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21B1 -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21B1
KR102565921B1 KR1020180085063A KR20180085063A KR102565921B1 KR 102565921 B1 KR102565921 B1 KR 102565921B1 KR 1020180085063 A KR1020180085063 A KR 1020180085063A KR 20180085063 A KR20180085063 A KR 20180085063A KR 102565921 B1 KR102565921 B1 KR 10256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ding
route
piece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955A (ko
Inventor
최성훈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임스
Priority to KR102018008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따르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Method for Recommending Riding Course}
본 발명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륜이동수단의 대표적인 예는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들 수 있다. 최근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즐겨 타는 인구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라이더의 무선단말을 통해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타는데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앱들의 대부분은 단순히 현재의 위치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의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1980호(2008년 12월 24일 공개)는 오토바이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토바이에 장착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오토바이의 특성상 운행 중에 소음 및 헬멧으로 인해 네비게이션의 안내를 듣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헬멧과 통신하여 네비게이션 안내를 해주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1606호(2014년 07월 21일 공개)는 전자 지도에 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코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도 상의 오프로드 구간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코스트 데이터를 사용자의 신체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하되,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하되,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된 p(1≤p<N)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P-p)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소요시간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확인/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난이도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로 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각기 조합된 구간 별로 조합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라이딩 정보와 연계 저장된 우호 댓글수 정보나 우호 반응도 정보나 우호 추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하나의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며,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상기 결정된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는,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브레이크 조작에 위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감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한 후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지구의 중력 방향과 수직한 평지 위에 상기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세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센싱한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기준 중력 방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상기 센싱된 중력 방향 센싱정보와 상기 기준 중력 방향 정보 사이의 각도 차이에 대응하는 각 구간 별 경사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된 p(1≤p<N)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P-p)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통해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되지 않은 j(j≥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j)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j)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효 라이딩 상태는, 주기적 페달링(Pedaling)에 대응하는 주기적 페달링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센싱한 상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중력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소요시간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확인/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난이도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로 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각기 조합된 구간 별로 조합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는, 상기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하나 이사의 경사도 정보에 근거한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라이딩 정보와 연계 저장된 우호 댓글수 정보나 우호 반응도 정보나 우호 추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하나의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며,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상기 결정된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이동수단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에 탑승한 라이더가 소지한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더가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이용한 라이딩한 개인 라이딩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구간 별 속도, 지형 상의 특징, 구간 별 고도, 난이도, 경사도 등을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라이딩 정보를 기존 다른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라이더들의 라이딩 정보를 이용하여 단순히 최단거리나 최단시간이 아니라, 주변 환경(경치, 맛집, 라이딩 난이도), 라이딩 경험이나 능력, 라이더들이 주로 다니는 경로 등을 고려하여 라이더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추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정보 등록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시계열적 관계에 따른 상기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의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조합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 추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가 타고 있는 이륜이동수단에 거치되어,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를 자동 기록하기 위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지정된 앱(255)을 설치 실행하는 무선단말(200)과,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라이딩 정보 등록을 위한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의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조합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측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가 타고 있는 이륜이동수단에 거치되는 무선단말(200)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이륜이동수단에 탑승한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라이딩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는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또는 라이더)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하는 기능, 라이딩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255)을 설치 실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앱(255)을 설치한 라이더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라이딩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의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무선단말(2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딩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의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능이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시계열적 관계에 따른 상기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하는 라이딩정보 등록부(105)와,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예정경로 확인부(110)와, 확인된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추천경로 결정부(115)와, 상기 결정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 제공하는 저장하는 추천경로 제공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저장매체(또는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라이더에 대한 라이더 고유정보와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하는 이륜이동수단에 대한 라이더 장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회원관리D/B(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라이더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라이더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회원관리D/B(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라이딩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딩 내역에 대한 자동 저장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저장 확인부(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거리와 이동시간과 이동속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위치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이동정보의 위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관성 이동 패턴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설정된 라이딩 내역의 자동 저장 옵션을 근거로 상기 라이딩 내역의 저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성 이동 패턴은 라이더가 페달을 밟은 후 또는 밟지 않더라도 지정된 시간 이상 등속 이동하거나 바닥과 바퀴 사이의 마찰력에 선형적으로 감속하는 감속 운동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 저장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s개의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정보는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브레이크 조작에 위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감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단말(200)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한 