들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몰드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및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는 각각,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1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제2 몰드바들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제1 몰드바들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장 부재들은 상기 상부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로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안전 고리를 상기 와이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리 볼트가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므로,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에 매달리더라도 상기 제1 고리 볼트들 및 상기 제2 고리 볼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리 볼트와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의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되거나 끼워지므로,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하부 레일들의 상방에 플레이트를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 다수의 개구가 구비되므로 팬 필터 유닛에 의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하강 기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하강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천장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고 투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하부 레일에서의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에서 상기 몰드바와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가 각각 격자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몰드바와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교차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를 상기 몰드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들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고정 부재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바들과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를 다점 지지방식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몰드바들의 연결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몰드바들이 상기 레이스웨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몰드바와 상부 레이스웨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헤드를 갖는 볼트와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몰드바와 상부 레이스웨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헤드를 갖는 볼트와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상부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 상부 레일(140), 상부 레일 고정 부재들(150), 상부 비히클(160), 연장 부재들(170), 하부 레이스웨이(180), 하부 레일(190), 하부 레일 고정 부재들(200), 하부 비히클(210), 플레이트(220), 통로 구조물(230) 및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240)을 포함한다.
몰드바(110)는 격자 형태를 가지며, 천장(미도시)에 고정된다. 몰드바(110)는 직접 천장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천장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몰드바(110)가 천장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 몰드바(110)는 상기 천장에 매립되거나, 상기 천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몰드바(110)는 제1 몰드바들(110a) 및 제2 몰드바들(110b)을 포함한다.
제1 몰드바들(110a)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몰드바들(11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몰드바(110)의 하부면에는 홈(112)이 형성된다. 홈(112)은 몰드바(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홈(112)은 몰드바(110)의 양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몰드바들(110a)에서 홈(112)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 몰드바들(110b)에서 홈(112)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홈(112)의 단면은 대략 T자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홈(112)은 하부홈(112a) 및 상부홈(112b)을 갖는다.
하부홈(112a)은 몰드바(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제1 폭을 갖는다.
상부홈(112b)은 하부홈(112a)의 상면에 하부홈(112a)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다.
상부 레이스웨이(120)는 몰드바(110)의 하방에 배치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부 레이스웨이(120)는 제1 레이스웨이들(120a) 및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을 포함한다.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은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을 지지한다.
한편,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이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간격은 몰드바(110)의 간격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가 각각 격자 형태를 가지므로,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가 각각 상기 X축과 상기 Y축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장된 형태일 때보다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레이스웨이(120)는 상부면에 플랜지(122)를 갖는다. 플랜지(122)는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몰드바(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상부 레이스웨이(120)는 양측면과 하부면에 각각 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홈들에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부재들(130)은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몰드바(110)에 고정한다.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몰드바들(110a)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레이스웨이들(120b)과 교차하고,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몰드바들(110b)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레이스웨이들(120a)과 교차한다. 따라서, 고정 부재들(130)은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을 제2 몰드바들(110b)에 고정하고,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을 제1 몰드바들(110a)에 고정한다.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이 증가하므로, 고정 부재들(130)의 개수도 증가한다. 고정 부재들(13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고정 부재들(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천장 주행 시스템(100)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고정 부재들(130) 각각은 볼트(132)들과 너트(134)들을 포함한다.
볼트(132)들과 너트(134)들은 상기 교차 지점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2개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볼트(132)들은 헤드가 일 방향으로 연장된 T자 형태를 갖는 T 볼트들이다. 구체적으로, 볼트(132)의 헤드에서 단방향 폭은 홈(112)이 하부홈(112a)의 제1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고, 장방향 폭은 홈(112)의 하부홈(112a)의 제1 폭보다는 크고 상부홈(112b)의 제2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볼트(132)에서 상기 헤드의 연장 방향과 홈(112)의 연장 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132)의 헤드를 하부홈(112a)을 거쳐 상부홈(112b)까지 상승시킨 후 볼트(132)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볼트(132)를 몰드바(110)의 T자 형태의 홈(112)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볼트(132)들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플랜지(122)를 관통한다.
너트(134)들은 상기 헤드가 몰드바(110)의 홈(112)에 삽입되고 플랜지(122)들을 관통한 볼트(132)에 각각 체결된다.
