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158A -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158A
KR20200032158A KR1020207004936A KR20207004936A KR20200032158A KR 20200032158 A KR20200032158 A KR 20200032158A KR 1020207004936 A KR1020207004936 A KR 1020207004936A KR 20207004936 A KR20207004936 A KR 20207004936A KR 20200032158 A KR20200032158 A KR 2020003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membered
methyl
heteroatoms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195B1 (ko
Inventor
용 왕
리웬 자오
야조우 왕
쉬 취안
춘후안 지앙
홍옌 첸
멍후아 첸
차오 리
예신 랴오
치 리우
첸 왕
하이 왕
셩웨이 양
구오추앙 정
Original Assignee
난징 산홈 팔마세우티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징 산홈 팔마세우티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징 산홈 팔마세우티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ACC)의 억제제인 화합물의 클래스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된다. 특히, 화학식 I에 보여지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그리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암 또는 조직 과형성 질병과 같은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ACC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가지고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암 또는 조직 과형성 질병에 대한 치료 약이 될 우수한 가망성을 보인다.

Description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의료 화학 분야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특히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acetyl-CoA carboxylase, ACC)의 억제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그리고 이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암 또는 조직 과형성 질병과 같은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의 클래스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ACC)는 아세틸-CoA의 반응을 촉매하여 말로닐-CoA를 형성하는 바이오티나제(biotinase)이며, 이는 지방산 합성의 제1 단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 단계이다. 포유 동물에서, ACC는 2개의 조직-특이적 이소자임의 형태로 존재하며, ACC1은 주로 간 및 지방과 같은 지질-생성 조직에서 발견되는 반면, ACC2는 주로 간, 심장 및 골격근과 같은 산화된 조직에서 발견된다. ACC1 및 ACC2는 독립적인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며, 그리고 상이한 세포 분포를 나타내지만, 총 75%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공유한다. 간에서, 지방산(FA)의 합성 및 신장은 ACC1-촉매화된 아세틸-CoA에 의해 생성된 말로닐-CoA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트리글리세리드의 형성 및 저-밀도 지질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 VLDL)의 생성을 촉진한다. 지방산 합성 능력이 제한적인 심장 및 골격근에서, ACC2에 의해 형성된 말로닐-CoA는 FA 산화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ong L, Harwood HJ Jr. J Cell Biochem. 2006, 99(6):1476-1788.]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정상적인 간 대사 중 2가지 증상으로 간주되며, 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만성 간 질병이며, 그리고 그 발생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NASH는 간경변 및 간암으로 발전하여 사망을 야기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타입의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전략은 없다. 기존의 치료적 약물은 여전히 지질-저하 약물 및 안지오텐신(angiotensin) 수용체 길항제, 다중 불포화 지방산 등과 더불어,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 및 (비타민 E와 같은)항산화제로 대표되는 인슐린 증감제(sensitizer)이며, 그리고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현재 다수의 연구에서, ACC1 및 ACC2는 NAFLD 및 NASH의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약물 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Geraldine Harriman, Jeremy Greenwood, Sathesh Bha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16, 113(13): E1796-E1805.].
약물 표적화 ACC 경로에 대한 연구에 관한 일부 진보 및 연구가 있었다. ACC1 및 ACC2를 억제함으로써, 간 세포 지방의 데노보합성(de novo synthesis)이 억제될 수 있다. 이 치료는 간 지방의 함량 및 경화증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있고, 또한 초기에 간 섬유증 마커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연구는 ACC1 및 ACC2의 동시 억제가 종양 조직에서 FA를 재생하는 능력을 감소시키고 종양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Svensson RU, Parker SJ, Eichner LJ, et al. Nat Med. 2016, 22(10):1108-1119.]. 그러나,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및 과형성과 같은 ACC-매개 질병의 치료를 위한 보다 활성적이고 안전한 약물을 획득하기 위해, 더욱 우수한 ACC 억제제를 개발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ACC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Figure pct00001
,
여기서
L은 알킬렌,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R2는 3-8원 사이클로알킬,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L이
Figure pct00002
인 경우, R2는 옥세타닐(oxetanyl)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이 아니며; 그리고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n이 0인 경우, R2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이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생산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또 다른 또는 더 많은 ACC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및 증식성 질병과 같은, 환자에서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전구약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제1 견지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L은 알킬렌,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R2는 3-8원 사이클로알킬,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L이
Figure pct00004
인 경우, R2는 옥세타닐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이 아니며; 그리고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n이 0인 경우, R2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이 아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이며, 여기서:
L은 C1-8 알킬렌 그룹,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4원 아릴렌 그룹, 1-4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4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2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6 알킬,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6-10원 아릴 및 5-12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L은 C1-6 알킬렌 그룹, 3-6원 사이클로알킬렌 그룹,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4 알킬,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8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 L은 메틸렌,
Figure pct00005
, 페닐렌, 아제티디닐리덴(azetidinylidene) 및
Figure pct00006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naphthyl), 피롤일(pyrrolyl), 이미다졸일(imidazolyl), 피라졸일(pyrazolyl), 티아졸일(thiazolyl), 티에닐(thienyl), 푸릴(furyl), 피리딜(pyridyl), 피라진일(pyrazinyl) 및 피리미딘일(pyrimidinyl)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이며, 여기서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플루오로에틸옥시, 클로로에틸옥시, 브로모에틸옥시, 플루오로프로필옥시, 클로로프로필옥시, 브로모프로필옥시, 클로로부틸옥시, 브로모부틸옥시, 플루오로부틸옥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이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6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R3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ert-부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페닐,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아제티딘일(azetidinyl), 옥세타닐(oxetanyl), 테트라하이드로피롤일(tetrahydropyrrolyl),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tetrahydrofuranyl), 피페리딘일(piperidinyl),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 및 모르폴린일(morpholiny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ert-부틸, 카르복실,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르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딜(pyrimidyl)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이며, 여기서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R4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아제티딘일, 테트라하이드로피롤일,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피페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및 모르폴린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4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페닐,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딘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이며, 여기서
R2는 3-6원 사이클로알킬 그룹,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그룹,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4 알킬 그룹, 할로겐화된 C1-4 알킬 그룹,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C1-4 알킬 설포닐, 및 3-6원 사이클로알킬 아실,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L이
Figure pct00007
인 경우, R2는 옥세타닐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이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 R2는 사이클로헥실, 아제티딘일, 피페리딘일,
Figure pct00008
,
Figure pct00009
,
Figure pct00010
,
Figure pct00011
,
Figure pct00012
,
Figure pct00013
,
Figure pct00014
,
Figure pct00015
,
Figure pct00016
,
Figure pct00017
,
Figure pct00018
,
Figure pct00019
,
Figure pct00020
,
Figure pct00021
,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시,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세틸, 아세틸아미노,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사이클로헥실포르밀, 옥소 그룹 및 이미다졸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은 화학식 (II)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24
여기서, L, R1, R2 및 X는 앞선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은 화학식 (III)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25
여기서, L, R1, R2 및 X는 앞선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은 화학식 (IV)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L은 알킬렌,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n, p, q는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L은 C1-6 알킬렌, 3-6원 사이클로알킬렌, 페닐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6 알킬,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6-10원 아릴 및 5-12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L은 메틸렌,
Figure pct00027
, 페닐렌, 아제티디닐리덴 및
Figure pct00028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딘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플루오로에틸옥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6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n, p, q는 각각 0, 1 및 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M은 하이드록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C1-4 알킬 설포닐, 3-6원 사이클로알킬 아실,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6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8원 사이클로알킬,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8원 아릴 또는 3-8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M은 하이드록시, 메틸, 아미노메틸, 메틸아미노, 메톡시, 에테닐, 에티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세틸, 아세틸아미노,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사이클로헥실포르밀, 옥소 그룹 및 이미다졸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6원 사이클로알킬, 3-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6원 아릴 또는 3-6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시, C1-3 알킬, 아미노 C1-3 알킬, C1-3 알킬아미노, C1-3 알콕시, C2-3 알케닐, C2-3 알키닐, 할로겐화된 C1-3 알킬, C1-3 알킬 아실, C1-3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L은
Figure pct00029
이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R1
Figure pct00030
이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n, p, q는 각각 1이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구조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
Figure pct00033
,
Figure pct00034
,
Figure pct00035
,
Figure pct00036
,
Figure pct00037
,
Figure pct00038
,
Figure pct00039
,
Figure pct00040
,
Figure pct00041
,
Figure pct00042
,
Figure pct00043
,
Figure pct00044
,
Figure pct00045
,
Figure pct00046
,
Figure pct00047
,
Figure pct00048
,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은 화학식(V)로 보여지는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51
여기서
L은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3-8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M은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L은 3-6원 사이클로알킬렌, 페닐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4 알킬,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6-10원 아릴 및 5-12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L은 메틸렌,
Figure pct00052
, 페닐렌, 아제티디닐리덴 및
Figure pct0005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딘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플루오로에틸옥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4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n은 0, 1 및 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M은 하이드록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C1-4 알킬 설포닐, 3-6원 사이클로알킬 아실,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6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8원 사이클로알킬,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8원 아릴 또는 3-8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M은 하이드록시, 메틸, 아미노메틸, 메틸아미노, 메톡시, 에테닐, 에티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세틸, 아세틸아미노,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사이클로헥실포르밀, 옥소 그룹 및 이미다졸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6원 사이클로알킬, 3-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6원 아릴 또는 3-6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시, C1-3 알킬, 아미노 C1-3 알킬, C1-3 알킬아미노, C1-3 알콕시, C2-3 알케닐, C2-3 알키닐, 할로겐화된 C1-3 알킬, C1-3 알킬 아실, C1-3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X는 -O-이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에서,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
Figure pct00056
,
Figure pct00057
,
Figure pct00058
,
Figure pct00059
,
Figure pct00060
,
Figure pct00061
,
Figure pct00062
,
Figure pct00063
,
Figure pct00064
,
Figure pct00065
,
Figure pct00066
,
Figure pct00067
,
Figure pct00068
,
Figure pct00069
,
Figure pct00070
,
Figure pct00071
,
Figure pct00072
,
Figure pct00073
,
Figure pct00074
,
Figure pct00075
,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화합물,
Figure pct00078
,
Figure pct00079
,
Figure pct00080
,
Figure pct00081
,
Figure pct00082
,
Figure pct00083
,
Figure pct00084
,
Figure pct00085
,
Figure pct00086
,
Figure pct00087
,
Figure pct00088
,
Figure pct00089
,
Figure pct00090
,
Figure pct00091
,
Figure pct00092
,
Figure pct00093
,
Figure pct00094
,
Figure pct00095
,
Figure pct00096
,
Figure pct00097
,
Figure pct00098
,
Figure pct00099
,
Figure pct00100
,
Figure pct00101
,
Figure pct00102
,
Figure pct00103
,
Figure pct00104
,
Figure pct00105
,
Figure pct00106
,
Figure pct00107
,
Figure pct00108
,
Figure pct00109
,
Figure pct00110
,
Figure pct00111
,
Figure pct00112
,
Figure pct00113
,
Figure pct00114
,
Figure pct00115
,
Figure pct00116
,
Figure pct00117
,
Figure pct00118
,
Figure pct00119
,
Figure pct00120
,
Figure pct00121
,
Figure pct00122
,
Figure pct00123
,
Figure pct00124
,
Figure pct00125
,
Figure pct00126
,
Figure pct00127
,
Figure pct00128
,
Figure pct00129
,
Figure pct00130
,
Figure pct00131
,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Figure pct00134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은 일반 화학식에 의해 표시되는 화합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135
a) 화학식(1)의 화합물이 화학식 (2)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화학식 (3)의 중간체가 제공되며; 그리고
b) 화학식 (3)의 중간체가 통상적인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단계 b)의 통상적인 반응은 다음의 반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3)의 중간체를 브롬화 반응, 스틸 커플링 반응(Stille coupling reaction), 가수 분해 반응 또는 축합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여기서 L, X, R1 및 R2는 화학식 (I)에서와 같이 정의되며; R5는 수소 및 브로민으로부터 선택되며; 반응 동안, R1 및 R2는 필요하다면, 메틸, 에틸, tert-부틸, 아세틸, tert-부톡시카르보닐과 같은 보호 그룹을 갖는다.
