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85A -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85A
KR20200036485A KR1020180116173A KR20180116173A KR20200036485A KR 20200036485 A KR20200036485 A KR 20200036485A KR 1020180116173 A KR1020180116173 A KR 1020180116173A KR 20180116173 A KR20180116173 A KR 20180116173A KR 20200036485 A KR20200036485 A KR 2020003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unit
cleaning module
washing
aci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485A/ko
Publication of KR2020003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시편이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시편을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산처리부; 상기 시편을 세척용액으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시편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홀더부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처리부는, 산성용액이 채워진 제1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를 향하여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SPECIMEN CLEANING MODULE AND SPECIMEN INSPEC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자동차 강판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냉각수는 부식 방식제, 스케일 방지제, 미생물에 의한 슬라임 제어제 등 소정의 약품 투입을 통해 수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냉각수 수질은 예를 들어 설비 이상으로 인해 냉각수가 대량 누출되는 등 다양한 요인에 인해 냉각수 수질이 예상치 못한 정도로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수질 검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종래 냉각수 수질 검사는 냉각수 배관에 시편을 설치하여 시편의 부식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구체적으로, 냉각수에 소정의 기간 동안 침적시킨 시편에서 부식 생성물을 제거한 후 시편 설치 전후의 무게 차이를 기초로 부식도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부식도 산출을 위해 시편으로부터 부식 생성물을 제거할 때에는 시편 세척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 시편 세척 장치는 산 세척, 브러싱, 고압수 분사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부식 생성물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부식 생성물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시편을 산성용액에 장시간 담가 놓게 되면 시편까지 용해되어 오히려 더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2168호(2006.05.24, 냉각수 침적도 측정 장치)
실시 예는 시편 세척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한편 시편으로부터 부식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은, 시편이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시편을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산처리부; 상기 시편을 세척용액으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시편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홀더부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처리부는, 산성용액이 채워진 제1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를 향하여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처리부는, 상기 제1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조에는 상기 제1 수조가 일부 잠기도록 액상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산처리부는, 상기 제2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연마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더부를 상기 산처리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건조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홀더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처리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건조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플랫폼; 상기 제1 플랫폼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플랫폼에 배치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상기 홀더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플랫폼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홀더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장치는, 제1항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을 거친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및 상기 무게측정부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시편의 부식도를 산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부는 측정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산출된 부식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수질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산출된 부식도를 빅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질 이상 원인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시편을 이송부에 의해 산처리부, 세척부 및 건조부로 이동시키면서 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산성 용액에 침지 시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발생한 초음파에 의해 부식 생성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냉각수 배관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냉각수 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관(10)은 냉각수를 이송하는 냉각수 배관일 수 있고, 제1 배관(10)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배관(20)에는 복수의 시편(3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편(30)은 냉각수에 장시간 접촉하게 되면 표면에 부식 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배관(20)에서 분리된 시편(30)의 부식 생성물은 도 2의 시편 세척 모듈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의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40)은 홀더부(100),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건조부(230) 및 이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편(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부(100)는 복수의 시편(30)이 고정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는 케이스(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200)는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를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200a, 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201) 및 제2 측벽(202), 제1 측벽(201)과 제2 측벽(202)을 연결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3 측벽(203) 및 제4 측벽(204)을 포함할 수 있다.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는 제3 측벽(203)에서부터 제4 측벽(204)까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산처리부(210)에서는 시편(30)의 부식 생성물이 산성용액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산처리부(210)는 제1 수조(211), 제2 수조(212), 지지대(213), 초음파발생기(214) 및 탱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211)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제1 수조(211)에는 산성용액, 예를 들어 묽은 염산용액이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제2 수조(212)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제2 수조(212)에는 액상 유체, 예를 들어 물이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제1 수조(211)는 제2 수조(21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수조(211)의 하부는 액상 유체에 잠길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214)에서 출력된 초음파는 제1 수조(211)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제2 수조(212)에 채워진 액상 유체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산성용액에는 공동 현상(cavitation)에 의한 미세기포가 보다 활발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편(30) 내부로 깊숙이 침투한 부식 생성물까지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지지대(213)는 제2 수조(2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수조(212)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213)는 케이스(200) 및 제2 수조(212)와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접촉한 상태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발생기(214)는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214)는 지지대(2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수조(211)를 향하여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초음파발생기(214)의 초음파 출력면은 제1 수조(2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탱크(215)는 제1 수조(211)에 산성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탱크(215)와 제1 수조(211)는 연결관(21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탱크(215)는 제3 측벽(203)에 형성된 고정부(217)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17)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탱크(215)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215)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은 탱크(215)의 탈부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부(220)에서는 시편(30)에 잔류한 부식 생성물이 세척용액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세척부(220)는 복수의 롤러(221) 및 노즐(223)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21)의 외주면에는 연마재(222), 예를 들어 비금속 내수 연마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마재(222)는 마모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2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마재(222)가 시편(30)과의 마찰을 통해 시편(30)의 양면에 부착된 부식 생성물을 제거할 수 있다.
