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893A -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893A
KR20200038893A KR1020200006378A KR20200006378A KR20200038893A KR 20200038893 A KR20200038893 A KR 20200038893A KR 1020200006378 A KR1020200006378 A KR 1020200006378A KR 20200006378 A KR20200006378 A KR 20200006378A KR 20200038893 A KR20200038893 A KR 2020003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side
traffic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557B1 (ko
Inventor
이도훈
박영민
이주상
전원우
천정서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20000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아울러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왕복 차선의 도로상의 일측 또는 중앙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들과의 통신 범위 이내에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노변단말을 구비하여,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아울러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Traffic information delivery system designating direction and distance}
본 발명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아울러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그 기술분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7997호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다수의 각 차량에 설치된 차량단말기를 통해 주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의 각 차량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도로상황정보를 제공하며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행 또는 정차중인 차량 주변의 도로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차량단말기와; 상기 차량단말기로부터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도로상황정보를 특정 차량단말기에 제공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차량단말기는 주행 또는 정차중인 차량의 현재 시간에 따른 위치 및 속도 정보가 저장되는 GPS 정보 관리부와, 상기 GPS 정보 관리부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도로상황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상기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믹싱된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영상 관리부와,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점 또는 구간에 따른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일치하는 도로상황 영상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사용자의 차량단말기 식별정보 및 특정 지점 또는 구간에 따른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가 포함된 영상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와, 특정 지역에 위치한 차량의 특정 지점 또는 구간에 따른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가 포함된 영상요청신호 및 차량단말기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특정 지점 또는 구간에 따른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가 포함된 영상요청신호 및 차량단말기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영상 관리부에 특정 지점 또는 구간에 따른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일치하는 도로상황 영상정보가 있는지 검색하고 이에 일치하는 도로상황 영상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영상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도로상황 영상정보 및 차량단말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교통정보 전송부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특정 차량단말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차량단말기에 전송되는 도로상황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관리 서버를 통해 특정 차량단말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차량단말기에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교통사고 내지는 집중호우, 안개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데 있어서 해당 지역 외에 위치한 차량단말기로도 정보가 전송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왕복 차선에 대해 특정 차선(예를 들면 상행선 또는 하행선)의 구분이 불가능하여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차량에 까지 도로상황 영상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6583호의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복수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교통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 상기 검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전송부,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가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통 영상 전송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차량을 검색하고,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가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이므로 특정 영역 내의 교통 영상만을 제공하게 되어 영역내의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차량에까지 도로상황 영상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오히려 혼란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KR 10-1017997 B1 KR 10-1786583 B1 KR 10-2015-0000039 A KR 10-1744963 B1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또한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왕복 차선의 도로상의 일측 또는 중앙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들과의 통신 범위 이내에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노변단말을 구비하여,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아울러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또한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신규한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그 작용 관계
제2도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바람직한 정보 전달의 방향과 거리
제3도는 본 발명의 노변단말의 배치관계
제4도는 본 발명의 노변 단말의 구성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기 위한 구성
제6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프레임 구성
제7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의 일례
제8도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난 차량에 대해 적용하는 실시예
제9도는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
제10도는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구성
제11도는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노변단말에 전송되는 교통정보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 및 구동 방법을 발명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로서 차량 탑재 장치(OBD: On-Board Device)나 차량 탑재 유닛(OBU: On-Board Unit)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노변단말은 모바일 통신부, 노변단말 통신부, 서버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들 통신부는 그 접속 대상으로서 모바일, 노변 디바이스,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로서 다른 채널의 통신 수단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프로토콜로써 구분하여 모바일, 노변 디바이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는 종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그 작용 관계를 도시한다. 종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① 교통 감시 시스템이나 다른 운전자들로부터 도로상의 사고, 재난, 안개 등 교통에 장애가 되는 교통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② 사고정보 관리서버로 전송되며,
③ 상기 사고정보 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④ 인근 차량들로 제공하며,
⑤ 또한, 사고처리 기관으로 전송한다.