제3 견지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및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ACC 억제제, 담즙산 격리제(bile acid sequestrant),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HMG-CoA reductase inhibitor),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HMG-CoA synthetase inhibitor),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 아실-CoA-콜레스테릴 아실트랜스퍼레이즈 억제제(acyl-CoA-cholesteryl acyltransferase (ACAT) inhibitor), CETP 억제제(CETP inhibitor),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squalene synthetase inhibitor), 스쿠알렌 에폭시데이즈 억제제(squalene epoxidase inhibitor), PPAR-α 작용제(PPAR-α agonist), PPAR-γ 작용제(PPAR-γ agonist), PPAR-δ 부분 작용제(PPAR-δ partial agonist), PPAR-α/γ 작용제(PPAR-α/γ agonist), 비구나이드(biguanide), ASK1 억제제(ASK1 inhibitor), FXR 수용체 조절제(FXR receptor modulator), LXR 수용체 조절제(LXR receptor modulator), 지질단백질 합성 억제제lipoprotein synthesis inhibitor),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renin-angiotensin system inhibitor), 트리글리세리드 합성 억제제(triglyceride synthesis inhibitor), 저밀도 지질단백질 수용체 유도제(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inducer), 마이크로솜 트리글리세리드 전달 억제제(microsomes triglyceride delivery inhibitor), 5-L0 또는 FLAP 억제제(5-LO or FLAP inhibitor), 니아센(niacin), 이뇨제(diuretic), β-아드레날린성 차단제(β-adrenergic blocker),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억제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 뉴트럴 엔도펩티다제 억제제(neutral endopeptidase inhibitor), 엔도텔린 길항제(endothelin antagonist), 혈관확장제(vasodilator),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α/β아드레날린성 차단제(α/
Figure pct00136
adrenergic blockers), α1 차단제(α1 blocker), α2 작용제(α2 agonist), 알도스테론 억제제(aldosterone inhibitor),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억제제(mineralocorticoid receptor inhibitor), 레닌 억제제(renin inhibitor), 안지오포이에틴 2 결합제(angiopoietin 2 binding agent), DGAT-1 억제제(DGAT-1 inhibitor), AZD7687, LCQ908, DGAT-2 억제제(DGAT-2 inhibitor), PDE-10 억제제(PDE-10 inhibitor), AMPK 활성화제(AMPK activator),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α-아밀라제 억제제(α-amylase inhibitor),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α-glucosidase inhibitors), GLP-1 조절제(GLP-1 modulator), SIRT-1 억제제(SIRT-1 inhibitor), 인슐린 분비 촉진제(insulin secretagogue), A2 길항제(A2 antagonist), JNK 억제제(JNK inhibitor), 글루코키나제 활성화제(glucokinase activator), 인슐린(insulin), 인슐린 시뮬런트(insulin stimulant),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제(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 VPAC2 수용체 작용제(VPAC2 receptor agonist), SGLT2 억제제(SGLT2 inhibitor), 글리코시드 수용체 조절제(glycosidic receptor modulator), GPR119 조절제(GPR119 modulator), FGF21 유도체(FGF21 derivative), TGR5 (GPBAR1) 수용체 작용제(TGR5 (GPBAR1) receptor agonist), GPR40 작용제(GPR40 agonist), GPR120 작용제(GPR120 agonist), 니코틴산 수용체(HM74A) 활성화제(nicotinic acid receptor (HM74A) activator), SGLT1 억제제(SGLT1 inhibitor), 카르티닌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억제제(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nhibitor), 프룩토스 1,6-비스포스파타제 억제제(fructose 1,6-bisphosphatase inhibitor),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제(aldose reductase inhibitor),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억제제(mineralocorticoid receptor inhibitor), TORC2 억제제(TORC2 inhibitor), CCR2 억제제(CCR2 inhibitor), CCR5 억제제(CCR5 inhibitor), PKC 억제제(PKC inhibitor), 지방산 신타아제 억제제(fatty acid synthase inhibitor), 세린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억제제(serine palmitoyltransferase inhibitor), GPR81 조절제(GPR81 modulator), GPR39 조절제(GPR39 modulator), GPR43 조절제(GPR43 modulator), GPR41 조절제(GPR41 modulator), GPR105 조절제(GPR105 modulator), Kv1.3 억제제(Kv1.3 inhibitor),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억제제(retinol binding protein 4 inhibitor), 글루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억제제(somatostatin receptor inhibitor), PDHK2 억제제(PDHK2 inhibitor), PDHK4 억제제(PDHK4 inhibitor), MAP4K4 억제제(MAP4K4 inhibitor), IL1-β 조절제(IL1-
Figure pct00137
modulator), RXR-α 조절제(RXR-α modulator), 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1 억제제(11-
Figure pct00138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 inhibitor), SCD-1 억제제(SCD-1 inhibitor), MCR-4 작용제(MCR-4 agonists), CCK-A 작용제(CCK-A agonists),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monoamine reuptake inhibitors),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제(β-3-adrenergic receptor agonist),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dopamine receptor agonist),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및 이의 아날로그(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analogs thereof), 5-HT2C 작용제(5-HT2C agonist), 멜라닌-농축 호르몬 길항제(melanin-concentrating hormone antagonist), 렙틴(leptin), 렙틴 아날로그(leptin analog), 렙틴 작용제(leptin agonist), 갈라닌 길항제(galanin antagonist), 리파제 억제제(lipase inhibitor), 식욕억제제(anorectic agent), NPY 길항제(NPY antagonist), PYY3-36(및 이의 아날로그), BRS3 조절제(BRS3 modulator), 티록신제(thyroxine agent),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작용제 또는 길항제(glucocorticoid agonist or antagonist), 식욕 호르몬 수용체 길항제(appetite hormone receptor antagonists), 인간 스퀴럴-관련 단백질(AGRP) 억제제(human squirrel-associated protein (AGRP) inhibitor), H3 길항제 또는 역 작용제(H3 antagonist or inverse agonist), 신경전달물질 U 작용제(neurotransmitter U agonist), MTP/ApoB 억제제(MTP/ApoB inhibitor), CB1 수용체 길항제 또는 역 작용제(CB1 receptor antagonist or inverse agonist), 위 호르몬 작용제 또는 길항제(gastric hormone agonist or antagonist), 옥시토모듈린 및 이의 아날로그(oxyntomodulin and analogs thereof), 모노아민 흡수 억제제(monoamine absorption inhibitor), 등.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그리고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그리고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및 증식성 질병과 같은, 환자에서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제를 생산할 수 있다. 투여의 방법은 경구, 피내(intradermal), 근육 내(intramuscular), 복강 내(intraperitoneal), 정맥 내(intravenous), 피하(subcutaneous), 및 비강 내(intranasal) 투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은 임의의 경로,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주입 또는 볼루스 주사(bolus injection), 상피 또는 피부 점막(예를 들어, 구강 점막 또는 직장)을 통한 흡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전신 또는 국소적일 수 있다. 경구 투여 제제의 예는 고체 또는 액체 투약 형태, 특히, 타블렛, 필, 과립, 분말, 캡슐, 시럽, 에멀젼, 현탁액 등을 포함한다. 제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약학적 제형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견지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또는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및 증식성 질병과 같은,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와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섬유성 질병은 간 섬유증이며, 대사성 질병은 비만, 당뇨,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종양 및 증식성 질병은 간암, 신장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유두상 갑상선암, 담관암, 대장암, 난소암, 악성 림프종, 방광, 전립선 및 췌장의 암과 육종, 그리고 피부, 결장, 갑상선, 또는 난소의 원발성 및 재발성 고형 종양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또는 증식성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섬유성 질병은 간 섬유증이며, 대사성 질병은 비만, 당뇨,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종양 및 증식성 질병은 간암, 신장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유두상 갑상선암, 담관암, 대장암, 난소암, 악성 림프종, 방광, 전립선 및 췌장의 암과 육종, 그리고 피부, 결장, 갑상선, 또는 난소의 원발성 및 재발성 고형 종양으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 된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할로겐"은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그룹,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그룹을 의미하며,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n-펜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2-메틸부틸, 3-메틸부틸, n-헥실, 등을 포함한다. 알킬 그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치환된다면, 치환기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포인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복실"은 분자에 카르복실(-COOH)를 가지는 그룹을 의미한다. 카르복실의 비-제한적인 예는: 포르밀(-COOH), 아세톡시(-CH2COOH), 프로피오닐옥시(-CH2CH2COOH),
Figure pct00139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할로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록시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알콕시"는 -O-알킬을 의미한다. 알콕시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등을 포함한다. 알콕시는 임의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치환된다면, 치환기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포인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렌"은 메틸렌 그룹(-CH2- 또는 =CH2), 에틸렌 그룹(-CH2-CH2-), 프로필렌 그룹(-CH2-CH2-CH2-) 등과 같이 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하며, 그리고 본원에서 사용된 "C1-6 알킬렌 그룹"은 C1-6 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릭 포화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과 같이,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 모노사이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포화 탄화수소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아자사이클로부틸(azacyclobutyl)(
Figure pct00140
또는
Figure pct00141
), 피페리딘일(
Figure pct00142
또는
Figure pct00143
),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모르폴린일, 등과 같이, 사이클로알킬의 고리에서의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4-10원 사이클로알킬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하며, 그리고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4-6원 사이클로알킬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Figure pct00144
,
Figure pct00145
,
Figure pct00146
,
Figure pct00147
,
Figure pct00148
,
Figure pct00149
등과 같이,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사이클로알킬 그룹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2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7-12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사이클로알킬 그룹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하며, 그리고"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2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8-12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사이클로알킬 그룹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2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알킬렌"은 사이클로프로필렌 그룹(
Figure pct00150
또는
Figure pct00151
), 사이클로부틸렌 그룹(
Figure pct00152
,
Figure pct00153
또는
Figure pct00154
), 사이클로헥실렌 그룹(
Figure pct00155
,
Figure pct00156
또는
Figure pct00157
) 등과 같이,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3-8원 사이클로알킬렌"은 3-8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하며, "3-6원 사이클로알킬렌 그룹"은 3-6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그룹"은 아제티디닐리덴 그룹(
Figure pct00158
), 피페리딜리덴 그룹(
Figure pct00159
) 등과 같이, 알킬렌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1-3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그룹"은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하며,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그룹"은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릴"은 페닐, 나프틸 등과 같이, 방향족 탄화수소 분자의 방향족 핵의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릴렌"은 페닐렌 그룹(
Figure pct00160
,
Figure pct00161
또는
Figure pct00162
) 및 나프틸렌 그룹 등과 같이, 아릴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은 이미다졸일(
Figure pct00163
또는
Figure pct00164
), 피라졸일, 피리딜(pyridyl), 인돌일(indolyl) 등과 같이, 아릴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를 헤테로원자로 치환하여 획득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렌"은
Figure pct00165
등과 같이, 헤테로아릴의 방향족 핵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수소", "탄소", "산소"는 이의 모든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동위원소는 동일한 수의 원자를 갖지만 상이한 질량 수를 가지는 원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수소의 동위원소는 프로튬(protium), 듀테륨(deuterium) 및 트리튬(tritium)을 포함하며, 탄소의 동위원소는 13C 및 14C를 포함하며, 그리고 산소의 동위원소는 16O 및 18O를 포함한다.
다음의 대표적인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을 의도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음의 예에서 사용된 물질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실시예 1: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1-카르복시산(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 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cyclobutane-1-carboxylic acid)
Figure pct00166
단계 1: 에틸 3-옥소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oxo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67
1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3-옥소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3-oxocyclobutanecarboxylic acid)(25.0g, 219.1mmol)을 톨루엔(500mL)에 용해하고 트리에틸 오르쏘아세테이트(triethyl orthoacetate) (106.6g, 657.3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을 희석된 염산(1.0M, 20mL)으로 ?칭(quench)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며,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및 염화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차례로 1회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켜 24.9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에틸 3-(디벤질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dibenzylamino)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68
에틸 3-옥소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20.0g, 140.7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800mL)에 용해하였다. 빙초산(Glacial acetic acid)(80mL), 디벤질아민(dibenzylamine)(30.5g, 154.8mmol),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sodium triacetoxyborohydride)(59.6g, 281.4mmol)을 첨가하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고,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600mL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물, 포화된 중탄산(bicarbonate)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순서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8:1)를 수행하여 63%의 수율로 28.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24.2 [M+H]+.
단계 3: 에틸 3-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amino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69
에틸 3-(디벤질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25.0g, 77.3mmol)을 메탄올(100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차례대로 10% Pd/C(6.2g), 암모늄 포르메이트(ammonium formate)(48.8g, 773.9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0m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에틸 2-(3-(3-(에톡시카르보닐)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ethoxycarbonyl)cyclobut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0
-5℃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450mL)의 에틸 2-아미노-4-메틸-3-카르복실레이트(12.2g, 65.6mmol) 및 트리에틸아민(26.6g, 262.4mmol)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50mL)의 트리포스겐(19.5g, 65.6mmol)의 용액에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가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그리고 에틸 3-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9.4g, 65.6 mmo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물(400mL)과 혼합하며, 그리고 다음으로 에틸 아세테이트(40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0:1)를 수행하여 61%의 수율로 14.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55.1 [M+H]+
단계 5: 에틸 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 pyrimidin-3(2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1
500mL의 이목 플라스크(two-necked flask)에서, 에틸 2-(3-(3-(에톡시카르보닐)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13.0g, 36.7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30mL)에 용해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수소화나트륨(1.3g, 55.0mmo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및 환류(reflux)하였다. 반응의 완료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을 암모늄 클로라이드(300mL)의 포화 용액으로 ?칭(quench)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80:1)를 수행하여 51%의 수율로 5.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09.1 [M+H]+.
단계 6: 에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2-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2-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2
250mL 삼목 플라스크(three-necked flask)에,
에틸 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2.0g, 6.4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5.1g, 19.4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용해를 위해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m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2-(2-메톡시페닐) 2-(4-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에탄올(2-(2-methoxyphenyl) 2-(4-tetrahydropyranyloxy)ethanol)(1.6g, 6.5mmol)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isopropyl azodicarboxylate, DIAD)(3.9g, 19.4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고 4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6:1)를 수행하여 48%의 수율로 1.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543.2 [M+H]+.
단계 7: 에틸 3-(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1-카르복실레이트(ethyl 3-(6-bromo-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cyclobuta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3
100mL 단일목 플라스크에, 에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725g, 1.336mmol)를 클로로포름(20mL)에 용해하였으며, 다음으로 N-브로모숙시니마이드(0.262g, 1.470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22 g, 0.134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94%의 수율로 0.77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21.1 [M+H]+.
단계 8: 에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ethyl 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4
25mL 이목 플라스크에, 에틸 3-(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1-카르복실레이트(0.753g, 1.212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111g, 0.121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2-dicyclohex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0.231g, 0.485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무수 톨루엔(9m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2-트리-n-부틸티녹사졸(0.870g, 2.423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49%의 수율로 0.36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10.2 [M+H]+.
단계 9: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2-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4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2-dihydrothieno[2,3-d]pyrimidin-3(4H)-yl)cyclobutane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175
25mL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에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200g, 0.328mmol)를 에탄올(1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용액(1.0M, 4.0m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대부분의 에탄올을 농축에 의해 제거하였다. 결과물을 희석된 염산(1.0M)으로 pH 3-4로 산성화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5:1)를 수행하여 39%의 수율로 0.07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7.71 (d, 1H), 7.55 (dd, 1H), 7.32-7.27 (m, 1H), 7.22 (d, 1H), 7.02 (t, 1H), 6.86 (d, 1H), 5.44-5.38 (m, 1H), 5.36-5.30 (m, 1H), 4.22-4.03 (m, 2H), 3.86 (s, 3H), 3.79-3.65 (m, 2H), 3.47-3.39 (m, 1H), 3.37-3.28 (m, 2H), 3.19-3.07 (m, 2H), 3.07-2.95 (m, 1H), 2.88 (s, 3H), 2.75-2.65 (m, 2H), 1.77-1.69 (m, 2H), 1.58-1.50 (m, 1H), 1.43-1.35 (m, 1H). MS (ESI) m/z 580.1 [M-H]- .
실시예 2: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3-Difluorocyclobut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176
단계 1: 에틸 2-(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아미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3-difluorocyclobutylamino) ureido)-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77
-5℃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110mL)의 에틸 2-아미노-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amino-4-methylthiophene-3-carboxylate)(5.786g, 19.5mmol) 및 트리에틸아민(11.84g, 117mmol)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50mL)의 트리포스겐(19.5g, 65.6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적가 첨가가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에틸 3-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9.4g, 65.6 mmo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물(400mL)과 혼합하며, 그리고 다음으로 에틸 아세테이트(40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0:1)를 수행하여 61%의 수율로 14.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55.1 [M+H]+
단계 2: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5-메틸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3-difluorocyclobutyl)-5-meth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178
250mL의 이목 플라스크(two-necked flask)에서, 에틸 2-(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아미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3-difluorocyclobutylamino)ureido)-4-methyl-thiophene-3-carboxylate)(2.5g, 7.86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 및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5mL)에 용해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수소화나트륨(0.472g, 11.79mmo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및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을 암모늄 클로라이드(40mL)의 포화 용액으로 ?칭(quench)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3:1)를 수행하여 70%의 수율로 1.5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273.2 [M+H]+.
단계 3: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3-difluorocyclobut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179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5-메틸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1.5g, 5.5mmol)을 N,N-디메틸포름아이드(1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무수 탄산칼륨(2.277g, 16.5mmol) 및 4-(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2-bromo-1-(2-methoxyphenyl)ethoxy)tetrahydro-2H-pyran)(2.079g, 6.6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13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물(30m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0mLx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3:1)를 수행하여 68%의 수율로 1.9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507.2 [M+H]+.
단계 4: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브로모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3-difluorocyclobut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bromo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180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9g, 1.78mmol)을 클로로포름(25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N-브로모 숙시니미드(N-bromo succinimide)(0.348g, 1.96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0.025g, 0.154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6:1)를 수행하여 87%의 수율로 0.9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585.1 [M+H]+.