롤러(221)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223)은 복수의 롤러(221)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용액, 예를 들어 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시편(30)에 잔류한 부식 생성물 및 산성용액이 제거될 수 있다.
노즐(223)은 공급관(224)을 통해 세척용액 탱크(미도시)로부터 세척용액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관(224)에는 제어밸브(225), 및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밸브(225)는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230)에서는 시편(30)에 잔류한 세척용액 등이 강제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부(230)는 송풍 팬(231), 및 송풍 팬(231)에 결합된 히터(2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3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 팬(231)에 의해 시편(30) 측으로 강제 대류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홀더부(100)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홀더부(100)를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홀더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는 제1 플랫폼(310), 한 쌍의 바퀴(320), 구동부(330) 및 한 쌍의 가이드 레일(3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송부는 윈치(350) 및 와이어(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랫폼(310) 상에는 구동부(330) 및 윈치(350)가 탑재될 수 있고, 한 쌍의 바퀴(320)는 한 쌍의 바퀴(320) 상호간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통해 제1 플랫폼(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30)는 바퀴(320) 및 윈치(350)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전기모터, 및 전기모터의 동력을 바퀴(320)와 윈치(35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340)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01) 및 제2 측벽(20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바퀴(320)를 안내할 수 있으며, 제1 측벽(201) 및 제2 측벽(202)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윈치(350)에는 홀더부(100)에 연결되는 와이어(360)가 감길 수 있다. 윈치(350)는 와이어(36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을 통해 홀더부(100)를 상하 이송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외측에는 제2 플랫폼(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플랫폼(400)은 제4 측벽(204)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40)은 제2 플랫폼(400)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340) 사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4 측벽(204)에는 홀더부(100)가 출입하는 출입구(204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를 거친 시편(30)은 제2 플랫폼(400)까지 이송되어 제2 플랫폼(4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장치는 시편 세척 모듈(40), 제어부(50), 무게측정부(60) 및 서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시편 세척 모듈(40)을 시퀀스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이송부(300)를 제어하여 홀더부(100)를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건조부(230) 및 제2 플랫폼(240)으로 차례로 이송할 수 있고, 산처리부(210), 세척부(220) 및 건조부(230)를 각각 제어하여 시편(30)으로부터 부식 생성물을 제거할 수 있다.
무게측정부(60)는 시편 세척 모듈(40)을 거친 시편(3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결과를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다. 무게측정부(60)는 측정 결과를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가능한 전자식 지시 저울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70)는 무게측정부(60)의 측정값을 기초로 시편(30)의 부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편(30)의 부식도는 부식되기 이전의 시편(30) 무게와 무게측정부(60)의 측정값 차이로 산출될 수 있다. 서버(70)는 산출된 부식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시편(30)이 설치되었던 냉각수 배관의 수질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PC, 모바일 등의 사용자 단말(8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수질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값은 냉각수 종류 별로 분석 데이터 값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70)는 산출된 부식도를 빅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질 이상 원인을 판단할 수도 있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8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빅 데이터는 기존의 수질 관리 이력에 따라 생성된 수질 관리 이력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 데이터는 부식도 수치범위 별로 수질 이상 원인을 분석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냉각수 배관에 시편을 설치하는 단계(S100), 소정의 설치 기간 경과 후에 시편을 수거하는 단계(S110), 시편 세척 모듈의 홀더부에 시편을 장착하는 단계(S120), 시편을 약 15% 농도의 묽은 염산용액에 침지시킨 후 초음파발생기를 약 15초간 가동하여 산성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S130), 연마재와 세척용액에 의해 시편을 세척하는 단계(S140), 건조부에 의해 시편을 건조하는 단계(S150), 시편을 제2 플랫폼에서 약 2분간 방냉하는 단계(S160), 무게측정부에서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S170), 서버에서 시편의 부식도와 수질 이상 유무 및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S180), 및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부식도 산출값과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편 세척 모듈의 홀더부에 시편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시편 세척 모듈, 제어부 등 시편 검사 장치의 가동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배관 20: 제2 배관
