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895A -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 Google Patents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895A
KR20200038895A KR1020200035974A KR20200035974A KR20200038895A KR 20200038895 A KR20200038895 A KR 20200038895A KR 1020200035974 A KR1020200035974 A KR 1020200035974A KR 20200035974 A KR20200035974 A KR 20200035974A KR 20200038895 A KR20200038895 A KR 2020003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formulation
weight
taxane
polysorb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546B1 (ko
Inventor
황금길
신동철
Original Assignee
보령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령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95A/ko
Priority to PCT/KR2021/003717 priority patent/WO202119428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산(Taxanes)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은 장기간, 예를 들어 8주 이상 보관 시에도 분해산물 등의 유연물질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안정성이 극히 우수하며, 특히 높은 습도 및 온도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도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은 에탄올 등의 유독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Novel Pharmaceutical Formulation with Improved Stability Comprising Taxan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Hydrates Thereof}
본 발명은 탁산(Taxanes)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탁산(Taxanes)은 주목나무에서 추출된 화합물이다. 특히 태평양 주목나무(Pacific yew: Taxus brevifolia)의 껍질과 유럽 주목나무(European yew: Taxus baccata)의 잎에서 추출된 도세탁셀(docetaxel, 상품명 탁소텔(Taxotere)과 파클리탁셀(paclitaxel, 상품명 탁솔(Taxol)은 대표적인 탁산 계열의 항암제로 세포내 미세소관(microtubule)의 조합(assembly)을 증진시키고 그 전구체를 안정화시킴으로 미세소관의 해중합(depolymerization)을 저해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현재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 등의 탁산 계열 항암제는 유방암, 위암, 비세포성 폐암, 난소암, 두경부암 등의 다양한 암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 등의 탁산계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은 수난용성 약물(수용해도 약 0.003 mg/mL)로서, 제형화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정맥 투여 등을 위해 수용액 형태로 제형화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을 용해시킨 형태의 제형,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에멀젼 예비농축액(emulsion pre-concentrate) 형태로 주사 전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제형, 또는 폴리머나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하여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을 용해시킨 형태의 제형 등이 개발되어 왔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8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2944호, 일본 등록특허 제6356873호 등).
하지만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제형화하는 경우, 유기 용매의 독성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도세탁셀이나 파클리탁셀 등의 탁산계 화합물은 다양한 분해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지어 제어된 보관 조건 하에서도 분해 생성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세탁셀의 경우 산화, 열 또는 염기 조건 하에서 분해(degradation)되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분해산물, 즉 유연물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기 용매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독성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도세탁셀 또는 파클리탁셀 함유하는 제형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도세탁셀의 유연물질
10-디아세틸 바카틴 (10-deacetyl baccatin)
2-디벤조일 2-펜토일 도세탁셀 (2-Debenzoxyl 2-pentenoyl docetaxel)
크로톤 알데하이드 유사체 (Croton aldehyde analog)
4-에피-6-옥소 도세탁셀 (4-epi-6-oxodocetaxel)
4-에피 도세탁셀 (4-epidocetaxel, 7-epi-docetaxel)
6-옥소 도세탁셀(6-oxodocetaxel, 10-deoxy-10-oxodocetaxel)
기타 불분명한 불순물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탁산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도세탁셀 또는 파클리탁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을 제형화함에 있어, 특정 지방산의 함량이 조절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형화할 경우, 그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그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에 있어, 올레익산(oleic acid) 함량이 전제 지방산의 70 내지 85 중량%인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계열의 계면활성제, 특히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a) 유효성분으로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
(b)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oleic acid) 함량이 70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은 장기간, 예를 들어 8주 이상 보관 시에도 분해산물 등의 유연물질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안정성이 극히 우수하며, 특히 높은 습도 및 온도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도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은 에탄올 등의 유독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올레익산 함량에 따른 도세탁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형의 가속 조건에서의 유연물질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총 유연물질의 발생량
(B) 6-옥소 도세탁셀(6-oxodocetaxel)의 발생량
도 2는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올레익산 함량에 따른 도세탁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유연물질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총 유연물질의 발생량
(B) 6-옥소 도세탁셀의 발생량
도 3은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을 70 내지 90 중량%로 변화시킴에 따른 도세탁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형의 가속 조건에서의 유연물질인 6-옥소 도세탁셀(6-oxodocetaxel)의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유효성분으로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
(b)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oleic acid) 함량이 70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중량%"는 "중량/중량(w/w)%"를 의미한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이 70 중량% 미만일 경우 제대로 계면활성 능력을 나타내지 못해 탁산계 화합물이 제형 내에 충분히 용해될 수 없으며, 올레익산 함량이 8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연물질 발생이 예측을 넘어서게 현저하게 증가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되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총 지방산 중 팔미틱산(palmitic acid) 함량이 2.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탁산계 화합물은 도세탁셀 또는 파클리탁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세탁셀의 삼수화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300과 PEG400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EG300"은 분자량이 280 내지 3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PEG400"은 분자량이 380 내지 4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한다.