단계 5: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3-difluorocyclobut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181
아르곤 보호 하에서, 3-(3,3-디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브로모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40g, 0.685mmol), 트리스(디벤잘아세톤)디팔라듐(0.063g, 0.0685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2-dicyclohexylphosphine-2,4,6-triisopropylbiphenyl)(0.131g, 0.274mmol)에, 무수 톨루엔(7m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다음으로 2-트리-n-부틸티녹사졸(2-tri-n-butyltinoxazole)(0.492g, 1.37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3:1)를 수행하여 51%의 수율로 0.20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1 (d, 1H), 7.55 (dd, 1H), 7.31 (dd, 1H), 7.22 (s, 1H), 7.03 (t, 1H), 6.86 (d, 1H), 5.41 (t, 1H), 5.37-5.29 (m, 1H), 4.20-4.07 (m, 2H), 3.86 (s, 3H), 3.79-3.72 (m, 1H), 3.72-3.64 (m, 1H), 3.64-3.48 (m, 2H), 3.46-3.40 (m, 1H), 3.38-3.27 (m, 2H), 2.95-2.81 (m, 2H), 2.89 (s, 1H), 1.78-1.68 (m, 2H), 1.55-1.48 (m, 1H), 1.42-1.34 (m, 1H). MS (ESI) m/z 574.2 [M+H]+ .
실시예 3: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yl)-1-메틸사이틀로부탄카르복시산((1R,3r)-3-(1-((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 (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e-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182
단계 1: 메틸 3-(디벤질아미노)-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3-(dibenzylamino)-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3
1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메틸-3-옥소-사이클로부티레이트(methyl 1-methyl-3-oxo-cyclobutyrate)(4.95g, 34.8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0mL)에 용해하고, 이어서 빙초산(22mL), 디벤질아민(7.56g, 38.3mmol),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14.8g, 69.7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물, 중탄산염 나트륨 포화수용액 및 염화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차례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8:1)를 수행하여 92%의 수율로 10.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24.2 [M+H]+.
단계 2: 메틸 3-아미노-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3-amino-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4
2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3-(디벤질아미노)-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10.4g, 32.2mmol)을 메탄올(410mL)에 용해하고, 이어서 6.46g의 10% Pd/C, 알루미늄 포르메이트(20.3g, 321.6mmol)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400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m/z 144.2 [M+H]+.
단계 3: (R)-4-(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R)-4-(2-bromo-1-(2-methoxyphenyl)ethoxy) tetrahydro-2H-pyran)의 제조
Figure pct00185
(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탄올((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anol)(0.600g, 2.38mmol) 및 테트라브로마이드 탄소(carbon tetrabromide)(1.18g, 3.57mmol)를 5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질소 보호 하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트리페닐포스핀(0.936g, 3.57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2:1)를 수행하여 81%의 수율로 0.61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15.0 [M+H]+.
단계 4: 에틸 2-(3-(3-(메톡시카르보닐)-3-메틸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methoxycarbonyl)-3-methylcyclobut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6
1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트리포스겐(9.56g, 32.2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70mL)에 용해하고 혼합물을 -5℃에 두었다. 메틸 2-아미노-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5.97g, 32.2mmol) 및 트리에틸아민(13.0g, 128.8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40mL)에 용해하였으며, 이는 상기 디클로로메탄의 트리스포젠 용액에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가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메틸 3-아미노-1-메틸사이클로부틸카르복실레이트(4.6 g, 32.2 mmo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농축하고, 물(250mL)과 혼합하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25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0:1)를 수행하여 46%의 수율로 5.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55.1 [M+H]+.
단계 5: 메틸 1-메틸-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 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methyl-3-(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 pyrimidin-3(2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7
에틸 2-(3-(3-(메톡시카르보닐)-3-메틸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3.34g, 9.42mmol)를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77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무수 탄산 세슘(7.67g, 23.6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100mLx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산하고 정제하여 45%의 수율로 1.3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309.1 [M+H]+.
단계 6: 메틸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R,3r)-3-(1-((R)-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8
100mL의 이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메틸-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523g, 1.70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3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무수 탄산 칼륨(0.703g, 5.09mmol) 및 (R)-4-(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R)-4-(2-bromo-1-(2-methoxyphenyl)ethoxy)tetrahydro-2H-pyran)(0.534g, 1.7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물(50m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mLx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30%의 수율로 0.286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7: 메틸 (1R,3r)-3-(6-브로모-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R,3r)-3-(6-bromo-1-((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89
50mL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286g, 0.527mmol)를 클로로포름(8mL)로 용해하였으며, 이어서 N-브로모숙시니미드(0.103g, 0.580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09g, 0.053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1)를 수행하여 74%의 수율로 0.24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8: 메틸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R,3r)-3-(1-((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90
25mL의 이목 플라스크에, 메틸 (1R,3r)-3-(6-브로모-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244g, 0.392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36g, 0.039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포린-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2-dicyclohexylphosphorin-2,4,6-triisopropylbiphenyl)(0.075g, 0.157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무수 톨루엔(5mL) 및 2-트리-n-부틸티녹사졸(2-tri-n-butyltinoxazole)(0.282g, 0.785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73%의 수율로 0.175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9: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1R,3r)-3-(1-((R)-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191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175g, 0.287mmol)를 메탄올(6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1.0M, 6m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희석된 염산(2M)으로 약한 산성으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를 수행하여 40%의 수율로 0.06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s, 1H), 7.57 (dd, 1H), 7.32-7.27 (m, 1H), 7.24-7.20 (m, 1H), 7.02 (t, 1H), 6.85 (d, 1H), 5.65-5.55 (m, 1H), 5.45-5.39 (m, 1H), 4.17-4.04 (m, 2H), 3.90-3.83 (m, 3H), 3.79-3.72 (m, 1H), 3.72-3.64 (m, 1H), 3.47-3.41 (m, 1H), 3.37-3.29 (m, 2H), 3.05-2.96 (m, 2H), 2.92-2.87 (m, 3H), 2.84-2.77 (m, 2H), 1.73 (dd, 2H), 1.59 (s, 3H), 1.55-1.49 (m, 1H), 1.40-1.35 (m, 1H).MS (ESI) m/z 594.2 [M-H]- .
실시예 4: (1S,3s)-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1S,3s)-3-(1-((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e-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
Figure pct00192
단계 1: 메틸 (1S,3s)-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S,3s)-3-(1-((R)-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93
100mL의 이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메틸-3-(5-메틸-2,4-디옥소-1,2-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4H)-일)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methyl-3-(5-methyl-2,4-dioxo-1,2-dihydrothieno[2,3-d]pyrimidine-3(4H)-yl)cyclobutanecarboxylate)(0.523g, 1.70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3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무수 탄산 칼륨(0.703g, 5.09mmol) 및 (R)-4-(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0.534g, 1.7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물(5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28%의 수율로 0.27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2: 메틸 (1S,3s)-3-(6-브로모-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S,3s)-3-(6-bromo-1-((R)-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94
50mL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S,3s)-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272g, 0.501mmol)를 클로로포름(8mL)에 첨가하였으며, 이어서 N-브로모숙시니미드(0.098g, 0.551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09g, 0.053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1)를 수행하여 74%의 수율로 0.23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3: 메틸 (1S,3s)-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methyl (1S,3s)-3-(1 -((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e-3(2H)-1-methylcyclobutane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195
25mL의 이목 플라스크에, 메틸 (1R,3r)-3-(6-브로모-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227g, 0.365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34g, 0.036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포린-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0.070g, 0.146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무수 톨루엔(4mL) 및 2-트리-n-부틸티녹사졸(0.262g, 0.730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밤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71%의 수율로 0.159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4: (1S,3s)-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1S,3s)-3-(1-((R)-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196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R,3r)-3-(1-((R)-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1-메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0.159g, 0.261mmol)를 메탄올(6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1.0M, 6m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희석된 염산(2M)으로 약한 산성으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를 수행하여 19%의 수율로 0.03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2 (d, 1H), 7.55-7.50 (m, 1H), 7.32-7.27 (m, 1H), 7.23 (d, 1H), 7.01 (t, 1H), 6.87 (d, 1H), 5.76-5.65 (m, 1H), 5.41 (dd, 1H), 4.26-4.16 (m, 1H), 4.13-4.02 (m, 1H), 3.87 (s, 3H), 3.78-3.65 (m, 2H), 3.47-3.40 (m, 1H), 3.36-3.22 (m, 4H), 2.89 (s, 3H), 2.34-2.25 (m, 2H), 1.76-1.71 (m, 2H), 1.54 (s, 3H), 1.44-1.35 (m, 2H). MS (ESI) m/z 594.2 [M-H]- .
실시예 5: 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케톤(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 methyl-3-(7-methylimidazo[1,2-a]pyridin-8-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 3H)-diketone)
Figure pct00197
단계 1: 7-메틸-8-니트로이미다조[1,2-a]피리딘(7-methyl-8-nitroimidazo[1,2-a]pyridine)의 제조
Figure pct00198
4-메틸-2-아미노피리딘(4-methyl-2-aminopyridine)(6.10g, 40.0mmol) 및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40% aq., 11.2g, 143mmol)를 에탄올(100mL)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100℃에서 환류하였다. 12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물(200mL)에 부었으며,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pH = 6-7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였으며, 염화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하여 75%의 수율로 5.30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C-MS m/z 178.1 [M+H]+ .
단계 2: 7-메틸-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7-methyl-8-aminoimidazo[1,2-a]pyridine)의 제조
Figure pct00199
7-메틸-8-니트로이미다조[1,2-a]피리딘(3.74g, 20.0mmol)을 에탄올/물(v/v = 9:1, 100m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철 분말(11.0g, 200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농축 염산(3 드롭)을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100℃에서 환류하였다. 2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여액을 농축하고, 중탄산 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pH = 6-7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였으며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95%의 수율로 2.8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148.2 [M+H]+.
단계 3: 에틸 2-아미노-5-브로모-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amino-5-bromo-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00
에틸 2-아미노-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3.70g, 20.0mmol)를 디클로로메탄(50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로 냉각하였다. N-브로모숙시니미드(3.70g, 21.0mmol)를 반응 혼합물에 조금씩(portionwise) 첨가하였다. 1시간 후에, 탄산수소나트륨(100mL)의 포화 수용액에 혼합물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였으며, 포화된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농축하고 다음으로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z 264.0 [M+H]+ .
단계 4: 에틸 5-브로모-4-메틸-2-(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우레이도)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5-bromo-4-methyl-2-(3-(7-methylimidazo[1,2-a] pyridin-8-yl)ureido)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01
트리포스겐(0.740g, 2.50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10℃로 냉각시켰다. 무수 디클로로메탄의 7-메틸-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0.735g, 5.0mmol) 및 트리에틸아민(1.50g, 15.0mmol)의 용액을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아이스 베쓰(bath)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2-아미노-5-브로모-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5.28g, 20.0mmol)을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농축하였으며, 그리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10:1)를 수행하여 82%의 수율로 0.9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437.0 [M+H]+ .
단계 5: 6-브로모-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티에노[2,3-d]피리미딘-2,4 (1H,3H)-디온(6-bromo-5-methyl-3-(7-methylimidazo[1,2-a]pyridin-8-yl) thieno[2,3-d]pyrimidine-2,4 (1H, 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202
에틸 5-브로모-4-메틸-2-(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우레이도)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0.90g, 2.0메틸) 및 탄산세슘(1.60g, 5mmol)을 에탄올(2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100℃에서 환류하였다. 3시간 후에, 반응이 완료되고 혼합물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10:1)를 수행하여 89%의 수율로 0.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391.1 [M+H]+ .
단계 6: 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6-bromo-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3-(7-methylimidazo[1,2-a]pyridin-8-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203
6-브로모-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60g, 0.40mmol), 4-(2-브로모-1-(2-메톡시페닐)에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0.251g, 0.80mmol), 탄산세슘(0.325g, 1.00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5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아이오딘화 칼륨(0.005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0℃로 가열하였다. 12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물(30mL)에 부었으며, 그리고 pH=6-7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였으며, 포화된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그리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1-1:3)를 수행하여 13%의 수율로 0.03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625.1 [M+H]+ .
단계 7: 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3-(7-methylimidazo[1,2-a]pyridin-8-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204
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7-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8-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030g, 0.05mmol), 2-(트리부틸틴)옥사졸(2-(tributyltin)oxazole)(0.036g, 0.10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09g, 0.01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0.019g, 0.04mmol)을 톨루엔(2mL)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90℃로 가열하였다. 8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2-1:4)를 수행하여 65%의 수율로 0.02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8.14 (t, 1H), 7.70 (s, 1H), 7.62-7.52 (m, 2H), 7.32-7.23 (m, 1H), 7.23-7.12 (m, 2H), 6.96-6.73 (m, 3H), 5.01-4.88 (m, 1H), 4.68-4.55 (m, 1H), 4.27-4.11 (m, 1H), 3.79 (s, 3H), 3.75-3.52 (m, 2H), 3.29-3.08 (m, 3H), 2.88 (s, 3H), 2.25 (s, 3H), 1.77-1.65 (m, 1H), 1.50-1.40 (m, 1H), 1.39-1.27 (m, 2H). LC-MS m/z 614.2 [M+H]+ .
실시예 6: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 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azetidin-3-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05
단계 1: 디에틸 5-아미노-3-메틸티오펜-2,4-디카르복실레이트(diethyl 5-amino-3-methylthiophene-2,4-di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06
1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ethyl acetoacetate)(50.0g, 384mmol),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ethyl cyanoacetate)(43.4g, 384mmol), 황 원소(12.3g, 384mmol)를 무수 에탄올(30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디에틸아민(28.1g, 384mmol)을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물(2.4L)에 부었다. 많은 양의 노란 고체가 나타났으며, 이를 여과하고, 그리고 두 개의 여과에서 여과된 케이크를 에탄올/물(v/v = 1:8)로 한 번 세척하였으며, 그리고 40℃로 건조하여 70%의 수율로 69.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258.1 [M+H]+ .
단계 2: 에틸 5-(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우레이도)-3-메틸티오펜-2,4-디카르복실레이트(ethyl 5-(3-(1-(tert-butoxycarbonyl)azetidin-3-yl)ureido) -3-methylthiophene-2,4-di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07
-5℃의 저온 반응 베쓰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750mL)의 디에틸 5-아미노-3-메틸티오펜-2,4-디카르복실레이트(45.0g, 175mmol) 및 트리에틸아민(70.8g, 700mmol)의 용액에 무수 디클로로메탄(250mL)의 트리포스겐(51.9g, 175mmol)의 용액을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N-t-부톡시카르보닐-3-아미노사이클로부틸아민(N-t-butoxycarbonyl-3-aminocyclobutylamine)(30.1g, 175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물(600mL)로 농축,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700mLx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 하였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56%의 수율로 44.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456.2 [M+H]+ .
단계 3: 에틸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5-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Preparation of ethyl 3-(1-(tert-butoxycarbonyl)azetidin-3-yl)-5-methyl -2,4-dioxo-1,2,3,4-tetrahydrothieno[2,3-d]pyrimidine-6-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08
1000mL의 이목 플라스크에서, 에틸 5-(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우레이도)-3-메틸티오펜-2,4-디카르복실레이트(28.5g, 62.5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430mL)에 용해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수소화나트륨(2.25g, 93.8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혼합물을 가열하여 2시간 동안 110℃에서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을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400mL)으로 ?칭(quench)하였으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0mLx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78%의 수율로 20.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410.2 [M+H]+.
단계 4: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5-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시산(3-(1-(tert-butoxycarbonyl)azetidin-3-yl)-5-methyl-2,4-dioxo -1,2,3,4-tetrahydrothieno[2,3-d]pyrimidine-6-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09
10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에틸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5-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를 메탄올(30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4.0M, 100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농축하여 대부분의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혼합물을 농축된 염산으로 약한 산성의 pH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15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하였고 여액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m/z 380.1 [M-H]- .