볼트(132)들과 너트(134)들을 이용하여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볼트(132)들을 제1 레이스웨이들(120a) 및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의 상방에서 플랜지(122)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각각 격자 형태를 갖는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들이 교차하도록 정렬한 후, 제2 몰드바들(110b)의 하부면에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을 밀착시키고,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의 하부면에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을 밀착시킨다. 이후, 볼트(132)들을 제1 몰드바들(110a)의 홈(112) 및 제2 몰드바들(110b)의 홈(112)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때, 볼트(132)에서 상기 헤드의 연장 방향과 홈(112)의 연장 방향을 일치시킨다. 이후, 볼트(132)들의 헤드를 홈(112)의 하부홈(112a)을 거쳐 상부홈(112b)까지 상승시킨 후 볼트(132)들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볼트(132)들을 제1 몰드바들(110a)의 홈(112) 및 제2 몰드바들(110b)의 홈(112)에 각각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 몰드바들(110a)의 홈(112) 및 제2 몰드바들(110b)의 홈(112)에 각각 삽입되고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의 플랜지(122) 및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의 플랜지(122)를 각각 관통한 볼트(132)들에 너트(134)들을 체결함으로써, 제1 몰드바(110a)에 제2 레이스웨이들(120b)을 고정하고, 제2 몰드바(110b)에 제1 레이스웨이들(120a)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132)들과 너트(134)들은 도 4 및 도 5와 다르게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몰드바(110)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134)들을 몰드바(110)의 양측면을 통해 상부홈(112b)에 삽입한다. 이때, 너트(134)들의 폭은 하부홈(112a)의 제1 폭보다는 크고 상부홈(112b)의 제2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홈(112b)에 삽입된 너트(134)들은 하부홈(112a)을 통해 몰드바(110)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정렬한 후, 몰드바(110)의 하부면과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상부면을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볼트(132)들을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하방에서 플랜지(122)를 관통시킨 후 상부홈(112b)에 삽입된 너트(134)들과 각각 체결한다. 이때, 볼트(132)들은 T 볼트일 수도 있지만, 일반 볼트일 수도 있다.
몰드바(110)의 T자 형태의 홈(112)과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플랜지(122)를 관통하는 T자 형태의 헤드를 갖는 볼트(132)를 이용하여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레이스웨이 유닛(100)을 상기 전장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레이스웨이(120)가 플랜지(122)를 가지므로, 플랜지(122)와 볼트(132)들 및 너트(134)들을 이용하여 몰드바(110)와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다점 지지방식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몰드바(110)의 고정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몰드바(110)가 상부 레이스웨이(1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부 레일(140)은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부 레일(140)을 따라 상부 비히클(160)이 주행할 수 있다. 상부 레일(140)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부 레일(140)을 상부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한다. 상부 레일(140)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상부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부 레일(140)을 상부 레이스웨이(120) 중 제1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부 레일(140) 사이의 간격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1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부 레일(140)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부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상부 레일(140)을 상부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부 레일 고정 부재들(15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상부 비히클(160)은 상부 레일(140)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와 같은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상부 비히클(1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일반적인 비히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부 비히클(16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다.
연장 부재들(170)은 상부 레이스웨이(1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이때, 연장 부재들(170)의 연장 단부는 상부 비히클(160)의 하부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 부재들(17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장 부재들(170)은 몰드바(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하부 레이스웨이(180)는 연장 부재들(170)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하부 레이스웨이(180)는 제3 레이스웨이들(180a) 및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을 포함한다.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3 레이스웨이들(180a) 사이의 간격은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1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 및 상부 레일(140) 사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이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을 지지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을 지지할 수도 있다.
제3 레이스웨이들(180a)과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은 상부면에 플랜지를 가지고,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하부면에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의 플랜지와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의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제3 레이스웨이들(180a)과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3 레이스웨이들(180a)과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별도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부 레일(140) 사이의 간격이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1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 및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제3 레이스웨이들(180a)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연장 부재들(170)이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1 레이스웨이들(120a) 및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제3 레이스웨이들(180a)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연장 부재들(170)이 상부 레일(140)을 간섭할 수 있다.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2 레이스웨이들(120b) 및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제4 레이스웨이들(180b)은 상부 레일(140)의 연장 방향인 X축과 수직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연장 부재들(170)이 상부 레이스웨이(120)의 제2 레이스웨이들(120b) 및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제4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연장 부재들(170)이 상부 레일(140)을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하부 레일(190)은 상부 레일(140)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하부 레일(190)을 따라 하부 비히클(200)이 주행할 수 있다. 하부 레일(190)은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레일(190) 사이의 간격은 상부 레일(140)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부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하부 레일(190)을 하부 레이스웨이(180)에 고정한다. 하부 레일(190)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하부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하부 레일(190)을 하부 레이스웨이(180) 중 제3 레이스웨이들(180a)에 고정한다.
