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981B1 - 파이프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981B1
KR102483981B1 KR1020220055535A KR20220055535A KR102483981B1 KR 102483981 B1 KR102483981 B1 KR 102483981B1 KR 1020220055535 A KR1020220055535 A KR 1020220055535A KR 20220055535 A KR20220055535 A KR 20220055535A KR 102483981 B1 KR102483981 B1 KR 10248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pair
pos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창호
황심연
김민혜
이진수
차유걸
황시준
Original Assignee
아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683A/ko
Priority to KR1020220187805A priority patent/KR2023000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8Overflow-type cleaning, e.g. tanks in which the liquid flows over the tank in which the article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가 정렬되어 안착되고,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공급부; 상기 파이프공급부 상에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세척 시스템{CLEANING SYSTEM FOR PIP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합금강 파이프의 열처리 시 파이프의 표면에 발생하는 그을음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합금강 파이프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용접과 금속 재료 및 소재만큼이나 중요시되고 있는 것이 열처리 기술이다. 열처리 작업의 조건에 따라 합금강 파이프의 성질이 결정되는바, 열처리 작업 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편, 합금강 파이프를 직접 또는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경우, 열처리된 파이프의 표면에는 그을음 자국이 형성된다. 이러한 그을음 자국은 파이프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합금강 파이프가 반도체 제조 설비 등에 이용될 경우 미세한 입자도 허용되지 않는 고순도 환경에서의 오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이 와벽하게 제거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솔 또는 거즈 등에 산성 용액을 적셔서 파이프 외주면을 문지르며 닦아내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작업은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고, 그을음 자국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3249호(2020.10.28)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파이프 세척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된 파이프에 잔존하는 그을음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 제거 및 검수를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가 정렬되어 안착되고,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공급부; 상기 파이프공급부 상에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지부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파지부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기 위한 진퇴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수용부는, 상기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몸체; 상기 수용부몸체의 수직측벽 상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몸체 내의 상기 산세정액이 기 결정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압축 공기를 발산하는 유동유도부; 상기 수용부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몸체 내의 상기 산세정액을 상기 수용부몸체의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상기 수용부몸체로 재공급 하기 위한 회수배관; 및 상기 회수배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몸체로부터 배출된 상기 산세정액을 정제하는 정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부는, 각각이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후처리몸체; 및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압분사부를 포함하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는, 내부에 상기 파이프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후처리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제거브러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 내에 위치된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세척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의 그을음 제거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세척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검사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전체를 촬영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의 그을음 잔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척검사부는,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1 검사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 나머지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세척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이송부의 작동,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서의 상기 파이프의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서의 상기 파이프의 유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정렬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파이프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한 상기 파이프의 이송 속도,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한 상기 파이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공급부; 상기 파이프공급부 상의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공급부는, 복수의 파이프가 안착되는 밸트부재(110), 및 상기 밸트부재가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열처리된 파이프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그을음 자국이 산세정액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파이프의 산세정액을 통한 그을음 자국 부식 과정에서 형성되어 파이프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 부식물 및/또는 부식 부산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파이프 표면의 세척 상태 검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열처리된 파이프의 그을음 제거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육안 확인이 불필요한바 작업자가 파이프의 근처로 이동하여 유독 가스를 흡입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이 포함하는 파이프이송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이 포함하는 세정액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이 포함하는 후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후처리부에 의해 파이프의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이 제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이 포함하는 세척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검사부에 의해 파이프의 표면 세척 상태가 검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은, 파이프공급부(10), 파이프이송부(2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척되는 파이프(P)는,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내부 공간이 연장된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파이프(P)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파이프(P)가 이송되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파이프이송부(20)는 파이프공급부(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세정액수용부(30)는 파이프(P)의 이송 방향(X)에 있어서 파이프공급부(1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부(40)는 파이프(P)의 이송 방향(X)에 있어서 세정액수용부(3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고, 세척검사부(50)는 파이프(P)의 이송 방향(X)에 있어서 후처리부(4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가공 대상 파이프(P)는, 파이프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파이프공급부(1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의 순서로 이동될 수 있다.
파이프공급부(10)는 복수의 파이프(P)가 정렬되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P)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공급부(10)에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P)는 열처리된 파이프(P)일 수 있다. 파이프(P)의 외주면에는 열처리에 의한 그을음 자국이 존재할 수 있다.
파이프공급부(10)는, 구동자(미도시 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복수의 회전롤러(120), 복수의 회전롤러(120)에 결합된 밸트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트부재(110)는 복수의 회전롤러(12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회전롤러(1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밸트부재(110)는 복수의 회전롤러(12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밸트부재(110)는 복수의 회전롤러(120) 상에서 반복 회전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밸트부재(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가공 대상 파이프(P)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가공 대상 파이프(P)는 밸트부재(110)의 상면에서 그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파이프(P)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전롤러(12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복수의 파이프(P)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X-Y)에서 파이프(P)의 길이 방향(Y)에 수직한 방향(X)으로 연속 이송될 수 있다.
파이프이송부(20)는, 파이프공급부(10) 상에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P)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이송부(20)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및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상에 각각 위치된 한 쌍의 이송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은 파이프공급부(1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은, 파이프공급부(10) 상에서의 복수의 파이프(P)의 이송 방향(X)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 각각은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각각 상에서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이송부재(220)는 가공 대상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세정액수용부(30)는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산성의 산세정액(S)을 수용할 수 있다. 산세정액(S)은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을 부식시켜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산성 용액일 수 있다.