단계 5: tert-부틸 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10
5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5-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시산(8.0g, 21.0mmol)을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16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무수 탄산 칼륨(3.4g, 25.2mmol) 및 무수 실버 아세테이트(anhydrous silver acetate)(4.2g, 25.2mmol)를 11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물(300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200mLx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m/z 338.1 [M+H]+ .
단계 6: tert-부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11
250mL의 이목 플라스크에, tert-부틸 3-(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4.0g, 11.8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9.3g, 35.4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혼합물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2-2-메톡시페닐)-2-(4-테트라하이도피라닐옥시)에탄올(2-2-methoxyphenyl)-2-(4-tetrahydropyranyloxy)ethanol)(3.0g, 11.8mmol)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isopropyl azodicarboxylate, DIAD)(7.2g, 35.4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밤새 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15%의 수율로 1.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572.2 [M+H]+ .
단계 7: tert-부틸 3-(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6-bromo-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12
100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tert-부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0.800g, 1.399mmol)을 클로로포름(25mL)에 용해하였으며, 이어서 N-브로모숙시니미드(0.249g, 1.399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23g, 0.140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4:1)를 수행하여 76%의 수율로 0.69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50.2 [M+H]+ .
단계 8: t-부틸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butyl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13
25mL의 이목 플라스크에서, tert-부틸 3-(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0.612g, 0.941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86g, 0.094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0.179g, 0.376mmol)을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무수 톨루엔(9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2-트리-n-부틸티녹사졸(0.676g, 1.881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1)를 수행하여 41%의 수율로 0.246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39.2 [M+H]+ .
단계 9: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azetidin-3-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214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t-부틸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0.108g, 0.169mmol)를 톨루엔(5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실리카 겔(100-200 메쉬, 1.08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그리고 석션-여과(suction-filtered)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그리고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30:1)를 수행하여 91%의 수율로 0.083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s, 1H), 7.62-7.54 (m, 1H), 7.35-7.27 (m, 1H), 7.21 (s, 1H), 7.03 (t, 1H), 6.92-6.84 (m, 1H), 5.44-5.35 (m, 1H), 4.58-4.48 (m, 1H), 4.34-4.24 (m, 1H), 4.16-4.05 (m, 1H), 4.05-3.93 (m, 1H), 3.91 (s, 1H), 3.87 (s, 3H), 3.83-3.81 (m, 1H), 3.81-3.66 (m, 3H), 3.48-3.42 (m, 1H), 3.39-3.28 (m, 2H), 2.86 (d, 3H), 1.78-1.69 (m, 2H), 1.59-1.52 (m, 1H), 1.48-1.37 (m, 1H). MS (ESI) m/z 539.2 [M+H]+ .
실시예 7: 3-(1-아세틸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acetylazetidin-3-yl)-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2,4(1H,3H)-dione)
Figure pct00215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03g, 0.056mmol)에, 디클로로메탄(3mL) 및 트리에틸아민(0.2m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아세틸클로라이드(0.006g, 0.084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메탄올(1mL)로 ?칭하였으며, 농축하고 다음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5:1)를 수행하여 56%의 수율로 0.01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2 (s, 1H), 7.58-7.52 (m, 1H), 7.35-7.28 (m, 1H), 7.23 (s, 1H), 7.03 (t, 1H), 6.87 (dd, 1H), 5.68-5.51 (m, 1H), 5.44-5.37 (m, 1H), 4.65 (dd, 1H), 4.51-4.43 (m, 1H), 4.4 -4.27 (m, 2H), 4.19 -4.04 (m, 2H), 3.87 (d, 3H), 3.80-3.64 (m, 2H), 3.47-3.38 (m, 1H), 3.37-3.26 (m, 2H), 2.88 (d, 3H), 1.94 (s, 3H), 1.73-1.69 (m, 2H), 1.57-1.48 (m, 1H), 1.40-1.34 (m, 1H). MS (ESI) m/z 581.2 [M+H]+ .
실시예 8: 3-(1-(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cyclopropanecarbonyl)azetidin-3-yl)-1-(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16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50g, 0.28mmol)을 디클로로메탄(3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트리메틸아민(0.057g, 0.56mmo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 클로라이드(0.036g, 0.34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을 메탄올(1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농축하고 다음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1 내지 1:3)를 수행하여 23%의 수율로 0.03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07.2 [M+H]+;1H NMR (400 MHz, CDCl3) δ 7.69 (s, 1H), 7.63-7.55 (m, 1H), 7.34 -7.28 (m, 1H), 7.23-7.19 (m, 1H), 7.03 (t, 1H), 6.87 (t, 1H), 5.41-5.36 (m, 1H), 4.62-4.56 (m, 1H), 4.50-4.44 (m, 1H), 4.36-4.29 (m, 1H), 4.24-4.13 (m, 2H), 3.98 (dd, 1H), 3.91 (s, 1H), 3.87 (s, 2H), 3.79-3.69 (m, 2H), 3.47-3.41 (m, 1H), 3.38-3.30 (m, 2H), 2.87 (d, 3H), 1.80-1.68 (m, 2H), 1.65-1.59 (m, 1H), 1.47-1.37 (m, 1H), 1.03-0.94 (m, 2H), 0.90-0.81 (m, 2H). MS (ESI) m/z 607.2 [M+H]+ .
실시예 9: 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1-(메틸설포닐)아제티딘-3-일)-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 -3-( 1-(methylsulfonyl)azetidin-3-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17
25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020g, 0.037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0.2m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006g, 0.048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메탄올(2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를 수행하여 43%의 수율로 0.01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s, 1H), 7.61-7.55 (m, 1H), 7.34-7.28 (m, 1H), 7.22 (s, 1H), 7.03 (t, 1H), 6.92-6.84 (m, 1H), 5.41-5.34 (m, 1H), 4.75-4.58 (m, 2H), 4.43 (dd, 1H), 4.35-4.22 (m, 1H), 4.20-3.96 (m, 3H), 3.89 (d, 3H), 3.81-3.67 (m, 2H), 3.49-3.39 (m, 1H), 3.38-3.28 (m, 2H), 3.05 (d, 3H), 2.87 (d, 3H), 1.77-1.70 (m, 2H), 1.57-1.52 (m, 1H), 1.44-1.38 (m, 1H). MS (ESI) m/z 617.2 [M+H]+.
실시예 10: 3-(1-(에틸설포닐)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ethylsulfonyl)azetidin-3-yl)-1-(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18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00g, 0.186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5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0.2m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0.031g, 0.241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메탄올(5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50:1)를 수행하여 57%의 수율로 0.06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d, 1H), 7.60-7.55 (m, 1H), 7.34-7.29 (m, 1H), 7.22 (d, 1H), 7.03 (t, 1H), 6.89 (t, 1H), 5.42-5.33 (m, 1H), 4.77-4.59 (m, 2H), 4.41 (dd, 1H), 4.34-4.22 (m, 1H), 4.18-4.04 (m, 2H), 4.02-3.93 (m, 1H), 3.89 (d, 3H), 3.81-3.67 (m, 2H), 3.49-3.40 (m, 1H), 3.38-3.28 (m, 2H), 3.22-3.11 (m, 2H), 2.87 (d, 3H), 1.74-1.69 (m, 2H), 1.58-1.53 (m, 1H), 1.47-1.42 (m, 1H), 1.39 (t, 3H). MS (ESI) m/z 631.2 [M+H]+ .
실시예 11: 3-(1-벤조일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benzoylazetidin-3-yl)-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19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00g, 0.186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6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0.7m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0.034g, 0.241mmol)를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가열하고 6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메탄올(6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에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0:1)를 수행하여 56%의 수율로 0.066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8 (d, 2H), 7.70 (s, 1H), 7.58-7.51 (m, 2H), 7.43-7.36 (m, 2H), 7.33-7.27 (m, 1H), 7.24-7.20 (m, 1H), 7.04-6.96 (m, 1H), 6.90-6.81 (m, 1H), 5.40-5.32 (m, 1H), 4.78-4.68 (m, 2H), 4.55-4.43 (m, 1H), 4.32-4.22 (m, 1H), 4.20-3.97 (m, 3H), 3.86 (d, 3H), 3.76-3.67 (m, 1H), 3.62-3.53 (m, 1H), 3.43-3.33 (m, 1H), 3.32-3.15 (m, 2H), 2.89 (d, 3H), 1.68 -1.62 (m, 2H), 1.53-1.48 (m, 1H), 1.41-1.34 (m, 1H). MS (ESI) m/z 643.2 [M+H]+ .
실시예 12: 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3-(1-(모르폴린-4-포르밀)아제티딘-3-일)-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 -5-methyl-3-(1-(morpholine-4-formyl)azetidin-3-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20
무수 디클로로메탄(2mL)의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04g, 0.193mmol) 및 트리메틸아민(0.078 g, 0.772 mmol)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mL)의 트리포스겐(0.058g, 0.193mmol) 용액에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이를 -5℃ 저온 반응 베쓰에서 냉각시켰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계속해서 -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르폴린(0.034g, 0.386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를 수행하여 48%의 수율로 0.06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52.2 [M+H]+1H NMR (400 MHz, CDCl3) δ 7.71 (dd, 1H), 7.62-7.55 (m, 1H), 7.35-7.28 (m, 1H), 7.25-7.22 (m, 1H), 7.05 (t, 1H), 6.90 (t, 1H), 5.43-5.33 (m, 1H), 4.70-4.60 (m, 1H), 4.59-4.48 (m, 1H), 4.35-4.24 (m, 1H), 4.24-4.07 (m, 2H), 4.05-3.96 (dd, 1H), 3.91 (d, 3H), 3.83-3.68 (m, 3H), 3.68-3.54 (m, 4H), 3.54-3.40 (m, 4H), 3.40-3.25 (m, 3H), 2.86 (d, 3H), 1.80-1.68 (m, 2H), 1.57-1.49 (m, 1H), 1.43-1.36 (m, 1H). MS (ESI) m/z 652.2 [M+H]+.
실시예 13: 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3-(1-피리딘포르밀아제티딘-3-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 methyl-6-(oxazol-2-yl)-3-(1-pyridineformylazetidin-3-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21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00g, 0.186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5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0.7m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베쓰에서, 피리딘-2-포르밀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ine-2-formyl chloride hydrochloride)(0.040g, 0.223mmo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가열하고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메탄올(5mL)로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에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50:1)를 수행하여 20%의 수율로 0.02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75 (d, 1H), 8.04 (d, 1H), 7.80 (t, 1H), 7.69 (s, 1H), 7.56 (t, 1H), 7.50-7.40 (m, 1H), 7.33-7.27 (m, 1H), 7.22 (s, 1H), 7.06-6.96 (m, 1H), 6.92-6.80 (m, 1H), 5.41-5.33 (m, 1H), 4.85-4.71 (m, 2H), 4.70-4.57 (m, 1H), 4.33-4.21 (m, 1H), 4.18-4.05 (m, 2H), 4.01-3.89 (m, 1H), 3.86 (d, 3H), 3.77-3.68 (m, 1H), 3.67-3.54 (m, 1H), 3.45-3.36 (m, 1H), 3.35-3.16 (m, 2H), 2.86 (s, 3H), 1.73-1.65 (m, 2H), 1.57-1.47 (m, 1H), 1.42-1.33 (m, 1H). MS (ESI) m/z 644.2 [M+H]+.
실시예 14: 3-(1-(1H-이미다졸-2-카르보닐)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1H-imidazol-2-carbonyl)azetidin-3-yl)-1-(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22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080g, 0.148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6mL)에 용해하였으며, 이어서 이미디졸-2-카르복시산(imidazole-2-carboxylic acid)(0.025g, 0.223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8mL),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bromo-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0.104g, 0.223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0.006g, 0.044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물(20mL)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0:1)를 수행하여 32%의 수율로 0.03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55 (s, 1H), 7.73-7.68 (m, 1H), 7.62-7.55 (m, 1H), 7.37-7.31 (m, 1H), 7.31-7.28 (m, 1H), 7.23-7.20 (m, 1H), 7.15 (s, 1H), 7.08-7.02 (m, 1H), 6.95-6.87 (m, 1H), 5.49-5.32 (m, 1H), 5.05 (dd, 1H), 4.86-4.69 (m, 1H), 4.67-4.53 (m, 1H), 4.54-4.38 (m, 1H), 4.29- 4.19 (m, 1H), 4.11-4.00 (m, 1H), 3.97 (s, 2H), 3.90 (s, 1H), 3.89-3.83 (m, 1H), 3.81-3.63 (m, 2H), 3.48-3.40 (m, 1H), 3.39-3.22 (m, 2H), 2.85 (d, 3H), 1.69-1.60 (m, 2H), 1.58-1.49 (m, 1H), 1.45-1.36 (m, 1H). MS (ESI) m/z 633.2 [M+H]+.
실시예 15: 1-(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 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2-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4H)-일)아제티딘-1-카르보닐)-3-메틸아제티딘-3-카르복시산(1-(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 methyl-6-(oxazol-2-yl)-2,4-dioxo-1,2-dihydrothieno[2,3-d]pyrimidin-3(4H)-yl)azetidine-1-carbonyl)-3-methylazetidine-3-carboxylic acid)
Figure pct00223
단계 1: 메틸 1-(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보닐)-3-메틸아제티딘-3-카르복실레이트(methyl 1-(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e-1-carbonyl)-3-methylazetidi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24
-5℃의 베쓰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5mL)의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50g, 0.278mmol) 및 트리에틸아민(0.169g, 1.67mmol)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5mL)의 트리포스겐(0.083g, 0.278mmol)의 용액에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메틸 3-메틸아제티딘-3-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thyl 3-methylazetidine-3-carboxylate hydrochloride)(0.093g, 0.557mmol)를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농축하고, 물(15mL)과 혼합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에틸 아세테이트(15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2)를 수행하여 31%의 수율로 0.06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ESI) m/z 694.3 [M+H]+ .
단계 2: 1-(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트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보닐)-3-메틸아제티딘-3-카르복시산(1-(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azetidine-1-carbonyl)-3-methylazetidin-3-carboxyl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25
25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서, 메틸 1-(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아제티딘-1-카르보닐)-3-메틸아제티딘-3-카르복실레이트(0.060g, 0.086mmol)를 메탄올(2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용액(1.0M, 2mL)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희석된 염산(2M)로 약한 상성으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으며, 그리고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 크로마토크래피로 분리하여 34%의 수율로 0.02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s, 1H), 7.56 (d, 1H), 7.34-7.28 (m, 1H), 7.21 (s, 1H), 7.03 (t, 1H), 6.89 (t, 1H), 5.48-5.34 (m, 1H), 4.65-4.46 (m, 2H), 4.34-4.12 (m, 4H), 4.09-3.96 (m, 2H), 3.89 (d, 3H), 3.81-3.47 (m, 5H), 3.44-3.26 (m, 3H), 2.82 (s, 3H), 1.80-1.67 (m, 2H), 1.57-1.47 (m, 3H), 1.40-1.32 (m, 1H), 1.31-1.20 (m, 1H). MS (ESI) m/z 678.2 [M-H]-.