하부 레일(190)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하부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하부 레일(190)을 하부 레이스웨이(180)에 고정할 수 있다. 하부 레일 고정 부재들(20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하부 비히클(210)은 하부 레일(190)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하부 레일(190) 및 하부 비히클(21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하부 비히클(2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다.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상부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을 포함하므로, 천장 주행 시스템(100)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부 레일(140) 및 하부 레일(190)을 포함하는 복층 레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부 레일(140) 및 하부 레일(190)을 통해 상부 비히클(160) 및 하부 비히클(210)을 동시에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하부 레일(190)의 상방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20)는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레이스웨이들(180a) 및 제4 레이스웨이들(180b) 중 상방에 위치하는 것의 상부면에 플레이트(220)가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구비되거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220)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개가 모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한다.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이 다수개 구비되더라도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의 위치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플레이트(220)를 이용하여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플레이트(220)에는 다수의 개구들(222)이 구비된다. 상기 천장에는 팬 필터 유닛(미도시)이 구비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하강 기류를 형성한다. 상기 하강 기류가 개구들(222)을 통해 플레이트(222)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222)가 상기 하강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이 약 60% 미만인 경우, 플레이트(220)의 면적에 비해 개구들(222)의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서 상기 하강 기류가 플레이트(222)의 하방으로 충분히 전달되기 못한다. 따라서, 플레이트(222)의 하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렵다.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이 약 80%를 초과하는 경우, 플레이트(220)의 면적에 비해 개구들(222)의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플레이트(22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가 작업자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가 상기 하강 기류를 하방으로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작업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기 위해서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은 약 60 내지 80%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은 약 70% 일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재질의 예로는 플라스틱,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플레이트(220)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천장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플레이트(22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의 하방에서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로 구조물(230)은 상부 레일(140)과 하부 레일(190)의 Y축 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통로 구조물(230)은 상기 천장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통로 구조물(230)은 상부 레이스웨이(1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통로 구조물(230)은 발판(232) 및 발판 고정 부재들(234)을 포함한다.
발판(232)은 평판 형태를 가지며,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발판(232)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발판(232)은 상기 하강 기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구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발판(232)을 상부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한다. 발판(232)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발판(232)을 상부 레이스웨이(120) 중 제1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한다.
발판(232)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발판(232)을 상부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할 수 있다. 발판 고정 부재들(234)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통로 구조물(230)은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므로, 작업자가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을 안정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이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통로 구조물(230)을 이용하여 Y축 방향 외곽에 위치하는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플레이트(220)를 이용하여 중앙에 위치하는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 및 통로 구조물(230)을 이용하여 상부 레일(140) 및 상부 비히클(160)의 위치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접근하여 안정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천장 주행 시스템(100)에는 상부 레일(140)과 하부 레일(190)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비히클(160)을 하부 레일(190)로 하강시키거나 하부 비히클(210)을 상부 레일(140)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240)은 상기 몰드바(110) 및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240)이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240)은 한 쌍의 고정 블록들(241),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242), 와이어(243), 고정 브래킷(244) 및 제2 고리 볼트(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몰드바(1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블록들(242)이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제1 몰드바들(110a)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제2 몰드바들(110b)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볼드바(110)의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들(241)이 상기 제1 몰드바들(110a)에 고정되므로,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블록들(241)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은 상기 고정 블록들(241)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1)은 볼트의 헤드 대신에 고리가 달린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1)은 아이 볼트(i-bolt)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방향은 상기 X축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Y축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블록들(241)이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도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의 상기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은 상기 고정 블록들(241) 없이 상기 몰드바(11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은 상기 고정 블록들(241) 또는 상기 몰드바(110)에 상기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43)는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에 끼워진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에 끼워진 상기 와이어(243)는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상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243)에는 상기 상부 레일(140)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 고리(미도시)가 끼워진다. 