후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지구의 중력 방향과 수직한 평지 위에 상기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세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센싱한 정보를 판독하여 기준 중력 방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헬멧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 제공된 m(m≥1)개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50)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125)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12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 등이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저장된 이후,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을 이용한 라이딩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라이딩 정보의 생성이 확인되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한 라이딩 경로에 대응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라이더가 상기 라이딩 경로를 라이딩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정보와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 영상정보 별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나 구간과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상기 센싱된 중력 방향 센싱정보와 상기 기준 중력 방향 정보 사이의 각도 차이에 대응하는 각 구간 별 경사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하나 이상의 사진정보와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가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정보와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나 구간과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및 라이딩 시간정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0분 라이딩하고, 5분 쉬고, 10분 라이딩하는 경우, 5분 쉰 동안의 위치정보는 경로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소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된 p(1≤p<N)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P-p)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통해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되지 않은 j(j≥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j)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j)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 라이딩 상태는 주기적 페달링(Pedaling)에 대응하는 주기적 페달링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센싱한 상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중력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는 라이딩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라이딩 정보와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또는 기록관리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정경로 확인부(110)는 상기 라이딩정보 등록부(105)를 통해 라이딩 정보가 등록된 이후,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예정경로 확인부(110)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예정경로 확인부(110)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예정경로 확인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라이딩을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가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결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외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소요시간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확인/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난이도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로 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각기 조합된 구간 별로 조합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4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5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는 상기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하나 이사의 경사도 정보에 근거한 난이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라이딩 정보와 연계 저장된 우호 댓글수 정보나 우호 반응도 정보나 우호 추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하나의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상기 결정된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단순히 최단거리나 최단시간이 아니라, 기 등록된 라이딩 정보(본인 및 타인 포함)를 근거로 하여 주변 환경(경치, 맛집, 라이딩 난이도), 라이딩 경험이나 능력, 라이더들이 주로 다니는 경로 등을 고려하여 라이더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경로 제공부(120)는 상기 추천경로 결정부(115)를 통해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정보 등록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하며, 라이더의 라이딩 정보 등록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측위시간간정보, 센싱정보, 센싱시간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무선단말(200)의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200)에 설치되는 앱(25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무선단말(2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륜이동수단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 바퀴 2개로 움직이는 모든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본 도면2의 무선단말(200)의 상기 이륜이동수단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가 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5)와 메모리부(250)와 화면 출력부(210)와 사용자 입력부(215)와 사운드 처리부(220)와 카메라부(225)와 무선망 통신부(230)와 근거리망 통신부(235)와 USIM 리더부(240)와 위치 측위부(24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55)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5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20)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225)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225)는 시선 방향의 피사체 중 지정된 화각 내의 피사체에 대한 광학 신호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2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품질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와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은 무선망 통신부(230)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5)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24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4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부(24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위부(245)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와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제어부(20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앱(2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2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또는 상기 앱(255)을 설치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99)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99)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운영서버(199)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99)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앱(255)을 설치한 무선단말(200)의 라이더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이륜이동수단 고유정보(명칭, 종류, 일련번호 등), 라이더 장비정보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라이더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이 상기 라이더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라이더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260)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센싱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센싱정보 제공부(265)와, 상기 운영서버(100)로 라이더의 라이딩 내역 저장을 요청하는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라이딩 경로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75)와,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촬영되거나, 상기 무선단말(200)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촬영정보 제공부(280)와, 상기 운영서버(100)로 라이딩 추천 경로를 요청하는 추천경로 요청부(285)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추천경로를 제공받는 추천경로 수신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6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 제공부(265)는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s개의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정보는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브레이크 조작에 위한 감속 센싱정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감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는 상기 라이터가 탑승하는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의 저장을 요청하는 라이딩 내역의 저장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생성 요청부(270)는 상기 저장된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을 근거로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라이딩 정보의 생성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이륜이동수단에 대한 복수의 라이딩 경로 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매체(또는 경로관리D/B)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의 주변 영역에 기 등록된 N(N≥1)개의 라이딩 경로 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N개의 라이딩 경로 등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이딩 경로 등록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된 라이딩 안전 지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27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라이딩 안전 지수를 근거로 분석된 라이딩 분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제공부(280)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라이더가 