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854A -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 Google Patents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854A
KR20200036854A KR1020207001735A KR20207001735A KR20200036854A KR 20200036854 A KR20200036854 A KR 20200036854A KR 1020207001735 A KR1020207001735 A KR 1020207001735A KR 20207001735 A KR20207001735 A KR 20207001735A KR 20200036854 A KR20200036854 A KR 2020003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display screen
mod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208B1 (ko
Inventor
마르쿠스 클리프쉬타인
유르겐 슈바르츠
앰브로즈 페터 나리
우베 슈뢰터
스테판 알키멘코
우베 야마크트
Original Assignee
시옵티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옵티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옵티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3Direct backlight 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4Info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5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6Light guides
    • B60K2370/1523
    • B60K2370/164
    • B60K2370/25
    • B60K2370/336
    • G02F2001/13360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A)에서 적어도 2개의 동작모드, 즉 자유 시청모드(B1) 및 제한 시청모드(B2)용으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일부 영역(A) 밖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자유 시청모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으로서, 제한없는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상기 일부 영역(A) 외부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제 1 백라이트(2a); 제한된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일부 영역(A)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백라이트(2b);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의 전방에 시야 방향으로 배열된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5); 상기 이미지 생성기(5)와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큰 표면을 통해 엣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된 광을 아웃커플 링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판형 투명 광가이드(3); 및 상기 광가이드(3)의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광원(4)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3)는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로부터 발생한 광의 적어도 70%에 투명하고, 모드(B1)에서 적어도 광원(4)이 켜지고, 모드(B2)에서 2개의 백라이트(2a, 2b)가 켜지며 상기 광원(4)은 꺼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최근에, LCD의 시야각을 확대시키는 데 큰 진전이 있었다. 그러나, 종종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매우 큰 시야각 범위가 불리해질 수 있는 상황이 있다. 점점 더, 노트북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 은행 데이터 또는 기타 개인 정보 및 민감한 데이터와 같은 정보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민감한 데이터를 보도록 허용된 사람을 어느 정도 통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가 스냅사진을 보거나 광고를 볼 때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넓은 시야각과, 반대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좁은 시야각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차량 제조시에도 비슷한 문제에 마주친다: 여기서, 모터가 작동 중일 때, 운전자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쇼와 같은 이미지 컨텐츠에 주의를 뺏기게 해서는 안되는 반면, 앞좌석 탑승자는 탑승 중 이들을 보고 싶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들 간에 전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필요하다.
마이크로 루버(micro-louvers) 기반의 액세서리 필름이 이미 개인정보 보호모드(privacy mode)로 알려진 광학 데이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은 모드간에 전환할 수 없지만 수동으로 탈부착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별도로 갖고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실질적인 단점은 이러한 루버 필름의 사용에 따른 광손실이다.
US 6,765,550 B2는 마이크로 루버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개인정보 보호를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큰 단점은 필터를 기계적으로 탈부착해야 할 필요성과 개인정보 보호모드의 광손실이다.
US 5,993,940 A는 개인정보 보호모드를 생성하기 위해 표면에 작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프리즘 스트립이 제공되는 필름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 필름의 개발과 제작은 상당히 복잡하다.
WO 2012/033583 A1에서, 자유 시청과 제한 시청간의 전환은 소위 "크로모닉(chromonic)"층들 사이에 배열된 액정의 트리거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광손실이 포함되며 구현도 다소 복잡하다.
US 2009/0067156 A1은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많은 아이디어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버전은 웨지형 광가이드로 구성된 2개의 백라이트 및 LCD 패널을 사용하며, 여기서 후방 백라이트(40)는 넓은 조명 각도를 포지티브하게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전방 백라이트(38)는 좁은 조명 각도를 포지티브하게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방 백라이트(38)가 후방 백라이트(40)로부터 시작되는 넓은 조명 각도를 갖는 광을 본질적으로 상기 전방 백라이트(38)를 통과할 때 좁은 조명 각도를 갖는 광으로 변환함이 없이 어떤 방식으로 좁은 조명 각도를 만들려고 하는 것인지 여전히 불분명하게 남아있다.
US 2009/0067156 A1의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관련하여, 2개의 광가이드(46 및 48)는 각각 "좁은 광", 즉 좁은 조명 각도를 갖는 광을 생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광가이드(48)의 광을 "넓은 광", 즉 넓은 조명 각도를 갖는 광으로의 변환은 복잡한 공정에서 프리즘 구조가 제공되어야 하는 부분 미러(50)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이 변환은 처음에는 좁은 조명 각도(사용 가능한 유일한 빛)로 나가는 광이 넓은 조명 각도로, 대체적으로 반 공간(semispace)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광강도를 극적으로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휘도는 파라미터에 따라 (휘도와 관련하여) 인수 5이상 만큼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이 구성은 실제적인 관련성이 거의 없다.
US 2009/0067156 A1의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UV광을 가시광으로 변환시키는 인층(phosphorus layer)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오히려 그렇게 하기 힘들다: 판독될 수 있도록 LCD를 비추기 위해 백라이트에서 충분한 광을 얻으려면, UV 강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 구성은 비싸고 복잡하다; UV 복사만 차단하므로 실용적이지 않다.
US 2012/0235891 A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매우 복잡한 백라이트를 기술한다. 도 1 및 도 15에 따르면, 이 설계는 여러 광가이드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렌즈소자(40) 및 프리즘 구조(50)와 같은 다른 복잡한 광학소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후방 조명에서 나오는 광을 전방 조명으로 변환시킨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구현하기가 복잡하며 광손실을 수반한다. US 2012/0235891 A1의 도 17에 도시된 버전에 따르면, 양 광원(4R 및 18)은 좁은 조명 각도를 갖는 광을 생성하며, 후방 광원(18)에 의해 방사된 광은 먼저 큰 조명 각도를 갖는 광으로 힘들게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복잡한 변환은 휘도를 크게 줄인다.
JP 2007-155783 A에 따르면, 계산 및 제조가 어려운 특수 광학면(19)은 광 입사각에 따라 광을 다양한 좁거나 넓은 영역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구조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es)와 유사하다. 또한, 비활성 엣지가 있어, 광을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따라서, 실제로 유용한 광분포가 달성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GB 2428128 A에 의해 교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시청을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눈에 띄는 거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부착된 홀로그램을 비추는 추가 광원이 특수 파장으로 측면 뷰를 오버레이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단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의 광원의 필요 간격 및 적절한 홀로그램을 만드는 복잡성이다.
