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242A -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8242A KR20200038242A KR1020207002565A KR20207002565A KR20200038242A KR 20200038242 A KR20200038242 A KR 20200038242A KR 1020207002565 A KR1020207002565 A KR 1020207002565A KR 20207002565 A KR20207002565 A KR 20207002565A KR 20200038242 A KR20200038242 A KR 20200038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roasted
- grease
- mass
- he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2199 bas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28 canola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9519 canola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042 decol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238 wet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442132 Lactarius lact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484 Rape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7 dry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fatty acid est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20 french f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856 Lyophyllum decas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194 Lyophyllum decas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UKMSUNONTOPOIO-UHFFFAOYSA-N docos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UKMSUNONTOPO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92 trans-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7 Beh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46 Gossyp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3 Peanu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74 Rice Br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5 Saf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93 Wilcoxon signed-rank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26 beh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13 breadcrum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28 chicken nugge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CTIUHUUMQJHFO-UPTCCGCDSA-N coenzyme Q10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PTCCGCD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71 coenzyme Q10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43 cotto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85 cotton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VJHHUAWPYXKBD-UHFFFAOYSA-N d-alpha-tocopherol Natural products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57 embryonic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8 fish fing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ODTZLFLDFKIQH-FSVGXZBPSA-N gamma-Oryzanol (T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O[C@@H]2C([C@@H]3CC[C@H]4[C@]5(C)CC[C@@H]([C@@]5(C)CC[C@@]54C[C@@]53CC2)[C@H](C)CCC=C(C)C)(C)C)=C1 FODTZLFLDFKIQH-FSVGXZBP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7 hyd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84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21 initi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686 lign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92 lign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08 lign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KQQKGWQCNNTQJW-UHFFFAOYSA-N linol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KQQKGWQCNNTQ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6 palm kern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65 palm kerne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2 pea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5 rice br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5 rice crack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13 saf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3 safflow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56 stea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84 tocoph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95 tocoph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99 tocopher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2 tocophe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HYFQTYBJUILEZ-IUPFWZBJSA-N triole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CCCC PHYFQTYBJUILEZ-IUPFWZBJSA-N 0.000 description 1
- GVJHHUAWPYXKBD-IEOSBIPE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H](C)CCC[C@H](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IEOSBIPE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23L19/18—Roasted or fried products, e.g. snacks or chip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 C11B3/04—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with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 C11B3/06—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with ba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6—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mechan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조리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을 제공한다. 배전유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이다. 또한, 배전유를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이것을 조리용 재료에 부여하여 가열조리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이다. 그 배전유는 옥수수 유래 또는 대두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튀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덴푸라, 프라이 등의 식품의 조리에 사용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덴푸라, 프라이 등의 튀김에는 채종유, 대두유, 옥수수유 등 식용 유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식용 유지를 사용하여 조리한 가열조리 식품에는 유분이 포함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그 기름짐이 소비자에게 꺼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옥소가 35∼58의 팜계 유지와, 옥소가 25∼35의 팜 분별유와 옥소가 100∼130의 액상유를 질량비 80:20∼100:0으로 포함하는 혼합 유지를 에스테르 교환하여 얻어지는 에스테르 교환 유지와, 스테아르산 및/또는 베헤닌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함유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특정 배합량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그 유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리한 도넛, 튀긴 빵, 감자튀김, 프라이드치킨 등의 식품은 기름짐이나 종이에 기름이 많이 묻는 것이 저감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팜계 부분 수소 첨가 유지와, 옥소가 26∼46의 팜 분별유 경질부와, 팜유를 특정 배합량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리한 도넛, 튀긴 빵, 감자튀김, 프라이드치킨 등의 식품은 기름짐이나 페이퍼로의 기름 얼룩이 저감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배전유는 유량(油糧) 원료를 배전함으로써 구수한 풍미가 부여되어, 채종유, 옥수수유, 대두유, 옥수수유 등의 식용 유지와 혼합하여, 각종 식품의 풍미 부여에 이용되거나 하고 있다. 또한, 배전유에는 대두유 등에 특유의 풋내나 변향을 저감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4).
그러나, 특허문헌 1,2에서는 도넛 등의 기름짐을 저감시키기 위해, 수소 첨가 유지나 유화제를 이용하고 있어, 트랜스지방산 등의 건강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의 혼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있었다.