파이프이송부(20)(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파이프공급부(10)로부터 상방 이동된 후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세정액수용부(30) 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세정액수용부(30)의 상부에서 세정액수용부(30)의 내측으로 하방 이동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가 산세정액(S)에 내에 잠김에 따라 파이프(P)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산세정액(S) 내에 잠긴 상태에서 기 결정된 시간동안 세정액수용부(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 결정된 시간이 도과된 경우,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세정액수용부(30)로부터 상방 이동된 후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후처리부(40) 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의 표면에 잔존하는 산세정액(S) 및 그을음 자국은 후처리부(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후처리부(40)에 의해 파이프(P) 표면의 잔존 산세정액(S) 및 그을음 자국이 제거된 후,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세척검사부(50) 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의 표면은 세척검사부(50)에 의해 촬상될 수 있고, 파이프(P)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 자국이 모두 제거되었는지 검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은, 파이프공급부(10), 파이프이송부(2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파이프공급부(10)의 회전롤러(1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파이프공급부(10)에 의한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이송은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이 포함하는 파이프이송부(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이송부(20)는, 파이프이송부(20)에 파지된 파이프(P)를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이송부(20)에 파지된 파이프(P)는, 세정액수용부(30)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파이프이송부(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이송부(20)에 파지된 파이프(P)는, 후처리부(40) 내에 위치되어 잔존 세정액이 제거되는 동안 파이프이송부(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 각각은, 제1 슬라이드부(221), 높이조절부(222), 제1 수평이동부재(223), 제2 수평이동부재(224), 수직브라켓(225), 회전구동부(226) 및 파지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래크티스(2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221)는, 각각의 제1 레일프레임(210) 상에 위치되어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221)는, 제1 레일프레임(210)의 제1 래크티스(211)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제1 레일프레임(210) 상에서 수평 이동되는 제1-1 슬라이드블록(2211), 및 제1-1 슬라이드블록(2211)의 수평 방향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2 슬라이드블록(2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슬라이드블록(2211) 및 제1-2 슬라이드블록(2212)은 일체형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슬라이드블록(2211)에는, 제1 래크티스(211)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미도시 됨) 및 제1 피니언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재(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니언은 제1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제1 래크티스(211)와 맞물리며 이동될 수 있고, 제1 피니언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1 슬라이드블록(2211)은 제1 레일프레임(210) 상에서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제1 슬라이드부(221)와 제1 레일프레임(210) 상호간의 수평 이동 구조를 제1 래크티스(211)와 제1 피니언의 결합으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조절부(222)는, 제1 슬라이드부(22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22)는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부(222)는 일종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높이조절부(222)가 작동됨에 따라 제1 레일프레임(210)에 대한 높이조절부(222)의 하단부 높이는 변동될 수 있다.
제1 수평이동부재(223)는 높이조절부(222)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평이동부재(223)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이동부재(223)는 높이조절부(222)의 길이 방향(Z)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22)가 작동됨에 따라 지면에 대한 제1 수평이동부재(223)의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제2 수평이동부재(224)는 제1 수평이동부재(223)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수평이동부재(223)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이동부재(223)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방향이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수평이동부재(223)에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22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223a)은 제1 수평이동부재(223)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이동부재(223) 상에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이동부재(224)는 제1 수평이동부재(223)의 하부에서 상면 적어도 일부가 제1 수평이동부재(223)의 하면에 면상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수평이동부재(224)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돌기(224a)가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슬라이드돌기(224a) 각각은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223a) 각각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 각각은, 제1 수평이동부재(223)의 상면에 마련된 한 쌍의 진퇴구동부(223b), 및 한 쌍의 진퇴구동부(223b)로부터 인출되거나 한 쌍의 진퇴구동부(223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진퇴샤프트(22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진퇴구동부(223b)는 각각의 수평가이드홈(223a)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진퇴샤프트(223c)는 각각의 진퇴구동부(223b)로부터 인출되어 대응되는 수평가이드홈(223a)의 상부에서 수평가이드홈(223a)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진퇴샤프트(223c) 각각의 말단부는 한 쌍의 슬라이드돌기(224a)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퇴구동부(223b)의 작동에 의해 진퇴샤프트(223c)가 인출되어 연장되는 경우 각각의 진퇴샤프트(223c)에 결합된 각 슬라이드돌기(224a)는 대응하는 각 수평가이드홈(223a) 내에서 수평가이드홈(223a)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돌기(224a)가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223a)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2 수평이동부재(224)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제1 수평이동부재(223)에 대해 수평가이드홈(223a)의 길이 방향(Y)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수직브라켓(225)은, 제2 수평이동부재(224)의 일단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직브라켓(225)은, 한 쌍의 이송부재(220)의 제2 수평이동부재(224)들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수직브라켓(225)은 서로를 향해 대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파지부(227)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 단부에 삽입되어 파이프(P)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226)는, 파지부(227)를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226)는 수직브라켓(225)의 후방(반대측 이송부재(220)를 대향하는 방향의 반대측)에서 제2 수평이동부재(224)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구동부(226)는 수직브라켓(225)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회전축부재(226a)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226a)는 수평가이드홈(223a)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27)는 회전축부재(226a)의 