⑥ 사고 처리 기관은 해당 지점의 교통 상황을 처리하고, 그 완료 여부를 사고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 관리 서버는 해당 지점의 교통정보를 해제한다. 이때 교통정보는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로서 차량 탑재 장치(OBD: On-Board Device)나 차량 탑재 유닛(OBU: On-Board Unit)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근 차량들로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데 제약이 있다. 다시 말해서, 도로상의 사고, 재난, 안개 등 교통에 장애가 되는 교통 상황 정보를 해당 지점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으로 특정하여 제공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는 다음의 도면을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제2도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바람직한 정보 전달의 방향과 거리를 도시한다. 왕복 주행 도로에서 사고, 재난, 안개 등 교통에 장애(이하 '사고'라고 한다)가 발생하는 경우, 그 지점은 도면의 (a)와 같이 왕복 방향의 어느 일측 또는 도면의 (b)와 같이 양측의 도로 모두에 걸쳐 발생될 수 있다.
먼저 도면의 (a)와 같이 사고가 발생하여 교통지체 정보를 인접 차량들에게 전달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 사고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 A는 교통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이 경우 같은 도로의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후속 차량들에 대해 일정 정보 전달 거리에 걸쳐 교통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 사고지점의 반대측 도로의 차량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B는 사고지점에 인접하여 있으나 주행중인 도로는 사고가 없으므로 무의미한 교통정보가 된다. 만약 교통정보가 전달될 경우 오히려 또 다른 교통체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교통정보가 차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사고지점으로터 멀어지는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 C는 위치상으로는 사고지점의 근방으로 인식되나 무의미한 교통정보가 차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a)에 도시된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도로상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서만 일정한 정보 전달 영역에 걸쳐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도면의 (b)와 같이 도로의 왕복 방향 모두에 걸쳐 사고가 발생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양방향으로 교통정보를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왕복 도로의 양방향이라 할지라도 교통정보의 전달 방향과 거리가 한정되어야 한다.
- 사고지점의 왕복 양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 D와 E는 교통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이 경우 도로의 사고지점으로 접근하는 양방향의 후속 차량들에 대해 일정 정보 전달 거리에 걸쳐 교통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 사고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차량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F와 G는 사고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있으나 주행 도로는 사고지점을 벗어나 있으므로 교통정보가 차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노변단말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한다. 또한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한다. 아울러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노변단말의 배치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노변단말(100) 각각의 ID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상기 ID는 노변단말(100)들이 배치된 도로를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고유의 번호로 부여되거나 노변단말(100)들 각각이 배치된 지점별 GPS 좌표로 할당된다. 또한 상기 노변단말(100)들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거나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을 통해, 주행중인 다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은 수신된 교통정보를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은,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의 통신과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과의 통신, 사고정보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의 통신과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과의 통신을 위해 근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사고정보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왕복 차선의 도로상의 일측 또는 중앙에 배치되며,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과의 통신 범위 이내에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노변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왕복 차선의 도로상의 일측 또는 중앙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들과의 통신 범위 이내에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노변단말(1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노변 단말(100)은, 노변단말(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102); 시간간격이나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클럭/타이머(104);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교통정보와 상기 노변단말(100)로부터 외부로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 메모리(106); 노변단말별로 부여되는 ID를 저장하는 노변단말 ID 저장부(108);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통정보의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부(110); 노변단말(100)과 상기 노변단말(100)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간의 교통정보를 송수신하는 노변단말 통신부(112);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사고정보 관리서버(300)와 교통정보를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114);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교통정보로부터 교통정보의 전달거리를 연산하는 전달거리 연산부(116);로 구성된다.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로를 따라 다수의 노변단말(100)들이 ... P(n-3), P(n-2), P(n-1), P(n), P(n+1), P(n+2), P(n+3) ...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노변단말(100)들의 간격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과의 통신 범위를 기준으로 수Km 내지 수백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노변단말(100)들은, 배치된 도로를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고유의 번호로 부여되거나 노변단말(100)들 각각이 배치된 지점별 GPS 좌표로 할당된 각각의 ID를 노변단말 ID 저장부(108)로부터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독출되고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교통정보 메모리(106)에서 교통정보로 구성되어 차량측에 구비되는 불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성된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상기 노변단말(100)들의 ID를 차례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노변단말(100)들의 ID는 노변단말(100)들이 배치된 도로를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고유의 번호로 부여되거나 노변단말(100)들 각각이 배치된 지점별 GPS 좌표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노변단말(100)의 ID의 증감 변동을 참조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하나의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 Δta, Δtb, Δtc, Δtd ... 를 산출하면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정체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의 정체여부는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의 최대 허용값을 설정하여 Δta, Δtb, Δtc, Δtd ... 각각이 최대 허용값보다 클 경우 교통정체로 판단한다. 상기의 교통정체 판단은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서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고가 없는 병목구간에서 발생되는 교통정체나 유령정체 현상을 포함하는 교통 정체에서도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서 교통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전달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노변단말(100)의 ID의 증감 변동을 참조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수신된 ID의 노변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후방 차량들을 대상으로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개수의 노변단말(100)들을 경유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변단말(100)을 이용하여 교통정보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교통정보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정보의 전달방향을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하여 설정된 개수의 노변단말(100)을 경유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난차량의 진행로를 확보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구난차량의 정보를 교통정보로 설정하고, 수신된 ID의 노변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의 선행 차량들에 대해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개수의 노변단말(100)을 합핑(hopping)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고정보 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고 노변단말(100)들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시켜 사고지점의 노변단말(100)에 대해 교통정보와 전달방향,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의 개수를 전송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노변단말(100)의 통신 기능을 정리하면;
-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배치된 도로를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고유의 번호로 부여되거나 노변단말(100)들 각각이 배치된 지점별 GPS 좌표로 할당된 각각의 ID를 노변단말 id 저장부(108)로부터 독출하여,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모바일 통신부(110)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거나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다.
