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369A -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369A
KR20200033369A KR1020180112239A KR20180112239A KR20200033369A KR 20200033369 A KR20200033369 A KR 20200033369A KR 1020180112239 A KR1020180112239 A KR 1020180112239A KR 20180112239 A KR20180112239 A KR 20180112239A KR 20200033369 A KR20200033369 A KR 2020003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pusher
holder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112B1 (ko
Inventor
손인수
이진경
김성욱
송현탁
하진호
김지영
정은아
Original Assignee
김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호 filed Critical 김무호
Priority to KR102018011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1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용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내측면에 제1 파이프가 삽입되는 소켓부, 제1 파이프와 상호 연결되는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캡부, 캡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홀더부, 홀더부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푸셔부 및 푸셔부와 소켓부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홀더부와 푸셔부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Integrated pipe fitting for pipes}
본 발명은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와 제1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제2 파이프를 푸셔부와 홀더부를 향하여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삽입하고, 푸셔부에 걸림턱부와 홀더부에 제1 홈을 구비하여 암수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일체형 모듈화가 가능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이나 유류와 같은 유체를 수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으로 인해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치를 하는 경우와 일정 각도가 절곡되어 파이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를 하고 있다.
상수도용 배수관은 공공건물을 비롯하여 오피스텔 상가, 학교, 병원, 호텔, 아파트 및 극장 등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다. 이 곳에 설치되는 배관들은 여러 개의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주로 설치되는데, 파이프의 연결 공법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TS공법으로 파이프 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접합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재활용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순련공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두번째로, 고무링의 강성과 내구성을 이용한 고무링공법이 있다. 고무의 탄성및 내구성을 이용한 수밀성에 의한 접합방식으로 가열 및 접착제가 필요없이 접착이 가능하지만, 고무링 주위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해야 함으로 고무링과 파이프 간의 조금의 이물질이 남게 되면 접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위치에 고무링을 배치하지 않는다면 누수우려가 존재하여 매우 작은 오차범위를 요구함에 따라 작업의 난이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세번째로, 스리브공법 및 후렌지공법이 있다. 열간공법으로, 파이프를 절단하고 절단면을 고르게 연마한 후, 가열 및 가열연화하여 접착제를 균일하게 바른 후 접착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공법들은 잘못 접합 시에 접합면을 잘라내고 새로운 접합면을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작업장소에 제약을 받는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파이프를 다루기 위해 숙련공을 필요로 하여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위와 같은 공법들보다 작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주로 숙련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용조립기구만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체결 가능한 나사용 파이프 이음관을 주로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나사식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나사식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소켓(10), 캡(20), 푸셔(30), 홀더(40), 및 오링(50)의 구성으로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제1 파이프(1)를 소켓(10) 안으로 관통시켜 밀착시킨 후, 오링(50), 푸셔(30), 홀더(40), 캡부(20) 순서대로 관통된 제2 파이프(2)와 함께 캡(20)을 전용조립기구(60)를 이용하여 소켓(10) 방향으로 조이는 방식이다.
이때, 소켓(10) 내부에는 이미 홀더(40), 푸셔(30) 및 오링(50) 순으로 제1 파이프(1)에 관통되어 있는 상태이고, 캡(20) 역시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를 관통하여 소켓(10)의 양측에서 결합이 되므로 소켓(1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2개씩 필요로 한다.