또한, 배전유에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은 종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한 유량 원료로부터 얻어진 배전유를 이용하여, 조리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배전유(roasted oil)에는 유지 조성물을 조리에 사용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배전유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를 0.003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옥수수 유래 또는 대두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적어도 탈검(degumming) 및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9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0분간 초과 90분간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조리 식품은 튀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한편, 배전유를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이것을 조리용 재료에 부여하여 가열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를 상기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 중에 0.0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옥수수 유래 또는 대두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적어도 탈검 및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는 9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0분간 초과 90분간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름짐 저감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조리 식품은 튀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유에 의해, 그 배전유를 함유시킨 유지 조성물로 가열조리한 식품에 기름짐의 저감 효과가 초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전유로서는, 유량 원료를 배전한 다음 압착·추출하거나 하여 얻어지는, 식품에 사용 가능한 일반적인 배전유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옥수수(예를 들면, 옥수수 배아), 대두, 참깨, 채종, 면실 등을 유량 원료로 하고, 그것을 배전한 다음 압착·추출하거나 하여 얻어지는 배전유를 들 수 있다. 배전유는 1종류를 단품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옥수수 배아나 대두를 유량 원료로 하면, 보다 우수한 기름짐 저감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옥수수 배아는 옥수수 알갱이로부터 배아부를 건식으로 분급·분별하는, 소위 드라이 밀링의 수법으로 얻어진 것을 사용해도 되고, 습식으로 분급·분별하는, 소위 웨트 밀링의 수법으로 얻어진 것을 사용해도 되므로,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웨트 밀링의 수법으로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드라이 밀링의 수법으로 얻어지는 옥수수 배아로서는, 옥수수 알갱이의 제분 공정의 산물로서 얻어지는 옥수수 배아를 들 수 있다. 한편, 웨트 밀링 공정의 일례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희박한 아황산 용액에 옥수수 알갱이를, 예를 들면 대략 48시간 정도 침지시켜, 옥수수 알갱이를 팽윤시킨다. 이때, 1종의 젖산발효에 의해, 배유부를 싸고 있는 단백질막이 분해되고, 더 나아가서는 배아부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그 후, 배아부를 될 수 있는 한 파괴하지 않도록 조쇄(粗碎)하면, 배유부는 수분을 포함하여 하부로 침강하고, 유분을 많이 포함하는 배아부는 상부에 모이기 때문에, 그 비중차를 이용하여 상부에 모인 배아부를 회수한다. 회수한 배아부를 건조시킴으로써 옥수수 배아가 얻어진다.
유량 원료를 배전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배전 수단에 의해 행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목적하는 유량 원료를, 예를 들면 전열, 열풍, 버너, 마이크로파 등의 가열수단을 구비한 배전장치에 의해 적당히 배전할 수 있다. 배전 조건은 그 원료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9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며, 140℃ 이상 165℃ 이하에서 배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배전 시 유지시간은 적당히 설정하면 되는데, 상기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전을 종료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90분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분간 초과 90분간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분간 이상 90분간 이하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분간 이상 90분간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분간 이상 60분간 이하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배전 조건이 지나치게 완화되면, 기름짐의 저감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경향이 있는 한편, 배전 조건이 지나치게 과잉이면, 초취(화독내)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전유로서는, 유량 원료를 배전한 다음 압착·추출 등의 착유로 얻어지는 원유 외에, 그 원유에 정제 처리를 행하여 이루어지는 정제유 형태의 배전유를 사용해도 된다. 정제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처리를 들 수 있고, 그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정제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탈검 및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정제 처리에 의하면, 유량 원료를 배전한 것에 기인하는 초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전한 유량 원료의 향기나 풍미, 색소 등이 제거되어, 그러한 원료 유래의 성질을 좋아하지 않는 경우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탈검 처리는 유분 중에 포함되는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질을 수화 제거하는 공정이다. 탈산 처리는 알칼리수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분 중에 포함되는 유리 지방산을 비누 성분으로서 제거하는 공정이다. 탈색 처리는 유분 중에 포함되는 색소를 활성 백토 등에 흡착시켜서 제거하는 공정이다. 