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50B1 - 워크웨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워크웨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50B1
KR102316950B1 KR1020200005222A KR20200005222A KR102316950B1 KR 102316950 B1 KR102316950 B1 KR 102316950B1 KR 1020200005222 A KR1020200005222 A KR 1020200005222A KR 20200005222 A KR20200005222 A KR 20200005222A KR 102316950 B1 KR102316950 B1 KR 10231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irection
frames
support brackets
member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928A (ko
Inventor
임혁순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워크웨이 구조물이 개시된다.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은,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을 구비하는 발판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크웨이 구조물{WALKWAY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워크웨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클린룸 내에 설치되는 천장 이송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클린룸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워크웨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스트립, 유리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자재들은 OHT(Overhead Hoist Transport) 장치, RGV(Rail Guided Vehicle) 장치, AGV(Automatic Guided Vehicle) 등과 같은 무인 운반 시스템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이송 장치들은 클린룸의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이송 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차량의 운행 제어는 OCS(OHT Control Server) 장치와 같은 상위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를 위한 클린룸 내에는 자재 이송을 위한 주행 레일들이 천장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주행 레일들을 따라 복수의 이송 차량들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룸 내에는 상기 이송 차량들의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보수 공간에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이송 차량들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워크웨이 구조물이 상기 클린룸의 천장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래킷들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 상에 놓여지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이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 상에 상기 발판이 놓여지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워크웨이 구조물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작업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클린룸 내의 밝기 등의 환경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은 광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거나 상기 발판에 복수의 홀들을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홀들이 가공된 플라스틱 재질의 발판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4846호 (공개일자 2019년 05월 02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 및 조립성을 개선한 워크웨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은,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을 구비하는 발판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발판의 양쪽 측면 부위들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들 각각은 상측 절개부를 갖는 C 채널 형태의 상부 구조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들은, 상기 상부 구조의 C 채널 내에 배치되는 너트들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들에 체결되는 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의 측면 부위에는 상기 너트들을 상기 C 채널 내에 삽입하기 위한 장공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에는 상기 볼트들이 관통되는 장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발판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부재들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가로 부재들의 양측 단부들에 접합되고 상기 프레임들의 측면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세로 부재들과, 상기 가로 부재들의 상측 부위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세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제1 세로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로 부재들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부재들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 사이의 개구율은 약 70% 내지 약 80%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발판의 양측 부위들 상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은,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발판들의 측면 부위들에 각각 구비되는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인접하는 발판들 사이의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프레임들 상에 발판의 양측 부위들에 구비되는 서포트 브래킷들이 놓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 상의 단차 부위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의 측면 부위에 체결용 너트들의 삽입을 위한 장공들을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에 체결용 볼트들의 삽입을 위한 장공들을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발판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발판들의 서포트 브래킷들이 프레임들 상에서 서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판들 사이에서 단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 상에서 작업자의 보행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판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서포트 브래킷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서포트 브래킷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판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서포트 브래킷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들과 서포트 브래킷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100)은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클린룸의 천장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자재 운반을 위해 사용되는 OHT 장치(미도시)와 같은 천장 이송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은 상기 OHT 장치의 이송 차량들(미도시)의 주행을 위한 주행 레일들(미도시)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부재들(102), 예를 들면, 행거 볼트, 턴버클, 등의 고정 부재들(102)을 이용하여 상기 클린룸의 천장 부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다르게,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레이스웨이 구조물(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은, 건물(클린룸)의 천장에 고정되며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110)과, 상기 프레임들(1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110)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122)을 구비하는 발판(120)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110)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은 상기 발판(120)의 양쪽 측면 부위들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 브래킷들(122)이 상기 프레임들(110) 상에 놓여지는 구조이므로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상기 프레임들(110)과 발판(120) 사이의 단차가 크게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자의 보행 중 불편함이 크게 해소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들(110) 각각은 상측 절개부를 갖는 C 채널 형태의 상부 구조(112)를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하측 절개부를 갖는 C 채널 형태의 하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상부 구조(112)와 하부 구조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들(110)의 양쪽 측면 부위들 또한 C 채널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들(110) 각각의 하부 구조와 측면 구조들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들(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구조(112)의 C 채널(114) 내에 배치되는 너트들(142)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들(142)에 체결되는 볼트들(14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볼트들(144)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와셔들(146)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구조(112)의 측면 부위에는 상기 너트들(142)을 상기 C 채널(114)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장공들(116)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에는 상기 볼트들(144)이 관통되는 제2 장공(124)이 상기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120)을 상기 프레임들(110)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발판(120)은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부재들(130)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가로 부재들(130)의 양측 단부들에 접합되고 상기 프레임들(110)의 측면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세로 부재들(132)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세로 부재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세로 부재들(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부재들(130)의 상측 부위들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부재들(130)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132, 134)은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은 상기 제1 세로 부재들(1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은 상기 제1 세로 부재들(13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이 절곡에 의해 상기 발판(120)으로부터 다소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의 절곡 위치를 낮춤으로써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의 상부면과 상기 발판(120)의 상부면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부재들(130)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132, 134)은 강성 확보를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클린룸 내부의 밝기 등의 환경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 부재들(130)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132, 134) 사이의 개구율은 약 70% 내지 약 80%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또는 작업 도구 등의 추락 방지를 위해 상기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상기 발판(120)의 양측 부위들에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들(136; End Plates)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크웨이 구조물(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클린룸)의 천장에 고정되고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들(110)과, 상기 프레임들(1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110)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122)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발판들(120)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110)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들(120)을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이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발판들(120)의 측면 부위들에 각각 구비되는 서포트 브래킷들(122)은 상기 인접하는 발판들(120) 사이의 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는 단차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발판(120)의 서포트 브래킷들(122)이 인접하는 두 번째 발판(120)의 서포트 브래킷들(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발판들(120) 사이에서의 단차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프레임들(110) 상에 발판(120)의 양측 부위들에 구비되는 서포트 브래킷들(122)이 놓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 상의 단차 부위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110)의 측면 부위에 체결용 너트들(142)의 삽입을 위한 장공들(116)을 제1 수평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122)에 체결용 볼트들(144)의 삽입을 위한 장공들(124)을 제2 수평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발판들(1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발판들(120)의 서포트 브래킷들(122)이 프레임들(110) 상에서 서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판들(120) 사이에서 단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워크웨이 구조물(100) 상에서 작업자의 보행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워크웨이 구조물 102 : 고정 부재
110 : 프레임 112 : 상부 구조
114 : C 채널 116 : 제1 장공
120 : 발판 122 : 서포트 브래킷
124 : 제2 장공 130 : 가로 부재
132 : 제1 세로 부재 134 : 제2 세로 부재
136 : 엔드 플레이트 140 : 체결 부재
142 : 너트 144 : 볼트

