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511A -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511A
KR20200032511A KR1020180111619A KR20180111619A KR20200032511A KR 20200032511 A KR20200032511 A KR 20200032511A KR 1020180111619 A KR1020180111619 A KR 1020180111619A KR 20180111619 A KR20180111619 A KR 20180111619A KR 20200032511 A KR20200032511 A KR 2020003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bstrate
frame
support struct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328B1 (ko
Inventor
오세동
정인창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8011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3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3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substrates other than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ubstrate supports

Abstract

사이드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로서,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복수의 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및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에 삽입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높이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Side suppo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적재 카세트에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 중 개별 공정 사이에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카세트(Cassette)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카세트는 다수의 기판이 각각 낱장으로 적재되어 한꺼번에 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카세트는 기판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는 서포트 바와 기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봉부재에 의해 기판을 지지한다. 여기서, 서포트 바는 평면의 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기판과 면접촉한다. 그러나 봉부재는 기판을 지지하는 부분이 곡선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기판에 대략 선접촉 또는 접촉한다.
따라서 서포트 바는 기판에 대하여 응력이 분산되지만, 봉부재는 기판에 대하여 응력이 집중되므로, 기판이 접촉되는 부위에서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아울러, 봉부재를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할 때,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경우, 사이드 프레임과의 결합강도가 약화되어 봉부재가 기판의 하중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봉부재를 개별로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하는 경우, 결합 및 간격 조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간격의 정밀도가 감소하여 기판의 하중이 일측으로 집중되어 기판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KR 10-1300688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강도 또는 사이드 프레임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높이에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은 상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는 중앙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는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는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스토퍼; 상기 안착부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일정거리로 이격시키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그 중앙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서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일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에서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며, 그 외주변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상기 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 바; 및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복수의 지지대가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대의 강도 및 사이드 프레임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지지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용 카세트는 사이드 구조체의 경량화에 따라 기판 적용 카세트의 전체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기판 적용 카세트를 운영하는 설비의 설비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복수의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가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에 결됨으로써, 지지대를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하는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복수의 지지대가 등각격으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대의 간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이드 지지구조체와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플레이트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이드 지지구조체와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카세트(1)에 기판이 적재되는 방향(도 1에서 좌측)을 카세트(1)의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규정하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기판이 적재되는 측을 내측이라고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상부 프레임(2), 하부 프레임(3), 사이드 프레임(4), 리어 프레임(5), 보강 프레임(6), 서포트 바(7) 및 사이드 지지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기판을 반입하여 적재해두고 적재된 기판을 다시 반출하는 과정 동안 기판을 안정적으로 적재해 두고 일련의 생산 과정 동안 기판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은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그 양측면에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이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에는 수직 방향으로 사이드 지지구조체(100)가 설치되어 직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주변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6)은 사이드 프레임(4),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6)은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6)은 사이드 프레임(4)과 결합되되 일단이 하부 프레임(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프레임(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프레임(6)은 일정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2) 및 사이드 프레임(4)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고 서포트 바(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후방측 모서리에 복수의 리어 프레임(5)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프레임(5)은 종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포트 바(7)가 수평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리어 프레임(5)은 그 양측 및 전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바(7)는 리어 프레임(5)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포트 바(7)는 리어 프레임(5)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7)는 타측이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 바(7)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적재되는 기판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구조체(100)는 기판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 프레임(4)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 지지구조체(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사이드 프레임(4)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지지구조체(10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조 공정상 일정단위로 분할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지지플레이트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사이드 지지구조체(100)는 지지부(110), 지지플레이트(120) 및 지지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되며 빗(comb)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지지대(111) 및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1)는 결합부(11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대(111)는 기판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11)는 결합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의 봉부재에 비하여,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지지대(111)의 간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의 하중이 일측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경우와 같이, 봉부재를 사이드 프레임(4)에 개별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지지부(110)를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하는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지지플레이트(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14)는 지지대(11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114)는 결합부(112) 측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4)는 중앙의 바단멱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단차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114)는 지지대(111)의 높이 방향에 단면에 대하여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114)는 단차부(116)의 양측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115)는 지지대(111)의 양측면과 홈부(114)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115)는 홈부(11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개구부(115) 대신, 단차부(115)의 양측에서 홈부(11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홈부(114)의 