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18A -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18A
KR20200038718A KR1020180118273A KR20180118273A KR20200038718A KR 20200038718 A KR20200038718 A KR 20200038718A KR 1020180118273 A KR1020180118273 A KR 1020180118273A KR 20180118273 A KR20180118273 A KR 20180118273A KR 20200038718 A KR20200038718 A KR 2020003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frame
evaluation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086B1 (ko
Inventor
김용진
송준엽
정연호
이재학
김승만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0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orsional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1Torsio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One dimensional, e.g. filaments, wires, rop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는 하부 고정유닛, 상부 고정유닛, 구동유닛, 이송유닛 및 제1 히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와이어의 일 단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의 타 단을 고정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에 토션(torsion)을 인가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이송시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거나 상기 와이어에 장력(tension)을 인가한다. 상기 제1 히팅유닛은 상기 하부 및 상부 고정유닛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된 와이어 전체로 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WIRE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 또는 치열 유지에 사용되기 위해 3차원 형상으로 제작되는 와이어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은 물론, 국부적 또는 전반적인 와이어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 치료 또는 치열 유지 치료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별도의 와이어 벤딩 머신 등을 통하여 제작되거나, 숙련된 치기공사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7514호에서는 이러한 치과용 와이어의 3차원 제작을 위한 와이어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와이어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 벤딩 머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벤딩 머신은 와이어를 소정의 힘으로 벤딩하여 3차원 형상의 와이어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와이어의 특성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와이어 특성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와이어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은 물론 해당 와이어의 성형성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는 와이어는 재질에 따라 휨 정도, 탄성 복원력, 성형성(formability) 등이 다양하게 변화하며, 이러한 와이어의 재질에 따른 특성은 와이어의 벤딩시 인가되는 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와이어의 단면 형상이나 두께 등에 따라서도 상기 휨 정도, 탄성 복원력, 성형성 등이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특성 평가도 선행되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와이어의 특성에 대한 평가는, 비단 치과용 와이어의 제작에서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사용되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와이어의 특성으로서, 특히 탄성 복원력이나 성형성 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은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29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재질이나 형상 또는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기계적 특성은 물론, 국부적 또는 전반적인 와이어의 성형성을 하나의 장치에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는 하부 고정유닛, 상부 고정유닛, 구동유닛, 이송유닛 및 제1 히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와이어의 일 단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의 타 단을 고정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에 토션(torsion)을 인가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이송시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거나, 상기 와이어에 장력(tension)을 인가한다. 상기 제1 히팅유닛은 상기 하부 및 상부 고정유닛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된 와이어 전체로 열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하부 단자를 포함하여, 제1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고정유닛은 상부 단자를 포함하여,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히팅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체로 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히팅유닛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만 레이저 빔을 제공하는 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빔 조사부는, 일 방향으로만 상기 와이어로 접근하여 상기 접근 방향에 마주하는 와이어의 국소부위에만 레이저 빔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빔 조사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일부로 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변형 상태 또는 상기 와이어의 변형 후 탄성 복원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고정유닛이 위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측정유닛과 일렬로 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하는 양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정된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토션 또는 장력에 따른 휨 정도, 비틀림 정도, 인장이나 압축 정도 등과 같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히팅유닛을 통해 와이어 전체로 열을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와이어의 벤딩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와이어 전체에 열을 인가한 상태에서 벤딩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히팅유닛을 통해 와이어 일부에 열을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와이어의 벤딩시 국부적인 성형성의 향상을 위해 벤딩 부위에만 열을 인가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환경, 즉 열이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인가되거나, 열이 인가되지 않은 상황 각각에서,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와이어의 벤딩시 벤딩 환경에 따라 적합한 벤딩 특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와이어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빠른 벤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의 휨 정도, 비틀림 정도, 인장이나 압축 정도 등의 변형 상태를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서 측정함으로써, 와이어의 벤딩 특성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는, 수직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와이어에 토션이나 장력을 인가함에 있어 서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에 토션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와이어의 변형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의 동작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와이어 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토션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장력을 제공하는 이송유닛이 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함에 따라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성들의 배치 또는 설계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송유닛의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필요한 양만큼 상부 고정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인가되는 압축력이나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측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제2 히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는, 예를 들어, 치열 유지 또는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치과용 와이어의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료나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를 통해, 와이어의 특성, 예를 들어, 토션 또는 장력의 인가에 따른 휨 정도, 비틀림 정도, 인장이나 압축 정도 등과 같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 나아가 이러한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이 반영되는 와이어의 성형성(formability) 또는 탄성 복원력 등의 성질을 미리 평가할 수 있으며, 이렇게 평가된 데이터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치과용 와이어를 와이어 벤딩(bending) 장치를 통해 제작함에 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와이어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최적의 