실시예 16: 3-(1-(3-하이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오일)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1-(3-Hydroxy-3-methylazetidin-1-oyl)azetidin-3-yl)-1 -(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
Figure pct00226
트리포스겐(0.055g, 0.186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3mL)에 용해하고 -5℃에서 교반하였다. 실시예 6의 단계 9에서 획득된 3-(아제티딘-3-일)-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0.100g, 0.186mmol) 및 트리에틸아민(0.113g, 1.116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5mL)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5℃에서 상기 디클로로메탄의 트리포스겐의 용액에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실온으로 옮겼다. 3-메틸-3-아제티디놀(3-methyl-3-azetidinol)(0.025g, 0.204mmol)을 첨가하였고 반응을 밤새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를 수행하여 10%의 수율로 0.01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s, 1H), 7.60-7.50 (m, 1H), 7.36-7.28 (m, 1H), 7.22 (d, 1H), 7.04 (d, 1H), 6.92 (d, 1H), 5.49 (s, 1H), 4.67-4.56 (m, 1H), 4.54-4.35 (m, 1H), 4.23-4.15 (m, 1H), 4.13-3.99 (m, 2H), 3.95 (s, 2H), 3.90 (s, 3H), 3.87-3.61 (m, 5H), 3.57-3.17 (m, 4H), 2.88 (d, 3H), 1.92-1.68 (m, 2H), 1.53-1.47 (m, 1H), 1.46-1.43 (m, 1H), 1.43 (s, 3H). MS (ESI) m/z 652.1 [M+H]+.
실시예 17: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 (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piperidin-4-yloxy)ethyl)-5-methyl-6- (oxazole-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27
단계 1: tert-부틸 4-(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4-(2-hydroxy-1-(2-methoxyphenyl)ethoxy)piperidine-1- 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28
tert-부틸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4-hydroxypiperidine-1-carboxylate)(2.01mg, 9.99mmol)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알루미늄(tris(trifluoromethanesulfonate)aluminum(0.158g, 0.333mmol)을 1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탈수시키고 질소로 보호하였다.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 온도를 0℃까지 감소시켰다. 2-(2-메톡시페닐)옥시렌(2-(2-Methoxyphenyl)oxirane)(1.50g, 10.0mmol)을 반응 시스템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시스템을 실온까지 가온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에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45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52.
단계 2: 에틸 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1-(tert-butoxy)-2-methyl-1-oxopropan-2-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29
에틸 2-아미노-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amino-4-methylthiophene-3-carboxylate)(10g, 54mmo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100mL)을 5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0℃에서, 디클로로메탄(100mL)의 트리포스겐(5.288g, 17.8mmol)의 용액을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을 0℃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트리에틸아민(21.816g, 216mmol)을 그 다음에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을 0℃에서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다음으로 2-tert-부틸 2-아미노이소부티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tert-butyl 2-aminoisobutyrate hydrochloride)(12.636g, 64.8mmol)를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도록 하고 밤새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석유 에테르로 재결정화하여 1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71.
단계 3: tert-부틸 2-메틸-2-(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프로피오네이트(tert-butyl 2-methyl-2-(5-methyl-2,4-dioxo-1,4-dihydrothieno [2,3-d]pyrimidin-3(2H)-yl)propionate)의 제조
Figure pct00230
나트륨(7.45g, 324mmol)을 순수한 에탄올(200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고체 나트륨이 완전히 용해된 후에, 에틸 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12g, 32.4mmol)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가온하여 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빙초산으로 중성 pH로 중화하였다. 많은 양의 고체를 석출시켰으며, 그리고 감소된 압력에서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25.
단계 4: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4-(2-(3-(1-(tert-butoxy)-2-methyl-1-oxopropan-2-yl)-5-methyl-2,4-dioxo-3,4-dihydrothieno[2,3-d]pyrimidin-1(2H)-yl)-1-(2-methoxyphenyl)ethoxy)piperid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31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4.06g, 15.5mmol)을 500mL의 이목 플라스크에 첨가하였고 아르곤으로 보호하였다. 0℃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3.13g, 15.5mmol)를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반응을 0℃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이어서 tert-부틸 2-메틸-2-(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프로피오네이트(1.0g, 3.1mmol) 및 tert-부틸 4-(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31g, 3.7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고 밤새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3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658.
단계 5: tert-부틸 4-(2-(6-브로모-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4-(2-(6-bromo-3-(1-(tert-butoxy)-2-methyl-1- oxopropan-2-yl)-5-methyl-2,4-dioxo-3,4-dihydrothieno[2,3-d]pyrimidin-1(2H)-yl)-1-(2-methoxyphenyl)ethoxy)piperid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32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38g, 2.09mmol)를 디클로로메탄(15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N-브로모숙시니미드(373mg, 2.09mmol)를 -1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에서 0.5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칭하였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으며, 그리고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1.4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736.
단계 6: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4-(2-(3-(1-tert-butoxy)-2-methyl-1-oxopropan-2-yl)-5-methyl-6-(oxazol-2-yl)-2,4-dioxo-3,4-dihydrothieno[2,3-d]pyrimidin-1(2H)-yl)-1-(2-methoxyphenyl)ethoxy)piperid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33
tert-부틸 4-(2-(6-브로모-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642mg, 0.873mmol), 2-(트리부틸스타닐)옥사졸(2-(tributylstannyl)oxazole)(1.250g, 3.492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80mg, 0.0873mmol) 및 2-바이사이클로헥실포스포로스-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125mg, 0.2619mmol)을 톨루엔(20mL)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아르곤 보호 하에, 110℃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농축 및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356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725.
단계 7: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piperidin-4-yloxy)ethyl)-5-methyl-6-(oxazole-2-yl)-2,4-dioxo-1,4-dihydrothiophene[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34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6- (옥사졸-2-일)-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250mg, 0.345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2mL)에 용해하였다. 농축된 염산(2mL)을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23 (s, 1H), δ 7.74 (s, 1H), 7.58 (d, 1H), 7.34 (d, 1H), 7.26 (s, 2H), 7.09-7.05 (m, 1H), 5.35-5.33 (m, 1H), 4.94-4.88 (m, 1H), 4.07 (s, 3H), 3.83-3.70 (m, 3H), 3.40-3.24 (m, 4H), 2.96 (s, 3H), 2.24-1.92(m, 4H), 1.55-1.40 (m, 6H). LC-MS m/z [M+H]+ = 569.
실시예 18: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piperidin-1-yl)ethyl)-5-methyl-6- (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35
단계 1: 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탄올(2-(2-methoxyphenyl)-2-(piperidin-1-yl)ethanol)의 제조
Figure pct00236
피페리딘(2.55g, 30.0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30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2-(2-메톡시페닐)옥시렌(2-(2-methoxyphenyl)oxirane)(1.50g, 6.0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236.
단계 2: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2-methoxyphenyl)-2-(piperidin-1-yl)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37
제조방법은, 시작물질인 tert-부틸 4-(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18의 단계 1에서 획득된 2-(2-메톡시)-2-(피페리딘-1-일)에탄올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의 단계 4에서의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였으며, 1.26g이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542.
단계 3: tert-부틸 2-(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6-bromo-1-(2-(2-methoxyphenyl)-2-(piperidin-1-yl)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38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1.26g, 2.326mmol)를 디클로로메탄(80mL)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10℃로 냉각하였다. N-브로모숙시니미드(413mg, 2.326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반응을 0.5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칭하였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틴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438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620.
단계 4: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piperidin-1-yl)ethyl)-5-methyl -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39
제조방법은, 시작 물질 tert-부틸 4-(2-(6-브로모-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실시예 18의 단계 3에서 제조된 tert-부틸 2-(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의 단계 6-7에서의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였으며, 136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2.41 (s, 1H), 8.17 (s, 1H), 7.58 (brs, 1H), 7.39-7.32 (m, 2H), 7.02 (brs, 2H), 6.23-5.91 (m, 1H), 3.71 (s, 3H), 3.14-2.99 (m, 2H), 2.70 (s, 3H), 2.60 (brs, 1H), 2.33-2.29 (m, 2H), 1.70 (s, 6H), 1.40-1.23 (m, 7H). LC-MS m/z [M+H]+ = 553.
실시예 19: 2-(1-(2-(2-메톡시페닐)-2-((1-메틸피리미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1-methylpiperidin-4-yl)oxy)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40
단계 1: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2-methoxyphenyl)-2-(piperidin-4-yloxy) ethyl)-5-methyl-6-(oxazole-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41
제조방법은, 실시예 17에서의 반응온도가 50℃ 대신에 실온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의 단계 1-7에서의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z [M+H]+ = 625.
단계 2: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1-메틸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2-methoxyphenyl)-2-((1-methylpiperidi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42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150mg, 0.24mmol)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무수 염화아연 용액(0.96mL, 0.48mmol, 0.5M) 및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43mg, 0.48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0℃로 냉각하였으며, 이어서 수소화 붕소 나트륨(sodium borohydride)(18mg, 0.48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8-9의 pH로 조절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정제 없이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z [M+H]+ = 639.
단계 3: 2-(1-(2-(2-메톡시페닐)-2-((1-메틸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1-methylpiperidin-4-yl)oxy)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43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1-메틸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110mg, 0.172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농축된 염산(2mL)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2.46 (s, 1H), δ 7.71 (s, 1H), 7.49 (s, 1H), 7.20 (s, 1H), 7.04 (s, 1H), 6.95-6.92 (m, 2H), 5.36-5.34 (m, 1H), 4.13-4.04 (m, 1H), 3.92 (s, 3H), 3.55-3.51 (m, 2H), 3.41-3.25 (m, 4H), 2.94 (s, 3H), 2.25 (s, 3H), 2.11-1.92(m, 4H), 1.60-1.55(m, 6H). LC-MS m/z [M+H]+ = 583.
실시예 20: 2-(1-(2-((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acetylpiperidin-4-yl)oxy)-2-(2-methoxyphenyl)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44
단계 1: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2-methoxyphenyl)-2-(piperidin-4-yloxy)ethyl) -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45
실시예 17의 단계 4에서 제조된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38g, 2.09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농축된 염산(2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OH로 알칼린(pH 8~9)으로 중화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여 798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M+H]+ = 558.
단계 2: tert-부틸 2-(1-(2-((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1-acetylpiperidin-4-yl)oxy)-2- (2-methoxyphenyl)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46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798mg, 1.43mmol)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289.4mg, 2.86mmol)을 첨가하였다. 아세틸 클로라이드(acetyl chloride)(134.71mg, 1.72mmol)를 0℃에서 적가하여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8-9의 pH로 조절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M+H]+ = 600.
단계 3: 2-(1-(2-((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acetylpiperidin-4-yl)oxy)-2-(methoxyphenyl)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47
제조방법은, 시작 물질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0의 단계 2에서 제조된 tert-부틸 2-(1-(2-((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의 단계 5-7에서의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222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43 (s, 1H), δ 8.24 (s, 1H), 7.50 (d, 1H), 7.40 (s, 1H), 7.35-7.31 (m, 1H), 7.07-7.01 (m, 2H), 5.30-5.28 (m, 1H), 4.06-4.01 (m, 1H), 3.83 (s, 3H), 3.41-3.39 (m, 3H), 3.20-3.16 (m, 1H), 2.75 (s, 3H), 1.96-1.99 (m, 1H), 1.89 (brs, 2H), 1.67 (d, 6H), 1.54-1.60 (m, 3H), 1.28-1.24 (m, 3H). LC-MS m/z [M+H]+ = 611.
실시예 21: 2-(1-(2-((1-(사이클로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cyclopropanoylpiperidin-4-yl)oxy)-2-(2-methoxyphenyl)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48
단계 1: tert-부틸 2-(1-(2-((1-(사이클로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1-(cyclopropanoyl)piperidin-4-yl)oxy)-2- (2-methoxyphenyl)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49
실시예 20의 단계 1에서 제조된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1.76g, 3.2mmol)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647mg, 6.4mmol)을 첨가하였다. 사이클로프로필카르포닐 클로라이드(cyclopropylcarbonyl chloride)(401mg, 3.84mmol)를 0℃에서 적가하여 첨가하였고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8-9의 pH로 조절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 청ㅄ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M+H]+ = 626.
단계 2: 2-(1-(2-((1-(사이클로프로피오닐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2-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4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cyclopropionylpiperidin-4-yl)oxy)-2- (2-methoxyphenyl)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2-dihydrothieno[2,3-d]pyrimidin-3(4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50
제조방법은, 시작 물질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1의 단계 1에서 제조된 tert-부틸 2-(1-(2-((1-(사이클로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의 단계 5-7에서의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25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42 (s, 1H), δ 8.24 (s, 1H), 7.50 (d, J = 6.4, 1H), 7.39 (s, 1H), 7.34-7.30 (m, 1H), 7.06-7.01 (m, 2H), 5.31-5.28 (m, 1H), 4.08-3.99 (m, 1H), 3.82 (s, 3H), 3.59-3.51 (m, 2H), 3.44-3.41 (m, 2H), 3.20-3.16 (m, 2H), 2.75 (s, 3H), 1.85 (brs, 3H), 1.67 (d, J = 11.68 Hz, 6H), 1.60-1.54 (m, 3H), 1.31-1.24 (m, 3H).LC-MS m/z [M+H]+ = 637.
실시예 22: 2-(1-(2-(2-메톡시페닐)-2-((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1-methylsulfonyl)piperidi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51
단계 1: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2-methoxyphenyl)-2-((1-methylsulfonyl) piperidi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52
실시예 19의 단계 1에서 제조된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150mg, 0.24mmol)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49mg, 0.48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고 메틸설포닐 클로라이드(41mg, 0.36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8-9의 pH로 조절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고 표제화합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M+H]+ = 703.
단계 2: 2-(1-(2-(2-메톡시페닐)-2-((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2-methoxyphenyl)-2-((1-methylsulfonyl)piperidi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53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75mg, 0.117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농축된 염산(2m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50℃에서 밤새 수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2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52 (s, 1H), δ 8.25 (s, 1H), 7.50 (d, 1H), 7.40 (s, 1H), 7.36-7.32 (m, 1H), 7.08-7.03 (m, 2H), 5.29-5.26 (m, 1H), 4.22 (brs, 1H), 3.82 (s, 3H), 3.34 (brs, 3H), 3.18-3.16 (m, 1H), 3.03-3.00 (m, 2H), 2.84 (brs, 1H), 2.73 (s, 3H), 2.55-2.57 (m, 3H), 1.68 (d, 6H), 1.55-1.59 (m, 3H). LC-MS m/z [M+H]+ = 647.
실시예 23: 2-(1-2-((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acetylazetidin-3-yl)oxy)-2-(2-methoxyphenyl)ethyl)-5-methyl -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
Figure pct00254
단계 1: tert-부틸3-하이드록시아제티딘-1-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3-hydroxyazetidine-1-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55
tert-부틸 3-옥소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oxoazetidine-1-carboxylate)(3.41g, 20mmol)을 무수 메탄올(3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수소화 붕소 나트륨(1.51g, 40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을 0℃에서 1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이를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여 3.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2: tert-부틸 3-(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2-hydroxy-1-(2-methoxyphenyl) ethoxy)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56
tert-부틸 3-하이드록시아제티딘-1-프로파노에이트(2.08g, 12.0mmol), 알루미늄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알루미늄(aluminum tris(trifluoromethanesulfonate)aluminum)(0.711g, 1.50mmol)을 1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탈수시키고 질소로 보호하였다.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4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 온도를 0℃로 냉각하였다. 2-(2-메톡시페닐)옥시렌(1.50g, 10.0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시스템을 실온으로 가온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24.