US 2013/0308185 A1은 엣지에서 비춰지는 방향에 따라 넓은 영역의 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방출하는 단계들이 제공되는 특수 광가이드를 기술한다. 가령, LC 디스플레이와 같은 투과형 이미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 간에 전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단점은 무엇보다도 제한된 보기 효과가 특정한 지불 조치에 대한 필요에 따라 좌/우 및 상/하 방향들이 아니라 하나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만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심지어 제한 시청모드에서도 차단된 시청각도에서 일부 잔류 광을 여전히 볼 수 있다.
WO 2015/121398에서, 출원인은 전환가능한 조명 장치 및 그의 응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간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만을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 사이로 전환하는 가능한 방법을 개시하지 않는다.
US 6,608,614 B1은 확장된 컬러 공간을 갖는 LED 기반 백라이트를 기술하는데, 백라이트용 가변 컬러 믹스는 다양한 컬러 값의 LED 광이 결합되는 광학소자를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이 참조문헌은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 간에 전환하는 방법 및 특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의 그러한 전환에 영향을 주는 방법에 대한 어떠한 교시도 개시하지 않았다.
WO 2011/124599 A1은 여러 광원 및 투명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출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다시, 다양한 광이 광학소자에 섞인다. 이 참조문헌에는 자유 시청모드와 제한 시청모드 간의 전환 방법 및 특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를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다.
DE 10 2015 016 134 B3에서,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시청모드들 간의 전환은 백라이트를 변화시키기 보다는 제한된 각도로 이미지를 블랭킹함으로써 달성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를 전환가능하게 한다.
상기 언급된 방법 및 장치는, 원칙적으로, 기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모드 사이를 전환하기 위해 능동적이지만 적어도 특수한 광학소자를 필요로 한다는 공통된 단점이 있고/있거나 자유 시청모드에서 제조하기에 복잡하고 고가이고/거나 해상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공지된 실시예 중 어느 것도 고도로 복잡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만을 개인 및 공개 시청모드 간에 전환할 수 없다.
그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문제점은 선택적으로, 가능한 한 제한없는 시야각으로 자유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동작모드와 함께, 제한된 시야각을 통해 정보의 개인 프리젠테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기술하는 것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만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그리고 가능한 한 낮은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해상도를 특히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가장 높은 해상도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방안은 광손실을 가능한 최소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A)(진짜 일부 영역,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총 디스플레이 면적보다 같기 보다 오히려 더 작은 영역)에서 적어도 2개의 동작모드, 즉 자유 시청모드(B1) 및 제한 시청모드(B2)용으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일부 영역(A) 밖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자유 시청모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으로서,
- 제한없는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상기 일부 영역(A) 외부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제 1 백라이트;
- 제한된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일부 영역(A)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백라이트;
- (시야 방향으로 볼 때) 상기 2개의 백라이트, 가령 LCD 패널 앞에 배열된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
- 상기 이미지 생성기와 상기 2개의 백라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큰 표면을 통해 좁은 측면(엣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급된 광을 아웃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판형 투명 광가이드; 및
- 상기 광가이드의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광원을 포함하고,
- 상기 광가이드는 백라이트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로 투명하며,
- 모드(B1)에서 적어도 광원이 켜지고, 모드(B2)에서 백라이트가 켜지며 광원이 꺼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해소된다.
상기 제한된 각도 범위는 이미지 생성기의 수직 이등분선에 대해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백라이트는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A) 아래에 배치되는 반면, 제 1 백라이트는 더 넓은 부분에 대해 2개의 동작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A) 외부에 있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더 넓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90% 이상 또는 대부분의 경우 심지어 95% 이상을 의미하는데, 이는 실현가능한 응용으로, 예를 들어, 제 1 백라이트와 제 2 백라이트 사이의 약간의 오버랩이 이점적일 수 있거나 백라이트의 공통 경계가 변위되는 경우로, 운전자와 앞좌석 탑승자가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비스듬히 보는 경우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는 여러 일부 영역(A1, A2,…)을 가질 수 있는 스크린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상기 광가이드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과 적어도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가이드가 적어도 일부 영역(A)의 표면적과 동일한 적어도 일부 표면적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표면에서, 평균 헤이즈(haze) 값이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7%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인 경우가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모드(B2)에서, 제한된 각도 범위로 제 2 백라이트에 의해 방출된 광은 하지만 광가이드를 통과할 때 약간 산란된다. 즉, 모드(B2)에 대한 일부 표면(A)에 영향을 받은 포커싱이 광가이드에서 산란에 의해 거의 또는 사실상 상쇄되지 않으며, 이것이 정확히 요구되고 필요한 것이다.
광가이드는 일부 열가소성 또는 열탄성 재료 또는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 또는 광가이드 기판은 그 중량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적어도 4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60 중량%(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함유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PET일수 있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광가이드에는 광가이드의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및/또는 광가이드 체적 내에 광의 아웃커플링을 위한 아웃커플링 소자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나, 이들은 광가이드의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및/또는 광에 의해 방출된 광 중 적어도 80%의 광가이드로부터 아웃커플링이 광원의 큰 표면들 중 (단지) 하나에만 달성되는 식으로 체적 내에 분포된다.
광가이드의 큰 표면들 중 하나로부터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80%의 아웃커플링은 본질적으로 아웃커플링된 모든 광의 최대 20%가 각각의 다른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사실이 반드시 모든 경우에 광원에 의해 방출되고 광가이드에 결합된 광의 80% 이상이 하나의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되어 있지만, 양쪽의 큰 표면에 의해 아웃커플링된 총 광량의 80% 이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는 손실로 인해 큰 표면을 통해 아웃커플링된 광가이드로 공급되는 전체 광이 결코 아니기 때문에, 이 설명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점적인 실시예에서, 광원에 의해 광가이드로 공급되는 광의 80% 이상이 평면 형태의 큰 표면을 통해 평면에서 아웃커플링되는 것이 필요한 조건은 아니지만 실제로 가능하다.