30: 시편 40: 시편 세척 모듈
50: 제어부 60: 무게측정부
70: 서버 80: 사용자 단말
100: 홀더부 200: 케이스
200a, 200b: 격벽 201: 제1 측벽
202: 제2 측벽 203: 제3 측벽
204: 제4 측벽 204a: 출입구
210: 산처리부 211: 제1 수조
212: 제2 수조 213: 지지대
214: 초음파발생기 215: 탱크
216: 연결관 217: 고정부
220: 세척부 221: 롤러
222: 연마재 223: 노즐
224: 공급관 225: 제어밸브
230: 건조부 231: 송풍 팬
233: 히터 300: 이송부
310: 제1 플랫폼 320: 바퀴
330: 구동부 340: 가이드 레일
350: 윈치 360: 와이어
400: 제2 플랫폼

Claims (12)

  1. 시편이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시편을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산처리부;
    상기 시편을 세척용액으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시편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홀더부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처리부는,
    산성용액이 채워진 제1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를 향하여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부는,
    상기 제1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조에는 상기 제1 수조가 일부 잠기도록 액상 유체가 채워진 시편 세척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부는,
    상기 제2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시편 세척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연마재를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더부를 상기 산처리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건조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홀더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건조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플랫폼;
    상기 제1 플랫폼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시편 세척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플랫폼에 배치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상기 홀더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시편 세척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플랫폼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홀더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시편 세척 모듈.
  10. 제1항에 따른 시편 세척 모듈을 거친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및
    상기 무게측정부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시편의 부식도를 산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부는 측정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시편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산출된 부식도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수질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시편 검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산출된 부식도를 빅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질 이상 원인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시편 검사 장치.
KR1020180116173A 2018-09-28 2018-09-28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KR20200036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73A KR20200036485A (ko) 2018-09-28 2018-09-28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73A KR20200036485A (ko) 2018-09-28 2018-09-28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85A true KR20200036485A (ko) 2020-04-07

Family

ID=7029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73A KR20200036485A (ko) 2018-09-28 2018-09-28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4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68B1 (ko) 1999-12-13 2006-05-2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68B1 (ko) 1999-12-13 2006-05-2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349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permeation hydrogen measurements
US20090145463A1 (en) Ozonated water mixture supply apparatus and method, and substrate treating facility with the apparatus
CN110788063A (zh) 一种硅片清洗设备
JP2001323399A (ja) めっき処理装置およびめっき処理方法
JP2009285571A (ja) 洗浄装置
CN110965116A (zh) 一种适用于沉淀硬化不锈钢去氧化皮的电解超声协同装置
KR20200036485A (ko) 시편 세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검사 장치
CN114618828A (zh) 一种石英晶片清洗烘干系统
US20190178834A1 (en) Bead Mixer / Cleaner For Use With Sensor Devices
RU2764255C1 (ru) Уз-обезжиривание полосы
JP2000185276A (ja) 水監視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監視装置並びに水監視用部材の濾過装置
CN110783239A (zh) 硅片清洗设备
CN110808313A (zh) 硅片清洗设备
JP5564078B2 (ja) めっき方法
US70811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OC in a fluid used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CN111809192A (zh) 管道离线槽式循环清洗装置及工艺
KR100573359B1 (ko) 알루미늄 판재의 전기화학 간접에칭을 위한 연속자동화장치
KR20080096195A (ko) 초음파 세척기
CN111389815A (zh) 用于清洗薄膜式真空规沉积物清除装置的清洗设备及方法
KR100933126B1 (ko) 기판 처리 장치
RU2759938C1 (ru) Управление уз-обезжириванием
KR102483981B1 (ko) 파이프 세척 시스템
CN108636927A (zh) 一种油污分离自动清洗系统
KR20200075271A (ko) 강판의 산세장치
CN212069751U (zh) 用于清洗薄膜式真空规沉积物清除装置的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