탈취 처리는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 등을 함으로써 유분 중에 포함되는 유취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이하, 간단히 「기름짐 저감제」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유효성분으로서 상기에 설명한 배전유를 함유하고, 이것을 유지 조성물로 가열조리하는 가열조리 식품에 적용하여, 그 기름짐을 저감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이하, 간단히 「기름짐 저감방법」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상기에 설명한 배전유를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그것에 의해 가열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름짐」이란, 일반적으로 소비자나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용어의 의미와 상이한 바는 없고, 구체적으로는 먹었을 때 입 안에 남는 기름의 끈적임이나, 먹은 후에 오래 입 안에 기름을 느끼는 뒷맛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배전유를(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합계의 함유량으로) 0.003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유지 조성물로 가열조리하는 가열조리 식품에 유효량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기름짐 저감제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 이외의 성분을 함유해도 되고, 그 경우, 그 성분으로서는 그 배전유와 상용성을 가져 그것을 잘 분산시킬 수 있는 매체의 성질을 갖는 성분이라면, 덴푸라 오일, 프라이 오일 등의 유지 조성물에 혼합이 용이하거나, 배전유의 농도를 조절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그대로의 형태로, 가열조리 식품을 가열조리하는 유지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배전유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식용 유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용 유지로서는, 상기 배전유 이외의 식용의 것을 적당히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두유, 채종유, 팜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참기름, 홍화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미강유, 낙화생유, 팜핵유, 야자유 등의 식물 유지, 우지, 돈지, 계지 등의 동물 유지,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 유지에 분별, 수소 첨가, 에스테르 교환 등을 행한 가공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식용 유지는 1종류를 단품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그중에서도, 기름짐 저감 효과 면에서, 대두유, 채종유, 해바라기유, 팜올레인, 옥수수유 등의 옥소가가 50 이상인 유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60 질량% 이상 배합한 식용 유지가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배합한 식용 유지가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대두유 및 채종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60 질량% 이상 배합한 식용 유지가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배합한 식용 유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용 유지는 유량 원료로부터 압착, 추출 등의 착유로 얻어진 원유로부터, 추가로 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탈취 처리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정제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및 탈취 처리의 모든 정제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제 처리에 의하면, 원료의 향기나 풍미, 색소 등이 제거되어, 그러한 원료 유래의 성질을 좋아하지 않는 경우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탈취 처리 등의 정제 처리의 의의에 대해서는, 배전유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용 유지의 함유량(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합계의 함유량)으로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기름짐 저감제 중에 0 질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며, 9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상기 배전유와 식용 유지의 합계가 100 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름짐 저감제의 물의 함유량은 1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용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라면, 항산화제, 유화제, 향료, 소포제 등의 첨가 소재를 추가로 배합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리그난, 코엔자임 Q, γ-오리자놀, 토코페롤,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아래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을 위한 유효성분인 배전유의 바람직한 사용 태양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를 특별히 그 사용 태양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사용 태양에 상관없이, 배전유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용도를 위한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배전유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용도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배전유를, 예를 들면 덴푸라 오일, 프라이 오일 등의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이것을 조리용 재료에 부여하여 가열조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식용 유지 등이다. 또한, 상기 배전유의 함유량(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합계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 중에 0.0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3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며, 0.3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그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로 가열조리하는 가열조리 식품에 상기 배전유를 유효량으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배전유의 향기, 풍미, 색소 등의 성질을 좋아하지 않는 경우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덴푸라, 감자튀김, 해시 브라운, 크로켓, 튀긴 고기 및 생선(가라아게), 돈가스, 생선 튀김, 콘도그, 치킨 너겟, 유부, 도넛, 튀긴 빵, 크루통, 튀긴 쌀과자, 스낵 과자, 즉석라면 등의 튀김 음식으로 이루어지는 가열조리 식품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덴푸라와 같이 반죽을 사용하는 가열조리 식품이나 크로켓과 같이 빵가루를 사용하는 가열조리용 식품은, 본 발명이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이다. 그 가열조리 식품을 조리하는 태양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을 위한 유효성분인 배전유를 사용하여, 각각의 가열조리 식품의 종류에 따라 그 가열조리 식품에 적합한 방법으로, 적당히 목적하는 태양으로 가열조리를 행하면 된다. 즉, 상기 배전유,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기름짐 저감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용 재료에, 그 온도를 전형적으로는 140℃∼200℃, 보다 전형적으로는 150℃∼190℃로 한 상태에서 튀기는 등의 가열조리를 행하면 된다.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전유)
표 1에 사용한 배전유를 나타낸다.
