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644A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644A
KR20200033644A KR1020180113198A KR20180113198A KR20200033644A KR 20200033644 A KR20200033644 A KR 20200033644A KR 1020180113198 A KR1020180113198 A KR 1020180113198A KR 20180113198 A KR20180113198 A KR 20180113198A KR 20200033644 A KR20200033644 A KR 2020003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unit
side wall
support plate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3644A/ko
Publication of KR2020003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측벽부와,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분리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슬롯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케이블슬롯이 측벽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 및 케이블이 수용되고 고정되며, 케이블슬롯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케이블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도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선박, 플랫폼(platform), 및 플랜트(plant)에는 전력 공급,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한 각종 케이블(cable)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에 보관되며, 케이블 트레이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 수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 케이블 트레이는 통상, 데크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며 케이블을 지지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평 플레이트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수평 플레이트에 복수의 케이블을 일렬로 보관하였다. 따라서, 수평 플레이트 내에서 작업자가 케이블을 클램프로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에 보관할 수 있는 케이블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많은 양의 케이블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도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7891호 (1996. 11. 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많은 양의 케이블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도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분리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슬롯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슬롯이 상기 측벽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 및 케이블이 수용되고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슬롯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면이 상기 지지판의 하면과 요철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블슬롯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면에 상기 고정유닛과 접하며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결속하며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 하면에서 체결되는 결속와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슬롯에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지지판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병렬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유닛에 단위 케이블을 고정한 후 고정유닛을 하우징에 삽입시키므로, 하우징 내에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많은 양의 케이블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특히, 고정유닛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하우징 외부에서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트레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 트레이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결속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C)을 보관하는 장비로, 선박 또는 플랫폼 또는 플랜트의 데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는 고정유닛(20)에 단위 케이블(C)을 고정한 후 고정유닛(20)을 하우징(10)에 삽입시키므로, 하우징(10) 내에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많은 양의 케이블(C)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특히, 고정유닛(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하우징(10) 외부에서 케이블(C)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케이블 트레이(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트레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케이블 트레이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는 하우징(10)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닛(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케이블 트레이(1)의 본체로, 한 쌍의 측벽부(11)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12)을 포함한다.
측벽부(1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측벽부(11)는 각각 데크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판(12)은 후술할 고정유닛(20)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측벽부(11)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지지판(12)은 측벽부(11) 사이를 연결하면서 복수 개의 층으로 분리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슬롯(121)을 형성한다. 즉, 케이블슬롯(121)은 지지판(12)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 사이에 3개의 지지판(12)이 연결된 경우, 2개의 케이블슬롯(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케이블슬롯(121)은 수직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슬롯(121)은 측벽부(1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케이블슬롯(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닛(20)이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슬롯(121)에 복수 개의 고정유닛(20)이 삽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고정유닛(20)은 지지판(12)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병렬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유닛(20)은 케이블(C)을 수용 및 고정하는 것으로, 케이블슬롯(12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유닛(20)은 상면이 지지판(12)의 하면과 요철 결합되면서 케이블슬롯(12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슬롯(121)의 전방에서 삽입될 수도 있고, 케이블슬롯(121)의 후방에서 삽입될 수도 있다. 고정유닛(20)의 상면이 지지판(12)의 하면과 요철 결합됨으로써, 지지판(12)이 고정유닛(20)을 들어 올리는 형태가 되어 고정유닛(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고정유닛(20)의 상면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판(12)의 하면이 만입 형성되어 고정유닛(20)이 케이블슬롯(12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유닛(20)과 케이블슬롯(121)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2)의 하면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유닛(20)의 상면이 만입 형성되어 고정유닛(20)이 케이블슬롯(12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고정유닛(20)의 상면이 'ㅜ'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판(12)의 하면이 고정유닛(20)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여 만입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유닛(20)의 돌출 형상, 및 지지판(12)의 만입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고정유닛(20)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슬롯(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중앙에 케이블(C)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0a)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직선화(直線化) 상태로 수용공간(20a)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20a)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와이어(22)에 의해 고정유닛(20)에 결속될 수 있다.
결속와이어(22)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 양단이 고정유닛(20)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 하면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은 자력 또는 접착력 또는 점착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자력으로 결합되는 경우, 결속와이어(2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접착력 또는 점착력으로 결합되는 경우, 결속와이어(2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벨크로(Velcro) 또는 똑딱단추(수단추와 암단추를 눌러 맞추어 채우는 단추)가 결합되거나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고정유닛(20)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 하면에서 체결됨으로써,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불가피하게 분리되더라도 케이블(C)이 고정유닛(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수용공간(20a) 내에서 체결될 경우,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분리되면 결속와이어(22)가 벌어져 케이블(C)을 감싸지 않게 되므로, 케이블(C)이 고정유닛(20)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고정유닛(20)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 하면에서 체결되므로, 결속와이어(22)의 양단이 분리되더라도 결속와이어(22)가 케이블(C)을 감싸고 있어 케이블(C)이 고정유닛(20)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판(12)은 상면에 가이드돌기(122)가 형성되고, 고정유닛(20)은 하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2)는 고정유닛(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고정유닛(20)과 접하며 측벽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2)는 지지판(12)의 상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21)은 고정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고정유닛(20)의 하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2)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122)가 형성되고, 고정유닛(20)의 하면에 한 쌍의 가이드홈(21)이 형성됨으로써, 고정유닛(20)이 양 측 균형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케이블슬롯(1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122)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홈(21)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판(12)의 상면과 고정유닛(20)의 하면 사이에 이격 간격이 존재하여 결속와이어(22)의 양단과 지지판(12) 또는 고정유닛(2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케이블 트레이(1)에 케이블(C)을 결속하는 과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결속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는 고정유닛(20)에 단위 케이블(C)을 고정한 후 고정유닛(20)을 하우징(10)에 삽입시키므로, 하우징(10) 내에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많은 양의 케이블(C)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특히, 고정유닛(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하우징(10) 외부에서 케이블(C)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유닛에 케이블을 결속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고정유닛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블(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직선화 상태로 고정유닛(20)의 수용공간(20a)에 수용된다. 고정유닛(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20a) 일 측이 외부와 연통되므로, 케이블(C)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수용공간(20a)에 케이블(C)이 수용되면, 결속와이어(22)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고정유닛(20)에 결속한다. 결속와이어(22)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며, 양단이 각각 고정유닛(20)을 관통하여 고정유닛(20) 하면에서 체결된다. 결속와이어(22)는 복수 개가 케이블(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케이블(C)을 결속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작업은 하우징(10)으로부터 고정유닛(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넓은 공간에서 원활하게 케이블(C)을 고정유닛(20)에 결속할 수 있다.
고정유닛(20)에 케이블(C)이 결속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20)을 케이블슬롯(121)에 삽입한다. 고정유닛(20)은 상면이 지지판(12)의 하면에 요철 결합되고, 하면에 지지판(12)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므로, 케이블슬롯(121)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 외부에서 고정유닛(20)에 케이블(C)을 결속한 후 고정유닛(20)을 케이블슬롯(121)에 삽입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케이블(C)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케이블(C)이 고정유닛(20)에 의해 보호되므로, 케이블(C)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케이블 트레이
10: 하우징 11: 측벽부
12: 지지판 121: 케이블슬롯
122: 가이드돌기 20: 고정유닛
20a: 수용공간 21: 가이드홈
22: 결속와이어 C: 케이블