상기 안전 고리의 예로는 카라비너를 들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140)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 고리를 상기 와이어(243)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을 회전시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와이어(243)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4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와이어(243)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244)은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블록들(241)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브래킷(244)은 상기 몰드바(110)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래킷(244)이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244)은 상기 제1 몰드바들(110a) 및 상기 제2 몰드바들(110b)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 볼트(245)는 상기 고정 브래킷(244)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고리 볼트(245)는 상기 고정 브래킷(244)에 상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고리 볼트(245)는 볼트의 헤드 대신에 고리가 달린 형상을 갖는 아이 볼트(i-bolt) 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 볼트(245)는 상기 와이어(243)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리 볼트(245)는 상기 와이어(243)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243)에 매달리더라도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 및 상기 제2 고리 볼트(24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리 볼트(245)와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제1 고리 볼트들(242)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243)의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되거나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와이어(243)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2 고리 볼트(245)의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안전 고리를 상기 와이어(243)에 끼운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플레이트와 통로 구조물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다수의 상부 레일들 및 상부 비히클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레일들 및 상부 비히클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복층 레일 구조를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천장 주행 시스템 110 : 몰드바
112 : 홈 120 : 상부 레이스웨이
130 : 고정 부재 140 : 상부 레일
150 : 상부 레일 고정 부재 160 : 상부 비히클
170 : 연장 부재들 180 : 하부 레이스웨이
190 : 하부 레일 200 : 하부 레일 고정 부재
210 : 하부 비히클 220 : 플레이트
230 : 통로 구조물 240 :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Claims (9)

  1.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몰드바 또는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끼워지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사이에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리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진 상기 와이어는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고리 볼트와 상기 안전 고리가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의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되거나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은 상기 고정 블록들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리 볼트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6. 천장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 다수의 몰드바;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몰드바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격자 형태를 갖는 상부 레이스웨이;
    상기 몰드바와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교차 지점에서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를 상기 몰드바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상부 레일들;
    상기 상부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상부 비히클들;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장 부재들;
    상기 연장 부재들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 하부 레이스웨이;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하방에서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하부 레일들;
    상기 하부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하부 비히클들;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상의 작업자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의 안전 고리를 고정하는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상기 제1 고리 볼트들에 끼워지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끼워지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리 볼트들 사이에서 상기 몰드바 또는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리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들의 Y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천장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상부 레일들 및 상기 상부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바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몰드바들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몰드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 및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는 각각,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1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제2 몰드바들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제1 몰드바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들은 상기 상부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하부 레이스웨이의 제2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
KR1020180118873A 2018-10-05 2018-10-05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KR20200039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873A KR20200039220A (ko) 2018-10-05 2018-10-05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873A KR20200039220A (ko) 2018-10-05 2018-10-05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220A true KR20200039220A (ko) 2020-04-16

Family

ID=7045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873A KR20200039220A (ko) 2018-10-05 2018-10-05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2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43A (ko) 2020-09-29 2022-04-05 세메스 주식회사 물품 보관 장치 및 물품 이송 설비
WO2022175561A1 (en) * 2021-02-22 2022-08-25 Ocado Innovation Limited A fall restraint apparatus for a grid framework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43A (ko) 2020-09-29 2022-04-05 세메스 주식회사 물품 보관 장치 및 물품 이송 설비
WO2022175561A1 (en) * 2021-02-22 2022-08-25 Ocado Innovation Limited A fall restraint apparatus for a grid framework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9220A (ko)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CN109563709B (zh) 用于竖井安装的倾斜索具装置
TWI414468B (zh) Roof buffer and its transfer method
KR102114413B1 (ko) 천장 주행 시스템
US8925718B2 (en) Modular support system
US4285095A (en) Channel strut for stage equipment support system
KR20130118860A (ko) 레일과 그 위에 장착된 슬립 접촉 홀더의 배열
KR20140035240A (ko) 케이블철도시스템용 정차장
CN109467006B (zh) 滚道单元及具有其的oht
US10549949B2 (en) Elevator derailment detection device
KR102181495B1 (ko) 천장 주행 시스템
JP2016074378A (ja) 軌条車両構体へのモジュール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US20210171319A1 (en) Elevator System
CN111877629B (zh) 钢棚顶的龙骨安装结构
US3650215A (en) Movable crosstrack for bridge crane
KR102096593B1 (ko) 워크웨이 구조물 및 워크웨이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316950B1 (ko) 워크웨이 구조물
JPH0448274Y2 (ko)
WO2023032641A1 (ja) 乗客コンベアの保守用具
WO2023032479A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保持具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駆動シーブの設置方法
KR20210087209A (ko) 레이스웨이 유닛 및 이를 갖는 천장 이송 장치
JP2018154966A (ja) 梯子及び梯子が取り付けられたスタッカークレーンを備える自動倉庫
CN215249169U (zh) 吊装装置
JP6866898B2 (ja) 欄干パネル固定用ブラケットの位置決め治具
CN208648504U (zh) 一种便于调节的安装支架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