배전은 가스 버너를 가열 수단으로서 구비한 배전장치를 사용해서 행하였다.
또한, 배전유로서는, 유량 원료로부터 압착·추출한 원유 외에,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의로 정제 처리를 행한 것을, 추가로 조제하였다.
(가열조리 식품)
가열조리 식품으로서는 아래와 같이 튀김 음식을 조리하였다.
(1) 튀김 조각(Deep-fried flour batter):튀김가루(상품명 「코츠노 이라나이 덴푸라코」 닛신 푸즈 주식회사 제조)를 사용하여 반죽을 조제하고, 170℃에서 3분간 튀겼다.
(2) 흰살 생선 튀김(Fish fingers):냉동 흰살 생선 튀김(주식회사 야치요 상사 제조)을 170℃에서 3분간 튀겼다.
(3) 크로켓:냉동 크로켓(상품명 「NEW 포테토 크로켓」 아지노모토 냉동식품 주식회사 제조)을 170℃에서 3분간 튀겼다.
(4) 크루통:샌드위치용 빵(상품명 「쵸쥬쿠 산도이치요」 시키시마 제빵 주식회사 제조)을 한변 2 ㎝ 정도의 주사위모양으로 커트하여, 170℃에서 20초간 튀겼다.
(평가)
업무용으로 반복 조리에 사용되는 상황을 모방하여, 시험유를 180℃에서 5시간 가열한 후, 그 시험유로 각 가열조리 식품을 조리하고,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전문 패널 2인으로 행하고, 아래의 평가기준에 따라, 배전유를 첨가하지 않는 베이스 오일로 조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양 패널의 합의하에 점수 부여를 행하였다.
<기름짐 평가>
5: 기름짐이 대단히 저감되어 있다
4: 기름짐이 상당히 저감되어 있다
3: 기름짐이 저감되어 있다
2: 기름짐이 다소 저감되어 있다
1: 기름짐이 저감되어 있지 않다
<초취의 평가>
5:초취가 매우 약하거나, 또는 느끼지 않는다
4:초취가 약하다
3:초취가 다소 약하다
2:초취를 강하게 느낀다
1:초취를 매우 강하게 느낀다
[시험예 1]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주식회사 제이-오일 밀스 제조;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및 탈취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것, 이하 동일)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각 배전유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해서,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 흰살 생선 튀김, 또는 크로켓을 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그 결과, 카놀라유에 배전유를 0.3 질량% 배합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가열조리한 튀김 조각, 흰살 생선 튀김, 크로켓에 있어서는, 배전유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기름짐이 저감되어 있었다. 특히, 웨트 밀링으로 얻어진 옥수수 배아나 대두에 유래하는 배전유를 사용하면 기름짐의 저감 효과가 높고, 옥수수 배아에 유래하는 배전유에서 현저하였다. 또한, 튀김 조각에 있어서의 초취의 평가결과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배전유는 적어도 탈검과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의 형태라면, 압착했을 뿐인 착유의 형태에 비해, 기름짐의 저감 효과는 그대로, 초취가 보다 저감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시험예 2]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003 질량%, 0.03 질량%, 0.3 질량%, 0.5 질량%, 1 질량%, 3 질량%, 또는 5 질량%가 되도록 농도를 변경하여,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옥수수 배아(웨트))(정제 형태:탈취)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을 조리하여, 얻어진 튀김 조각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그 결과, 웨트 밀링으로 얻어진 옥수수 배아에 유래하는 배전유에서는, 0.003 질량%의 배합량에서도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3]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 0.5 질량%, 1 질량%, 3 질량%, 또는 5 질량%가 되도록 농도를 변경하여, 전술한 배전 대두유(정제 형태:탈취)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 또는 흰살 생선 튀김을 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그 결과, 대두에 유래하는 배전유에서는, 0.3 질량% 이상의 배합량에서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4]
베이스 오일로서 고올레산 저리놀렌산 카놀라유(주식회사 제이-오일 밀스 제조;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및 탈취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것, 이하 「HOLL」이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각 정제 형태의 배전 옥수수유(W)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을 조리하여, 얻어진 튀김 조각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그 결과, 시험예 1∼3에서 카놀라유를 베이스 오일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오일로서 HOLL을 사용한 경우에도, 배전유에 의한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또한, 초취가 낮다는 점에서, 탈색 공정을 거친 배전유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정제 형태:착유)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크루통을 조리하여, 얻어진 크루통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그 결과, 크루통에 있어서도, 배전유에 의해 기름짐이 저감되었다. 단, 배전유가 압착했을 뿐인 착유이기 때문에, 초취의 발생이 현저하였다.