PEG300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약제학적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유효성분인 탁산계 화합물이 분해됨에 따라 유연물질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PEG400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점도가 높아 제형화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PEG300과 PEG400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혼합물은 PEG300과 PEG400가 중량비로 1:9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는 폴리소르베이트 80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비슷한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는 폴리소르베이트 80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중량비로 0.8:1.2 내지 1.2:0.8, 바람직하게는 0.9:1.1 내지 1.1: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1.05 내지 1.05:0.95의 비율로 포함된다.
이렇게 폴리소르베이트 80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비슷한 양으로 포함됨에 따라 약제학적 제형 내의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는 추가적으로 안정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는 유기산 종류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연산(citric acid) 또는 이의 수화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는 유효성분인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이 탁산계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mg,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mg,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mg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세탁셀 삼수화물이 21.34 mg 포함되는 경우, 도세탁셀 기준으로는 20 mg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 250 내지 850 mg,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480 내지 600 mg 포함되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250 내지 850 mg,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480 내지 600 mg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 280 내지 320인 PEG300과 분자량 380 내지 420인 PEG400의 혼합물이고, 상기 혼합물 내의 PEG300의 함량은 65 내지 225 mg,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85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mg이고, PEG400의 함량은 185 내지 625 mg,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515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 내지 44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전체 제형 중량 대비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1.0 내지 3.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을 24.0 중량 내지 7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을 24.0 중량 내지 73.0 중량%,
바람직하게는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1.3 내지 2.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을 34.0 내지 6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을 34.0 내지 6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1.7 내지 2.1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을 44.0 내지 54.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을 44.0 내지 54.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무수구연산은 전체 제형 내에 1 내지 10 m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mg 포함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약제학적 제형 내에 중량비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의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환자에게 주사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투여를 위하여 유리 앰플이나 플라스틱 용기 등에 보관된 형태, 또는 즉시 투여 가능한 형태(ready-to-injection) 형태의 프리필드 주사기(pre-filled syringe)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적절한 용액,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 또는 포도당 주사액 등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희석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탁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을 암 또는 종양의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및 상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암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유방암, 위암, 폐암, 난소암, 두경부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피부암, 혈액암, 식도암 및 간암 등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다른 항암제와 병용하여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암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소분자 화합물, 항체, 항체-약물 접합체, 앱타머, 단백질 독소, 방사성 원소, RNAi(RNA interference), CAR(Chimeric antigen receptor)-T 세포 및 CAR-NK(Natural killer cell) 세포 등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항체는 특히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표적 치료용 항체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올레익산 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올레익산 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즉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탁산계 화합물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 2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제형에 있어,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폴리소르베이트 80 내 올레익산 함량 등의 지방산 함량이 상이한 조성을 갖는 약제학적 제형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기재된 제형 내에 포함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300 141 mg과 PEG400 400 mg으로 구성된다.