Claims (10)

  1.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을 구비하는 발판; 및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측 절개부를 갖는 C 채널 형태의 상부 구조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들은, 상기 상부 구조의 C 채널 내에 배치되는 너트들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들에 체결되는 볼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의 측면 부위에는 상기 너트들을 상기 C 채널 내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들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에는 상기 볼트들이 관통되는 장공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발판의 양쪽 측면 부위들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부재들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가로 부재들의 양측 단부들에 접합되고 상기 프레임들의 측면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세로 부재들과,
    상기 가로 부재들의 상측 부위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세로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제1 세로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들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부재들과 상기 제1 및 제2 세로 부재들 사이의 개구율은 7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발판의 양측 부위들 상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엔드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10.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들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서포트 브래킷들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발판들; 및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들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는 발판들의 측면 부위들에 각각 구비되는 서포트 브래킷들은 상기 인접하는 발판들 사이의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측 절개부를 갖는 C 채널 형태의 상부 구조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들은, 상기 상부 구조의 C 채널 내에 배치되는 너트들과,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들에 체결되는 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의 측면 부위에는 상기 너트들을 상기 C 채널 내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들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브래킷들에는 상기 볼트들이 관통되는 장공이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웨이 구조물.
KR1020200005222A 2020-01-15 2020-01-15 워크웨이 구조물 KR10231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22A KR102316950B1 (ko) 2020-01-15 2020-01-15 워크웨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22A KR102316950B1 (ko) 2020-01-15 2020-01-15 워크웨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28A KR20210091928A (ko) 2021-07-23
KR102316950B1 true KR102316950B1 (ko) 2021-10-25

Family

ID=7715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22A KR102316950B1 (ko) 2020-01-15 2020-01-15 워크웨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200397956Y1 (ko) 2005-07-29 2005-10-10 성기인 조립식 안전 작업대
KR100903018B1 (ko) * 2009-01-29 2009-06-16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철제 모듈 천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97Y1 (ko) * 1999-06-08 2003-07-25 주식회사 협신건영 천정통로구조물
KR102096593B1 (ko) 2017-10-23 2020-04-02 세메스 주식회사 워크웨이 구조물 및 워크웨이 구조물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200397956Y1 (ko) 2005-07-29 2005-10-10 성기인 조립식 안전 작업대
KR100903018B1 (ko) * 2009-01-29 2009-06-16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철제 모듈 천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28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72B1 (ko) 승객 수송기용 트러스 구조물
KR102316950B1 (ko) 워크웨이 구조물
RU2672317C1 (ru) Система проезжей части эскалатора или траволатора
KR101977904B1 (ko) 이송로봇의 레일가이드 지지장치
KR101441332B1 (ko) 크린룸 악세스 플로어 프레임 설치용 자재 공급방법 및 장치
KR20200039220A (ko) 안전 고리 고정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
RU2651346C2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ерхне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потолке монтаж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CN112047217B (zh) 一种电梯轿顶护栏
JP7204994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スカートガードスイッチ装置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KR102096593B1 (ko) 워크웨이 구조물 및 워크웨이 구조물 설치 방법
JP328942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の設置工法
KR20140020596A (ko) 천정 크레인의 주행레일겸용 크레인 거더
KR102181495B1 (ko) 천장 주행 시스템
US10882718B2 (en) Guide rail fixing device
CN217552202U (zh) 铲运机前桥与前车架装配工装
JP7118252B2 (ja) 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
CN215167936U (zh) 一种组装式马道结构
JP7219652B2 (ja) 枠部材取付方法及び天井パネル施工方法
KR102387045B1 (ko)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CN220011815U (zh) 一种具有防晃动功能的并排式扶梯
KR20130002670A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및 그 제작 방법
WO2024069950A1 (ja) 建築物の外壁構造、その外壁構造を有する建築物、及び建築物の外壁施工方法
WO2016167710A1 (en) Conveyor guide track for facade elements and method for connecting guide t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