[시험예 6]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 50 질량부와 대두유(주식회사 제이-오일 밀스 제조;탈검 처리, 탈산 처리, 탈색 처리 및 탈취 처리를 행하여 이루어지는 것) 50 질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유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정제 형태:탈취)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 흰살 생선 튀김, 또는 크로켓을 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그 결과, 시험예 1∼3에서 카놀라유를 베이스 오일로 한 경우나 시험예 4에서 HOLL을 베이스 오일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와 대두유의 혼합유를 사용한 경우에도, 배전유에 의한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7]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정제 형태:탈취)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 흰살 생선 튀김, 또는 크로켓을 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그 결과, 시험예 1∼3에서 카놀라유(소포제로서 실리콘 함유)를 베이스 오일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오일로서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는 카놀라유를 사용한 경우에도, 배전유에 의한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8]
배전유로서,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정제 형태:탈취) 80 질량부와 배전 옥수수유(D)(정제 형태:탈취) 20 질량부를 혼합하여, 배전 옥수수유의 혼합유를 조제하였다.
한편, 베이스 오일로서는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03 질량%, 0.3 질량%, 1 질량%, 3 질량%, 또는 5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의 혼합유(정제 형태:탈취)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 시험유로 튀김 조각, 흰살 생선 튀김, 또는 크로켓을 조리하여, 얻어진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가열조리 식품의 조리와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그 결과, 배전유로서, 웨트 밀링으로 얻어진 옥수수 배아에 유래하는 배전유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드라이 밀링으로 얻어진 옥수수 배아에 유래하는 배전유를 병용한 경우에도, 배전유에 의한 기름짐 저감 효과가 보였다.
[시험예 9]
배전유로서,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 즉 웨트 밀링 유래의 옥수수 배아를 150℃에서 30분간 배전하고, 이것을 압착해서 착유하여 얻어진 배전유(정제 형태:착유) 대신에, 아래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의로 배전 조건을 변경하여 얻어진, 웨트 밀링 유래의 옥수수 배아를 유량 원료로 하는 배전 옥수수유(정제 형태:착유)를 사용하였다.
한편, 베이스 오일로서는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농도 0.3 질량%가 되도록, 상기 배전 옥수수유(정제 형태:착유)를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고, 그밖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조리 식품을 먹었을 때의 기름짐과 초취를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웨트 밀링 유래의 옥수수 배아로부터 배전 처리를 행하지 않고, 압착해서 착유하여 얻어진 비-배전 옥수수유(정제 형태:착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그 결과, 유량 원료를 배전하지 않으면, 기름짐의 저감 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으로, 배전 조건이 지나치게 과잉이면, 초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시험예 10]
베이스 오일로서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베이스 오일에 전술한 배전 옥수수유(W)(옥수수 배아(웨트))(정제 형태:탈취)를 농도 0.4 질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험유로 하였다. 대조유로서, 카놀라유에 소포제로서 실리콘을 3 ppm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유 및 대조유로 튀김 조각을 튀겨서 먹었을 때의 기름짐을 평가하였다. 튀김 조각은 전술한 튀김가루(상품명 「코츠노 이라나이 덴푸라코」 닛신 푸즈 주식회사 제조)를 사용하여 반죽을 조제하고, 180℃에서 3분간 튀김으로써 조제하였다. 평가는 180℃로 가열한 직후 및 180℃에서 32시간 가열 후의 시험유 및 대조유에서, 표 12에 기재된 수의 전문 패널로 행하고, 아래의 평가기준에 따라 6단계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의 평균점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추가로 Wilcoxon 검정에 의해 유의차 검정을 행하였다.