착용한 헬멧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m(m≥1)개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제공부(28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25)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와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제공부(28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2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경로 요청부(285)는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추천경로 수신부(29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각 센서 별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한 라이딩 경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라이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라이딩 정보와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개인 라이딩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하는 무선단말(200)에 라이딩 경로 정보 생성을 위한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상기 앱(255)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또는 그 이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라이더에 대한 라이더 고유정보와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하는 이륜이동수단에 대한 라이더 장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3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라이더에 대한 라이더 고유정보와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하는 이륜이동수단에 대한 라이더 장비정보를 등록한다(310). 이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상기 라이더 고유정보나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255)의 조합에 중복되지 않게 할당되어 상기 라이더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315).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라이딩 내역의 저장 요청 명령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라이딩 내역에 대한 자동 저장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거리와 이동시간과 이동속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위치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이동정보의 위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관성 이동 패턴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설정된 라이딩 내역의 자동 저장 옵션을 근거로 상기 라이딩 내역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관성 이동 패턴은 라이더가 페달을 밟은 후 또는 밟지 않더라도 지정된 시간 이상 등속 이동하거나 바닥과 바퀴 사이의 마찰력에 선형적으로 감속하는 감속 운동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 저장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14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와 측위 시점의 측위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32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s개의 센싱정보와 각 센싱 시점의 센싱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325). 여기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정보는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브레이크 조작에 위한 감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 센싱정보는 지도 상의 등고선을 통해 확인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감속 센싱정보,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무선단말(200)을 거치한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센싱된 중력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센싱된 하강 경사구간에서 센싱된 가속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단말(200)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을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한 후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지구의 중력 방향과 수직한 평지 위에 상기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세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센싱한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기준 중력 방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헬멧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m(m≥1)개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125)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12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내역을 이용한 라이딩 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330). 예컨대,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라이딩 정보의 생성 요청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이딩 정보의 생성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s개의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라이더가 라이딩한 라이딩 경로에 대응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라이더가 상기 라이딩 경로를 라이딩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생성한다(3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정보와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 영상정보 별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나 구간과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상기 센싱된 중력 방향 센싱정보와 상기 기준 중력 방향 정보 사이의 각도 차이에 대응하는 각 구간 별 경사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사진정보와 상기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진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와 매칭된 형태의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헬멧 장치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정보와 각 영상정보 별 촬영 시점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의 촬영시간정보와 촬영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상의 특정 위치나 구간과 매칭된 형태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가 생성하는 라이딩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 및 라이딩 시간정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변화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 i(i≥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i)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i)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0분 라이딩하고, 5분 쉬고, 10분 라이딩하는 경우, 5분 쉰 동안의 위치정보는 경로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소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된 p(1≤p<N)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P-p)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통해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되지 않은 j(j≥1)개의 위치정보를 삭제 보정한 (P-j)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상기 (P-j)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 라이딩 상태는 주기적 페달링(Pedaling)에 대응하는 주기적 페달링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센싱한 상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중력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라이딩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라이딩 정보와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등록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라이딩 경로 추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을 통해 라이딩한 라이딩 정보가 등록된 이후, 라이딩 예정인 사용자의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딩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조합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라이딩 정보와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이후, 운영서버(100)는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의 앱(255)에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의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400).
만약, 운영서버(100)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요청하기로 한다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의 입력을 확인하고(405), 상기 확인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요청한다(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 및/또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55)으로부터 수신되는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확인하고(415), 상기 저장매체(또는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한다(4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결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외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소요시간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확인/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난이도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로 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각기 조합된 구간 별로 조합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4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5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센싱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지구의 중력 방향을 주기적으로 센싱한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는 상기 중력 방향 센싱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하나 이사의 경사도 정보에 근거한 난이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라이딩 정보와 연계 저장된 우호 댓글수 정보나 우호 반응도 정보나 우호 추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하나의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상기 결정된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단순히 최단거리나 최단시간이 아니라, 기 등록된 라이딩 정보(본인 및 타인 포함)를 근거로 하여 주변 환경(경치, 맛집, 라이딩 난이도), 라이딩 경험이나 능력, 라이더들이 주로 다니는 경로 등을 고려하여 라이더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고(425), 상기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한다(430).