내측으로 일부만 돌출되거나, 홈부(114)의 내측에서 양측면에 이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부(114)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양측이 개구(115) 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20)가 지지대(111)의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2)는 사이드 프레임(4)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12)는 복수의 지지대(11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전체적으로 빗(comb)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는 지지대(11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111)가 결합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동일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대(111)와 결합부(112)의 결합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11)는 기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서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는 사이드 프레임(4)에서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일면(4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4)의 일면(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이, 지지부(110)가 사이드 프레임(4)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되는 부분이 간단하고 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지지부(110)가 사이드 프레임(4)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112)가 사이드 프레임(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지지대(11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이, 지지대(111)가 결합부(11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경우, 기판의 하중에 대한 지지대(111)의 결합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지지대(111)와 결합부(112)가 동일 폭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대(111)와 결합부(112)의 연결부분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와 같이, 지지부(110)가 사이드 프레임(4)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사이드 프레임(4)과의 결합 작업시 지지대(111)가 작업자의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대(111)에 의해 작업의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사이드 프레임(4)의 일면(4a)과 지지부(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부(110)와 사이드 프레임(4)의 결합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2)는 사이드 프레임(4)에서 결합부(112)가 결합되는 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는 폭 방향의 중앙에서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112a)는 결합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110)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경량화할 수 있고, 사용되는 소재의 양을 경감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구조체(100)를 경량화할 수 있고, 따라서 기판 적용 카세트(1)의 전체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판 적용 카세트(1)를 운영하는 설비의 설비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과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부(113)는 결합부(112)가 사이드 프레임(4)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112)는 사이드 프레임(4)에 전체가 밀착 결합되지 않고, 이격부(113)를 통해서만 결합되기 때문에,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이동시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으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111) 측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4)의 진동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이격부(113)는 그 중앙에 사이드 프레임(4)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20)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지지대(111) 각각의 상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2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은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탄성률이 우수하다.
이에 의해, 기판이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2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지지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플레이트(120)는 강도가 크고, 후술하는 돌기부(123)가 홈부(114)의 폭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플레이트(120)는 홈부(114)에 삽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2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지지대(111)의 홈부(114)에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20)는 안착부(121), 스토퍼(122) 및 돌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1)는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21)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길이방향으로 폭에 대응하는 면을 통해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21)의 상면은 지지대(111)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은 지지대(111)에 접촉하지 않고, 안착부(121)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지지플레이트(120)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진동에 의해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1)는 기판과 면접촉되기 때문에 봉부재에 비하여 기판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20)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2)는 안착부(121)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22)는 안착부(121)에서 결합부(112)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2)는 기판을 폭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이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장착되는 경우, 기판이 사이드 프레임(4)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판이 양측의 지지부(110)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기판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21)의 하면 중앙에는 오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24)는 홈부(144) 내에 형성된 단차부(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오목부(124)가 형성된 부분의 안착부(121)의 높이는 오목부(124)의 양측에서 안착부(12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20)는 지지대(11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을 억제하여 지지부(11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돌기부(123)는 안착부(12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123)는 지지플레이트(120)가 지지대(111)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1)의 개구(115)에 대응하여 삽입 결합된다. 이때, 돌기부(123)는 안착부(121)의 양단에서 오목부(124)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돌기부(123) 대신, 안착부(121)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하여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11)는 홈부(114)의 개구(115) 대신, 단차부(116)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20)는 지지대(111)의 홈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대(1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단부(130)는 복수의 지지대(111) 각각의 일단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단부(130)는 지지플레이트(120)와 동일 높이에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31) 및 지지링(13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1)의 삽입 결합되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몸체(131)의 형상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몸체(131)는 강도가 큰 소재로 일루어진 경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지지대(1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31)는 그 외주변을 따라 결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32)은 그에 삽입되는 지지링(133)이 안착부(121)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지지링(133)의 두께와 안착부(121)의 높이에 따라 그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지지링(133)은 결합홈(132)에 삽입되어 그 상면이 지지플레이트(120)의 안착부(121)와 함께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링(133)은 지지플레이트(12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링(133)은 지지플레이트(120)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링(133)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링(133)은 그 상면이 안착부(12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안착부(121)보다 기판의 중심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이 그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지지대의 강도 및 사이드 프레임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지지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구조체의 경량에 따라 기판 적용 카세트의 전체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운영하는 설비의 설비 투자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를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하는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대의 간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기판 적재용 카세트 2 : 상부 프레임
3 : 하부 프레임 4 : 사이드 프레임
5 : 리어 프레임 6 : 보강 프레임
7 : 서포트 바 100 : 사이드 지지구조체
110 : 지지부 111 : 지지대
112 : 결합부 112a: 개구
113 : 이격부 113a : 홀
114 : 홈부 115 : 개구
116 : 단차부 120 : 지지플레이트
121 : 안착부 122 : 스토퍼
123 : 돌기부 124 : 오목부
130 : 지지단부 131 : 몸체
132 : 결합홈 133 : 지지링