(평가기준)
5: 기름짐이 매우 강하다
4: 기름짐이 강하다
3: 기름짐이 다소 약하다
2: 기름짐이 약하다
1: 기름짐이 매우 약하다
0: 기름짐을 느끼지 않는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그 결과, 동일한 평가시기에 평가한 경우, 배전 옥수수유를 첨가한 시험유로 튀긴 튀김 조각은 배전 옥수수유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보다도 기름짐이 억제되었다. 또한, 유의차 검정 결과, 180℃로 가열한 직후의 대조유와 시험유에서는, 위험률 1%로 유의차가 있었다. 또한, 180℃에서 32시간 가열 후의 대조유와 시험유에 대해서는, 위험률 5%로 유의차가 있었다.
Claims (14)
- 배전유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를 0.003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옥수수 유래 또는 대두 유래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적어도 탈검 및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9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0분간 초과 90분간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리 식품은 튀김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 배전유를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이것을 조리용 재료에 부여하여 가열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를 상기 가열조리용 유지 조성물 중에 0.0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시키는,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옥수수 유래 또는 대두 유래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적어도 탈검 및 탈산 처리가 행하여져 이루어지는 정제유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90℃ 이상 180℃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유는 0분간 초과 90분간 이하에서 배전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에 유래하는 것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리 식품은 튀김인,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53548 | 2017-08-08 | ||
JPJP-P-2017-153548 | 2017-08-08 | ||
PCT/JP2018/021203 WO2019031035A1 (ja) | 2017-08-08 | 2018-06-01 | 加熱調理食品の油っぽさ低減剤及び加熱調理食品の油っぽさ低減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8242A true KR20200038242A (ko) | 2020-04-10 |
Family
ID=6527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2565A KR20200038242A (ko) | 2017-08-08 | 2018-06-01 |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67523A1 (ko) |
JP (1) | JP7171577B2 (ko) |
KR (1) | KR20200038242A (ko) |
CN (1) | CN110996673A (ko) |
PH (1) | PH12020500179A1 (ko) |
SG (1) | SG11202000845QA (ko) |
TW (1) | TW201909754A (ko) |
WO (1) | WO20190310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66708A1 (ja) * | 2018-09-25 | 2020-04-02 | 株式会社J-オイルミルズ | 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油っぽさ低減剤、加熱臭抑制剤、調理用食用油脂の製造方法、油っぽさ低減方法、加熱臭抑制方法、食品の製造方法 |
US20230089540A1 (en) * | 2020-02-28 | 2023-03-23 | J-Oil Mills, Inc. | Oiliness-reducing agent, edible oil and fat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iliness-reducing agent, and method for reducing oiliness of food product |
US20240081361A1 (en) * | 2021-01-27 | 2024-03-14 | J-Oil Mills, Inc. | Coloration inhibitor, method for producing coloration inhibitor, edible oil and fat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coloration of food produc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4266A (ja) | 2005-01-31 | 2006-08-10 | Nisshin Oillio Group Ltd | 焙煎大豆油及び焙煎大豆油の製造方法 |
WO2009028483A1 (ja) | 2007-08-31 | 2009-03-05 |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 油脂組成物 |
JP2012019700A (ja) | 2010-07-12 | 2012-02-02 | J-Oil Mills Inc | 油脂組成物 |
JP2013243958A (ja) | 2012-05-25 | 2013-12-09 | J-Oil Mills Inc | 油脂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22260A (en) * | 1932-12-06 | 1938-06-28 | Landon C Moore | Deodorizing and bleaching oils |
US2282817A (en) * | 1941-01-08 | 1942-05-12 | Musher Foundation Inc | Treatment of refined wet processed corn germ oil |
CA2021850A1 (en) * | 1990-06-21 | 1991-12-22 | Larry D. Halstead | Flavorful frying oil with long frylife |
JPH05168404A (ja) * | 1991-12-20 | 1993-07-02 | Kao Corp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 |
JP4507361B2 (ja) * | 2000-07-13 | 2010-07-21 | 昭和産業株式会社 | 揚げ物ころも用粉 |
JP4526497B2 (ja) * | 2006-03-03 | 2010-08-18 |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 油脂組成物 |