위와 같이, 제2 파이프(2)에 관통된 캡(20)을 전용조립기구(60)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돌리게 되면, 푸셔(30)가 오링(50)을 압착하여 오링(50)이 소켓(10)과 푸셔(30) 사이에 고정되어 기밀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나사식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추가적인 전용조립기구(6)가 필요하고, 소켓(1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2개씩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되어 있는 부품들의 관리의 어려움 및 분실 우려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규격이 비슷한 나사를 혼동하는 일이 빈번하여 규격착오로 인한 작업의 번거러움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 증대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대한 부품 형상 및 결합방식에 대한 단순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722호
본 발명은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와 제1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제2 파이프를 푸셔부와 홀더부를 향하여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삽입하고, 푸셔부에 걸림턱부와 홀더부에 제1 홈을 구비하여 암수결합이 가능함에 따른 일체형 모듈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내측면에 제1 파이프가 삽입되는 소켓부; 상기 제1 파이프와 상호 연결되는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캡부; 상기 캡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푸셔부; 및 상기 푸셔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푸셔부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홀더부는, 양측이 개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일측에서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돌기; 타측에서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제1 돌기를 향할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외측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홀더부는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이 상기 홀더부의 나사산과 맞닿아 결합되어 밀착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홀더부는 내측면을 향하도록 라운딩 처리가 되어 상기 제2 파이프부가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으로 삽일될 때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홀더부는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가 상기 푸셔부와 체결될 때 길이방향으로 그루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푸셔부는, 양측이 개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부에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도록 제2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푸셔부는, 상기 돌출부에 상기 오링부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형상으로 상기 오링부와 맞닿아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부에 구비되는 제1 홈과 푸셔부에 구비되는 걸림턱부의 암수 결합으로 인해 일체용 부품으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재고관리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구비하여 제2 파이프부와 체결 시에 밀착력을 증대되고, 마찰력이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홀더부와 제2 홀더부의 형성으로 홀더부를 분리하여 걸림턱부에 체결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재료 절감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내측면으로 라운딩 처리로 인해 제2 파이프와 체결 시에 마찰력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돌출부에 오링 안착면이 구비되어 오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공간을 최소화하여 밀착됨으로써 누수방지와 오링부의 이탈방지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걸림턱부와 제1 돌기의 사용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중심축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단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걸림턱부와 제1 돌기의 사용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용 파이프 이음장치는 홀더부(300), 푸셔부(400), 및 오링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용 파이프 이음장치는 홀더부(300)에 캡(20)이 결합되고, 푸셔부(400)에 소켓(1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10)의 내부에는 제1 파이프(1)가 관통하고, 캡(20)의 내부에는 제2 파이프(2)가 관통하여 후술할 푸셔부(400) 및 홀더부(300)와 체결을 통해 파이프 간의 연결을 확보하여 파이프를 규격보다 긴 길이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는 특정 직경을 가진 파이프가 아닌,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임의로 지정한 것이므로, 설치 장소의 규격에 따라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의 규격이 달라질 수 있다.
캡(20)과 소켓(10)은 현재 다양한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규격화된 제품으로 종래의 나사식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의 캡(10) 및 소켓(20)과 동일함으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를 소켓(10)과 캡(20)에 관통하는 기술 역시 공지된 바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홀더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부(300)는 본체부(310), 제1 돌기(320), 제2 돌기(330) 및 제1 홈(3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310)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형상으로, 양측면이 모두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310)의 내측면은 나사산(3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사산(311)은 원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모양의 홈을 일정 간격으로 절삭했을 때의 산 모양을 나사산(311)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제2 파이프(2)의 외측면이 본체부(310) 내측면에 맞닿아 삽입될 때, 평면형상이 아닌 나사산(311)을 구비함으로써 제2 파이프(2)와 홀더부(300) 간의 밀착력이 증대되고, 마찰력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제1 돌기(320)는 후술할 푸셔부(400)가 결합되는 홀더부(300)의 일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홀더부(300)의 일측면이라 함은 후술할 푸셔부(400)가 길이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되는 지점을 지칭하고, 타측면은 제2 파이프(2)가 삽입되는 지점을 지칭한다.
또한, 제1 돌기(320)는 후술할 걸림턱부(420)의 내측에 맞닿아 삽입되어야 함으로 걸림턱부(420)에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돌기(320)와 후술할 걸림턱부(420)의 암수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일체형 모듈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돌기(330)는 제1 돌기(320)가 형성되는 반대방향인 본체부(310)의 타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돌기(330)의 수직방향의 높이는 제1 돌기(320)를 향할수록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20)이 제2 파이프(2)를 관통하고 캡(20)의 내측면이 홀더부(300)의 외측면과 결합될 때, 제2 돌기(330)의 외측면과 캡(20)의 내측면이 맞닿으면서 조임 형식으로 체결된다.