말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구동부(226)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축부재(226a)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227)는 복수의 제1 지지부재(2271), 복수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 복수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 복수의 가이드축(2275), 복수의 탄성부재(2273), 복수의 제2 지지부재(2276) 및 복수의 파지블록(227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부재(2271)는, 회전축부재(226a)의 말단부로부터 회전축부재(226a)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지지부재(2271)는 회전축부재(226a)의 말단부에서 회전축부재(226a)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지지부재(2271)의 횡단면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지지부재(2271)의 말단에는 외부로 개방된 삽입구(미도시 됨)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 각각은 복수의 제1 지지부재(2271) 각각의 말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 각각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림플레이트(2272)의 외경은 제1 지지부재(2271)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 각각은 복수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로부터 제1 지지부재(22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는 각각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축(2275) 각각은 각각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와 각각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22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축(2275)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은 제2 걸림플레이트(2274)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가이드축(2275) 각각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제1 지지부재(2271) 말단부의 삽입구를 통해 제1 지지부재(227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축(2275)은 각각의 제1 지지부재(22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재(2271)로부터 인출되거나 제1 지지부재(2271)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2273) 각각은 각각의 제1 걸림플레이트(2272)와 각각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 사이에서 각각의 가이드축(227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2273) 각각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 방향 일단이 제2 걸림플레이트(2274)에 접촉 지지되고 길이 방향 타단이 제1 걸림플레이트(2272)에 접촉 지지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의 작용으로 가이드축(2275)이 제1 지지부재(2271) 내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부재(2273)는 제2 걸림플레이트(2274)에 회전축부재(226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지블록(2277)은 파이프(P)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고, 파이프(P)는 파지부(227)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부재(2276) 각각은 각각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로부터 제1 지지부재(22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부재(2276) 각각은 각각의 제2 걸림플레이트(2274)로부터 회전축부재(226a)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파지블록(2277) 각각은 각각의 제2 지지부재(2276)의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파지블록(2277)은 외력에 의해 탄성 압축 가능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파지블록(2277)은 파지부(227)의 반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되는바, 파지부(227)가 파이프(P)의 길이 방향 단부 내로 삽입될 때 복수의 파지블록(2277)은 파이프(P)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부재(220)에 있어서, 한 쌍의 진퇴구동부(223b)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축부재(226a)를 통해 수직브라켓(225)에 결합된 파지부(227)는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부재(220)에 있어서, 높이조절부(222)가 작동됨에 따라 파지부(227)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이송부재(220)의 파지부(227)는 파이프공급부(10) 상에 안착된 가공 대상 파이프(P)에 접근될 수 있고, 한 쌍의 파지부(227)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개구에 삽입되어 파이프(P)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퇴구동부(223b)가 작동됨에 따라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위치된 한 쌍의 파지부(227)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개구를 향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파지부(227)가 파이프(P)의 단부에 접하여 간섭됨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축(2275) 각각은 복수의 제1 지지부재(2271) 각각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파지부(227)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개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탄성부재(2273)에 의해 복수의 파지블록(2277)은 파이프(P)의 내주면을 향해 가압 지지될 수 있고, 가공 대상 파이프(P)는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가공 대상 파이프(P)가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226)가 작동됨에 따라 파이프(P)는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레일프레임(210)에 대한 제1 슬라이드부(221)의 수평 이동, 높이조절부(222)의 작동, 진퇴구동부(223b)의 작동, 및 회전구동부(226)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이 포함하는 세정액수용부(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정액수용부(30)는 수용부몸체(310), 유동유도부(340), 회수배관(361) 및 정제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몸체(310)는 산세정액(S)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용부몸체(31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의 수직측벽(311), 및 복수의 수직측벽(311) 상단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상측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벽(312)에는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가 통과 가능한 상면개구(3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면개구(313)는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면개구(313)의 폭은 파이프(P)의 외경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면개구(313)의 길이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 각각의 최후단에 의해 형성되는 최장거리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 대상 파이프(P)를 파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이송부재(220)의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제1 수평이동부재(223), 제2 수평이동부재(224) 및 파지부(227)) 또한 상면개구(313)를 통과할 수 있다.
유동유도부(340)는 수용부몸체(310)의 복수의 수직측벽(311) 중 어느 하나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유동유도부(340)는 수용부몸체(310) 내의 산세정액(S)이 기 결정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압축 공기를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세정액수용부(30) 내에서 유동유도부(34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유도부(340)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 위치되어 파이프(P)의 일측 개구로 압축 공기를 발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액수용부(30) 내에 수용된 산세정액(S)은, 파이프(P)의 내측 공간에서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다시 유동유도부(340) 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처리된 파이프(P)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그을음 자국에 산세정액(S)이 마찰을 일으키며 유동되어 접촉될 수 있고, 그을음 자국의 부식이 촉진될 수 있다.