벤딩 조건을 적용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와이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는 3차원 형상으로 제작된 와이어에 대하여도 내구성이나 변형성 등과 같은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가 적절히 제작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는 하부 프레임(100), 수직 프레임(200), 상부 프레임(300), 하부 고정유닛(400), 상부 고정유닛(500), 측정유닛(600), 이송유닛(700), 제2 히팅(heating)유닛(800), 구동유닛(900) 및 제1 히팅유닛(10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00)은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부(110) 및 베이스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바닥면 상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며, 상기 베이스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구성유닛들이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20)는 제1 방향(X),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이 이루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 프레임(100)은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를 포함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불필요한 진동에 의해 와이어에 대한 평가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부(12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모두 수직인 제3 방향(Z)을 따라 연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X)과 상기 제3 방향(Z)이 이루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개구부(2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 측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20) 상면에 후술되는 구성유닛들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수직 프레임(200)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0)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310), 상부 수직 프레임(320) 및 상부 수평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31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 즉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200)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310)는 상기 개구부(20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구부(201)의 양 측에 한 쌍의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310)의 연장 길이는 후술되는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의 상기 제3 방향(Z)으로의 변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310)의 연장길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개구부(201)의 상기 제3 방향(Z)으로의 연장길이도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은 상기 베이스부(12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중앙에는 개구홀(34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프레임(200)의 제1 방향(X)으로의 너비 보다는 작은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01)의 너비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측정유닛(600)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 및 상기 구동유닛(900)이 위치한다.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은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일 측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과 수직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20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의 상기 제1 방향(X)으로의 너비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상기 제1 방향(X)으로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는 설계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보조 프레임(3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350)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측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은 상기 제1 가이드(310) 상에서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의 상기 제1 가이드(31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310) 상에서 이동되는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유닛(400)은 와이어(W)의 일 단을 고정하며, 하부 고정프레임(410), 하부 고정부(420) 및 하부 단자(4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410)은 하면이 상기 베이스부(120)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3 방향(Z)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하부 고정유닛(400)을 상기 베이스부(120) 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 고정부(420)는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4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W)의 일 단을 고정한다. 상기 하부 고정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형상을 가지며, 상측에 상기 와이어(W)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와이어(W)의 일 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 단자(430)는 상기 하부 고정부(420)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홈의 간격을 좁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단자(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상기 제1 히팅유닛(1000)과 제1 배선(10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서 제공되는 전류는 상기 제1 배선(1010) 및 상기 하부 단자(430)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일 단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전기 제공으로 상기 와이어(W)는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단자(43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 고정부(420)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W)의 일단과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 전도선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하부 단자(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을 통해 전류를 제공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가 통전되는 상기 전기 전도선의 주변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기 전도선은 구비되지 않고, 상기 하부 단자(430) 및 상기 하부 고정부(420)가 모두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서 제공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하부 단자(430), 상기 하부 고정부(420) 및 상기 와이어(W)에 모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전체적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단자(430)는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역할만 수행하고, 상기 제1 배선(10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추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추가 단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단자 및 상기 전기 전도선의 주변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와이어(W)의 일 단은 상기 제1 히팅유닛(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제공에 따라 상기 와이어(W) 전체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은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을 고정하며, 상부 고정부(510) 및 상부단자(5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부(510)는 상측은 후술되는 상기 구동유닛(900)에 고정되며, 하측은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고정부(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형상으로, 상기 하부 고정부(4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고정부(510)의 하측에는 상기 와이어(W)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단자(520)는 상기 상부 고정부(420)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홈의 간격을 좁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단자(5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히팅유닛(1000)과 제2 배선(10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서 제공되는 전류는 상기 제2 배선(1010) 및 상기 상부 단자(520)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전기 제공으로 상기 와이어(W)는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서 제공되는 전류는 상기 제1 배선(1010), 상기 하부 단자(430), 상기 와이어(W), 상기 상부 단자(520) 및 상기 제2 배선(1020)을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는 전기적으로 가열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W)는 일 단에서부터 타 단까지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가열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된다.