단계 3: tert-부틸 3-(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tert-butyl 3-(2-(3-(1-(tert-butoxy)-2-methyl-1-oxopropan-2-yl) -5-methyl-2,4-dioxo-3,4-dihydrothieno[2,3-d]pyrimidin-1(2H)-yl)-1-(2-methoxyphenyl)ethoxy)azetidin-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57
제조방법은, 시작 물질 tert-부틸 4-(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3의 단계 2에서 제조된 tert-부틸 3-(2-하이드록시-1-(2-메톡시페닐)에톡시)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의 단계 4에서의 tert-부틸 4-(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0.8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630.
단계 4: tert-부틸 2-(1-(2-(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tert-butyl 2-(1-(2-(azetidin-3-yloxy)-2-(2-methoxyphenyl)ethyl) -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anoate)의 제조
Figure pct00258
tert-부틸 3-(2-(3-(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1(2H)-일)-1-(2-메톡시페닐)에톡시)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0.8g, 1.27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농축된 염산(2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OH로 약한 알칼리성이 되도록 중화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그리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530.
단계 5: 2-(1-(2-((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오네이트(2-(1-(2-((1-acetylazetidin-3-yl)oxy)-2-(2-methoxyphenyl) 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ate)의 제조
Figure pct00259
tert-부틸 2-(1-(2-(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0.25g, 0.473mmol)를 무수 디클로로메탄(40mL)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트리에틸아민(96mg, 0.945mmol)을 0℃에서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아세틸 클로라이드(45mg, 0.568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가온하였고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30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572.
단계 6: 2-(1-(2-((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2-(1-(2-((1-acetylazetidin-3-yl)oxy)-2-(2-methoxyphenyl)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2-methylpropion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60
제조방법은, 시작 물질 tert-부틸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파노에이트가 실시예 23의 단계 5에서 제조된 2-(1-(2-((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2-(2-메톡시페닐)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오네이트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8의 단계 3-4에서의 2-(1-(2-(2-메톡시페닐)-2-(피페리딘-1-일)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2-메틸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24.6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2.43 (s, 1H), 8.23 (s, 1H), 7.42-7.39 (m, 2H), 7.33-7.30 (m, 1H), 7.05-6.98 (m, 2H), 5.11-5.05 (m, 1H), 4.20-4.06 (m, 4H), 3.93-3.76 (m, 4H), 3.48-3.43 (m, 1H), 2.74 (s, 3H), 1.74-1.64 (m, 8H), 1.23 (br, 2H). LC-MS m/z [M+H]+ = 583.
실시예 24: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61
단계 1: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4-(tert-but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62
에틸 2-아미노-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amino-4-methylthiophene-3-carboxylate)(4.8g, 25.9mmol) 및 트리포스겐(3.1g, 10.36mmol)을 이목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디클로로메탄(200mL)을 -20℃에서 첨가하였다. 물질이 용해된 후에, 디클로로메탄의 트리에틸아민 용액(10.5g, 103.6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고 첨가 기간은 1시간 이었다. 반응을 0℃에서 4시간 동안 계속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tert-butyl 4-aminobenzoate)(5g, 25.9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층지게하여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aqueous phase)을 디클로로메탄으로 두 번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였으며, 건조하고 농축하였으며, 그리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체하여 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405.
단계 2: 에틸 4-(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ethyl 4-(5-methyl-2,4-dioxo-1,4-dihydrothieno [2,3-d]pyrimidin-3(2H)-yl)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63
나트륨 블록(sodium block)(356mg, 15.5mmol)을 건조 이목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아르곤 보호 하에 재증류된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나트륨 블록 반응이 완료된 후에,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2g, 6.19mmol)을 첨가하였고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스피닝으로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혼합물에 직접 에틸 아세테이트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C-MS m/z [M+H]+ = 331.
단계 3: 에틸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ethyl 4-(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64
에틸 4-(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650mg, 1.97mmol), (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탄올((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anol)(596mg, 2.36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1.03g, 3.94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mL)에 용해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0℃에서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물(10mL)로 세척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였으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00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565.
단계 4: 에틸 4-(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ethyl 4-(6-bromo-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65
에틸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200mg, 0.355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5mL)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N-브로모숙시니미드의 용액을 0℃에서 적가하여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을 0℃에서 한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부피의 포화된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건조, 농축하였으며, 그리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고 정제하여 140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643.
단계 5: 에틸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세이트(ethyl 4-(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66
에틸 4-(6-브로모-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140mg, 0.22mmol), (트리부틸스타닐)옥사졸((tributylstannyl)oxazole)(313mg, 0.87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0mg, 0.022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42mg, 0.088mmol)을 건조 톨루엔(5mL)에 용해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반응을 밤새 수행하였다. 용매를 스피닝(spinning)으로 제거하였고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작용하여 100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C-MS m/z [M+H]+ = 631.
단계 6: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67
에틸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에이트(100mg, 0.158mmol)를 메탄올(15mL) 및 물(5mL)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으며, 그리고 수산화리튬(38mg, 10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반응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5% 염산으로 pH=5-6으로 산성화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건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40m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00 (s, 1H), 8.26 (s, 1H), 8.08 (d, 2H), 7.51 (d, 1H), 7.42-7.39 (m, 3H), 7.35-7.29 (m, 1H), 7.06-7.01 (m, 2H), 5.34-5.31 (m, 1H), 4.17-4.14 (m, 1H), 4.04-4.02 (m, 1H), 3.80 (s, 3H), 3.60-3.59 (m, 2H), 3.42-3.27 (m, 3H), 2.79 (s, 3H), 1.68-1.65 (m, 2H), 1.30-1.24 (m, 2H). LC-MS m/z [M+H]+ = 604.
실시예 24a: (R)-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R)-4-(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ethyl) -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68
제조방법은, (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탄올이 (R)-(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탄올로 교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604.
실시예 25: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69
단계 1: 에틸 2-(3-(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tert-but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70
제조방법은,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tert-부틸 3-아미노벤조에이트(5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8.5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405.
단계 2: 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71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5의 단계1에서 제조되는 에틸 2-(3-(3-(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200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11 (s, 1H), 8.25 (s, 1H), 8.04 (d, 1H), 7.83 (d, 1H), 7.67 (t, 1H), 7.52 (t, 2H), 7.42 (s, 1H), 7.32(t, 1H), 7.04 (dd, 2H), 5.35-5.32 (m, 1H), 4.17-4.14 (m, 1H), 4.04-3.98 (m, 1H), 3.80 (s, 3H), 3.62-3.59 (m, 2H), 3.44-3.41 (m, 1H), 3.31-3.24 (m, 2H), 2.79 (s, 3H), 1.72-1.65 (m, 2H), 1.30-1.24 (m, 2H)。LC-MS m/z [M+H]+ = 604.
실시예 26: 3-메톡시-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3-methoxy-4-(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72
단계 1: 에틸 2-(3-(2-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2-methoxy-4-(meth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73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메틸 4-아미노-3-메톡시벤조에이트(4.7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3.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93.
단계 2: 3-메톡시-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3-methoxy-4-(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74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6의 단계1에서 제조되는 에틸 2-(3-(2-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48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11 (s, 1H), 8.25 (d, 1H), 7.67-7.64 (m, 2H), 7.53-7.48 (m, 1H), 7.41 (d, 1H), 7.38-7.31 (m, 2H), 7.05-7.03 (m, 2H), 5.35-5.27 (m, 1H), 4.30-4.04 (m, 2H), 3.84 (s, 3H), 3.80 (s, 3H), 3.64-3.48 (m, 4H), 3.26-3.23 (m, 1H), 2.78 (s, 3H), 1.65-1.63 (m, 2H), 1.36-1.34 (m, 2H). LC-MS m/z [M+H]+ = 634.2.
실시예 27: 4-메톡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Methoxy-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75
단계 1: 에틸 2-(3-(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2-methoxy-5-(meth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76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메틸 3-아미노-4-메톡시벤조에이트(4.7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8.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93.
단계 2: 4-메톡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methoxy-3-(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77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7의 단계 1에서 제조되는 에틸 2-(3-(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19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09 (s, 1H), 8.18 (d, 1H), 7.94-7.92 (m, 1H), 7.90 (d, 1H), 7.88 (d, 1H), 7.56 (d, 1H), 7.35-7.69 (m, 1H), 7.21 (d, 1H), 7.06-7.01 (m, 1H), 6.98-6.92 (m, 1H), 5.50-5.44 (m, 1H), 4.35-3.98 (m, 2H), 3.93-3.87 (m, 6H), 3.82-3.65 (m, 2H), 3.54-3.36 (m, 3H), 2.86 (d, 3H), 1.84-1.72 (m, 2H), 1.62-1.44 (m, 2H). LC-MS m/z [M+H]+ = 634.2.
실시예 28: 2-플루오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 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2-Fluoro-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78
단계 1: 에틸 3-아미노-2-플루오로벤조에이트(ethyl 3-amino-2-fluoro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79
아르곤 보호 하에, 티오닐 클로라이드(thionyl chloride)(10mL)를 -10℃에서 무수 에탄올(30mL)에 천천히 적가하여 첨가하였다. 적가 첨가 후에, 3-아미노-2-플루오로벤조산(3-amino-2-fluorobenzoic acid)(5g, 32.3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고 80℃에서 밤새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약한 염기성의 pH로 조절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 농축하여 5.7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184.
단계 2: 에틸 2-(3-(3-(에톡시카르보닐)-2-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ethoxycarbonyl)-2-fluoro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80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에틸 3-아미노-2-플루오로벤조에이트(4.74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3.75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95.
단계 3: 2-플루오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2-fluoro-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81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8의 단계 2에서 제조되는 에틸 2-(3-(3-(에톡시카르보닐)-2-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83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51 (s, 1H), 8.27 (s, 1H), 8.02-7.99 (m, 1H), 7.69 (s, 1H), 7.54-7.46 (m, 2H), 7.43 (s, 1H), 7.33 (dd, 1H), 7.08-7.01 (m, 2H), 5.36-5.30 (m, 1H), 4.34-3.81 (m, 2H), 3.81 (s, 3H), 3.63-3.62 (m, 1H), 3.54-3.46 (m, 1H), 3.40-3.22 (m, 3H), 2.80-2.79 (m, 3H), 1.65 (s, 2H), 1.37-1.24 (m, 2H). LC-MS m/z [M+H]+ = 622.
실시예 29: 2-메톡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2-Methoxy-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 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82
단계 1: 메틸 2-메톡시-3-니트로벤조에이트(methyl 2-methoxy-3-nitro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83
메틸 3-니트로살리실레이트(methyl 3-nitrosalicylate)(6g, 30.43mmol), 탄산칼륨(16.82g, 121.73mmol) 및 아이오도메탄(iodomethane)(12.96g, 91.30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첨가하였다. 아르곤 보호 하에, 반응을 60℃에서 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물(20mL)로 ?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4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였으며, 물(20mL)로 두 번 추출하였으며, 건조,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5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메틸 3-아미노-2-메톡시벤조에이트(methyl 3-amino-2-methoxybenzoate)의 제조
Figure pct00284
메틸 2-메톡시-3-니트로벤조에이트(methyl 2-methoxy-3-nitrobenzoate)(5g, 18.94mmol), 철 분말(4.75g, 85.18mmol), 암모늄 클로라이드(7g, 130.31mmol), 물(20mL), 메탄올(40m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으며, 70℃에서 5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그러고 다음으로 물(20m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mL)로 두 번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 농축하여 4.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3: 에틸 2-(3-(2-메톡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2-methoxy-3-(meth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85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메틸 3-아미노-2-메톡시벤조에이트(4.7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 393.15.
단계 4: 2-메톡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2-methoxy-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 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86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29의 단계 3에서 제조되는 에틸 2-(3-(2-메톡시-3-(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45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00 (s, 1H),  8.25 (s, 1H), 7.80 (d, 1H), 7.53-7.51 (m, 1H), 7.44-7.41 (m, 2H), 7.32-7.30 (m, 2H), 7.03-7.01 (m, 2H), 5.29-5.28 (m, 1H), 4.31 (d, 1H), 4.09 (s, 1H), 3.79 (s, 3H), 3.65 (s, 3H), 3.44-3.26 (m, 5 H), 2.78 (s, 3H), 1.65-1.54 (m, 2H), 1.34-1.33 (m, 2 H). LC-MS m/z [M+H]+ = 634.2.
실시예 30: 4-플루오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 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Fluoro-3-(1-(2-(2-methoxyphenyl)-2-((tetrahydro-2H-pyran-4-yl)oxy) 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
Figure pct00287
단계 1: 에틸 2-(3-(2-플루오로-5-(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2-fluoro-5-(methoxycarbonyl)phen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88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메틸 3-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르복실레이트(4.38g, 25.9mmol)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LC-MS m/z [M+H]+ =381.2.
단계 2: 4-플루오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오펜[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4-fluoro-3-(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2,4-dioxo-1,4-dihydrothieno[2,3-d]pyrimidin-3(2H)-yl)benzoic acid)의 제조
Figure pct00289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30의 단계 1에서 제조되는 4-플루오로-3-(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으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45m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3.00 (s, 1H), 8.19 (s, 1H), 7.99-7.97 (m, 2H), 7.55-7.54 (m, 1H), 7.44-7.40 (m, 1H), 7.29-7.30 (m, 2H), 6.97-7.04(m, 2H), 5.50-5.47 (m, 1H), 4.32 (d, 1H), 4.11-4.03 (m, 1H), 3.85 (s, 3H), 3.77-3.73 (m, 2H), 3.48-3.46 (m,1H), 3.39-3.35 (m, 2H), 2.84-2.83 (m, 3H), 1.76-1.73 (m, 2H) ,1.53-1.43 (m, 2H). LC-MS m/z [M+H]+ = 622.2.