아웃커플링 소자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마이크로 프리즘 및/또는 회절 구조 및/또는 구조 요소일 수 있으며, 최대 치수는 1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이다. 사용된 회절 구조는 홀로그램 또는 격자/회절 격자일 수 있다. 구조 요소는 예를 들어 3차원 연장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가령 프리즘 모양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광가이드의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경우, 아웃커플링 소자는 유리하게 공구에 의해 일부 플라스틱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UV-경화 재료(예를 들어, 래커 또는 바니시, 모노머 등)를 광가이드 기판 상에 도포하고, 상기 재료를 도구에 의해 구조화하여 UV 복사로 경화시킴으로써, 가령, 중합반응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복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다른 재료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격자 구조, 마이크로 프리즘 또는 마이크로 렌즈(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라스틱 부품을 가진 볼록형 및/또는 구조화된 플라스틱의 표면층 내에 엠보싱되거나 움푹 들어간 오목형)가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아웃커플링 소자는, 예를 들어, 나노 입자, 이산화 티타늄, 황산 바륨,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입자 및/또는 평균 입자 크기가 150 내지 500nm인 가교형 폴리스티렌 입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광가이드의 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0 wt.ppm의 농도로 사용된다(ppm은 중량에 대해 1/1,000,000이다).
이는 또한:
- 광가이드는 매트릭스 플라스틱(A)과 내부에 균질하게 분포된 중합물(B)의 아웃커플링 소자들로 구성되고,
- 중합물(B)로 구성된 아웃커플링 소자의 비율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에 대해 0.01 내지 3 중량%에 해당하며,
- 중합물(B)의 굴절률 nD(B)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의 굴절률 nD(A)보다 적어도 0.01 단위만큼 높은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제 1 백라이트는 예를 들어: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방출기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 및
- 선택적으로, 광강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가령 BEF 코팅, DBEF 코팅 및/또는 중성 필터와 같이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추가 광학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성 필터는 정의된, 본질적으로 파장 독립적인 광강도의 감쇠에 사용된다. 이는 일부 영역(A)과 그 상보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인식되는 휘도를 균질하거나 동등하게 밝게 하고, 이미지를 볼 때 두 백라이트 사이의 어떤 가시적 변이를 피하거나 최소한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제 1 백라이트는 예를 들어: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 및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령, 서로 직각으로 지향된 프리즘 어레이의 형태의 2개의 광콜리메이터 조차도 사용할 수 있다. 프리즘 어레이는 예를 들어 3M™ 광학 조명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시야 방향으로) 프리즘 어레이 앞에 프라이버시 필터, 예를 들어, Vikuiti™ 상표로 3M ™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 루버 필터 또는 Shin Etsu사의 VCF와 같은 마이크로 루버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 백라이트 모두 바람직하게는 평면 이미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평면 이미터는 예를 들어 측광, 에지라이트, 다이렉트 LED 백라이트, 에지 LED 백라이트, OLED 또는 다른 평면 이미터인 기본적으로 백라이트의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언급된 다른 구성요소들도 적용된다.
제 2 백라이트가 지향성 백라이트인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이미지 생성기의 상부면 및/또는 광가이드의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반사를 줄이는 수단, 예를 들어 눈부심 방지 코팅 또는 반사 방지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모드(B1 및 B2) 사이에서 상기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일부 표면(A)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백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예를 들어, 모드(B1)에서만 앞좌석 탑승자에게 또는 모드(B1)에서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를 위해 동시에 선택적으로 이미지 컨텐츠를 일부 영역(A)에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A)에 상보적인 일부 영역(들)이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에게 영구적으로 보게 하기 위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지털 TV, 비디오 또는 인터넷 데이터와 같은 시각적 엔터테인먼트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지 않으면서 일부 영역(A)에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중 주의를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일부 영역(A)에 상보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네비게이션 이미지 및 텍스트, 라디오용 동작 인터페이스, 에어컨 등과 같은 운전자와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가령 PIN, 이메일, SMS 또는 ATM 기기, 결제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에서 비밀번호와 같은 비밀 데이터를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많은 응용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드(B1)에서, 특정 제한 각도(σ,γ)의 함수로서, 광가이드로부터 각도(β)로 출사된 아웃커플링된 광은, 광가이드 표면에 대해 수직이며 2개의 바람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된 10°< γ < 80° 및 10° < σ < 80°, 바람직하게는 γ = σ = 40° 또는 γ = σ = 20°로 80°> β > γ 및/또는 -80°< β <-σ의 조건을 만족하는 각도 범위에 있는 광가이드면의 모든 지점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 광가이드면의 이러한 한 지점으로부터 출사한 광의 최대 80%, 바람직하게는 60%,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의 광강도를 갖게 된다.
2개의 바람직한 방향은 상호 수직이고, 광가이드(3) 또는 백라이트(2)의 표면 상에 평면에 놓인다. 가령, 결제 단말기 또는 자동차에서 동작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외부 환경에 대해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선호하는 방향, 예를 들어 "수직" 및 "수평"이 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은 실제로 환경의 외부 좌표계와 관련이 있다. "Vertical(수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위에서 아래로, "horizontal(수평)"은 왼쪽에서 오른쪽에 상응한다.
종종, 선호되는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일반성을 잃지 않으면서, 음의 각도는 이 경우 광이 결합되는 측에 배정되는 -90°의 각도이며 따라서 광이 결합되는 방향에 해당한다. 제한 각도(σ, γ)는 각각의 적용에 요구되는 광학 성능에 따라 확실하게 특정된다. 바람직한 제한 각도가 γ = σ = 40°의 경우, 광강도 조건은 -40°내지 -80°및 40° 내지 80°의 각도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제한 각도(σ, γ)가 작을수록, 각각의 바람직한 방향(들)에 더 많은 광이 수직 이등분선에 집중된다. 예를 들어, 모드(B1)로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가 본원의 조명기기가 제공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잘 정의된 시야각으로 보는 자동차에서, 제한 각도(σ, γ)가 오히려 40°보다 작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랩톱에서, 다른 사람의 시야각에 관한 힌지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범용 사용 시나리오로 인해, 약 40°이상의 제한 각도가 유용할 수 있다. 대신에 가능하게는 80°제한은 70°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본원의 조명기기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특히 야간 운전에서, 앞유리에서의 방해 반사의 감소를 달성한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조건이 만족되면, 프리즘 필름 등과 같은 임의의 포커싱 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광가이드로부터의 아웃커플링의 뚜렷한 효율이 달성된다.