Claims (5)

  1.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분리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슬롯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슬롯이 상기 측벽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 및
    케이블이 수용되고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슬롯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면이 상기 지지판의 하면과 요철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블슬롯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면에 상기 고정유닛과 접하며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결속하며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 하면에서 체결되는 결속와이어가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슬롯에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지지판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병렬로 삽입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180113198A 2018-09-20 2018-09-20 케이블 트레이 KR2020003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98A KR20200033644A (ko) 2018-09-20 2018-09-20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98A KR20200033644A (ko) 2018-09-20 2018-09-20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44A true KR20200033644A (ko) 2020-03-30

Family

ID=7000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98A KR20200033644A (ko) 2018-09-20 2018-09-20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5423A (zh) * 2022-03-17 2022-06-24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桥架电缆固定归纳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91Y1 (ko) 1996-11-09 1999-06-15 이규운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91Y1 (ko) 1996-11-09 1999-06-15 이규운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5423A (zh) * 2022-03-17 2022-06-24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桥架电缆固定归纳装置及施工方法
CN114665423B (zh) * 2022-03-17 2023-09-26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桥架电缆固定归纳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7704U (ja) キャビネット
JP5401090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及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6634853B2 (ja) 温度検知モジュール
KR20200033644A (ko) 케이블 트레이
JPWO2019156236A1 (ja) 光配線架
JP2012053098A (ja) 光配線盤
WO2011157596A1 (en) Organizer for an optical fibre cable and method of providing a splice for an optical fibre cable
JP542228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5415905B2 (ja) 二芯光コンセント
JP2016188095A (ja) 電線結束部材
KR101143590B1 (ko)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JP6634353B2 (ja) 充電器
JP2000147268A (ja) 架空用光クロージャ
JP6739885B1 (ja) 光ファイバ芯線保持部材
JP6614046B2 (ja) 充電器
JP5248260B2 (ja) 光スプライスユニット
JP691989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CN217471455U (zh) 一种键盘托结构、操作平台和推车
JPH09329716A (ja) 光ケーブル接続ボックス
JP5072610B2 (ja) 光コネクタカバーおよび光コネクタカバーを用いた光配線盤
JPH10300946A (ja) 光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アダプタ装置
JP4745200B2 (ja) 光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モジュール収納棚
JP2005268063A (ja) コネクタ装置
KR200483859Y1 (ko) 충전장치 수납 및 휴대용 기기 거치용 장치
JP405977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キャビネ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