세정액수용부(30)는, 수용부몸체(310)의 복수의 수직측벽(311) 상에 마련된 복수의 가스배기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기부(320)는 복수의 수직측벽(311) 상에서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가스배기부(320)의 높이는 수용부몸체(310) 내의 산세정액(S)의 수면 높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스배기부(320)에는 음압펌프(미도시 됨)가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가스배기부(320)에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작용될 수 있다. 산세정액(S)에 의해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이 부식됨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 가스가 복수의 가스배기부(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액수용부(30) 근처의 작업자가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수용부(30)는, 수용부몸체(310)의 바닥면 상에 마련되어 산세정액(S)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330), 및 수용부몸체(310)의 바닥면 상에 마련되어 산세정액(S)에 초음파를 발산하는 복수의 초음파발생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포발생부(330)에서 발생된 기포에 의해 수용부몸체(310) 내의 산세정액(S)에는 난류가 유동될 수 있고, 산세정액(S)에 의한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 제거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초음파발생부(350)에서 발산된 초음파는 산세정액(S)에 잠긴 파이프(P)에 도달할 수 있고, 초음파에 의해 파이프(P) 표면에서 제거된 그을음 부산물이 파이프(P)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제거될 수 있다.
회수배관(361)은 수용부몸체(3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수용부몸체(310) 내의 산세정액(S)을 수용부몸체(310)의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수용부몸체(310)로 재공급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수배관(361)의 일단은 수용부몸체(310)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고, 회수배관(361)의 타단은 수용부몸체(310)의 수직측벽(311)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측벽(311)에 연결될 수 있다. 회수배관(361)의 일단을 통해 배출된 산세정액(S)은 회수배관(361)의 타단을 통해 다시 수용무몸체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정제부(362)는 회수배관(361) 상에 마련될 수 있고, 수용부몸체(310)로부터 배출된 산세정액(S)을 정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몸체(310) 내에서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이 제거되어 발생된 부유물 또는 이물질은 회수배관(361)의 일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회수배관(361)으로 배출된 산세정액(S) 내의 부유물 또는 이물질은 정제부(362)에서 여과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정제부(362)를 통과하여 부유물 또는 이물질이 제거된 산세정액(S)은 회수배관(361)의 타단을 통해 다시 수용부몸체(31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회수배관(361)의 길이 방향 일측(즉, 회수배관(361)의 상류측)에는 배출배관(364)이 연결될 수 있다. 배출배관(364)은 회수배관(361)의 산세정액(S) 유동 방향에 있어서 정제부(362)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회수배관(361)의 일단으로 유입된 산세정액(S) 중 적어도 일부는 배출배관(3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회수배관(361)의 길이 방향 타측(즉, 회수배관(361)의 하류측)에는 공급부(363) 및 공급배관(365)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363)는 산세정액(S)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363)는 미사용 산세정액(S)을 구비한 용액탱크일 수 있다. 공급부(363)는 공급배관(365)을 통해 회수배관(36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가스배기부(320)의 작동, 기포발생부(330)의 작동, 유동유도부(340)의 작동, 초음파발생부(350)의 작동, 및 회수배관(361)을 통한 산세정액(S)의 순환 정제, 공급부(363)에 의한 산세정액(S)의 공급, 및 배출배관(364)을 통한 산세정액(S)의 배출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정액수용부(30) 내에서의 파이프(P)의 유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이 포함하는 후처리부(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후처리부(40)에 의해 파이프(P)의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이 제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후처리부(40)는 한 쌍의 제1 지지바디(410), 복수의의 제1 수평구동부(420),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 복수의 제거브러쉬(432) 및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후처리부(40)의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P)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길이 방향 양단이 파지된 상태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바디(4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수평구동부(420) 및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수평구동부(420)는 한 쌍의 제1 지지바디(4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수평구동부(420)의 일단은 각각의 제1 지지바디(410)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수평구동부(420)의 타단은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수평구동부(420) 각각은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제1 수평구동부(420)는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구동부(420)는 일종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수평구동부(420)가 작동됨에 따라 후처리몸체(430)는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1 지지바디(410) 및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에는 2개의 제1 수평구동부(420)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는, 복수의 제1 수평구동부(420)에 의해 수평 이동되어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은,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의 길이는,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방향(Y)에 있어서, 한 쌍의 파지부(227) 상호 간의 이격 거리(바람직하게는, 파이프(P)의 길이)보다 크되 한 쌍의 수직브라켓(225) 상호 간의 이격 거리보다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지면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반(half)-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통 형상의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내부에 파이프(P)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후처리수용부(440)를 형성할 수 있다. 후처리수용부(440) 내에는 제1 수용공간(440a)이 형성될 수 있고, 가공 대상 파이프(P)는 제1 수용공간(44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공 대상 파이프(P)가 후처리수용부(440)의 제1 수용공간(440a)에 배치된 경우, 상부에서 볼 때 파이프(P)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후처리수용부(440)의 내경은 파이프(P)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후처리수용부(440)의 내주면은 파이프(P)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가 서로 접하도록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된 후처리수용부(440)는 제1 수용공간(440a)에 수용된 파이프(P)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의 하단은 절삭되어 제거될 수 있고, 파이프(P)의 회단면 평면(X-Z)에서 볼 때,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의 상단은 제1 지지바디(410)로부터 하단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가 서로 접하도록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의 상단은 서로 면상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의 하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수용부(440)의 하단에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후처리수용부(440)를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는 배출슬릿(440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는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는 각 후처리몸체(430)의 하단부에서 