한편, 상기 상부 단자(520) 역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단자(520)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W)의 타단과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 전도선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상부 단자(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을 통해 전류를 제공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가 통전되는 상기 전기 전도선의 주변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기 전도선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상부 단자(520) 및 상기 상부 고정부(510)가 모두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서 제공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상부 단자(520), 상기 상부 고정부(510) 및 상기 와이어(W)에 모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전체적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단자(520)는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역할만 수행하고, 상기 제2 배선(102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추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추가 단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선을 통해 상기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단자 및 상기 전기 전도선의 주변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은 상기 제1 히팅유닛(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제공에 따라 상기 와이어(W) 전체가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W)는 일 단으로부터 타 단까지 전체가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은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1010, 1020)을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를 가열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가 전체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대한 물리적,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변형 특성을 평가하면, 상기 와이어의 전체적인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900)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고정부(510)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900)은 구동부(910) 및 회전축(92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910)는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330)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9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910)는 상기 회전축(920)에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메인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10)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920)은 상기 상부 고정부(5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910)로부터 제공받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상부 고정부(510)에 전달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510)는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부(5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W)는 소위 토션(torsion)을 제공받게 되며, 이에 따라 비틀리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W)의 특성 중, 토션에 의한 비틀림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에 의해 상기 와이어(W)에 전반적으로 열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고정부(510)의 회전에 따라 타 단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이 인가되어 전체적인 성형성이 향상된 상태에서의 토션에 의한 비틀림 특성에 대한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2 히팅유닛(8000)에 의해 상기 와이어(W)의 국소부위에 열이 인가된 상태에서, 즉 국소적인 성형성이 향상된 상태에서 토션에 의한 비틀림 특성에 대한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실제, 와이어(W)를 벤딩하여 치열 유지 또는 치열 교정과 같은 치과용 와이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에 대한 벤딩이 필요한데,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성형성이 낮은 와이어의 경우,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열을 인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벤딩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10)를 통해, 상기와 같은 벤딩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비틀림 특성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유닛(600)은 상기 개구홀(340)을 통해, 상기 와이어(W)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부(910) 및 상기 회전축(920)에는 상기 개구홀(340)과 일렬로 관통될 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W)의 변형 정도가 상기 측정유닛(600)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유닛(600)은 상기 와이어(W)의 변형 정도 외에, 상기 와이어(W)가 변형된 이후 탄성 복원되는 정도 역시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측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유닛(600)은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가이드(610) 및 측정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610)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330)의 상면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정부(620)는 상기 제2 가이드(61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가이드(610) 상에서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유닛(600)은, 상기 측정부(620)와 상기 제2 가이드(610) 사이에서, 상기 측정부(620)가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이드(61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슬라이딩부(6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부(620)가 상기 제2 가이드(610)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측정부(620)는 상기 와이어(W)에 대한 초점을 변경시키며 보다 정확하게 상기 와이어(W)의 변형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700)은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며, 가이드 바(710), 연결부(720), 회전부(730) 및 고정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71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이 위치한 공간의 반대측 공간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120)에 일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720)는 일 측은 상기 가이드 바(710)가 관통되어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2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20)는 상기 개구부(201)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120)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720)와 상기 가이드 바(710)는 서로 스크류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710)가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720)는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바(7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720)는 상하방향, 즉 제3 방향(Z)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300)도 전체적으로 제3 방향(Z)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710)의 상부 끝단에 상기 회전부(730)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730)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회전부(7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710)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730)의 일 측에는 손잡이(73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731)를 통해 직접 상기 회전부(7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740)는 상기 회전부(7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730)가 제어되는 양 이상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이송유닛(700)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에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W)의 타 단이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장력(tension)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300)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W)에는 인장력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가지는 인장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 프레임(300)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W)에는 압축력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가지는 압축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900)도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장력이 인가된 상태 또는 압축력이 인장된 상태에서 동시에 비틀림이 인가되었을 때의 상기 와이어(W)가 가지는 특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히팅유닛(1000)이 상기 와이어(W)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동시에 상기와 같은 인장력, 압축력 또는 비틀림 특성에 대한 평가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유닛(700)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3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 고정유닛(500)에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W)의 길이도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와이어(W)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와이어(W)가 가지는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의 제2 히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히팅유닛(800)은 상기 와이어(W)의 특정 부위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며, 수직 고정부(810), 제3 가이드(820), 제4 가이드(830) 및 빔 조사부(8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고정부(810)는 상기 베이스부(120)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가이드(820)는 상기 수직 고정부(810) 상에 위치한다.