위에서 언급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LED나 LED 열들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다른 형태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모드(B2)에서 일부 영역(A)의 제한된 시청에 대한 원하는 제한된 각도 범위는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별도로 정의되고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서보다 수직 방향으로 각도가 크거나 전혀 제한이 없으면, 즉, ATM에서 신체 높이가 다른 사람이 이미지를 보는 경우 유용할 수 있지만, 측면 보기는 크게 또는 완전히 제한되어 있어야 한다. 반면, POS 결제 단말기의 경우, 안전 규정에 따라 모드(B2)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보기 제한이 필요하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광 아웃커플링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추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측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추가 광가이드가 (시야 방향으로) 이미지 생성기의 앞에 배열된다. 이 추가된 광가이드는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기 아래에서 상술한 광가이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 시청모드에 대한 동작모드(B1)에서, 추가 광원은 전체 이미지가 본질적으로 추가 광원들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스위치 오프된다. 대조적으로, 모드(B2)에서, 일부 영역(A)의 측면 시청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 추가 광원이 켜지므로, 추가된 광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일측(왼쪽 또는 오른쪽)을 향해 또는 동시에 좌우측을 향해 광을 방출한다. 이 광은 그렇지 않으면 일부 영역(A)에서 제한된 각도 밖의 각도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나머지 아티팩트(artefacts)를 블랭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된 광가이드 및/또는 추가 광원은 상기 블랭킹이 일부 영역(A) 위에서만 본질적으로 유효하도록 구성된다.이 구성으로 인해, 실제로 시야로부터 보호되도록 되어 있는 각도 범위에 있는 모드(B2)의 의도하지 않은 잔류 광이 일부 영역(A)에서 콘트라스트가 전혀 감지되지 않아서 비활성화된 각도에서 이미지를 전혀 볼 수 없을 정도로 밝게 빛날 수 있다.
적격한 추가 광원이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발산하도록 되어 있으며, 투과형 이미지 생성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는 컬러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대안으로, 추가 광원이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있거나 컬러 스펙트럼에서 그러한 컬러에 가까운 유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가 광원이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있는 컬러에 상보적인 컬러와 대략 일치하는 유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색광"은 특히 백색이 아닌 가시광선,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터키색, 청록색, 자홍색 또는 황색의 광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 광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휘도 레벨로 방사될 수 있다. 게다가, 색 속성, 예를 들어, 추가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컬러 및/또는 휘도가 시간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또한, 추가 광원은,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 및/또는 상이한 휘도의 광을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 및/또는 엇갈려 방출하는 LED 열의 RGB LEDs와 같은 상이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성능은 상술한 파라미터가 특정 한계 내에서 변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특징 및 하기 설명되는 특징은 언급된 조합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조합이나 독립적인 특징들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하, 특히 본 발명에 필수적인 특징을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자유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는 제한 시청모드에 있다.
도 2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이 자유 시청모드에 있는, 동작모드(B1)의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가이드에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광가이드의 하부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 광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광가이드 상에 아웃커플링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광가이드에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광가이드의 상부의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 광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광가이드 상에 아웃커플링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광가이드를 통과한 백라이트에 의해 방출된 광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자유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는 제한 시청모드에 있으며, 추가 광가이드가 시청자가 옆으로 바라보도록 임의의 잔류 광을 블랭킹하기 위해 이미지 생성기 앞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2개의 백라이트와 필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자유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는 제한 시청모드에 있다.
도 8은 도 1과 유사하나 몇몇 일부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은 비율에 따르지 않으며 단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단면도)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굵은 대시선으로 표시되고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A)은 자유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부분은 제한 시청모드에 있다. 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은:
- 제한없는 각도 범위로 광(제 1 백라이트(2a)에 의해 광이 발산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상기 일부 영역(A) 외부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열된 평면 연장부의 제 1 백라이트(2a);
- 제한된 각도 범위로 광(제 2 백라이트(2b)에 의해 광이 협소한 각도 범위로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상기 일부 영역(A) 아래에 배열된 평면 연장부의 적어도 제 2 백라이트(2b);
- (시야 방향으로) 2개의 백라이트(2a, 2b), 예를 들어 LCD 패널 앞에 배치된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5);
- 엣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된 광을,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아웃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이미지 생성기(5)와 2개의 백라이트(2a, 2b) 사이에 배치된 판형 투명 광가이드(3); 및
- 광가이드(3)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광원(4), 예를 들어, LED 열을 포함하고,
- 광가이드(3)는 n개의 백라이트(2a, 2b)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70%에 대해 투명하다.
도 1에 도시된 모드(B2)에서, 2개의 백라이트(2a, 2b)가 켜지고, 광원(4)이 꺼진다. 이에 비하여, 도 2는 모드(B1)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은 자유 시청모드에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광원(4)이 켜진다. 제한된 각도 범위를 통해 특히 밝은 이미지를 얻기 위해, 예를 들어 제 2 백라이트(2b)를 추가로 켤 수 있다. 이에 무관하게, 제 1 백라이트(2a)를 켜서 이미지 생성기(5)의 일부 영역(A) 외부에서 특히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한된 각도 범위는 이미지 생성기(5)의 표면 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비대칭 배열로, 모드(B2)의 이미지는 앉은 자세로 인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을 비스듬히 보는 앞좌석 탑승자에게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표면적이 일부 영역(A)과 동일한 크기인 일부 영역상에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상에 광가이드(3)는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평균 헤이즈 값이 7%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므로,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적어도 모드(B2)로 백라이트에 의해 방출된 광은 광가이드를 통과할 때 상기 각도 범위 외부의 각도에서는, 있다하더라도, 단지 무시할정도로 산란된다; 즉, 모드(B2)에 대해 일부 영역(A)에 형성된 광속(光束)은 광가이드(3)에 산란에 의해 거의 또는 사실상 전혀 확산되지 않으며, 이는 정확히 요망되고 필요로 한 것이다.
광가이드(3)는 일부 열가소성 또는 열탄성 재료 또는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 또는 광가이드의 기판은 예를 들어 중량에 대해 적어도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중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함유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PET일 수 있다. 다른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광가이드(3)는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및/또는 체적 내에 배치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위한 아웃커플링 소자(6)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들 소자는 광원(4)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적어도 80%가 큰 표면들 중 하나를 통해 광가이드(3)로부터 결합되는 식으로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및/또는 광가이드(3)의 체적 내에 분산된다.
도 3은 광원들(4)에 의해 광가이드(3) 내로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광가이드(3) 하부의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 광의 원리를 광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광가이드 상에 아웃커플링 소자들이 배치되며, 광은 광가이드(3) 하부의 큰 표면에서 아웃커플링된 (즉, 전반사 각도에서 나온) 광은 실제로 상보적인 큰 표면(도면에서, 상부의 큰 표면)을 통해 광가이드(3)를 떠난다. 수평방향으로, 즉 도면의 평면에 수직으로, 여기서 광은 일반적으로 넓은 각도 범위에서 결합된다. 아웃커플링 소자(6)의 궤적은 참조번호 6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아웃커플링 소자(6)는 미세한 크기여야 하므로 도시되지 않았다.