-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모바일 통신부(110)를 통해,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거나 서버 통신부(114)를 통해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에 대해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전송하고, 또한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다.
- 본 발명의 노변단말(100)들은, 수신된 교통정보를 특정된 전달 방향과 거리를 참조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노변단말(100)은 교통정보의 통신 대상이,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 사고정보 관리서버로서 구분하여야 하고, 각각 상이한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변단말(100)과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간 호환되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사용한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교통정보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교통정보의 프레임은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변단말(100), 교통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에 모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은 기본적으로, A, B, C 3개의 ID 필드와,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 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전송 정보에 대해 선택적으로 할당되는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로 구성된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 구성을 기반으로하여 노변단말(100)과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 노변단말(100)과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간 교환되는 교통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의 (a)는 각각의 노변단말(100)들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노변단말 ID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정보는,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 에 노변단말(100) 각각의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2개의 ID 필드 B, C 는 null data,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는 '0', 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null data를 배치한다.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도면의 (a)와 같은 노변단말 ID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의 노변단말(100)의 ID와 수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를 제공받는다.
도면의 (b)는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도면 제4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교통지체가 감지되면 노변단말(1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 4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노변단말(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 Δta, Δtb, Δtc, Δtd ... 를 산출하면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의 최대 허용값을 설정하여 Δta, Δtb, Δtc, Δtd ... 각각이 최대 허용값보다 클 경우 교통정체로 판단한다. 상기의 교통정체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교통정보로 생성되어 노변단말(100)로 전송된다. 상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는, 도면의 (b)와 같이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나 이동통신 단말기별로 부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ID (mobile ID) 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를 배치한다.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노변단말(100)의 ID를 주행중 수신하고 정체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현재 ID의 노변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에서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하여 교통상황의 정지영상이나 사고 현장의 동영상을 연계(link)하여 미디어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의 교통정보는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결과하면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설정 시간 이내에서 유효한 교통정보만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도면의 (c)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에서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되고 수신되어 다른 위치에 배치된 노변단말(100)들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는 도면의 (b)에서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에서 첫번째 ID 필드 A를 노변단말(100)의 ID로 대체함으로써 구성된다. 즉,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노변단말(100)의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ID 필드 C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교통정체 메시지를 배치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에서 제공된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의 정지영상이나 사고 현장의 동영상도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는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결과하면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설정 시간 이내에서 유효한 교통정보만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도면(c)의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도 전송된다.
상기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전파 교통정보의 ID 필드 B의 노변단말 ID인 P(t)와 필드 C의 노변단말 ID인 P(t-1)를 참조하여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을 추출하고,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으로부터 정보 전달 거리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이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은,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전달거리 연산부(116)로써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이 아니면 수신된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에서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은,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인 경우, 노변단말(100)의 제어 프로세서(102)는 정보 전달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난 차량에 대해 적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앞의 도면 제2도와 4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를 특정함으로써 교통정체 또는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들에 대해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응급차량이나 경찰차, 앰뷸런스와 같은 구난 차량이 도로를 주행할 때, 도면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구난차량이 주행중임을 전파하여 그 경로를 확보할 수도 있다.