후처리몸체(43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는 후처리몸체(430)에 내장될 수 있고,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의 노즐은 후처리수용부(440)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 각각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는 후처리수용부(440) 내에 수용되는 파이프(P)의 외주면에 분사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동안,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액수용부(30)에서 표면의 그을음 자국이 부식된 파이프(P)의 외주면 전체에 압축 공기가 분사될 수 있고, 파이프(P)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산세정액(S) 및 파이프(P)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 부식물이 압축 공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복수의 제거브러쉬(432)는,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파이프(P)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거브러쉬(432)는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거브러쉬(432)는 각 후처리몸체(430)의 내주면 상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Z)을 따라 그리고 후처리몸체(43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가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원통형의 후처리수용부(440)가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에 마련된 복수의 제거브러쉬(432) 말단은 제1 수용공간(440a)에 배치된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재(22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는 제1 수용공간(440a) 내에서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거브러쉬(432)는 파이프(P)의 외주면에 마찰 접촉을 형성할 수 있고, 파이프(P)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 부식물 및/또는 부식 부산물은 제거브러쉬(432)와의 마찰에 의해 파이프(P) 외주면에서 이탈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압분사부(431) 및 복수의 제거브러쉬(432)에 의해 파이프(P) 외주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이탈된 잔여 산세정액 및 그을음 부식물은 후처리몸체(43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려 배출슬릿(440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슬릿(440b)의 하부에는 배출슬릿(440b)을 통해 배출된 산세정액 및 부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폐용액수용부(미도시 됨)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는, 후처리수용부(440) 내측의 부식 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는 한 쌍의 후처리몸체(430)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처리몸체(43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는 각 후처리몸체(430)의 상단부에서 후처리몸체(43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는 후처리몸체(430)에 내장될 수 있고,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는 후처리수용부(440)의 제1 수용공간(440a)과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배출부(433) 각각에는, 후처리수용부(440) 내측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 및 배출유로 상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압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흡입배출부(433)에 의해 제1 수용공간(440a)에는 부압이 적용될 수 있고, 파이프(P) 외주면의 그을음이 부식됨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 가스, 및 파이프(P) 외주면에 잔존하는 산세정액(S)의 미세 입자 등이 복수의 흡입배출부(4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처리부(40) 근처의 작업자가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수평구동부(420)의 작동, 공기압분사부(431)의 작동, 및 흡입배출부(433)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이 포함하는 세척검사부(5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검사부(50)에 의해 파이프(P)의 표면 세척 상태가 검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세척검사부(50)는, 파이프(P)의 외주면 전체를 촬영하고, 파이프(P)의 외주면의 그을음 잔존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검사부(50)는, 복수의 제2 지지바디(510),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한 쌍의 제2 슬라이드부(530),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척검사부(50)의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P)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파지부(227)에 의해 길이 방향 양단이 파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바디(5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한 쌍의 제2 슬라이드부(530),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2 지지바디(510) 각각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각각은 2개의 제2 지지바디(51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각각은,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에 수직한 방향(Y)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의 상면에는 제2 레일프레임(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래크티스(521)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드부(530) 각각은, 각각의 제2 레일프레임(520) 상에 위치되어 제2 레일프레임(52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부(530)는, 제2 레일프레임(520)의 제2 래크티스(521)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제2 레일프레임(520) 상에서 수평 이동되는 제2-1 슬라이드블록(531), 및 제2-1 슬라이드블록(531)의 수평 방향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2 슬라이드블록(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슬라이드블록(531) 및 제2-2 슬라이드블록(532)은 일체형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1 슬라이드블록(531)에는, 제2 래크티스(521)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미도시 됨) 및 제2 피니언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재(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피니언은 제2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제2 래크티스(521)와 맞물리며 이동될 수 있고, 제2 피니언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2-1 슬라이드블록(531)은 제2 레일프레임(520) 상에서 제2 레일프레임(52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제2 슬라이드부(530)와 제2 레일프레임(520) 상호간의 수평 이동 구조를 제2 래크티스(521)와 제2 피니언의 결합으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각각의 일단은 각각의 제2-2 슬라이드블록(532)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각각의 타단은 제1 검사모듈(550) 또는 제2 검사모듈(56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제2 수평구동부(540)의 일단은 한 쌍의 제2-2 슬라이드블록(532)의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부(530)로부터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각각은,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제2 수평구동부(540)는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평구동부(540)는 일종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수평구동부(540)가 작동됨에 따라 그에 연결된 제1 검사모듈(550) 또는 제2 검사모듈(560)은 제1 레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은,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중 어느 하나(도 7 및 8에서 좌측의 제2 수평구동부(540))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중 어느 하나(도 7에서 좌측의 제2 레일프레임(52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검사모듈(560)은,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중 나머지 하나(도 7 및 8에서 우측의 제2 수평구동부(540))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520) 중 나머지 하나(도 7에서 우측의 제2 레일프레임(52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은, 