이어서, 광은 광원(4)에 의해, 예를 들어 LED에 의해 측방향으로 광가이드(3)에 결합된다. 전반사로 인해, 커플링된 광의 광선(굵은 광선으로 표시됨)은 외벽에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아웃커플링을 겪도록 (아마도 반복적으로 충돌한 후) 아웃커플링 소자(6)에 도달할 때까지 광가이드(3)로 다시 반사된다. 아웃커플링은 얇은 광선으로 표현된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3의 도면은 매우 개략적이다; 실제로, 광가이드(3)는 매우 많은 광경로를 구현하고, 매우 많은 아웃커플링 소자들(6)이 사용된다.
대조적으로, 도 4는 광원(4)에 의해 광가이드(3)에 측 방향으로 결합되고 광가이드(3)의 상부의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 광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광가이드에 아웃커플링 소자(6)가 배치된다. 여기서, 도 3의 설명이 이에 따라 적용된다. 여기서 기술적으로 다른 것은 단지 광가이드(3)의 상부면을 차지해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가도록 다시 한번 광가이드(3)를 가로지르지 않고도 광을 직접 상방으로 아웃커플링하는 아웃커플링 소자(6)의 위치 및 가능하게는 구성일 뿐이다.
광가이드(3)의 큰 표면들 중 하나로부터 광원(4)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80%를 아웃커플링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아웃커플링된 총 광의 최대 20%가 각각의 다른 큰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사실은 광원(4)에 의해 광가이드(3)에 결합된 광의 80% 이상이 하나의 큰 표면을 통해 결합되어 있지만, 전체 광의 80% 이상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손실로 인해, 큰 표면을 통해 아웃커플링된 광가이드(3)에 전체 광이 결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설명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점적인 실시예에서, 광원(4)에 의해 광가이드(3)에 공급된 광의 80% 이상이 평면 형태로 큰 표면을 통해 아웃커플링되는 것이 실제로는 가능하나, 필요한 조건은 아니하다.
아웃커플링 소자(6)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마이크로 프리즘 및/또는 회절 구조 및/또는 구조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대 치수는 100㎛,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이다. 회절 구조는 예를 들어 홀로그램 또는 격자/회절 격자일 수 있다.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프리즘 모양의 3차원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아윳커플링 소자들이 광가이드(3)의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아웃커플링 소자들(6)은 도구에 의해 구조화된 일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대량 생산시, 예를 들어, UV-경화 재료(예를 들어, 래커 또는 바니시, 모노머 등)를 광가이드 기판 상에 도포하고, 상기 재료를 도구에 의해 구조화하여, UV 복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가령, 중합에 의해 가능하다. 복사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다른 재료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격자 구조,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라스틱 부품들이 있는 블록형 및/또는 (구조화된 플라스틱의 표면층 내에 엠보싱되거나 움푹 들어간) 오목형의) 마이크로 프리즘 또는 마이크로 렌즈가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아웃커플링 소자(6)는 예를 들어 나노 입자, 이산화 티타늄, 황산 바륨,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입자 및/또는 평균 입자 크기가 150 내지 500nm인 가교형 폴리스티렌 입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0.01 내지 300 wt.ppm의 농도로 사용된다(ppm은 광가이드의 중량에 대해 1/1,000,000이다).
이는 또한:
- 광가이드(3)는 매트릭스 플라스틱(A)과 내부에 균질하게 분포된 중합물(B)의 아웃커플링 소자들(6)로 구성되고,
- 중합물(B)로 구성된 아웃커플링 소자(6)의 비율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에 대해 0.01 내지 3 중량%에 해당하며,
- 중합물(B)의 굴절률 nD(B)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의 굴절률 nD(A)보다 적어도 0.01 단위만큼 높은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예를 들어 큰 표면 둘 다를 통해, 즉 체적을 가로질러 광가이드(3)를 통과하는 제 2 백라이트(2b)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아웃커플링 소자(6)는 광이 제 2 백라이트(2b)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즉 광이 광원(4)으로부터의 엣지를 통해 측방향으로 광가이드(3)에 결합되지 않고, 따라서, 광가이드(3)에서의 전반사에 의해 앞뒤로 편향되지 않거나 거의 편향되지 않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성상도에서 이들의 효과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아웃커플링 소자(6)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은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자유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A)는 제한된 시청모드(모드(B2))에 있으며, 측면 시청시 임의의 기존의 잔류 광을 블랭킹하기 위해 이미지 생성기(5) 앞에 추가 광가이드(7)가 배치된다. 이 특별한 실시예에서, 광아웃커플링을 위한 (도면에 미도시된) 수단을 갖는 추가 광가이드(7)가 (시선 방향으로 볼 때) 이미지 생성기(5) 앞에 배열된다. 추가 광가이드는 추가 광원(7a)에 의해 측면으로 광이 공급될 수 있다. 이 추가 광가이드(7)는 예를 들어 광가이드(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단을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기(5) 아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 시청모드에 대한 모드(B1)에서, 추가 광원(7a)이 꺼지므로, 전체 이미지는 추가 광가이드(7)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일부 영역(A)에서 측면 지각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우, 추가 광원(7a)이 켜지고, 이에 의해 추가 광가이드(7)가 바람직하게는 일측(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또는 동시에 좌우측(또는 상하)을 향해 광을 방출한다(도 6에서 좌우를 가리키는 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좁은 세로 화살표는 단지 적어도 최소의 광량만이 원치않는 콘트라스트 감소의 형태로 이미지 품질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며 이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광은 제한된 각도 범위를 벗어난 측면 각도에서 일부 영역(A)에서 볼 수 있는 잔류 아티팩트를 블랭킹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광가이드(7) 및/또는 추가 광원(7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A) 위의 이러한 블랭킹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범위로만 구성된다. 그런 후, 이 구성에 의해, 실제로 시야로부터 보호되는 각도 범위에 있는 모드(B2)의 의도하지 않은 잔류 광은 일부 영역(A)에 콘트라스트가 전혀 감지되지 않는 범위까지 밝게 빛날 수 있고, 따라서, 활성화되지 않은 각도에서는 어떠한 이미지도 볼 수 없다. 추가 광원(7a)은 유색광 또는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설계되며,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5)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는 컬러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대안으로, 추가 광원(7a)은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5)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있거나 컬러 스펙트럼에서 그러한 컬러에 가까운 유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가 광원(7a)은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표현된 색상에 상보적인 컬러에 대략 대응하는 유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색광(colored light)"이라는 용어는 특히 백색이 아닌 가시광,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터키색, 청록색, 자홍색 또는 황색의 광을 나타낸다. 또한, 이 광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휘도 레벨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광원(7a)에 의해 방출된 광의 색도, 예를 들어, 컬러 및/또는 휘도를 시간에 따라 변조시킬 수 있다. 더욱이, 광원(7a)은 다양한 컬러 및/또는 휘도의 광을 동시에 또는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간격으로 방출하는 LED 열의 RGB-LED와 같은 상이한 종류의 개별 광원들(7a1, 7a2)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동작모드(B2)에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A)는 제한 시청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나머지 부분은 자유 시청모드에 있으며, 2개의 백라이트(2a, 2b)가 그 구성요소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1)에서, 제 1 백라이트(2a)는 예를 들어: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2ab1);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2ab2); 및
- 선택적으로, 광강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가령 BEF층(2a2), DBEF층(2a3) 및/또는 중성 필터(2a4)와 같이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추가 광학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성 필터(2a4)는 정의된, 본질적으로 파장 독립적인 광강도의 감쇠에 사용된다. 이는 일부 영역(A)과 그 상보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인식되는 휘도의 최고의 가능한 균질성을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1)에서, 도 7에 도시된 제 2 백라이트(2b)는 예를 들어: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2ab1);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2ab2);
- 서로 직각으로 평면 이미터 앞에 배열된 프리즘 어레이(2b1, 2b2) 형태의 2개의 광콜리메이터; 및
- (시야 방향으로) 프리즘 어레이 앞에 배열된, 예를 들어, Vikuiti™ 상표로 3M ™에서 제공되거나 Shin Etsu사의 VCF와 같은 마이크로 루버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리즘 어레이는 예를 들어 3M™ 광학 조명 필름일 수 있다.