도면 제9도는 구난 차량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노변단말(100)로 전송되는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의 (a)는 앞의 도면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교통지체가 감지되면 노변단말(1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의 (a)는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도면 제4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교통지체가 감지되면 노변단말(1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을 재차 도시한다. 도면의 (a)의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는,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의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를 배치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의 (a)의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는,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를 ID 필드 B로,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을 ID 필드 C,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의 노변단말(100) 개수 N 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ID 필드 B의 노변단말(100)은 ID 필드 C의 노변단말(100) 방향으로 노변단말 개수 N 개의 거리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구난 차량의 경우에도 일반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비된다.
상기 구난 차량의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노변단말(100)로 전송되는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는 도면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에 구난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ID (E_M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구난 차량의 메시지를 배치한다. 따라서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는,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를 ID 필드 B에,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를 ID 필드 C에 바꾸어 배치하는 것만으로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전달 방향을 구난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면의 (c)는 수신한 노변단말(100)에서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되고 수신되어 다른 위치에 배치된 노변단말(100)들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는 도면의 (b)에서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구성에서 첫번째 ID 필드 A를 노변단말(100)의 ID로 대체함으로써 구성된다.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 구성은 사고정보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교통정보를 노변단말(100)의 서버 통신부(114)를 경유하여 전송되도록 하여 특정된 전달 방향과 전달 거리 이내의 차량들에 대해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는 교통 감시 카메라, 사고 신고를 통해 확보된 사고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해당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로 사고정보를 본 발명의 교통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 구성을 기반으로하여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에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도시한다.
도면의 (a)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에 전송되는 교통정보로서,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교통정보를 전송받는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와 동일한 P(t),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교통정보를 전달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사고정보 관리서버(300)측의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나 정지영상, 동영상 데이터를 배치한다.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은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상기와 같은 교통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교통정보를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뿐만 아니라,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도 전송한다.
상기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ID 필드 B의 노변단말 ID인 P(t)와 필드 C의 노변단말 ID인 P(t-1)를 참조하여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을 추출하고,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으로부터 전달거리 연산부(116)으로써 정보 전달 거리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이 아니면 수신된 교통정보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에서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전달거리 연산부(116)를 통해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인 경우, 제어 프로세서(102)는 정보 전달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교통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면의 (b)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에 전송되는 교통정보로서,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교통정보를 전송받는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와 동일한 P(t),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도 교통정보를 전달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노변단말(100)의 ID로 서P_ID와 동일한 P(t),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사고정보 관리서버(300)측의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나 정지영상, 동영상 데이터를 배치한다.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은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과 서버 통신부(114)를 통해 상기와 같은 교통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교통정보를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통신부(110)을 통해 전송할 뿐만 아니라,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도 전송한다.
상기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ID 필드 B의 노변단말 ID인 P(t)와 필드 C의 노변단말 ID인 P(t)가 동일하므로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을 양방향으로 결정하고,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으로부터 전달거리 연산부(116)를 통해 정보 전달 거리를 연산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 즉 양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이 아니면 수신된 교통정보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에서 양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전달거리 연산부(116)을 통해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인 경우, 제어 프로세서(102)는 정보 전달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교통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노변단말로써 차량의 정체 여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고, 또한 구난 차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선행 차량들로 전달하며, 사고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여 주행 차량들로 전달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로서 차량 탑재 장치(OBD: On-Board Device)나 차량 탑재 유닛(OBU: On-Board Unit)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변단말은 모바일 통신부, 노변단말 통신부, 서버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들 통신부는 그 접속 대상으로 모바일, 노변 디바이스,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로서 다른 채널의 통신 수단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프로토콜로써 구분하여 모바일, 노변 디바이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방향과 범위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노변단말 102 : 제어 프로세서