실시예 31: 3-(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2-Fluoroethoxy)cyclobutyl)-1-(2-(2-methoxyphenyl)-2-((tetrahydro -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2,4(1H,3H)-dione)
Figure pct00290
단계 1: tert-부틸 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카바메이트(tert-butyl 3-hydroxycyclobutylcarbamate)의 제조
Figure pct00291
tert-부틸 3-옥소사이클로부틸카바메이트(tert-butyl 3-oxocyclobutylcarbamate)(5g, 26.99mmol)를 에탄올(50mL)에 용해하였다. 0℃에서, 수산화 붕소 나트륨(525mg, 13.87mmol)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중탄산나트륨의 수용액(10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3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였으며,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무수 염화나트륨으로 건조하였으며, 감소된 압력에서 농축하여 4.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2: tert-부틸 (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카바메이트(tert-butyl (3-(2-fluoroethoxy)cyclobutyl)carbamate)의 제조
Figure pct00292
수소나트륨(60%)(1.7g, 71.2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tert-부틸 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카바메이트(tert-butyl 3-hydroxycyclobutylcarbamate)(4g, 21.36mmol), 1-브로모-2-에틸 플루오라이드(1-bromo-2-ethyl fluoride)(4.07g, 32.04mmol),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40mL)을 아르곤 보호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3: 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1-아민(3-(2-fluoroethoxy)cyclobutyl-1-amine)의 제조
Figure pct00293
tert-부틸 (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카바메이트(4g, 17.15mmol)을 염산(2M)/에틸아세테이트(43mL, 85.73mmol)의 용액에 용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pH=6-7로 조절하였으며,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6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였으며, 염화나트륨의 포화 용액으로 한 번 세척하였으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2.2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4: 에틸 2-(3-(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ethyl 2-(3-(3-(2-fluoroethoxy)cyclobutyl)ureido) -4-methylthiophene-3-carboxylate)의 제조
Figure pct00294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tert-부틸 4-아미노벤조에이트가 실시예 31의 단계 3에서 제조된 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1-아민(3.45g, 25.9mmol)으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1에서의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1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단계 5: 3-(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티에노[2,3-d]피리미딘-2,4(1H,3H)-디온(3-(3-(2-fluoroethoxy)cyclobutyl)-1-(2-(2-methoxyphenyl)-2- ((tetrahydro-2H-pyran-4-yl)oxy)ethyl)-5-methyl-6-(oxazol-2-yl)thieno[2,3-d]pyrimidine-2,4(1H,3H)-dione)의 제조
Figure pct00295
제조방법은, 시작물질 에틸 2-(3-(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가 실시예 31의 단계 4에서 제조되는 에틸 2-(3-(3-(2-플루오로에톡시)사이클로부틸)우레이도)-4-메틸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의 단계 2-6에서의 4-(1-(2-(2-메톡시페닐)-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에틸)-5-메틸-6-(옥사졸-2-일)-2,4-디옥소-1,4-디하이드로티에노[2,3-d]피리미딘-3(2H)-일)벤조산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1.8g의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3 (s, 1H), 7.49 (dd, 1H), 7.38 (d, 1H), 7.30 (m, 1H), 7.03 (dd, 1H), 6.98 (d, 1H), 5.50-5.57 (m, 1H), 5.29-5.32 (m, 1H), 4.60-4.62 (m, 1H), 4.49-4.52 (m, 1H), 4.30-4.33 (m, 1H), 4.41-4.05 (m, 2H), 3.78 (s, 3H), 3.60-3.53(m, 2H), 3.35-3.58 (m, 1H), 3.20-3.25 (m, 2H), 2.90-2.95 (m, 2H), 2.79 (s, 3H), 2.26-2.30(m, 2H), 1.61-1.65(m, 2H), 1.32-1.35 (m, 2H), 1.17-1.20 (m, 2H)。LC-MS m/z [M+H]+ = 600.2
실시예 32 내지 55의 제조방법을 실시예 1 내지 31의 제조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리고 실시예 32 내지 55의 화합물의 구조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번호 화합물 구조 m/z 실시예 번호 화합물 구조 m/z
실시예 32
Figure pct00296
598.2
[M+H]+
실시예 33
Figure pct00297
651.2
[M+H]+
실시예 34
Figure pct00298
651.2[M+H]+ 실시예 35
Figure pct00299
625.2
[M+H]+
실시예 36
Figure pct00300
625.1[M+H]+ 실시예 37
Figure pct00301
609.2
[M+H]+
실시예 38
Figure pct00302
606.2[M+H]+ 실시예 39
Figure pct00303
634.2
[M+H]+
실시예 40
Figure pct00304
623.2[M+H]+ 실시예 41
Figure pct00305
621.2
[M+H]+
실시예 42
Figure pct00306
621.2[M+H]+ 실시예 43
Figure pct00307
651.2
[M+H]+
실시예 44
Figure pct00308
638.2[M+H]+ 실시예 45
Figure pct00309
609.2
[M+H]+
실시예 46
Figure pct00310
637.2[M+H]+ 실시예 47
Figure pct00311
595.2
[M+H]+
실시예 48
Figure pct00312
623.2[M+H]+ 실시예 49
Figure pct00313
623.3
[M+H]+
실시예 50
Figure pct00314
651.2[M+H]+ 실시예 51
Figure pct00315
625.2
[M+H]+
실시예 52
Figure pct00316
653.2[M+H]+ 실시예 53
Figure pct00317
609.2
[M+H]+
실시예 54
Figure pct00318
637.2[M+H]+ 실시예 55
Figure pct00319
595.2
[M+H]+
실시예 56
Figure pct00320
644.2[M+H]+
실험예 1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ACC)의 시험관 내(In vitro) 억제 실험
1. 실험 물질
1.1 화합물
컨트롤 화합물은 특허 WO2013/071169(이는 현재 클리닉에서 이러한 질병을 위한 가장 유망한 약물임)의 실시예 I-181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 ND-630이며, 이의 화학 이름은 (2-[1-[2-(2-메톡시페닐)-2-(옥세사이클로-4-일옥시)에틸]-5-메틸-6- (1,3-옥사졸-2-일)-2,4-디옥소-1H,2H,3H,4H-티에노[2,3-d]피리미딘-3-일]-2-메틸프로판산(2-[1-[2- (2-methoxyphenyl)-2-(oxecyclo-4-yloxy)ethyl]-5-methyl-6- (1,3-oxazol-2-yl)-2,4-dioxo-1H,2H,3H,4H-thieno[2,3-d]pyrimidin-3-yl]-2-methylpropanoic acid))이다. 컨트롤 화합물을 WO2013/071169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고 수소 분광법 및 질량 분광법에 의해 식별되었다.
화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및 컨트롤 화합물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기 위해 각각 DMSO와 함께 10mM로 제형화하였다. 실험에서, 상기 화합물을 1000nM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3회 연속적으로 희석하였으며, 즉, 각각 1000nM, 333.3nM, 111.1nM, 및 37.1nM, 12.3nM, 4.12nM, 1.37nM, 0.46nM, 0.15nM 및 0.05nM였다.
1.2 시약
HEPES 버퍼를 인비트로젠(Invitrogen)으로부터 구매하였다; MgCl2, 구연산 칼륨 버퍼 용액, DTT, 아세틸-CoA 및 NaHCO3를 시그마(Sigma)로부터 구매하였다; BRIJ-35를 머렉(MERCK)로부터 구매하였다; ACC1 및 ACC2 효소를 각각 BPS로부터 구매하였다; ADP-GloTM 카이네즈 키트를 프로메가(Promega)로부터 구매하였다.
1.3 소모품 및 기구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를 눙크(Nunc)로부터 구매하였다;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QILINBEIER로부터 구매하였다; 원심분리기(centrifuge)를 에펜도르프(Eppendorf)로부터 구매하였다; 384-웰 화이트 플레이트 및 엔비젼 2104 플레이트 리더(Envision 2104 plate reader)를 퍼킨 엘머(Perkin Elmer)로부터 구매하였다.
2. 실험방법
2.1. 시약 제조
1X반응 버퍼(pH=7.4)의 제조: HEPES 스톡 용액(1M), MgCl2 (1M), BRIJ-35(10%), 구연산 칼륨 버퍼(1M), BSA(10mg/mL) 및 DTT(500mM)를 HEPES (50mM), MgCl2 (2mM), BRIJ-35(0.01%), 구연산 칼륨 버퍼(2mM), BSA (50Gg/mL) 및 DTT(2mM)를 함유하는 효소 반응 버퍼로 제형화하였다.
2.2. ACC 효소 활성 어세이
1) ACC1 효소 활성 어세이
4.5㎕의 2.2 X ACC1 효소(2nM) 작용 용액을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0.5㎕의 상이한 농도의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1에서 제조된 버퍼를 사용하여 2 X 기질(40㎛ ATP, 20㎛ 아세틸 CoA, 60mM NaHCO3)을 제조하였다; 5㎕의 2 X 기질을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 ADP-Glo 시약을 첨가하였으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반응을 종료하였다; 마지막으로 20㎕의 효소 검출 시약을 첨가하였으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리고 Envision 2104 기구를 사용하여 상대적인 빛 단위(relative light units, RLU)를 판독하였다.
2) ACC2 효소 활성 어세이
4.5㎕의 2.2 X ACC2 효소(1.1nM) 작용 용액을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0.5㎕의 상이한 농도의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1에서 제조된 버퍼를 사용하여 2 X 기질(40㎛ ATP, 40㎛ 아세틸 CoA, 24mM NaHCO3)을 제조하였다; 5㎕의 2 X 기질을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으로 10㎕ ADP-Glo 시약을 첨가하였으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반응을 종료하였다; 마지막으로 20㎕의 효소 검출 시약을 첨가하였으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리고 Envision 2104 기구를 사용하여 상대적인 빛 단위(RLU)를 판독하였다.
3. 실험 데이터 분석
음성 컨트롤 그룹: 5% DMSO를 함유하는 멘스트룸(menstruum); 양성 컨트롤 그룹: 100nM ND-630을 함유하는 멘트스룸. 각 농도의 평균 값 및 양성 및 음성 컨드롤을 계산하였으며, 그리고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다. 억제 비율은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100%) = 100 X (RLU음성 컨트롤 - RLU화합물)/(RLU음성 컨트롤 - RLU양성 컨트롤). 억제율 데이터는 각각의 화합물의 IC50을 계산하기 위한 비선형 회귀 방정식(nonlinear regression equation)에 의해 맞춰졌다. 비선형 회귀 방정식은 Y = 최저값 + (최고값 - 최저값)/(1 + 10((LogIC50 - X) Х HillSlope))이며, 이 중 X는 화합물 농도의 로그이고 Y는 억제 비율(%)이다.
4. 실험 결과
시험 화합물 ACC1
IC 50 (nM)
ACC2
IC 50 (nM)
시험 화합물 ACC1
IC 50 (nM)
ACC2
IC 50 (nM)
실시예 1 0.69 5.13 실시예 17 7.66 -
실시예 2 8.7 - 실시예 18 >1000 -
실시예 3 1 11.9 실시예 19 23.3 -
실시예 4 0.68 3.16 실시예 20 0.91 8.03
실시예 5 38.5 - 실시예 21 0.70 -
실시예 6 2.81 9.64 실시예 22 0.63 5.13
실시예 7 2.23 12.4 실시예 23 11.5 -
실시예 8 1.12 13.1 실시예 24 3.06 5.12
실시예 9 2.03 7.92 실시예 25 1.57 7.57
실시예 10 1.35 6.85 실시예 26 0.87 10.3
실시예 11 4.5 - 실시예 27 11.8 -
실시예 12 1.22 8.04 실시예 28 1.48 7.8
실시예 13 2.33 11.6 실시예 29 2.13 14.1
실시예 14 1.69 7.85 실시예 30 7.97 -
실시예 15 8.79 - 실시예 31 136 -
실시예 16 6.89 - ND-630 0.5 3.56
"-"는 수행된 어세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함.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ACC1 및 ACC2 둘 다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2 렛트 간에서 화합물 분배의 평가
1. 실험 물질
1.1 동물
수컷 SD 렛트, SPF 등급, 상하이 Sipper-BK 실험 동물 주식회사에서 구입, 체중 220-250g, 라이센스 번호: SCXK(상하이) 2013-0016. 실험 전에 2-3일의 적응 기간을 주었다. 렛트는 투여 전 8-12시간 동안 금식하였고, 투여 2시간 후 물 및 투여 4시간 후 음식을 공급하였다.
1.2 시약
메탄올 및 아세토니트릴을 머렉으로부터 구입; 무수 에탄올, PEG400 및 생리 식염수를 난징 Kaiji 생명공학 개발 주식회사에서 구입; 오페나드린(orphenadrine)은 상하이 Ziqi 생명공학 주식회사에서 구입하였다.
1.3 기구
API 4000 삼중 4극자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 Analyst QSA01.01 프로마토그래피 워크스테이션은 미국의 AB SCIEX로부터 구입; Milli-Q 초순수는 Millipore로부터 구입; CF16R XII 데스크탑 고속 냉장 원심분리기는 Hitachi로부터 구입; Qilinbeier Vortex-5 오실레이터는 독일의 IKA로부터 구입; 전기 자동온도조절식 수조는 창저우 Guohua 전기 주식회사로부터 구입; 전기 파이펫은 미국의 Thermo로부터 구입; 미세분석 저울은 상하이 METTLER 주식회사로부터 구입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시험 약물의 제조
(유리 베이스(base)를 기준으로) 6mg의 시험 화합물의 무게를 재고 20mL의 에탄올-PEG400-식염수(10:30:6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분동안 볼텍싱(vortex)하였으며, 그리고 3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e)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경구 투여를 위해 0.3mg/mL농도의 시험 샘플 용액의 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다. 100㎕의 시험 샘플 용액을 메탄올로 10ng/mL의 부피로 만들고, 동일한 농도의 컨트롤 샘플을 제조하였다. 시험 샘플 및 컨트롤 샘플의 농도를 HPLC로 검출하고,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2.2 샘플 수집
SD 랫트에 10mL/kg의 투여량으로 3mg/kg의 시험 화합물을 단일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후 0.25시간 후에 렛트의 대퇴동맥을 출혈시키고 목을 파열시켰다. 간 및 혈액 샘플(헤파린 나트륨으로 항응고)을 즉시 수집하고, 얼음 상에 위치시켰다.
2.3 간 샘플 처리 및 분석
간 조직 0.4g의 무게를 재고, 잘게 썰고, 2mL의 75% 메탄올-물에서 균질화시켰다. 균질물을 원심분리하였다(원심분리 조건: 8000rpm/분, 5분, 4℃). 상층액을 옮기고 동결보존(cryopreservation) 하였다. 주사 전에 상층액을 해동시키고 원심분리하였으며, 그리고 상층액을 수집하고 상층액 샘플 중의 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LC-MS/MS를 수행하였다.
2.4 혈액 샘플 처리 및 분석
수집된 전체 혈액 샘플을 얼음 상에 위치시키고 30분 이내로 원심분리하였다(원심분리 조건: 8000rpm/분, 5분, 4℃). 100㎕의 상부 플라즈마 층을 옮기고 300㎕의 메탄올로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쉐이킹하고 원심분리하였으며, 그리고 이동상으로 희석하였다. 상층액을 수집하고 상층액 샘플 중의 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LC-MS/MS를 수행하였다.
3. 실험 결과
화합물 간에서의 농도(ng/g) 플라즈마에서의 농도(ng/mL) 간/플라즈마 분배 비율
실시예 1 4180 29.1 144
실시예 4 4828 72.8 67.1
실시예 7 1457 19.3 75.5
실시예 24 3167 48.5 65.3
실시예 25 3198 21.2 151
ND-630 6066 145 41.8
간에서 화합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간 질병 치료를 위한 힘이 높아지며, 동일한 투여량에서 효능이 우수하다. 간/플라즈마 비율이 높을수록, 시험 화합물의 타겟 기관 선택성이 우수하며, 화합물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에서 높은 강화(enrichment)를 가지며, 그리고 간에 대한 선택성 및 타겟팅이 우수(간/플라즈마 비율 > 50)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지방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와 같은 대사성 간 질병의 치료에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일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3 시험관 내 인간 간 성상 세포(human hepatic stellate cells) LX-2 활성화의 억제
1. 실험 물질
1.1 화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컨트롤 화합물을 각각 사용을 위해 DMSO와 함께 60mM로 제형화하였다.
1.2 세포주
인간 간 성상 세포 주 LX-2는 미국의 Mount Sinai 의과 대학의 간장학 센터의 Xu Lieming 교수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상하이 간장학 세포 은행에 보존되었다.
1.3 시약
DMEM 배지, FBS, 트립신, 포스페이트 버퍼(DP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이중 항생제를 미국의 GIBCO로부터 구매; 재조합 인간 TGF-β1 사이토카인을 PeproTech, Cat: 100-21로부터 구입; TransZOL Up Plus RNA 추출 키트를 TransGen Biotech, Cat: AH341-01로부터 구입; 5 X SYBR Green qPCR 키트를 QuantiNovaTM, Cat: 154045739로부터 구입하였다.