두 백라이트(2a, 2b)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이미터(2ab1)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디퓨저(2ab2)도 역시 단일 피스로 구현되는 경우 두 백라이트(2a, 2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이미터(2ab1)는 기본적으로 백라이트, 예를 들어 측광, 엣지광, 직접 LED 백라이트, 엣지 LED 백라이트, OLED 또는 다른 평면 이미터처럼 설계될 수 있고, 상기 평면 이미터 상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적용된다.
또한, 백라이트(2b)는 지향성 백라이트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모드(B2)에서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일부 영역(A)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의 외부 영역에 위치한 2개의 일부 영역(A1 및 A2)이 사용되며, 이들 2개의 일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모드(B1 및 B2) 둘 다에서 작동될 수 있는 반면, 상기 2개의 일부 영역 사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자유 시청모드로 영구히 동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작모드(B1 또는 B2)는 2개의 일부 영역(A1 및 A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영역(A1, A2) 및, 제공되는 경우, 추가 일부 영역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여러 영역들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1)은, 예를 들어, 일부 영역(A)에서 모드(B2)에서 앞좌석 탑승자에게만 보여지거나 모드(B1)에서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에게 동시에 보여지는 반면에 일부 영역(들)(A)에 상보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들)은 운전자와 앞좌석 탑승자에게 영구히 보여지는 이미지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차량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지털 TV, 비디오 또는 인터넷 데이터와 같은 시각적 엔터테인먼트 데이터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일부 영역(A)의 앞좌석 탑승자에게 표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으로부터 운전자의 주의를 뺐는 것을 방지하는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가령, PIN, 이메일, SMS 또는 ATM 기계, 결제 단말기 또는 모바일 장치에서 비밀번호와 같은 비밀 데이터를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많은 응용도 가능하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LED 또는 LED 열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다른 버전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모드(B2)에서 일부 영역(A)의 제한된 시청에 대한 원하는 제한된 각도 범위는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별도로 정의되고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에서보다 더 큰 각도로 또는 전혀 각도 제한이 없으면 ATM에서 신체 높이가 다른 사람이 이미지를 보는 경우 유용한 반면, 측면 보기는 크게 또는 완전히 제한될 수 있다. 반면, POS 결제 단말기의 경우, 안전 규정은 종종모드(B2)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보기 제한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선택적으로 제한된 시야각을 통해 개인정보 표시 방지를 완벽하게 제공하는 한편, 별도의 동작모드에서는 시야각을 전혀 제한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일부에서만 작동하도록 모드 간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수단 및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양 동작모드에서, 사용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유 해상도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으로 인해 적은 광손실이 야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PIN 또는 패스워드 입력, ATM 또는 지불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또는 모바일 장치에서 이메일을 읽는 것과 같이 비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및/또는 입력되는 경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A, A1, A2 일부 영역
1 디스플레이 스크린
2a 백라이트
2b 백라이트
2ab1 평면 이미터
2ab2 디퓨저
2b1 광 콜리메이터/프리즘 어레이
2b2 광 콜리메이터/프리즘 어레이
2b3 개인정보 보호 필터/마이크로 루버 필터
2a2 BEF층
2a3 DBEF층
2a4 광량을 감쇠하기 위한 중성 필터
3 광가이드
4 광원
5 투과형 이미지 생성기
6 아웃커플링 소자
7 광가이드
7a 광원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A)에서 적어도 2개의 동작모드, 즉 자유 시청모드(B1) 및 제한 시청모드(B2)용으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일부 영역(A) 밖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자유 시청모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으로서,
    - 제한없는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상기 일부 영역(A) 외부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제 1 백라이트(2a);
    - 제한된 각도 범위로 광을 방출하고, 더 넓은 부분에 대해, 일부 영역(A) 아래에 배치된, 평면 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백라이트(2b);
    -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의 전방에 시야 방향으로 배열된 투과성 이미지 생성기(5);
    - 상기 이미지 생성기(5)와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큰 표면을 통해 엣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된 광을 아웃커플 링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판형 투명 광가이드(3); 및
    - 상기 광가이드(3)의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광원(4)을 포함하고,
    - 상기 광가이드(3)는 상기 2개의 백라이트(2a, 2b)로부터 발생한 광의 적어도 70%에 투명하고,
    - 모드(B1)에서 적어도 광원(4)이 켜지고, 모드(B2)에서 2개의 백라이트(2a, 2b)가 켜지며 상기 광원(4)은 꺼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3)는, 상기 일부 영역(A)의 표면 영역과 동일한 표면 영역을 갖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영역에서,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7% 미만의 헤이즈(haze) 값을 가져, 이로써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적어도 모드(B2)에서 백라이트(2b)에 의해 방출된 광이 상기 광가이드(3)를 통과할 때 약간만 산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3)는 열가소성 또는 열탄성 재료 또는 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3)에는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및/또는 체적 내에서 광의 아웃커플링을 위해 아웃커플링 소자(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커플링 소자(6)는 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및/또는 상기 광가이드(3)의 체적 내에 분포되고, 광원(4)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적어도 80%가 광가이드(3)의 큰 표면들 중 하나를 통해 결합되는 방식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커플링 소자(6)는 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마이크로 프리즘 및/또는 회절 구조 및/또는 구조적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커플링 소자(6)는 평균 입자 크기가 150nm 내지 500nm이고 광가이드(3)의 중량과 관련하여 0.01 내지 300 wt.ppm(ppm은 중량에 대해 1/1,000,000)의 농도로 사용되는 나노 입자, 티타늄 디옥사이드, 바륨설페이트,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입자 및/또는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광가이드(3)는 매트릭스 플라스틱(A)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중합물(B)로 구성된 아웃커플링 소자(6)들로 구성되며,
    상기 아웃커플링 소자는:
    - 중합물(B)로 구성된 아웃커플링 소자(6)의 비율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과 관련된 0.01 내지 300 wt.%이고,
    - 중합물(B)의 굴절률 nD(B)은 매트릭스 플라스틱(A)의 굴절률 nD(A)보다 적어도 0.01 이상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백라이트(2a)는: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2ab1);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방출기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2ab2); 및