104 : 클럭/타이머 106 : 교통정보 메모리
108 : 노변단말 ID저장부 110 : 모바일 통신부
112 : 노변단말 통신부 114 : 서버 통신부
116 : 전달거리 연산부 200 : 이동통신망
300 : 사고정보 관리서버

Claims (15)

  1.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의 통신과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들과의 통신, 사고정보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하는 복수의 노변단말을 구비하여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변단말(100)은,
    노변단말(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102);
    시간간격이나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클럭/타이머(104);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교통정보와 상기 노변단말(100)로부터 외부로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 메모리(106);
    노변단말별로 부여되는 ID를 저장하는 노변단말 ID 저장부(108);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측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통정보의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부(110);
    노변단말(100)과 상기 노변단말(100)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간의 교통정보를 송수신하는 노변단말 통신부(112);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사고정보 관리서버(300)와 교통정보를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114);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교통정보로부터 교통정보의 전달거리를 연산하는 전달거리 연산부(1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변단말(100)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과의 통신 범위를 간격으로 도로변에 배치되고,
    배치된 도로를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고유의 번호로 부여되거나 노변단말(100)들 각각이 배치된 지점별 GPS 좌표로 할당된 각각의 ID가 노변단말 ID 저장부(108)로부터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독출되고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교통정보 메모리(106)에서 교통정보로 구성되어 차량측에 구비되는 불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노변단말(100)의 ID의 증감 변동을 참조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하나의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를 산출하며,
    하나의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고 다음번 노변단말(100)의 ID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차의 최대 허용값을 설정하여 상기 시간차가 최대 허용값보다 클 경우 교통정체로 판단하고,
    수신된 ID의 노변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후방 차량들을 대상으로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개수의 노변단말(100)들을 경유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구난차량의 정보를 교통정보로 설정하고, 수신된 ID의 노변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의 선행 차량들에 대해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개수의 노변단말(100)을 합핑(hopping)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난차량의 진행로를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고정보 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고,
    노변단말(100)들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시켜
    사고지점의 노변단말(100)에 대해 교통정보와 전달방향,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의 개수를 전송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들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A, B, C 3개의 ID 필드와,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 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전송 정보에 대해 선택적으로 할당되는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로 할당되는 교통정보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노변단말(100)들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노변단말(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며,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 에 노변단말(100) 각각의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2개의 ID 필드 B, C 는 null data,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는 '0',
    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null data를 배치하여,
    주행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의 노변단말(100)의 ID와 수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를 제공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주행중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교통정보로 생성되어 노변단말(100)로 전송되며,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나 이동통신 단말기별로 부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ID (mobile ID) 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개수의 노변단말(100)들을 경유하여 제공되는 교통정보는,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에 노변단말(100)의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ID 필드 C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교통정체 메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로부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에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ID 필드 B의 노변단말 ID인 P(t)와 필드 C의 노변단말 ID인 P(t-1)를 참조하여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을 추출하고,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으로부터 정보 전달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라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이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은,
    제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전달거리 연산부(116)로써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이 아니면 수신된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하고,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수신한 노변단말(100)이,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뒤 그 결과가 '0'인 경우,
    노변단말(100)의 제어 프로세서(102)는 정보 전달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노변단말 전파(propagating) 교통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에 구난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ID (E_M ID)를 배치하고,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이전에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현재 수신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이동통신 단말기측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구난 차량의 메시지를 배치하여,
    구난 이동통신 단말기측 교통정보의 전달 방향을 구난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에 전송되는 교통정보로서,
    교통정보의 프레임(frame)의 첫번째 ID 필드 A는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B에는 사고정보 관리서버(300)로부터 교통정보를 전송받는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_ID와 동일한 P(t),
    상기 ID 필드와 같은 길이로 할당되는 ID 필드 C에는 교통정보를 전달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노변단말(100)의 ID로서 P(t-1),
    정보 전달 거리로서 설정되는 노변단말(100) 개수의 필드에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노변단말(100) 개수 N,