상기 수직 고정부(81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2 히팅유닛(800)에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 가이드(820)는 상기 빔 조사부(840)의 상기 제3 방향(Z)으로의 세부 높이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3 가이드(820)는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가이드(830) 및 상기 빔 조사부(840)가 상기 제3 가이드(8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4 가이드(830) 및 상기 빔 조사부(840)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가이드(820)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 상에서 상기 제3 방향(Z)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3 슬라이딩부(8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4 가이드(830)는 상기 제3 슬라이딩부(850)에 고정되어, 상기 제3 가이드(820)를 따라 상기 제3 방향(Z)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가이드(830)는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가이드(830)의 슬라이딩 홈 상에서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4 슬라이딩부(860)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상기 빔 조사부(840)는 상기 제4 슬라이딩부(860)에 고정되어, 상기 제4 가이드(830)를 따라 상기 제2 방향(Y)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빔 조사부(840)는 상기 제3 방향(Z) 및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특정 위치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4 가이드(830)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빔 조사부(840)는 상기 제3 방향(Z) 및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특정 위치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빔 조사부(840)는, 예를 들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의 특정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W)의 특정 위치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상기 와이어(W)는 국부적으로 열이 인가되어 국부적 성형성이 향상된다.
즉, 상기 제2 히팅유닛(800)을 통해 상기 와이어(W)의 국부적 성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에 토션이나 장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성형성이 향상된 상태에서의 인장력, 압축력 또는 비틀림 특성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실제, 와이어 전체에 열을 인가한 후 벤딩을 수행한다면, 상기 와이어는 벤딩이 완료된 후 전체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벤딩된 형상이 왜곡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가공이 필요한 부위를 중심으로 열을 국부적으로 인가하여 벤딩을 수행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국부적 열 인가후 벤딩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히팅유닛(800)을 통해 상기 와이어(W)에 국부적으로 열을 인가한 후 상기 와이어(W)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면, 상기와 같은 실제 와이어의 벤딩 작업에서의 정확성 또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빔 조사부(840)는, 상기 와이어(W)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열을 인가하는데, 이 경우, 상기 가열되는 와이어(W)는 일부 방향을 향하는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빔 조사부(840)가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와이어(W)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빔 조사부(840)는 상기 와이어(W) 중 상기 제2 방향(Y)에 마주하는 부분, 즉 상기 빔 조사부(840)에 마주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 조사부(840)에 마주하지 않는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빔 조사부(840)가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와이어(W)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빔 조사부(840)에 마주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가열하면서, 상하방향, 즉 제3 방향(Z)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빔 조사부(840)에 마주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가열되어, 전체적으로는 라인(line) 형태가 가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빔 조사부(840)에 의한 국부적 가열은, 그 가열되는 범위를 매우 작은 영역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와이어(W)의 일부에 대하여도 상기 빔 조사부(840)가 접근된 부분만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정된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토션 또는 장력에 따른 휨 정도, 비틀림 정도, 인장이나 압축 정도 등과 같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히팅유닛을 통해 와이어 전체로 열을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와이어의 벤딩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와이어 전체에 열을 인가한 상태에서 벤딩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히팅유닛을 통해 와이어 일부에 열을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와이어의 벤딩시 국부적인 성형성의 향상을 위해 벤딩 부위에만 열을 인가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환경, 즉 열이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인가되거나, 열이 인가되지 않은 상황 각각에서, 해당 와이어가 가지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와이어의 벤딩시 벤딩 환경에 따라 적합한 벤딩 특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와이어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빠른 벤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의 휨 정도, 비틀림 정도, 인장이나 압축 정도 등의 변형 상태를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서 측정함으로써, 와이어의 벤딩 특성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는, 수직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와이어에 토션이나 장력을 인가함에 있어 서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에 토션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와이어의 변형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의 동작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와이어 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토션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장력을 제공하는 이송유닛이 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함에 따라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성들의 배치 또는 설계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송유닛의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필요한 양만큼 상부 고정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인가되는 압축력이나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00 : 하부 프레임
200 : 수직 프레임 201 : 개구부
300 : 상부 프레임 320 : 상부 수직 프레임
330 : 상부 수평 프레임 340 : 개구홀
400 : 하부 고정유닛 430 : 하부 단자
500 : 상부 고정유닛 520 : 상부 단자
600 : 측정유닛 700 : 이송유닛
720 : 연결부 730 : 회전부
800 : 제2 히팅유닛 900 : 구동유닛
1000 : 제1 히팅유닛

Claims (14)