GB2441132A (en) * | 2006-06-28 | 2008-02-27 | Pronova Biocare As | Process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 of natural oils using a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
JP5095867B1 (ja) * | 2012-02-02 | 2012-12-12 |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 油脂組成物 |
JP6043095B2 (ja) * | 2012-05-30 | 2016-12-14 |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 香気性透明乳化食品 |
JP6232325B2 (ja) * | 2014-03-26 | 2017-11-15 |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食品 |
JP6801958B2 (ja) * | 2015-12-24 | 2020-12-16 |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 焙煎油の製造方法、及び食用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JP5987128B1 (ja) * | 2016-01-25 | 2016-09-07 |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 使用済み食用油の酸価低減のための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使用済み食用油の再生処理方法 |
KR101980700B1 (ko) * | 2017-05-31 | 2019-05-22 |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 식용유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6-01 CN CN201880049973.0A patent/CN110996673A/zh active Pending
- 2018-06-01 WO PCT/JP2018/021203 patent/WO201903103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01 SG SG11202000845QA patent/SG11202000845QA/en unknown
- 2018-06-01 JP JP2019535617A patent/JP7171577B2/ja active Active
- 2018-06-01 KR KR1020207002565A patent/KR20200038242A/ko unknown
- 2018-06-01 US US16/635,190 patent/US202003675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7-27 TW TW107126169A patent/TW201909754A/zh unknown
-
2020
- 2020-01-24 PH PH12020500179A patent/PH12020500179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4266A (ja) | 2005-01-31 | 2006-08-10 | Nisshin Oillio Group Ltd | 焙煎大豆油及び焙煎大豆油の製造方法 |
WO2009028483A1 (ja) | 2007-08-31 | 2009-03-05 |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 油脂組成物 |
JP2012019700A (ja) | 2010-07-12 | 2012-02-02 | J-Oil Mills Inc | 油脂組成物 |
JP2013243958A (ja) | 2012-05-25 | 2013-12-09 | J-Oil Mills Inc | 油脂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996673A (zh) | 2020-04-10 |
PH12020500179A1 (en) | 2020-09-14 |
US20200367523A1 (en) | 2020-11-26 |
SG11202000845QA (en) | 2020-02-27 |
JP7171577B2 (ja) | 2022-11-15 |
TW201909754A (zh) | 2019-03-16 |
JPWO2019031035A1 (ja) | 2020-09-10 |
WO2019031035A1 (ja) | 2019-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14243B (zh) | 口感改良油脂組成物 | |
JP5464950B2 (ja) | 加熱調理用油脂 | |
JP4786586B2 (ja)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 | |
JP7352562B2 (ja) | 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油っぽさ低減剤、加熱臭抑制剤、調理用食用油脂の製造方法、油っぽさ低減方法、加熱臭抑制方法、食品の製造方法 | |
List | Processing and food uses of peanut oil and protein | |
KR20200038242A (ko) |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제 및 가열조리 식품의 기름짐 저감방법 | |
JP6125819B2 (ja) | 食用油脂 | |
JP7118070B2 (ja)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の加熱臭抑制剤、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の加熱臭抑制方法、及び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JP4171136B2 (ja) | フライ調理食品用食材およびフライ食品 | |
JP5823894B2 (ja) | 被覆用油脂 | |
JP5825858B2 (ja) | パーム系油脂含有油脂 | |
WO2019003930A1 (ja) | 油脂組成物、該油脂組成物を用いた食品の製造方法及び食品の風味改善方法 | |
TW201841570A (zh) | 食用油脂組成物的製造方法及食材的嫌惡風味的遮蓋方法 | |
JP5823684B2 (ja) | 加熱調理用油脂 | |
JP5868591B2 (ja) | 製菓製パン用油脂組成物 | |
JP7102110B2 (ja) | 吸油低減剤、吸油低減方法および揚げ物用油脂組成物 | |
CN109561706A (zh) | 油炸食品用油脂组合物、油炸食品用油脂组合物的制备方法、油炸食品的制备方法、及赋予油炸食品乳酪风味的方法 | |
JP7000071B2 (ja)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 | |
JP2023119550A (ja) |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加熱調理食品、加熱調理食品の油っぽさ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加熱調理食品に香ばしさを付与する方法 | |
TW202139848A (zh) | 油膩度減低劑、食用油脂組成物、油膩度減低劑的製造方法及食品的油膩度減低方法 | |
TW202304310A (zh) | 食用油脂組成物、特異風味抑制方法、特異風味抑制劑及炸物之製造方法 | |
JP2024031480A (ja) | ノンフライ食品用の衣材 | |
JP2022046129A (ja) | フライ調理食品のサクミ感向上方法 | |
JP2022014209A (ja) | 肉様食品用油脂組成物 | |
TW202037273A (zh) | 加熱烹調用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