약제학적 제형 내의 각 성분들의 조성
성분 제형 내 함량 (mg)
도세탁셀 삼수화물 21.34 mg
폴리소르베이트 80 540 mg
폴리에틸렌글리콜 541 mg
무수구연산 5 mg
상기 제형을 가속조건 (45 ℃, 습도 75%) 하에서 4 주간 총 유연물질의 발생량 및 주요 유연물질인 6-옥소 도세탁셀의 발생량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가혹조건(60 ℃, 습도 75%) 하에서 4 주간 총 유연물질의 발생 및 주요 유연물질인 6-옥소 도세탁셀의 발생량을 관찰하였다. 각 시험은 2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약제학적 제형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지방산 함량
조성성분 전체 지방산 중량 대비 각 지방산 함량 (중량%)
제형 (a) 제형 (b) 제형 (c) 제형 (d)
올레익산
(oleic acid)
99.3 87.2 76.5 69.8
팔미틱산
(palmitic acid)
0.2 2.1 4.1 14.6
미스틱산(mystric acid) < 0.1 - < 0.1 0.1
팔미토레익산(palmitoleic acid) < 0.1 - 1 0.9
스테아릭산(stearic acid) 0.1 2.8 1.4 3.5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0.2 0.4 0.3 0.2
리놀레닉산(linolenic acid) < 0.1 - < 0.1 -
아라키돈산(arachidic acid) - - - 0.4
기타 지방산 - 7.5 16.6 10.5
99.6 92.5 83.3 89.1
그 결과, 도면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조건 하에서 올레익산 함량이 전체 지방산 대비 87.2 중량%인 제형 (b)와, 99.3 중량%인 제형 (a)의 경우, 각각 76.5 중량%와 69.8 중량%인 제형 (c) 및 제형 (d)에 비해 총 유연물질 발생이 2주 이후부터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6-옥소 도세탁셀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도면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혹 조건 하에서는 제형 (a)와 제형 (b)의 경우, 1주가 경과한 시점부터 급격하게 총 유연물질 및 6-옥소 도세탁셀이 너무나 많이 생성되어 제형으로 사용하기 불가능한 반면, 제형 (c)의 경우에는 총 유연물질 및 6-옥소 도세탁셀이 약간 생성되기는 하였지만,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제형 (d)의 경우에는 총 유연물질 생성량이 가장 적었을 뿐 아니라, 6-옥소 도세탁셀은 거의 생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결과로부터 폴리소르베이트 내의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이 약 85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지만, 올레익산 함량이 약 8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 폴리소르베이트 80 내 올레익산 함량 변화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앞서 실시예 1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이 약 85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지만, 올레익산 함량이 약 8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폴리소르베이트 80 내의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을 올레익산 함량을 변화시켜가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총 지방산 중 70 중량%의 올레익산 함량을 갖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가지는 제형 (a)에, 추가적으로 폴리소르베이트 80에 올레익산을 첨가하여 총 지방산 대비 올레익산 함량이 각각 75 중량%, 80 중량%, 85 중량% 및 90 중량%인 제형 (b) 내지 제형 (e)를 제조하였다 (표 4 참조).
올레익산 함량이 변화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
조성성분 전체 지방산 중량 대비 각 지방산 함량 (중량%)
제형 (a) 제형 (b) 제형 (c) 제형 (d) 제형 (e)
올레익산
(oleic acid)
70.0 75.0 80.0 85.0 90.0
팔미틱산
(palmitic acid)
14.6 12.17 9.73 7.30 4.87
미스틱산(mystric acid) 0.1 0.08 0.07 0.05 0.03
팔미토레익산
(palmitoleic acid)
0.9 0.75 0.60 0.45 0.30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3.5 2.92 2.33 1.75 1.17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0.2 0.17 0.13 0.10 0.07
리놀레닉산(linolenic acid) 0.0 0.0 0.0 0.0 0.0
아라키돈산(arachidic acid) 0.4 0.33 0.27 0.20 0.13
기타 지방산 10.3 8.58 6.87 5.15 3.43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제형 (a) 내지 (e)를 이용하여, 가속조건 (45 ℃, 습도 75%) 하에서 4 주간 주요 유연물질인 6-옥소 도세탁셀의 발생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 함량이 70 내지 85 중량%인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한 제형 (a) 내지 (d)의 경우, 6-옥소 도세탁셀의 생성량이 8주째 까지도 0.5 중량% 내외로 유지되어, 미국 약전(USP)에서 규정하는 도세탁셀 주사제의 기준인 1.5 중량% 이하로 유연물질 발생이 억제됨에 따라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올레익산 함량이 90 중량%인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한 제형 (e)의 경우, 6-옥소 도세탁셀의 생성량이 이미 3주째에 1.8 중량%를 넘어서고, 지속적으로 발생량이 증가하여 8주째에는 약 4 중량%에 달해 안정성이 극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결과로부터 올레익산 함량이 70 내지 85 중량%인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할 경우에는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올레익산 함량을 갖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a) 유효성분으로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
    (b)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총 지방산 중 올레익산(oleic acid) 함량이 70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탁산계 화합물은 도세탁셀 또는 파클리탁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탁산계 화합물의 수화물은 도세탁셀 삼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총 지방산 중 팔미틱산(palmitic acid) 함량이 2.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 280 내지 320인 PEG300과 분자량 380 내지 420인 PEG400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혼합물은 PEG300과 PEG400가 중량비로 1:9 내지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7.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구연산 또는 이의 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9. 제1항에 있어서, 탁산계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mg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1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250 내지 850 m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11.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250 내지 850 m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 280 내지 320인 PEG300과 분자량 380 내지 420인 PEG400의 혼합물이고,