  1. 와이어의 일 단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유닛;
    상기 와이어의 타 단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유닛;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에 토션(torsion)을 인가하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이송시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거나, 상기 와이어에 장력(tension)을 인가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하부 및 상부 고정유닛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된 와이어 전체로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팅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유닛은 하부 단자를 포함하여, 제1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고정유닛은 상부 단자를 포함하여,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히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체로 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팅유닛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만 레이저 빔을 제공하는 빔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는,
    일 방향으로만 상기 와이어로 접근하여 상기 접근 방향에 마주하는 와이어의 국소부위에만 레이저 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일부로 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토션 또는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상부 고정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변형 상태 또는 상기 와이어의 변형 후 탄성 복원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유닛이 위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측정유닛과 일렬로 개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하는 양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KR1020180118273A 2018-10-04 2018-10-04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KR10215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73A KR102159086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73A KR102159086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18A true KR20200038718A (ko) 2020-04-14
KR102159086B1 KR102159086B1 (ko) 2020-09-23

Family

ID=7029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273A KR102159086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0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383A (ko) 2021-09-10 2023-03-20 임채환 지도단어의 개발과 실행 절차 1
EP4206638A1 (en) * 2021-12-29 2023-07-05 Aptiv Electric System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cable bending fatigue
CN117538142A (zh) * 2023-11-17 2024-02-09 中通服慧展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组合电缆的固定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45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KR20240032447A (ko) 2022-09-02 2024-03-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 시험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730A (ja) * 1982-09-21 1984-03-27 Shimadzu Corp 引張りねじり複合試験機
JPH0382933A (ja) * 1989-08-28 1991-04-08 Akio Otsuka 硬脆材料の試験における試験片のチャッキング装置
KR101043292B1 (ko) 2009-09-01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상수의 변경이 가능한 탄성 마운트 장치
KR20130088585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승하강이 조절되는 레이저간섭계를 이용한 두께측정장치
KR101702834B1 (ko) * 2015-06-08 2017-02-08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투과 레이더 장치
KR101776049B1 (ko) * 2016-12-08 2017-09-07 한국기계연구원 유연소자 테스트 장비
KR102018825B1 (ko) * 2018-03-28 2019-09-06 주식회사 진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 및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의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730A (ja) * 1982-09-21 1984-03-27 Shimadzu Corp 引張りねじり複合試験機
JPH0382933A (ja) * 1989-08-28 1991-04-08 Akio Otsuka 硬脆材料の試験における試験片のチャッキング装置
KR101043292B1 (ko) 2009-09-01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상수의 변경이 가능한 탄성 마운트 장치
KR20130088585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승하강이 조절되는 레이저간섭계를 이용한 두께측정장치
KR101702834B1 (ko) * 2015-06-08 2017-02-08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투과 레이더 장치
KR101776049B1 (ko) * 2016-12-08 2017-09-07 한국기계연구원 유연소자 테스트 장비
KR102018825B1 (ko) * 2018-03-28 2019-09-06 주식회사 진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 및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의 작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383A (ko) 2021-09-10 2023-03-20 임채환 지도단어의 개발과 실행 절차 1
EP4206638A1 (en) * 2021-12-29 2023-07-05 Aptiv Electric System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cable bending fatigue
CN117538142A (zh) * 2023-11-17 2024-02-09 中通服慧展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组合电缆的固定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086B1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086B1 (ko)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EP3327422B1 (en) Evaluating device of flexural property of material,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7652467B2 (en) Carrier tray for use with prober
US20080309363A1 (en) Probe assembly with wire probes
KR102155315B1 (ko) 기계적 변형 시험기
CN107003335A (zh) 接触测试装置
CN103364182B (zh) 一种高温环境下测试片弹簧刚度的装置
TW201037328A (en) Method for the testing of circuit boards
JP5089166B2 (ja) プローブカードアナライザにおける部品のたわみの影響を軽減する方法
KR20190024875A (ko) 보상형 기계적 테스트 시스템
CN109564880A (zh) 引线夹紧装置的校准方法及引线接合装置
CN110987689B (zh) 硬度测试器
JP2799973B2 (ja) 垂直作動式プローブカード
JP4891797B2 (ja) 接触式温度計
KR20080063522A (ko) 프로브 홀더 및 프로브 유닛
JP6670144B2 (ja) 電力量計結線器
KR101776049B1 (ko) 유연소자 테스트 장비
CN113916701A (zh) 一种柔性电子复合应变测试装置
TW434761B (en) Wire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92539B1 (ko) 미세 시편의 특성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8663199B (zh) 连接端口测试系统
TW201215895A (en) Vertical probe structure and mounting components thereof
KR200446581Y1 (ko) 프로브 카드의 니들 삽입 장치
KR102437967B1 (ko) 전기전도성 복합소재의 저항측정장치
CN107525470A (zh) 一种光栅位移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