    사고정보 관리서버(300)측의 발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필드,
    그리고 선택 데이터(optional data) 필드는 교통정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데이터 들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로 수신되고,
    상기 사고지점에 최근접으로 위치한 노변단말(100)은,
    수신된 교통정보를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통신부(110)을 통해 전송하고, 노변단말 통신부(112)를 통해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ID 필드 B의 노변단말 ID인 P(t)와 필드 C의 노변단말 ID인 P(t)가 동일한 경우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을 양방향으로 결정하고,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으로부터 전달거리 연산부(116)를 통해 정보 전달 거리를 연산하며,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 즉 양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교통정보의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하나 감소시킨 결과가 '0'이 아니면, 수신된 교통정보를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다른 노변단말(100)들로 전송하고,
    교통정보를 수신한 다른 노변단말(100)들은,
    교통정보의 전파 방향, 즉 양방향으로 정보 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노변단말(100) 개수 필드의 N을 전달거리 연산부(116)을 통해 하나 감소시킨 결과가 '0'인 경우, 제어 프로세서(102)는 정보 전달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교통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006378A 2020-01-17 2020-01-17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3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78A KR102335557B1 (ko) 2020-01-17 2020-01-17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78A KR102335557B1 (ko) 2020-01-17 2020-01-17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93A true KR20200038893A (ko) 2020-04-14
KR102335557B1 KR102335557B1 (ko) 2021-12-03

Family

ID=7029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78A KR102335557B1 (ko) 2020-01-17 2020-01-17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920A (ko) 2020-05-01 2020-05-20 이도훈 선형 벡터 지오펜스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KR20210036314A (ko) * 2021-03-15 2021-04-02 이도훈 차량 대 차량 운행 정보 전파 시스템
CN113284351A (zh) * 2021-03-04 2021-08-20 中创未来智能技术(南京)研究院有限公司 基于车路协同技术的同高速公路交通控制系统
CN116153049A (zh) * 2023-04-04 2023-05-23 四川互慧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处理的救护车到院时间预估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4B1 (ko) * 2005-12-08 2007-08-02 아이티텔레콤(주) 통합 노변기지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KR20090070679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96224A (ko) * 2008-03-07 2009-09-10 조용성 구간별 교통정보 검지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7997B1 (ko) 2009-08-27 2011-03-02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00039A (ko) 2013-06-21 2015-01-02 주식회사 웨이브엠 차량용 블랙박스 정보 공유 시스템
KR101744963B1 (ko) 2015-03-17 2017-06-09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블랙박스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및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6583B1 (ko) 2011-02-14 2017-10-19 주식회사 케이티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4B1 (ko) * 2005-12-08 2007-08-02 아이티텔레콤(주) 통합 노변기지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KR20090070679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96224A (ko) * 2008-03-07 2009-09-10 조용성 구간별 교통정보 검지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7997B1 (ko) 2009-08-27 2011-03-02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86583B1 (ko) 2011-02-14 2017-10-19 주식회사 케이티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KR20150000039A (ko) 2013-06-21 2015-01-02 주식회사 웨이브엠 차량용 블랙박스 정보 공유 시스템
KR101744963B1 (ko) 2015-03-17 2017-06-09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블랙박스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및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920A (ko) 2020-05-01 2020-05-20 이도훈 선형 벡터 지오펜스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CN113284351A (zh) * 2021-03-04 2021-08-20 中创未来智能技术(南京)研究院有限公司 基于车路协同技术的同高速公路交通控制系统
KR20210036314A (ko) * 2021-03-15 2021-04-02 이도훈 차량 대 차량 운행 정보 전파 시스템
WO2022197021A1 (ko) * 2021-03-15 2022-09-22 이도훈 차량 대 차량 운행 정보 전파 시스템
CN116153049A (zh) * 2023-04-04 2023-05-23 四川互慧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处理的救护车到院时间预估方法
CN116153049B (zh) * 2023-04-04 2023-06-27 四川互慧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处理的救护车到院时间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557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8893A (ko)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WO2019085846A1 (zh) 一种快速车道的规划方法及单元
US11024167B2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US7801512B1 (en) Traffic speed enforcement based on wireless phone network
US67923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vehicle communication
EP1095832B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collisions of vehicles with pedestrians
US7804423B2 (en) Real time traffic aide
US5570100A (en)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unit's estimated time of arrival
EP1701324B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28103A1 (en) Traffic preemption system
CN116588135A (zh) 自动驾驶辅助系统、自动驾驶监视装置、道路管理装置及自动驾驶信息收集装置
CN112489433A (zh) 交通拥堵分析方法及装置
US20190306779A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N111724616A (zh) 基于人工智能的数据获取及共享的方法与装置
KR20200068776A (ko)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자동차용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JP2022542641A (ja) 動的なイベントの特定および流布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59111B1 (ko) 이동 id 그룹 정보를 이용한 위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H09180094A (ja) 航法装置と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90400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USION BY ROUTING AND PROCESSING TRAFFIC WARNING INFORMATION TO ADVISE A DRIVER
KR20200034972A (ko)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2758A (ko) 터널 내 교통 흐름 정보에 기초한 교통 안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598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긴급 교통 관제 시스템
Joshi et al. TMaaS: Traffic management as a service using cloud in VANETs
JP5720951B2 (ja) 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システム、並びに交通情報配信プログラム、交通情報配信方法
CN115983539A (zh) 用于基于云的动态车辆调度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