즉, 제2 돌기(330)의 수직방향의 높이가 낮은 지점부터 높은 지점까지 캡(20)의 내측면이 삽입되면서 밀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돌기(320)와 제2 돌기(330) 사이에는 본체부(310)의 외측면을 따라 제1 홈(340)이 형성되어 걸림턱부(420)가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할 푸셔부(400)와 홀더부(300)가 일체형 모듈화가 가능해짐으로 부품 재고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일체형 모듈화란, 기능 수행을 위한 부품들을 단위별로 세트화 시키는 작업으로 부품들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조립공정이 최소화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이 증대되고, 작은 단위의 부품을 체결할 때 나사의 사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나사 분실의 가능성을 배제하여 경제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홀더부(300)는 제1 홀더부(301) 및 제2 홀더부(30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홀더부(300)는 두 개로 구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세 개로 분리되어 구비되어도 무관하다.
따라서, 홀더부(300)는 동일한 형상으로 후술할 푸셔부(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각각 푸셔부(400)의 걸림턱부(120)에 제1 돌기(320)를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홀더부(301)와 제2 홀더부(30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그루브부(3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같이, 제1 홀더부(301)와 제2 홀더부(302) 사이에 제1 그루브(3031) 및 제2 그루브(3032)가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홀더부(300)를 후술할 푸셔부(400)의 걸림턱부(420) 삽입할 때, 분리되어 있어 작업공간의 활용도가 증대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홀더부(300)를 제1 홀더부(301) 및 제2 홀더부(302)로 분리하여 제1 그루브(3031) 및 제2 그루브(3032)를 형성하였으므로, 제1 그루브(3031)과 제2 그루브(3032)가 형성되는 크기만큼 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제2 파이프(2)가 삽입되는 홀더부(300)의 타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파이프(2)를 홀더부(300)의 내측면으로 삽입할 때, 제2 파이프(2)와 홀더부(300)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2 파이프(2)를 삽입 시,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 제2 파이프(2)를 홀더부(300)에 삽입할 수 있고, 제2 파이프(2)와 홀더부(300) 사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푸셔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푸셔부(400)는 기둥부(410), 걸림턱부(420) 및 돌출부(4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410)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형상으로 양측면이 모두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10) 내부에 삽입된 제1 파이프(1)가 연장되어 기둥부(410)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30)는 기둥부(410)의 일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430)는 오링 안착면(431) 및 기둥면(4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둥부(410)의 일측면이라 함은, 제1 파이프(1)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를 지칭하고, 타측면이라 함은 홀더부(300)와 결합되는 방향의 지점을 지칭한다.
또한, 오링 안착면(432)은 도 3과 같이, 오링부(500)에 대응되는 형상인 일 예로 반구 형상의 일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나사식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서 오링(50)은 소켓(20)과 캡(10)의 결합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푸셔(30)방향으로 밀착하는 구조가 형성되는데, 푸셔(30)의 수직 형상의 단부로 인하여 푸셔(30)와 오링(50)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내부의 유체 누수의 우려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서 소켓(10)과 푸셔부(400)의 결합 시에 오링부(500)와 오링 안착면(432)이 맞닿을 때, 오링부(500)에 대응되는 포함하는 오링 안착면(432)의 형상으로 종래에 발생하던 공간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가 성립된다.