각각에 연결된 제2 수평구동부(540)의 작동에 의해 제2 레일프레임(52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제2 레일프레임(520) 측으로 인접하도록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은, 가공 대상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파이프(P)의 원주 방향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검사모듈(560)은, 가공 대상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파이프(P)의 원주 방향 나머지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검사모듈(550)은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 외주면을 촬상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파이프(P)의 일측 외주면 절반을 촬상할 수 있고, 제2 검사모듈(560)은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 외주면을 촬상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파이프(P)의 일측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촬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모듈(550)은,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1-1 검사프레임(551), 제1-1 검사프레임(551)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1-2 검사프레임(552), 제1-1 검사프레임(551)의 상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1-3 검사프레임(553), 제1-1 검사프레임(551) 상에서 반대측의 제2 레일프레임(520)을 향해 마련된 제1-1 카메라모듈(554), 및 제1-2 검사프레임(552) 상에서 제1-3 검사프레임(553)을 향해 마련된 제1-2 카메라모듈(5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검사프레임(552)은 제1-1 검사프레임(551)의 하단으로부터 제2 수평구동부(54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1-3 검사프레임(553)은 제1-1 검사프레임(551)의 상단으로부터 제2 수평구동부(54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1 검사프레임(551), 제1-2 검사프레임(552) 및 제1-3 검사프레임(553)은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된 제1-1 검사프레임(551), 제1-2 검사프레임(552) 및 제1-3 검사프레임(553)은 제2 레일프레임(520)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볼 때(예를 들어, 도 8), 반대측 제2 레일프레임(520)을 향해 개방(도면상 우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검사프레임(551)의 길이는 파이프(P)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2 검사프레임(552) 및 제1-3 검사프레임(553) 상호 간의 최단 이격 거리는 파이프(P)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공 대상 파이프(P)는 제1-2 검사프레임(552) 및 제1-3 검사프레임(55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 검사프레임(552)의 연장 길이는 제1-3 검사프레임(553)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카메라모듈(554) 및 제1-2 카메라모듈(555)은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외주면을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1 카메라모듈(554)은 제1-1 검사프레임(551) 상에 마련되어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수평 방향 일측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2 카메라모듈(555)은 제1-2 검사프레임(552) 상에 마련되어 가공 대상 파이프(P)의 하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검사모듈(560)은,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1 검사프레임(561), 제2-1 검사프레임(561)의 상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2 검사프레임(562), 제2-1 검사프레임(561)의 하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3 검사프레임(563), 제2-1 검사프레임(561) 상에서 반대측의 제2 레일프레임(520)을 향해 마련된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검사프레임(562) 상에서 제2-3 검사프레임(563)을 향해 마련된 제2-2 카메라모듈(5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검사프레임(562)은 제2-1 검사프레임(561)의 상단으로부터 제2 수평구동부(54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3 검사프레임(563)은 제2-1 검사프레임(561)의 하단으로부터 제2 수평구동부(54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1 검사프레임(561), 제2-2 검사프레임(562) 및 제2-3 검사프레임(563)은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된 제2-1 검사프레임(561), 제2-2 검사프레임(562) 및 제2-3 검사프레임(563)은 제2 레일프레임(520)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볼 때(예를 들어, 도 8), 반대측 제2 레일프레임(520)을 향해 개방(도면상 좌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1 검사프레임(561)의 길이는 파이프(P)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2-2 검사프레임(562) 및 제2-3 검사프레임(563) 상호 간의 최단 이격 거리는 파이프(P)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공 대상 파이프(P)는 제2-2 검사프레임(562) 및 제2-3 검사프레임(56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2-2 검사프레임(562)의 연장 길이는 제2-3 검사프레임(563)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1 검사프레임(551)의 길이 및 제2-1 검사프레임(561)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고, 제1-2 검사프레임(552)의 길이 및 제2-2 검사프레임(562)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고, 제1-3 검사프레임(553)의 길이 및 제2-3 검사프레임(563)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은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외주면을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1 카메라모듈(564)은 제2-1 검사프레임(561) 상에 마련되어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수평 방향 타측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2 카메라모듈(565)은 제2-2 검사프레임(562) 상에 마련되어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상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은, 한 쌍의 제2 수평구동부(540)에 의해 수평 이동되어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2 검사프레임(552)의 말단은 제2-3 검사프레임(563)의 말단과 접할 수 있고, 제1-3 검사프레임(553)의 말단은 제2-2 검사프레임(562)의 말단과 접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이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은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파이프(P)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내부에 파이프(P)를 수용 가능한 사각 프레임 형상의 검사수용부(570)를 형성할 수 있다.
검사수용부(570) 내에는 제2 수용공간(570a)이 형성될 수 있고, 가공 대상 파이프(P)는 제2 수용공간(57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공 대상 파이프(P)가 검사수용부(570)의 제2 수용공간(570a)에 배치된 경우, 상부에서 볼 때 파이프(P)의 외주면 중 검사수용부(570)에 의해 감싸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검사부(50)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를 통해, 검사수용부(570)에 의해 감싸진 파이프(P)의 원주 방향 외주면 전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은, 상술한 제2 래크프레임 상에서 수평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부(530)의 구동에 의해 제2 래크프레임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드부(530)는, 제2 래크프레임을 따라 가공 대상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파이프(P)의 길이 방향 타단까지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에 의해 형성된 검사수용부(570)는 가공 대상 파이프(P)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길이 방향 타단까지 이동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550) 및 제2 검사모듈(560)이 파이프(P)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동안,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은 연속하여 파이프(P)의 외주면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공간(570a)에 배치된 가공 대상 파이프(P)의 외주면 전체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에 의해 촬상될 수 있다.