100 : 운영서버 105 : 라이딩정보 등록부
110 : 예정경로 확인부 115 : 추천경로 결정부
120 : 추천경로 제공부 125 : 저장매체
200 : 무선단말 255 : 앱 저장매체

Claims (20)

  1. 이륜이동수단의 지정된 부위에 거치되거나 상기 이륜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라이더(Rider)가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에 참여한 라이더가 소지하거나 상기 라이더의 이륜이동수단에 거치 가능한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위된 P(P≥2)개의 위치정보와 측위시간정보 및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s(s≥1)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Q(Q≥2)개의 센싱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센싱정보의 조합을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하여 생성된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시계열적 관계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더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해 지정된 기록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라이딩 예정이거나 라이딩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기록관리D/B에 저장된 R(R≥2)개의 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R개의 라이딩 경로정보 중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를 경로 상에 모두 포함하는 라이딩 경로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로 상에 포함하거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도착지 정보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라이딩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라이딩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C(C≥1)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지정된 c(1≤c≤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P개의 위치정보와 s개의 각 센서 별 Q개의 센싱정보를 각 측위시간정보와 센싱시간정보를 근거로 시계열적으로 정렬하되, 상기 정렬된 P개의 위치정보 중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주기적 페달링(Pedaling)에 대응하는 주기적 페달링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지정된 시간 이상 관성 이동하는 관성 이동 패턴을 센싱한 상태, 하강 경사구간에서 중력 가속도에 의한 중력 가속 패턴을 센싱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유효 라이딩 상태로 판별된 p(1≤p<N)개의 위치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정렬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딩 시간정보는, 상기 P개의 위치정보 간 시간 간격 중 (P-p)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차감 보정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라이딩에 소요할 소요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시간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소요시간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라이딩할 경로의 난이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확인/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의 조합을 근거로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상기 수신된 난이도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매칭되는 라이딩 난이도 정보에 대응하는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로 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와 연계 저장된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각기 조합된 구간 별로 조합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이딩 구간 별 난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상기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위해 조합된 각 라이딩 경로정보에 시계열적 관계로 포함된 특정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각기 조합된 구간 별 이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라이딩 난이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결정된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라이딩 정보와 연계 저장된 우호 댓글수 정보나 우호 반응도 정보나 우호 추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 중 하나의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며,
    상기 c개의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는, 상기 결정된 우선 추천 라이딩 추천 경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KR1020180085063A 2018-07-20 2018-07-20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KR10256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63A KR102565921B1 (ko) 2018-07-20 2018-07-20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63A KR102565921B1 (ko) 2018-07-20 2018-07-20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55A KR20200009955A (ko) 2020-01-30
KR102565921B1 true KR102565921B1 (ko) 2023-08-14

Family

ID=6932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63A KR102565921B1 (ko) 2018-07-20 2018-07-20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02A (ko) 2021-01-29 2022-08-05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산악 라이딩 지도 서비스 시스템
KR102559039B1 (ko) 2022-01-13 2023-07-24 주식회사 치바모터스 모터사이클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KR20230140175A (ko) 2022-03-29 2023-10-06 윤우노 인공지능 지도학습 기반 라이딩 코스 추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396B1 (ko) * 1999-06-18 2002-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정보 처리시스템의 이동체 위치정보 선별장치와 방법
CN104081158B (zh) * 2011-11-18 2018-02-02 通腾北美有限公司 用于创建供在产生跨越电子地图的路线中使用的成本数据的方法及设备
KR102216050B1 (ko) * 2014-02-26 202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8907A (ko) * 2015-12-10 2017-06-2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지도 기반의 참여형 자전거 훈련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55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921B1 (ko) 라이딩 경로 추천 방법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706460B2 (en) Shared i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hared item and shared server
KR101952623B1 (ko) 개인정보 보호처리된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5435067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64636A1 (ja) 運行管理方法、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37032A (ko) 여행 안전 지수 산출 방법
CN108600238B (zh) 传输卡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EP27288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by using NFC tags
KR20200009951A (ko) 라이더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라이딩 정보 등록 방법
KR20200009952A (ko) 개인 라이딩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20200009954A (ko) 라이딩 안전 지수 산출 방법
KR20200037030A (ko) 여행 정보 자동 기록 방법
KR20200008915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이륜이동수단을 위한 오프로드 경로 등록 방법
KR102565922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이륜이동수단의 라이딩 경로 정보 생성 방법
KR102611405B1 (ko) 라이딩 지수 산출 방법
KR102611406B1 (ko) 이륜이동수단을 위한 라이딩 경로 정보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37033A (ko) 여행 경로 제공 방법
KR20200008916A (ko) 이륜이동수단의 오프로드 경로 자동 등록 방법
KR20200037004A (ko)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여행 정보 등록 방법
JP200725890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携帯電話
KR20200008919A (ko) 라이더용 헬멧 장치
EP3550813B1 (en) Matching device, terminal, sensor network system, matching method, and matching program
KR20210028366A (ko) 실시간 온라인 여행 가이드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72051B1 (ko)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