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030A -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030A
KR20200037030A KR1020180116627A KR20180116627A KR20200037030A KR 20200037030 A KR20200037030 A KR 20200037030A KR 1020180116627 A KR1020180116627 A KR 1020180116627A KR 20180116627 A KR20180116627 A KR 20180116627A KR 20200037030 A KR20200037030 A KR 2020003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vel
wireless terminal
user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11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030A/ko
Publication of KR2020003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따르면,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기록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Method for Auto-recording Travel Information}
본 발명은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와 연동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근래 들어 국내외로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터넷이나 서적을 통해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는 여행 인구와 더불어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1540호(2015년 09월 04일 공개)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경로 설정 및 안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광지와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경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여행 중에는 활성화되어 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여행목적에 맞는 자신만의 여행경로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특허의 경우, 경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행하고자 하는 관광지들과 그 관광순서, 그리고 유명한 식당과 숙소 등을 용이하게 선택한 후 이를 자신의 여행목적에 맞는 자신만의 여행경로로 설정하는 것이었다. 즉, 기 설정된 코스를 추천하고 설정하는 것일 뿐, 실제 여행자의 여행 경로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등록하여 기록할 수는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와 연동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은,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기록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에 앱 설치 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회원관리D/B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과 앱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회원관리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복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생성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상기 확인된 제n 여행 경로 등록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를 비교 분석하여 경로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경로 유사도가 지정된 기준 유사도 이하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로관리D/B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획득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개인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이동 경로 뿐만 아니라, 지형 상의 특징, 난이도, 경사도 등을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여행 정보를 기존 다른 사용자의 여행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자동 기록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여행 정보 자동 기록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여행 경로 정보를 자동 생성 및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 기록하기 위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지정된 앱(255)을 설치 실행하는 무선단말(200)과,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측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255)을 설치 실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앱(255)을 설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여행 정보를 자동 생성 및 기록하기 위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무선단말(2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상기 여행 정보를 자동 생성 및 기록하기 위한 기능이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등록하는 회원정보 등록부(105)와, 사용자의 여행 내역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저장 확인부(11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5)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생성 확인부(120)와,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25)와, 생성된 여행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1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회원관리D/B(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회원관리D/B(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 확인부(115)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저장 확인부(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정보저장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 저장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 확인부(120)는 상기 정보 저장부(16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 등이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저장된 이후,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생성 확인부(1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 생성부(125)는 상기 정보생성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이 확인되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12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5)를 통해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12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5)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 및 여행 시간정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150)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150)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0분 여행하고, 5분 쉬고, 10분 여행하는 경우, 5분 쉰 동안의 위치정보는 경로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소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150)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획득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30)는 상기 정보 생성부(125)를 통해 여행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50)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무선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주변에 등록된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 제공하는 경로등록정보 제공부(135)와, 상기 확인된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현재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유사한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는 경로등록정보 확인부(140)와, 상기 확인된 유사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여행 경로와 비교하여 경로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145)와, 현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1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등록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로등록정보 확인부(140)는 상기 정보 생성부(125)를 통해 여행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산출부(145)는 상기 경로등록정보 확인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상기 확인된 제n 여행 경로 등록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를 비교 분석하여 경로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유사도 산출부(145)를 통해 상기 산출된 경로 유사도가 지정된 기준 유사도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자동 기록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며, 사용자의 여행 정보 자동 기록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측위시간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 획득시간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무선단말(200)의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200)에 설치되는 앱(25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무선단말(2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5)와 메모리부(250)와 화면 출력부(210)와 사용자 입력부(215)와 사운드 처리부(220)와 카메라부(225)와 무선망 통신부(230)와 근거리망 통신부(235)와 USIM 리더부(240)와 위치 측위부(24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55)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5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20)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225)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225)는 시선 방향의 피사체 중 지정된 화각 내의 피사체에 대한 광학 신호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2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품질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와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은 무선망 통신부(230)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24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4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부(24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위부(245)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와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제어부(20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앱(2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2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또는 상기 앱(255)을 설치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99)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99)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운영서버(199)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99)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앱(255)을 설치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이륜이동수단 고유정보(명칭, 종류, 일련번호 등), 사용자 장비정보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이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26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획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획득정보 제공부(265)와, 상기 운영서버(100)로 사용자의 여행 내역 저장을 요청하는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경로등록정보 수신부(275)와,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촬영정보 제공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6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획득정보 제공부(265)는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을 요청하는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로등록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경로등록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제공부(28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25)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와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제공부(28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2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에 여행 경로 정보 생성을 위한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상기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또는 그 이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하면(3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등록한다(310). 이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315).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명령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 저장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32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325).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330).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한다(3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가 생성하는 여행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여행 경로정보 및 여행 시간정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0분 여행하고, 5분 쉬고, 10분 여행하는 경우, 5분 쉰 동안의 위치정보는 경로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소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획득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행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등록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측위정보 및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정보 및 획득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에 여행 경로 정보 생성을 위한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
상기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또는 그 이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4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등록한다(410). 이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415).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명령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여행 내역 저장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42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425).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고(430), 상기 확인된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 제공한다(435).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수신하고(440), 상기 수신된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여 표시한다(44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여행 정보 자동 기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여행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또는 그 이후,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에 포함된 여행 경로 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기 등록된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두 개의 여행 경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산출되는 경로 유사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경로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여행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및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정보 및 획득시간정보가 주기적으로 저장된 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500).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로부터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한다(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된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가 생성하는 여행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여행 경로정보 및 여행 시간정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0분 여행하고, 5분 쉬고, 10분 여행하는 경우, 5분 쉰 동안의 위치정보는 경로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소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획득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여행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한다(510).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상기 확인된 제n 여행 경로 등록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를 비교 분석하고(515),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상기 확인된 제n 여행 경로 등록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 간의 경로 유사도를 산출한다(520).
상기 경로 유사도가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산출된 경로 유사도가 지정된 기준 유사도 이하인지 확인하고(525), 만약, 상기 산출된 경로 유사도가 지정된 기준 유사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생성한다(53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35).
100 : 운영서버 105 : 회원정보 등록부
110 : 정보저장 확인부 115 : 정보 저장부
120 : 정보생성 확인부 125 : 정보 생성부
130 : 정보 등록부 135 : 경로등록정보 제공부
140 : 경로등록정보 확인부 145 : 경로유사도 산출부
150 : 저장매체
200 : 무선단말 255 : 앱