따라서, 소켓(10)이 푸셔부(400)와 결합 시, 오링 안착면(432)은 오링부(5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공간을 최소화하여 밀착됨으로써 누수방지의 효과가 발생하고, 오링부(500)의 이탈 방지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기둥면(432)은 돌출부(430)에서 오링 안착면(431)의 반대 지점에서 평면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켓(10)과 푸셔부(400)의 결합으로 인하여 오링부(500)가 밀착되면서 기둥면(432) 방향으로 일부 압력이 가해질 때, 기둥면(432)의 평평한 형상으로 인하여 밀착되는 오링부(500)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걸림턱부(420)는 돌출부(430)가 형성되는 지점의 반대 방향인 기둥부(410)의 타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턱부(420)는 제1 걸림턱(421), 제2 걸림턱(422) 및 제3 걸림턱(42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걸림턱부(42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걸림턱부(421)는 기둥부(410)에서 연장 형성되고, 기둥부(410)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턱부(422)는 제1 걸림턱부(421)에서 홀더부(300)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걸림턱부(423)는 제2 걸림턱부(423)에서 기둥부(410)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림턱부(420)는 제1 걸림턱(421), 제2 걸림턱(422) 및 제3 걸림턱(423)의 순서대로 수직으로 세 번 절곡되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갈고리 형상으로 제2 홈(424)을 구비하여 제1 돌기(3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걸림턱(421)의 내측면, 제2 걸림턱(422)의 내측면 및 제3 걸림턱(423)의 내측면인 제2 홈(424)을 구비하여 제1 돌기(320)와 암수결합이 가능하도록 맞닿아 결합되는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2 걸림턱(422)이 제1 돌기(320)의 외측면과 맞닿고, 제3 걸림턱(423)이 홀더부(300)의 제1 홈(340)에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두 가지 부품을 일체형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턱부(420)와 제1 돌기(320)가 결합될 때, 갈고리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는 상호 걸림 구조가 형성된다.
즉, 제1 홈(340)에 제3 걸림턱(423)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3 걸림턱(423)과 제1 돌기(320)가 폭방향으로 맞닿아 있어 홀더부(300)가 제2 파이프(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푸셔부(400)에 의해 이동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푸셔부(400)가 제1 파이프(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제1 홈(340)에 제3 걸림턱(423)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이므로, 홀더부(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걸림턱부(420)의 갈고리 형상으로 제1 홈(340)에 삽입되어 홀더부(300)의 내측면에 제2 파이프(2)를 삽입 시에 홀더부(300)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려는 이동이 제한되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소켓(10)과 푸셔부(400)와 결합 시에 소켓(10)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는 힘에 따라 푸셔부(400)가 제1 파이프(1)를 외부에서 내부로 누르는 힘이 발생하는데, 제1 돌기(320)가 걸림턱부(420)에 삽입하는 형상으로 인해 푸셔부(400)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부(420)가 제1 돌기(320) 및 제1 홈(340)에 대응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홀더부(300) 및 푸셔부(40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제1 파이프(1) 및 제2 파이프(2)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이음장치에서 부품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작업이 번거롭고 규격이 맞는 부품을 찾는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의 일체형 파이프 이음장치에서 푸셔부(400)와 홀더부(300)의 일체형으로 체결이 가능함에 따라, 재고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부품을 관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작업시간까지 축소되어 작업의 효율성의 최적화를 실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홀더부(300) 및 푸셔부(400)의 사용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푸셔부(400)의 내측면으로 제1 파이프(1)가 밀착되어 삽입되고, 홀더부(300)의 내측면으로 제2 파이프(2)가 밀착되어 삽입된다.
그 다음으로, 푸셔부(400)의 걸림턱부(420)와 홀더부(300)의 제1 돌기(320)와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그 다음으로, 푸셔부(400)의 오링 안착면(431)에 오링부(500)가 맞닿아 결합되고, 소켓(10)이 제1 파이프(1)를 관통하여 오링부(500)를 밀착하여 결합되고, 캡(20)은 제2 파이프(2)를 관통하여 홀더부(300)의 제2 돌기(330)의 외측면을 따라 맞닿아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간편한 순서에 따라, 종래의 나사식 파이프 이음관에서 소켓(10)을 제외한 부품이 2개씩 필요했던 부품에 대해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공정이 간편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여러 부품에서 일체형 부품으로써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작업자의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푸셔부(400)의 지름과 홀더부(300)의 지름이 동일하지 않고 'd'와 같이 차이가 발생한다.
즉, 홀더부(300)의 지름이 푸셔부(400)의 지름보다 더 작아 인접된 홀더부(300)와 푸셔부(400)간의 도면 부호 'd' 만큼의 길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셔부(400)와 홀더부(300)가 일체형 체결 후, 제1 파이프(1)가 삽입되고, 푸셔부(400)와 홀더부(300)의 길이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푸셔부(400)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1 파이프(1)의 일측면과 홀더부(300)의 일측면이 맞닿아 밀착되어 결합된다.