Claims (14)

  1.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높이에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은 상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중앙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단차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스토퍼;
    상기 안착부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구 중 어느 하나인 사이드 지지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일정거리로 이격시키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그 중앙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서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일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일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중앙에서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며, 그 외주변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지지링을 포함하는 사이드 지지구조체.
  14.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상기 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 바; 및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20180111619A 2018-09-18 2018-09-18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2133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19A KR102133328B1 (ko) 2018-09-18 2018-09-18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19A KR102133328B1 (ko) 2018-09-18 2018-09-18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511A true KR20200032511A (ko) 2020-03-26
KR102133328B1 KR102133328B1 (ko) 2020-07-13

Family

ID=6995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619A KR102133328B1 (ko) 2018-09-18 2018-09-18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536Y1 (ko) * 2001-07-12 2002-02-28 (주)상아프론테크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
KR20040111085A (ko) * 2003-06-18 2004-12-31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100554631B1 (ko) * 2002-07-15 2006-02-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101300688B1 (ko) 2011-05-04 2013-08-26 (주)케이엠 기판적재 카세트용 서포트바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536U (ko) * 2017-06-21 2017-07-12 이이원 기판 운반 카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536Y1 (ko) * 2001-07-12 2002-02-28 (주)상아프론테크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
KR100554631B1 (ko) * 2002-07-15 2006-02-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20040111085A (ko) * 2003-06-18 2004-12-31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101300688B1 (ko) 2011-05-04 2013-08-26 (주)케이엠 기판적재 카세트용 서포트바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536U (ko) * 2017-06-21 2017-07-12 이이원 기판 운반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328B1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175B2 (en) Transfer device for substrate and storing device and hand therein, and substrate handled by the device
KR101903485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944718B1 (ko)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11627682B2 (en) Rack-mounte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33328B1 (ko)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040007294A (ko) 기판용 카세트
KR101079150B1 (ko) 글래스 카세트
KR20080040251A (ko) 테스트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US11167884B2 (en) Frame packaging box
KR20130016665A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측면 보강장치
US11237320B2 (en) Backlight source,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US9703334B2 (en) Storage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101928269B1 (ko)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2002379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진동방지장치
KR102242462B1 (ko)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20040111085A (ko) 기판용 카세트
KR102238909B1 (ko) 기판 반송 로봇의 승강부 프레임
KR102098932B1 (ko)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JP2021004045A (ja) 板状体支持装置
KR102498775B1 (ko) 패널마감구조체
KR101954878B1 (ko) 웨이퍼 카세트
TWI733501B (zh) 板狀體支持裝置
EP3179299B1 (en) Lcd module
KR10056364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JP2022088022A (ja) 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