또한, 세척검사부(50)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과 연결된 연산부(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에서 촬상된 파이프(P)의 외주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이프(P) 외주면의 그을음 제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에는 그을음 자국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파이프(P) 외주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연산부는 기준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파이프(P) 표면 상태의 일치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파이프(P)의 외주면에 그을음 자국이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산부는, 파이프(P) 외주면의 그을음 자국 제거 상태의 판단 결과(합격/불합격)를 제어부(60)로 전달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수신한 그을음 자국 제거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한 쌍의 이송부재(220)를 제어하여 해당 가공 대상 파이프(P)를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대상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 자국 제거 상태의 검사 결과 불합격된 경우, 제어부(60)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를 제어하여 해당 파이프(P)를 다시 세정액수용부(30) 및 후처리부(40)로 이동시킬 수 있고, 산세정액(S)에 의한 그을음 자국 부식 및 후처리부(40)에 의한 잔여 그을음 자국 제거 과정을 거쳐 파이프(P) 외주면의 그을음 자국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가공 대상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 자국 제거 상태의 검사 결과 합격된 경우, 제어부(60)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를 제어하여 해당 파이프(P)를 별도의 거치대(미도시 됨)으로 이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육안에 의한 확인 없이도 파이프(P) 표면의 세척 상태 검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열처리된 파이프(P)의 그을음 제거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육안 확인이 불필요한바, 작업자가 파이프(P)의 근처로 이동하여 유독 가스를 흡입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레일프레임(520)에 대한 제2 슬라이드부(530)의 수평 이동, 제2 수평구동부(540)의 작동,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파이프공급부(10), 파이프이송부(2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레일프레임(210)에 대한 제1 슬라이드부(221)의 수평 이동, 높이조절부(222)의 작동, 진퇴구동부(223b)의 작동, 및 회전구동부(226)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스배기부(320)의 작동, 기포발생부(330)의 작동, 유동유도부(340)의 작동, 초음파발생부(350)의 작동, 및 회수배관(361)을 통한 산세정액(S)의 순환 정제, 공급부(363)에 의한 산세정액(S)의 공급, 및 배출배관(364)을 통한 산세정액(S)의 배출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한 쌍의 이송부재(220)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정액수용부(30) 내에서의 파이프(P)의 유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수평구동부(420)의 작동, 공기압분사부(431)의 작동, 및 흡입배출부(433)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레일프레임(520)에 대한 제2 슬라이드부(530)의 수평 이동, 제2 수평구동부(540)의 작동,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세척 시스템(1)은, 제어부(60)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관리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태플릿 또는 PC 등 관리자가 제어 가능하고 이동통신(4G, 5G)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으로 통신모듈(70)과 상호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연산부로부터 전달받은 파이프(P) 표면의 그을음 자국 제거 상태의 판단 결과를 통신모듈(70)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에 의해 촬상된 파이프(P) 외주면의 촬상 결과를 통신모듈(70)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1 카메라모듈(554), 제1-2 카메라모듈(555), 제2-1 카메라모듈(564) 및 제2-2 카메라모듈(565)에서 촬산된 파이프(P) 표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합하여 직사각형의 2D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가공된 2D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의 촬상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관리자 단말(2)에 의해 직접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이프공급부(10), 파이프이송부(20), 세정액수용부(30), 후처리부(40) 및 세척검사부(5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2)을 통해 세정액수용부(30)에서의 파이프(P)의 산세정액(S)에 의한 부식 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값에 따라 세정액수용부(30) 내에서의 파이프(P)의 유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파이프 세척 시스템
10: 파이프공급부
110: 밸트부재
120: 회전롤러
20: 파이프이송부
210: 제1 레일프레임
211: 제1 래크티스
220: 이송부재
221: 제1 슬라이드부
2211: 제1-1 슬라이드블록
2212: 제1-2 슬라이드블록
222: 높이조절부
223: 제1 수평이동부재
223a: 수평가이드홈
223b: 진퇴구동부
223c: 진퇴샤프트
224: 제2 수평이동부재
224a: 슬라이드돌기
225: 수직브라켓
226: 회전구동부
226a: 회전축부재
227: 파지부
2271: 제1 지지부재
2272: 제1 걸림플레이트
2273: 탄성부재
2274: 제2 걸림플레이트
2275: 가이드축
2276: 제2 지지부재
2277: 파지블록
30: 세정액수용부
310: 수용부몸체
311: 수직측벽
312: 상측벽
313: 상면개구
S: 산세정액
320: 가스배기부
330: 기포발생부
340: 유동유도부
350: 초음파발생부
361: 회수배관
362: 정제부
363: 공급부
364: 배출배관
365: 공급배관
40: 후처리부
410: 제1 지지바디
420: 제1 수평구동부
430: 후처리몸체
431: 공기압분사부
432: 제거브러쉬
433: 흡입배출부
440: 후처리수용부
440a: 제1 수용공간
440b: 배출슬릿
50: 세척검사부
510: 제2 지지바디
520: 제2 레일프레임
521: 제2 래크티스
530: 제2 슬라이드부
531: 제2-1 슬라이드블록
532: 제2-2 슬라이드블록
540: 제2 수평구동부
550: 제1 검사모듈
551: 제1-1 검사프레임
552: 제1-2 검사프레임
553: 제1-3 검사프레임
554: 제1-1 카메라모듈
555: 제1-2 카메라모듈
560: 제2 검사모듈
561: 제2-1 검사프레임
562: 제2-2 검사프레임
563: 제2-3 검사프레임
564: 제2-1 카메라모듈
565: 제2-2 카메라모듈
570: 검사수용부
570a: 제2 수용공간
60: 제어부
70: 통신모듈
2: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가 정렬되어 안착되고,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공급부;
    상기 파이프공급부 상에 안착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송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지부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파지부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기 위한 진퇴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수용부는,
    상기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몸체;
    상기 수용부몸체의 수직측벽 상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몸체 내의 상기 산세정액이 기 결정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압축 공기를 발산하는 유동유도부;
    상기 수용부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몸체 내의 상기 산세정액을 상기 수용부몸체의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상기 수용부몸체로 재공급 하기 위한 회수배관; 및
    상기 회수배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몸체로부터 배출된 상기 산세정액을 정제하는 정제부