    - 선택적으로,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추가 광학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광학층은 광강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BEF층(2a2), DBEF층(2a3) 및/또는 중성 필터(2a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백라이트(2a)는:
    - 바람직하게는 측면 또는 후면에 광원이 배치된 광가이드인 평면 이미터(2ab1);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2ab2); 및
    - (시야 방향에서 볼 때) 평면 이미터(2ab1)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2b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백라이트(2a, 2b)는 평면 이미터(2b1)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드(B1)에서, 특정 제한 각도(σ,γ)의 함수로서, 광가이드(3)로부터 각도(β)로 출사된 아웃커플링된 광은, 광가이드(3) 표면에 대해 수직이며 2개의 바람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된 10°< γ < 80° 및 10° < σ < 80°, 바람직하게는 γ = σ = 40° 또는 γ = σ = 20°로 80°> β > γ 및/또는 -80°< β <-σ의 조건을 만족하는 각도 범위에 있는 광가이드(3) 표면의 모든 지점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 광가이드(3) 표면의 이러한 한 지점으로부터 출사한 광의 최대 80%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의 광강도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동작모드(B2)에서만 앞좌석 탑승자에 대해 일부 영역(A)에 그리고 동작모드(B1)에서는 운전자와 앞좌석 탑승자에 동시에 이미지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일부 영역(A)에 상보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들)은 운전자 및 앞좌석 탑승자에게 영구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사용 방법.
KR1020207001735A 2017-08-14 2018-08-10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KR10227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7669.3A DE102017007669A1 (de) 2017-08-14 2017-08-14 Bildschirm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und Verwendung desselben
DE102017007669.3 2017-08-14
PCT/EP2018/071765 WO2019034557A1 (de) 2017-08-14 2018-08-10 Bildschirm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und verwendung desse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54A true KR20200036854A (ko) 2020-04-07
KR102276208B1 KR102276208B1 (ko) 2021-07-13

Family

ID=6324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735A KR102276208B1 (ko) 2017-08-14 2018-08-10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68355B2 (ko)
EP (1) EP3552056B1 (ko)
JP (1) JP6920760B2 (ko)
KR (1) KR102276208B1 (ko)
CN (1) CN110741313B (ko)
DE (1) DE102017007669A1 (ko)
TW (1) TWI705285B (ko)
WO (1) WO201903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1161A1 (en) 2018-06-11 2019-12-19 Rapidsos, Inc.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WO2020205033A1 (en) 2019-03-29 2020-10-08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11146680B2 (en) 2019-03-29 2021-10-12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DE102019002403A1 (de) * 2019-04-02 2020-10-08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einer optischen Ausgabe von Bilddaten auf einer Ausgabe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US11228891B2 (en) 2019-07-03 2022-01-18 Rapids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s
DE102019006339A1 (de) * 2019-09-04 2021-03-04 Sioptica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erstärkung des Sichtschutzeffektes eines Bildschirms
KR20220050946A (ko) 2019-09-27 2022-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재생의 제어
DE102020000345A1 (de) 2020-01-17 2021-07-22 Sioptic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mit einer strukturierten Oberfläche
DE102020001232B3 (de) * 2020-02-18 2021-03-04 Sioptica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n Bildschirm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sowie Bildschirm mit derselben
DE102020003830A1 (de) 2020-06-23 2021-12-23 Sioptica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n Bildschirm
DE102020004095B4 (de) 2020-07-03 2022-04-21 Sioptica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Darstellung eines optischen Signales und/oder eines Bildes in einem Fahrzeug
DE102020004374A1 (de) 2020-07-16 2022-01-20 Sioptica Gmbh Bildschirm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DE102021000968B3 (de) 2021-02-12 2022-04-28 Sioptica Gmbh Bildschirm mit zwei Betriebsarten B1 für einen freien Sichtmodus und B2 für einen im Winkelbereich eingeschränkten oder einen dualen Sichtmodus
DE102021108786B4 (de) 2021-04-08 2023-03-02 Sioptica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n Bildschirm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21122466B3 (de) * 2021-08-31 2023-02-02 Audi Aktiengesellschaft System zum Einstellen eines Bildschirms
KR102522095B1 (ko) * 2021-09-29 2023-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DE102022100553A1 (de) 2022-01-11 2023-07-13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system
DE102022110935A1 (de) 2022-05-04 2023-11-09 Sioptica Gmbh Bildschirm mit eingeschränkter Sichtbarkeit
DE102022113679A1 (de) 2022-05-31 2023-11-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inhaltsabhängigen Anpassen der Sichtbarkeit von Inhalten auf einer Anzeige
WO2024052024A1 (de) 2022-09-06 2024-03-14 Saint-Gobain Glass France Anzeigesystem für ein fahrzeug mit zwei verschiedenen betriebsarten
CN115327820B (zh) * 2022-10-12 2023-04-18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698A (en) * 1996-08-20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ly variable diffuser
KR20040086776A (ko) * 2003-03-31 2004-10-12 후지쯔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조명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00295755A1 (en) * 2006-11-07 2010-11-25 Benjamin John Broughton Display
KR20130063478A (ko) * 2011-12-06 2013-06-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
KR20170006039A (ko) * 2015-07-07 2017-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시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87B1 (ko) 1994-06-21 2003-08-19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광제어또는비밀유지에사용되는복합체
GB9515896D0 (en) * 1995-08-03 1995-10-04 Zeneca Ltd Composition and use
US6608614B1 (en) * 2000-06-22 2003-08-19 Rockwell Collins, Inc. Led-based LCD backlight with extended color space