    상기 혼합물 내의 PEG300의 함량은 65 내지 225 mg이고, PEG400의 함량은 185 내지 625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13. 제10항에 있어서, 전체 제형 중량 대비, 탁산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1.0 내지 3.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을 24.0 중량 내지 7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을 24.0 중량 내지 7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KR1020200035974A 2020-03-25 2020-03-25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KR10240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74A KR102401546B1 (ko) 2020-03-25 2020-03-25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PCT/KR2021/003717 WO2021194280A1 (ko) 2020-03-25 2021-03-25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74A KR102401546B1 (ko) 2020-03-25 2020-03-25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95A true KR20200038895A (ko) 2020-04-14
KR102401546B1 KR102401546B1 (ko) 2022-05-27

Family

ID=7029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74A KR102401546B1 (ko) 2020-03-25 2020-03-25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1546B1 (ko)
WO (1) WO20211942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80A1 (ko) * 2020-03-25 2021-09-30 보령제약 주식회사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776A (ko) * 2005-12-05 2007-06-11 대화제약 주식회사 파클리탁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80030024A (ko) * 2005-06-17 2008-04-03 호스피라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도세탁셀의 약제학적 액상제제
KR20090093581A (ko) * 2008-02-29 2009-09-02 동아제약주식회사 도세탁셀을 함유하는 단일액상의 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
KR20100100378A (ko) * 2009-03-06 2010-09-15 박진규 주사제용 항암제 조성물
EP2875814A1 (en) * 2012-07-19 2015-05-27 FUJIFILM Corporation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taxane-based active ingredien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medicinal preparation
KR20150066542A (ko) * 2012-10-01 2015-06-16 테이코쿠 팔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비수성 탁산 나노분산 제형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3940A (zh) * 2006-02-20 2007-08-29 郝守祝 一种紫杉烷类化合物的药用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102401546B1 (ko) * 2020-03-25 2022-05-27 주식회사 보령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024A (ko) * 2005-06-17 2008-04-03 호스피라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도세탁셀의 약제학적 액상제제
KR20070058776A (ko) * 2005-12-05 2007-06-11 대화제약 주식회사 파클리탁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90093581A (ko) * 2008-02-29 2009-09-02 동아제약주식회사 도세탁셀을 함유하는 단일액상의 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
KR20100100378A (ko) * 2009-03-06 2010-09-15 박진규 주사제용 항암제 조성물
EP2875814A1 (en) * 2012-07-19 2015-05-27 FUJIFILM Corporation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taxane-based active ingredien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medicinal preparation
KR20150066542A (ko) * 2012-10-01 2015-06-16 테이코쿠 팔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비수성 탁산 나노분산 제형 및 이의 사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80A1 (ko) * 2020-03-25 2021-09-30 보령제약 주식회사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280A1 (ko) 2021-09-30
KR102401546B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4842B2 (en) Taxane composition and method
US20120065255A1 (en) Cabazitaxe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reof
KR20100023862A (ko) 트윈 80을 함유하지 않은 도세탁셀의 용해 제제
KR20080030024A (ko) 도세탁셀의 약제학적 액상제제
CN1382038A (zh) 新的和改进的紫杉醇制剂
KR20090052920A (ko)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택산 유도체 함유 주사제용동결건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56873B2 (ja) タキサン系活性成分含有液体組成物及び液体製剤
WO2011049650A1 (en) Docetaxel formulations with lipoic acid
US9763880B2 (en) Non-aqueous taxan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186751B2 (en) Injectable composition of paclitaxel
JP2006143699A (ja) パクリタキセル水性注射液及びその調製方法
US2009015666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axane derivative destined for the preparation of an infusion solution,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102401546B1 (ko) 탁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약제학적 제형
US20200268705A1 (en) Cabazitaxel composition for inje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11529930A (ja) 注射可能タキサン医薬品組成物
CN111728941A (zh) 含有紫杉烷-环糊精复合物的药物组合物、制造方法和使用方法
JP6292267B2 (ja) ドセタキセル製剤
BG107764A (bg) Стабилн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форма на противораково лекарство и метод за нейното получаване
KR100358934B1 (ko) 탁솔을함유한주사용약제조성물
KR101556535B1 (ko) 비경구 투여용 수성 약학 조성물
US20110092579A1 (en) Solubilized formulation of docetaxel
JP2018115178A (ja) ドセタキセル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