    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각각이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후처리몸체; 및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압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호 최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는, 내부에 상기 파이프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후처리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슬릿이 마련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한 쌍의 후처리몸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제거브러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수용부 내에 위치된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세척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의 그을음 제거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세척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검사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전체를 촬영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의 그을음 잔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척검사부는,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1 검사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 나머지 일부를 촬상하도록 구성된 제2 검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세척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이송부의 작동,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서의 상기 파이프의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서의 상기 파이프의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9.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정렬된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파이프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한 상기 파이프의 이송 속도,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한 상기 파이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송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10. 기 결정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세척하여 파이프 표면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파이프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공급부;
    상기 파이프공급부 상의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상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산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수용부로서,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가 상기 산세정액에 내에 잠김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을음이 부식되는 것인, 세정액수용부; 및
    상기 세정액수용부에서 세정된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산세정액 및 상기 파이프 표면에 잔존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후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공급부는, 복수의 파이프가 안착되는 밸트부재(110), 및 상기 밸트부재가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파지된 파이프는, 상기 세정액수용부 내에 위치되어 세정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이송부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파이프이송부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프레임 상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송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055535A 2022-05-03 2022-05-04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48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811A KR20230008683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187805A KR20230008681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62 2022-05-03
KR20220054972 2022-05-03
KR1020220054972 2022-05-03
KR20220054962 2022-05-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811A Division KR20230008683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187805A Division KR20230008681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981B1 true KR102483981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0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535A KR102483981B1 (ko) 2022-05-03 2022-05-04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187805A KR20230008681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187811A KR20230008683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805A KR20230008681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KR1020220187811A KR20230008683A (ko) 2022-05-03 2022-12-28 파이프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83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927A (ja) * 2000-11-27 2002-06-04 Ishii Hyoki Corp 基板洗浄装置
KR101717440B1 (ko) * 2016-12-09 2017-03-17 조덕관 파이프 용접 그을음 제거 장치
KR102122291B1 (ko) * 2020-03-01 2020-06-12 김상희 피가공물 산세장치
KR102173249B1 (ko) 2020-04-29 2020-11-03 박동석 벤딩 파이프용 열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927A (ja) * 2000-11-27 2002-06-04 Ishii Hyoki Corp 基板洗浄装置
KR101717440B1 (ko) * 2016-12-09 2017-03-17 조덕관 파이프 용접 그을음 제거 장치
KR102122291B1 (ko) * 2020-03-01 2020-06-12 김상희 피가공물 산세장치
KR102173249B1 (ko) 2020-04-29 2020-11-03 박동석 벤딩 파이프용 열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683A (ko) 2023-01-16
KR20230008681A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830B1 (en) Immersion cleaner for print rollers
TWI399822B (zh) 基板處理裝置
KR20080032482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자동 세척장치
TWI675398B (zh) 泵裝置及基板處理裝置
JP7273535B2 (ja) スラッジ乾燥装置
CN103177986B (zh) 涂布装置
KR101403669B1 (ko) 하수관의 폐수 채수를 위한 장치 및 이것의 운용 방법
EP1855819A1 (en) Method of degreasing metal sheets
JP4476914B2 (ja) トンネル内の空気浄化装置
KR102483981B1 (ko) 파이프 세척 시스템
JP2006187747A (ja) 基板処理装置
JP2013071033A (ja) ノズル洗浄装置および該ノズル洗浄装置を備えた塗布装置
US20080142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rubbing CMP slurry systems
KR101746536B1 (ko) 포터블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TW201728375A (zh) 洗淨方法及此洗淨方法所使用之洗淨裝置
TW201703864A (zh) 噴灑蝕刻裝置
KR20000053465A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척장치 및 방법
JP2007231404A (ja) ステンレス鋼帯の洗浄装置
KR20120124895A (ko) 오폐수처리용 침지형 평막모듈의 막 세척장치
JP2007204096A (ja) 油移送装置
JP2009032868A (ja) 基板処理装置
JP2004016997A (ja) 基板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6169033B2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JP2006106380A (ja)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製円筒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589726B1 (ko) 표면처리시설의 유해가스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