Claims (16)

  1. 도보나 이륜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s개의 획득정보와 각 획득 시점의 획득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이용한 여행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여행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획득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에 대응하는 여행 경로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 경로를 여행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여행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생성된 여행 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기록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에 앱 설치 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회원관리D/B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과 앱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회원관리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여행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복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생성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N개의 여행 경로 등록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n(1≤n≤N)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의 이동 경로와 상기 확인된 제n 여행 경로 등록정보에 포함된 이동 경로를 비교 분석하여 경로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경로 유사도가 지정된 기준 유사도 이하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로관리D/B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하강 경사구간에서 지면과 신발의 마찰력에 의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정보는,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사진정보,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사진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카메라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정보를 획득한 획득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획득시간정보와 획득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여행 정보의 생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획득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획득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1020180116627A 2018-09-28 2018-09-28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20200037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27A KR20200037030A (ko) 2018-09-28 2018-09-28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27A KR20200037030A (ko) 2018-09-28 2018-09-28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030A true KR20200037030A (ko) 2020-04-08

Family

ID=7027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27A KR20200037030A (ko) 2018-09-28 2018-09-28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5674A (zh) * 2021-05-12 2021-08-06 北京红山信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指纹定位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5674A (zh) * 2021-05-12 2021-08-06 北京红山信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指纹定位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93B1 (ko) 모바일 단말의 자세 정보에 따라 구분된 인증값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5223436A (ja) 携帯端末及び位置情報交換システム
JP5435067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65921B1 (ko)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CN107705576A (zh) 车辆套牌检测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952623B1 (ko) 개인정보 보호처리된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7007543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gps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방법
WO2019064636A1 (ja) 運行管理方法、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37032A (ko) 여행 안전 지수 산출 방법
KR20200037030A (ko)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102397989B1 (ko) 공유 전동 킥보드 매칭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
KR20200037004A (ko)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여행 정보 등록 방법
KR20200037033A (ko) 여행 경로 제공 방법
KR20200009951A (ko) 라이더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라이딩 정보 등록 방법
US201800983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pairing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obile devices
KR20200009952A (ko) 개인 라이딩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20200008915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이륜이동수단을 위한 오프로드 경로 등록 방법
KR102565922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경로 정보 생성 방법
KR102611406B1 (ko) 이륜이동수단을 위한 라이딩 경로 정보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37031A (ko) 여행 지수 산출 방법
KR101298071B1 (ko)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00009954A (ko) 라이딩 안전 지수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