즉, 도 4의 (b)와 같이 단면으로 볼 때, 홀더부(300)의 내측면과 제1 파이프(1)의 외측면이 단차를 두고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로 인해,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 내부의 유체의 누수 방지 및 제1 파이프(1) 및 제2 파이프(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마모가 줄어들어 수명 연장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제1 파이프, 2 : 제2 파이프,
10 : 소켓, 20 : 캡,
30 : 푸셔, 40 : 홀더,
50 : 오링, 60 : 전용조임기구,
300 : 홀더부, 301 : 제1 홀더부,
302 : 제2 홀더부, 303 : 그루브부,
3031 : 제1 그루브, 3032 : 제2 그루브,
310 : 본체부, 311 : 나사산,
320 : 제1 돌기, 330 : 제2 돌기,
340 : 제1 홈, 400 : 푸셔부,
410 : 기둥부, 420 : 걸림턱부,
421 : 제1 걸림턱, 422 : 제2 걸림턱,
423 : 제3 걸림턱, 424 : 제2 홈,
430 : 돌출부, 431 : 오링 안착면,
432 : 기둥면, 500 : 오링부.

Claims (7)

  1. 내측면에 제1 파이프가 삽입되는 소켓부;
    상기 제1 파이프와 상호 연결되는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캡부;
    상기 캡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푸셔부; 및
    상기 푸셔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푸셔부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용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양측이 개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일측에서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돌기;
    타측에서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제1 돌기를 향할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외측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용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이 상기 홀더부의 나사산과 맞닿아 결합되어 밀착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용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내측면을 향하도록 라운딩 처리가 되어
    상기 제2 파이프부가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으로 삽일될 때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용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홀더부 및 상기 제2 홀더부가 상기 푸셔부와 체결될 때 길이방향으로 그루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용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양측이 개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부에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도록 제2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돌출부에 상기 오링부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형상으로
    상기 오링부와 맞닿아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1020180112239A 2018-09-19 2018-09-19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10215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39A KR102158112B1 (ko) 2018-09-19 2018-09-19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39A KR102158112B1 (ko) 2018-09-19 2018-09-19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69A true KR20200033369A (ko) 2020-03-30
KR102158112B1 KR102158112B1 (ko) 2020-09-21

Family

ID=7000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39A KR102158112B1 (ko) 2018-09-19 2018-09-19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1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9326A (ko) * 1974-12-28 1976-09-01 Manin Eng Ltd
KR20120008943A (ko) *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원통형 파이프 접속연결장치
JP2012021591A (ja) * 2010-07-14 2012-02-02 Nagahori Industry Co Ltd 流体継手
KR101111722B1 (ko) 2011-09-29 2012-03-1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관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9326A (ko) * 1974-12-28 1976-09-01 Manin Eng Ltd
JP2012021591A (ja) * 2010-07-14 2012-02-02 Nagahori Industry Co Ltd 流体継手
KR20120008943A (ko) *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원통형 파이프 접속연결장치
KR101111722B1 (ko) 2011-09-29 2012-03-1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112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8854C (en) Push-to-connect joint assembly with protective shield device and method
US7690693B2 (en) Pre-assemblable, push-in fitt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tubing
JP4092295B2 (ja) クイックリリース型管継手
US9303804B2 (en) Combination glue hub and mechanical coupler for pipe fittings
EP3771855B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JP4068563B2 (ja) 差込継手
KR102204817B1 (ko) 합성 수지제 관이음
EP1717506A1 (en) Resin pipe joint unit
US20080036206A1 (en) End fitting
JPH05149491A (ja) 管継手
KR102154466B1 (ko) 체결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파이프 조인트
US7464971B2 (en) Pipe fittings
CN110573783B (zh) 流体设备的连接结构
JP2007255685A (ja) 管継手
JP2012072910A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20200033369A (ko)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101871167B1 (ko)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WO2020044727A1 (ja) 流路継手構造
CA2906705C (en) Pipe coupling
CA2492680A1 (en) Sealing compression ferrule for plumbing connection fitting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18017401A (ja) 合成樹脂製管継手
CA2554879A1 (en) End fitting
KR20190121980A (ko)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JP2024520641A (ja) 流体接続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