US6765550B2 (en) 2001-04-27 2004-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cy filter apparatus for a notebook computer display
US7303322B2 (en) 2003-12-23 2007-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ple lightguide backlight
GB2410116A (en) 2004-01-17 2005-07-20 Sharp Kk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TWI263845B (en) 2004-11-19 2006-10-11 Au Optronics Corp Viewing-angle adju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the same
JP4511375B2 (ja) 2005-01-26 2010-07-28 レノボ 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ヴェート リミテッド 視野角の制御が可能な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2428128A (en) 2005-07-08 2007-01-17 Sharp Kk A display having a holographic privacy device
JP4831729B2 (ja) 2005-08-05 2011-12-0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視野角可変液晶表示装置、方法及び端末機
JP4771065B2 (ja) 2005-09-30 2011-09-14 ゲットナー・ファンデ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4600260B2 (ja) 2005-11-30 2010-1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70090662A (ko) 2006-03-03 2007-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개선된 광 제어 필름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lcd 장치
WO2007140345A2 (en) 2006-05-25 2007-12-06 I2Ic Corporation Display with selectable viewing angle
JP4748684B2 (ja) * 2006-11-15 2011-08-17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DE102006056150A1 (de) 2006-11-28 2008-05-2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orrichtung zur Abstrahlung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und Anzeigevorrichtung
US20120235891A1 (en) 2009-12-02 2012-09-20 Rena Nishitan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202010004777U1 (de) * 2010-04-09 2011-09-02 Zumtobel Lighting Gmbh Anordnung zur Lichtabgabe mit mehreren Lichtquellen und transparentem Lichtabstrahlelement
EP2614404A1 (en) 2010-09-09 2013-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witchable privacy filter
WO2012098739A1 (ja) 2011-01-21 2012-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9235057B2 (en) 2012-05-18 2016-01-12 Reald Inc. Polarization recovery in a directional display device
US9188731B2 (en) 2012-05-18 2015-11-17 Reald Inc. Directional backlight
CN106030388A (zh) * 2014-02-17 2016-10-12 矽光学有限公司 能够开关的发光装置及其用途
CA2990591C (en) 2015-03-30 2021-12-21 Leia Inc. 2d/3d mode-switchable electronic display with dual layer backlight
KR102349859B1 (ko) 2015-07-08 202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선택형 백 라이트 유닛
TWI589957B (zh) 2015-07-15 2017-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防窺功能的顯示系統及其顯示方法
US10948650B2 (en) 2015-08-13 2021-03-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including turning film and diffuser
WO2017065745A1 (en) 2015-10-13 2017-04-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vacy backlight module
TWI573123B (zh) 2015-11-27 2017-03-0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其驅動方法以及具有此背光模組的顯示裝置
DE102015016134B3 (de) * 2015-12-10 2016-12-15 Sioptica Gmbh Bildschirm und Verfahren für einen freien und einen eingeschränkten Sichtmodus
KR102010716B1 (ko) 2015-12-10 2019-08-13 시옵티카 게엠베하 자유 보기 모드 및 제한 보기 모드를 위한 스크린
CN105487292A (zh) 2016-01-15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7179627B (zh) 2016-03-09 2020-10-23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以及显示装置
TWI589966B (zh) 2016-05-12 2017-07-0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及顯示裝置
EP3458897A4 (en) 2016-05-19 2019-11-06 RealD Spark, LLC DIRECTIONALLY WIDE IMAGING IMAGING BACKLIGHTS
CN205670225U (zh) 2016-06-17 2016-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装置
CN106125189B (zh) 2016-08-30 2019-1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CN206057756U (zh) 2016-09-22 2017-03-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206163104U (zh) 2016-11-07 2017-05-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防窥显示装置及防窥显示器
FR3062485B1 (fr) 2017-02-02 2021-01-08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Dispositif d'affichage
CN110462285A (zh) 2017-03-25 2019-11-15 镭亚股份有限公司 模式可切换的背光体、隐私显示器及方法
WO2018187154A1 (en) 2017-04-03 2018-10-11 Reald Spark, Llc Segmented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CN107734118A (zh) 2017-09-13 2018-02-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屏幕、终端设备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TWI649592B (zh) 2018-01-15 2019-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698A (en) * 1996-08-20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ly variable diffuser
KR20040086776A (ko) * 2003-03-31 2004-10-12 후지쯔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조명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40239580A1 (en) * 2003-03-31 2004-12-02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00295755A1 (en) * 2006-11-07 2010-11-25 Benjamin John Broughton Display
KR20130063478A (ko) * 2011-12-06 2013-06-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
KR20170006039A (ko) * 2015-07-07 2017-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시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1313B (zh) 2021-08-06
KR102276208B1 (ko) 2021-07-13
TW202009572A (zh) 2020-03-01
TWI705285B (zh) 2020-09-21
US10768355B2 (en) 2020-09-08
US20200003946A1 (en) 2020-01-02
WO2019034557A1 (de) 2019-02-21
JP2020530579A (ja) 2020-10-22
DE102017007669A1 (de) 2019-02-14
JP6920760B2 (ja) 2021-08-18
EP3552056A1 (de) 2019-10-16
EP3552056B1 (de) 2020-06-17
CN110741313A (zh)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208B1 (ko)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및 그 응용
JP6553280B2 (ja) 自由動作モード及び制限動作モード用のスクリーン
KR102265117B1 (ko) 자유 시청모드 및 제한 시청모드용 스크린
US10310302B2 (en) Screen for a free viewing mode and a restricted viewing mode
US10838133B2 (en) Screen for a free and a restricted viewing mode
JP6986302B2 (ja) 自由閲覧モード及び制限付き閲覧モードの画面用照明装置
JP7242104B2 (ja) 少なくとも2つの動作モード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の照明装置
KR20230148238A (ko) 개방 시야 모드 및 제한 시야 모드를 위한 조명 장치
CN114981718A (zh) 用于影响光传播方向的方法和结构
CN117492315A (zh) 显示装置及显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