1.4 소모품 및 기구:
일본, Olympus의 CKX41 역전 현미경(inverted microscope); 미국, Molecular Devices의 다기능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Thermo Nano Drop 2000 핵산 정량 분석기; ABI 9700 PCR 기구; ABI 7500 PCR 형광 정량; Thermo 고속 원심분리기(MEGAFUGE8); 자동 제빙기(Xueke, IMS-30)
2. 실험 방법
2.1 시약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합물의 DMSO 스톡 용액 및 컨트롤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배양 배지로 희석하여 30μM, 10μM, 및 3μM가 되도록 하였다. 키트(PeproTech)에서 지침에 따라 10mM 시트르산 버퍼로 TGF-β1을 1㎍/mL로 용해시키고, 사용 준비를 마쳤다.
2.2 LX-2 세포 처리
LX-2 세포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세포 계대배양(cell passage) 후 2X105세포/mL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각각의 웰은 10% FBS와 함께 2mL DMEM을 함유하였다. 세포는 37℃에서 5% CO2 인큐베이터로 배양하였으며, 이를 제1일로 기록하였다. 24시간 후(제2일), 세포 합류는 70-80%에 도달하였으며, 오래된 배양 배지를 버리고, 그리고 무혈청 D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저혈청 기아(low serum starvation)로 처리하였다. 제3일에 오래된 배양 배지를 버리고, 그리고 배양을 계속하기 위해 배양 배지 또는 상이한 농도의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배양 배지를 첨가하였다. 컨트롤 그룹(무혈청 DMEM 배양 배지), TGFβ1 그룹, TGFβ1+화합물 그룹이 있다. TGFβ1의 작동 농도는 10ng/mL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후(제4일), 세포 배지를 버리고 세포를 미리냉각된 1xPBS로 세척하고 그리고 총 RNA 추출을 수행하였다.
2.3 총 RNA 추출
2.3.1 샘플 전처리: 1mL의 TransZOL Up 시약을 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웰 플레이트를 잠시 동안 수평으로 놓아 용해 버퍼(lysis buffer)가 세포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고 세포가 용균(lyse)되도록 하였다. 세포를 파이펫으로 날려 세포를 완전히 분리하였다. 용균물을 2mL RNase가 없는 원심분리기 튜브로 옮기고 용균물에 유의한 조각이 없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날림 및 흡입하였다.
2.3.2 추출 단계: TransZOL Up 총 RNA 추출 키트의 제조업자 프로토콜에 따름.
2.4 총 RNA의 농도 및 순도 측정
2㎕의 총 RNA를 NanoVue 분광광도계에 첨가하여 260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RNA 농도를 계산하였다. RNA 샘플의 순도를 260nm 및 280nm의 흡광도 값의 비율(A260/A280)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비율이 1.8-2.1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RNA 샘플이 오염되거나 분해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이는 후속 실험에 사용될 수 있다.
2.5 cDNA 합성
추출된 RNA를 동일한 질량을 기준으로 0.1㎍-0.5㎍(총 RNA≤1㎍)의 농도로 희석시켰다. 실험에서 각 샘플의 역전사 시스템에서의 총 RNA는 약 500ng이었다.
역전사 키트(TransScript II All-in-One First-Strand cDNA Synthese kit, Lot: AH341-1)의 지시에 따라 다음의 조작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는 사용을 위해 -70℃에 저장하였다.
Figure pct00321
상기 반응 시스템을 부드럽게 혼합하였고, ABI 9700 PCR 기계에 위치시켰다. 프로그램: 50℃ × 5분 -> 80℃ × 5초 -> 4℃ × 10분. 획득된 cDNA는 -20℃에 저장하거나 즉시 사용하였다.
2.6 실시간 PCR 반응
실시간 PCR 프라이머:
Figure pct00322
PCR 반응 시스템:
Figure pct00323
시약을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부드럽게 혼합하고, 원심분리하고, 그리고 PCR 튜브를 PCR 기계에 위치시켰다. PCR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셋팅하였다:
Figure pct00324
각각의 샘플에 대해 2개의 복제물을 셋팅하고, 그리고 타겟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을 PCR 기계의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하였다.
3. 실험 데이터 분석
실시간 PCR 결과의 역치를 실시간 PCR 검출기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셋팅하였다. Col1A1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Ct (약물 처리 그룹의 Col1A1) = 평균Ct (약물 처리 그룹의 Col1A1) - 평균Ct (약물 처리 그룹의 GAPDH)
△Ct (TGF 그룹의 Col1A1) = 평균Ct (TGF 그룹의 Col1A1) - 평균Ct (TGF 그룹의 GAPDH)
△Ct (컨트롤 그룹의 Col1A1) = 평균Ct (컨트롤 그룹의 Col1A1) - 평균Ct (컨트롤 그룹의 GAPDH)
△△Ct = △Ct의 평균 값(TGF 그룹의 Col1A1 /약물 처리 그룹) - △Ct (컨트롤 그룹의 Col1A1)
Col1A1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 RQ = 2-△△Ct
상대적인 정량 결과를 ABI 7500 실시간 정량 PCR 기계의 자동적인 분석에 의해 획득하였다.
4. 실험 결과
Col1A1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 계산
화합물 억제율(%)
실시예 4 78.54
실시예 24a 24.50
실시예 25 62.94
실시예 56 105.01
ND-630 42.06
콜라겐 1은 간 섬유증의 형성에서 주요 신호 전달 인자였으며, 그리고 이의 발현은 Col1A1 유전자의 발현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TGF-β1-유도 LX-2 세포에서 콜라겐 1 유전자의 발현에 유의한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ND-630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간 섬유증 형성에 더 강한 억제 활성을 가지며, 그리고 ACC-매개 섬유성 질병, 증식성 질병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4 HFD-CCL4에 의해 유도된 간 섬유증 및 NASH에 대한 약물 효능의 평가
고지방 식이(high-fat diet, HFD)를 사용하여 동물에서 간 지방증을 유도하고, 그리고 다음으로 사염화탄소(CCL4)를 사용하여 간 염증, 괴사, 및 간 섬유증을 유도하였다. 이 모델은 인간 NASH 발병 과정 및 병리 현상과 유사하였다. 이 실험의 목적은 ND-630을 컨트롤 화합물로 하여, HFD-CCL4에 의해 유도된 C57BL/6 마우스의 NASH 모델에서 개시 내용의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HFD-CCL4 유도를 10주 동안 수행하였고 약물 인터벤션(intervention)을 4주 동안 수행하였다. NASH 및 간 섬유증에 대한 약물의 치료 효과를 관찰하였다.
1. 실험 물질
1.1 기구
탈수기 Leica HistoCore PEARL; 파라핀 임베더 Leica HistoCore Arcadia C&H; 파라핀 슬라이서 Leica RM2235; 자동 염색기 Leica ST5020; 스캐너 HAMAMATSUNANO Zoomer S210; SR 염색 분석 소프트웨어 Visiopharm VIS 6.6.0.2516.
1.2 동물
C57BL/6마우스(수컷, 18-20g)를 베이징 Weitong Lihua 주식회사로부터 구매하였다. 실험 동물의 모든 실험 프로토콜은 KCI 실험동물운영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에 의해 승인되었다. 마우스의 육종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온도 20-25℃, 습도 40%-70%, 낮과 밤 교대 시간 12시간/12시간. 침구 물질은 일주일에 두 번씩 교체하였다.
2. 실험 방법
2.1 화합물 제형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ND-630의 시험 화합물을 PEG200:0.2M Na2HPO4-NaH2PO4 버퍼(35:65)로 0.3mg/mL, 1mg/mL, 3mg/mL로 희석하였으며, 이는 사용 직전에 준비되었다.
2.2 동물 모델링
C57BL/6 마우스에서 HFD-CCL4로 유도된 NASH 모델: 동물을 먼저 KCI 실험 동물 센터의 SPF 장벽에 3-7일 동안 방치(housed)한 후, 그리고 다음으로 동물을 10회 주기로 HFD 먹이 공급으로 변경하였다. HFD 먹이 공급의 6주째 끝에, HFD 마우스를 각각의 그룹에 10마리씩,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그룹화하였다. CCL4는 4주 동안 경구로 (주 3회, 오전 9-10시에) 투여하였다. 상세한 모델링 방법은 KCI에 의해 확립된 방법에 따라 수컷 C57BL/6 마우스에서 HFD-CCL4 유도된 NASH 모델의 확립을 기초로 하였다. 모델링 시약은 올리브 오일 + CCL4 용액(KCI에 의해 제조됨)이었다. 나머지 10마리 동물에게 정상 컨트롤 동물로써 정상적인 유지 먹이를 제공하였다.
동물은 정상 컨트롤 그룹, HFD-CCL4 모델 그룹(모델 그룹) 및 화합물 그룹(본 발명의 시험 화합물 그룹, ND-630 그룹)으로 나누었다.
2.3 화합물의 투여
HFD 먹이 공급의 6주 후, 본 발명의 시험 화합물 및 ND-630을 4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위내 투여하였으며, 그리고 투여는 10주째 종료하였다. 본 발명의 시험 화합물 그룹의 투여량은 10mg/kg/d였으며, 그리고 ND-630 그룹의 투여량은 30mg/kg/d였다. 즉, 본 발명의 시험 화합물 그룹의 용량은 ND-630 그룹의 용량의 1/3이었다.
2.4 실험 샘플 수집
마지막 투여 후 다음 날, 즉 CCL4의 마지막 투여 48시간 후에, 각 그룹의 동물을 6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그리고 KCI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안락사시켰다. KCI 동물 해부 실험 조작 절차에 따라 동물을 해부하였다. 저온에서 전신에 PBS를 동물에게 관류시킨 후, 간(각 동물의 왼쪽 간엽)을 수집하였다. 간 샘플을 액체 질소로 빠르게 냉동시키고 -80℃의 저온에서 저장하였다. 나머지 동물 간을 포르말린으로 고정(간 대 고정 용액의 부피비는 1:10)하고, 그리고 병리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2.5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왼쪽 간엽 샘플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파라핀에 내장(embedded)시켜 5㎛ 섹션의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을 준비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은 조직 염증, 지방 침착, 공포 변성(vacuolar degeneration) 및 조식 섬유증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병변의 반-정량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2.6 시리우스 레드 염색
간 조직을 5㎛ 섹션으로 절단하고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재수화(rehydration) 후, 섹션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시리우스 레드(베이징 Head, 제품 번호: 26357)로 염색하였으며, 그리고 다음으로 이미지 분석을 위해 탈수 및 밀봉하였다. 섹션을 200x 배율로 Aperio ScanScope CS2(Leica)로 스캔하였으며, 그리고 스캔된 이미지를 Aperio ImageScope 프로그램으로 열어 혈관 신호를 제거하였다. 나머지 타겟 이미지를 Color Deconvolution v9에 의해 알고리즘 분석하였다. 레드로 염색된 섬유성 부분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양성 신호로 확인하였고 섬유증의 비율을 계산하는 데 사용하였다.
3. 통계학적 분석
데이터를 평균 ±표준 오차로 표현하였다. 유의성 분석은 스튜던트 t-검정(student t-test), 일원 분산 분석(one way ANOVA) 또는 이원 분산 분석(two way ANOVA) 및 사후 Dunnett의 검정(post-hoc Dunnett's test)을 사용하였다.
4. 실험 결과
4.1 간 지방증(Hepatic steatosis)
실험 동물에게 10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제공하였다. 정상 컨트롤 그룹과 비교하여, 모델 그룹의 간 지방증은 유의하게 악화되었다. 실시예 25의 화합물 그룹(10mg/kg/d)의 지방증은 유의하게 모델 그룹 보다 작았으며, 그리고 또한 효과는 ND-630 그룹(30mg/kg/d)보다 유의하게 나았다. 실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간 지방증
그룹 간 지방증 스코어
평균 + 표준편차(평균±SD)
정상 컨트롤 그룹 0.00±0.00
모델 그룹 0.37±0.48
실시예 25 (10mg/kg/d) 0.03±0.11
ND-630 (30mg/kg/d) 0.13±0.32
4.2 간세포 변성(Hepatocyte degeneration)
정상 컨트롤 그룹과 비교하여, 모델 그룹의 간세포 변성이 유의하게 악화되었다. 화합물의 처리 후, 모델 그룹과 비교하여, 실시예 25의 화합물 그룹(10mg/kg/d)에서의 간세포 변성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간세포 괴사
그룹 간세포 괴사 스코어
평균 + 표준편차(평균±SD)
정상 컨트롤 그룹 0.00±0.00
모델 그룹 0.74±0.49
실시예 25 (10mg/kg/d) 0.56±0.48
ND-630 (30mg/kg/d) 1.00±0.61
본 발명의 화합물은 HFD-CCL4 유도 NASH 마우스 모델에서 확실한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조직병리학 측면에서, 모델 그룹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 지방증 및 간세포 변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청구 범위에 기여한다.

Claims (10)

  1.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Figure pct00325

    여기서
    L은 알킬렌,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R2는 3-8원 사이클로알킬,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L이
    Figure pct00326
    인 경우, R2는 옥세타닐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이 아니며; 그리고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n이 0인 경우, R2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이 아니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은 화학식 V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Figure pct00327

    여기서
    L은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3-8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M은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L은 3-6원 사이클로알킬렌, 페닐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4 알킬,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6-10원 아릴 및 5-12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 C(O)R3 및 S(O)2R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4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M은 하이드록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C1-4 알킬 설포닐, 3-6원 사이클로알킬 아실,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6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8원 사이클로알킬,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8원 아릴 또는 3-8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4. 제3항에 있어서, L은
    Figure pct00328
    , 페닐렌, 아제티디닐리덴 및
    Figure pct00329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딘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5. 제3항에 있어서,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플루오로에틸옥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4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옥소 그룹, C1-4 알킬 아실,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그리고
    M은 하이드록시, 메틸, 아미노메틸, 메틸아미노, 메톡시, 에테닐, 에티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세틸, 아세틸아미노,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사이클로헥실포르밀, 옥소 그룹 및 이미다졸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6원 사이클로알킬, 3-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6원 아릴 또는 3-6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시, C1-3 알킬, 아미노 C1-3 알킬, C1-3 알킬아미노, C1-3 알콕시, C2-3 알케닐, C2-3 알키닐, 할로겐화된 C1-3 알킬, C1-3 알킬 아실, C1-3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Figure pct00330

    여기서
    L은 알킬렌, 3-8원 사이클로알킬렌, 6-10원 아릴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8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7-13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바람직하게, L은 C1-6 알킬렌, 3-6원 사이클로알킬렌, 페닐렌,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6원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8-10원 바이시클릭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할로겐, C1-6 알킬,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6-10원 아릴 및 5-12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L은 메틸렌,
    Figure pct00331
    , 페닐렌, 아제티디닐리덴 및
    Figure pct00332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옥소 그룹,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에테닐, 프로페닐, 에티닐, 프로피닐, 페닐, 나프틸, 피롤일, 이미다졸일, 피라졸일, 티아졸일, 티에닐, 푸릴, 피리딜, 피라진일 및 피리미딘일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수소, 할로겐, 카르복실, 할로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알킬, 3-8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R4는 알킬, 알킬아미노, 3-8원 사이클로알킬, 6-14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옥소 그룹, 알킬 아실,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플루오린, 카르복실, 플루오로에틸옥시, C(O)R3 및 S(O)2R4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하이드록실, C1-6 알킬, 카르복실,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나프틸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R4는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6-10원 아릴,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 및 1-2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은 C1-6 알킬, 할로겐, 할로겐화된 C1-6 알킬, 아미노 C1-6 알킬, 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옥소 그룹, C1-6 알킬 아실, C2-6 알케닐, C2-6 알키닐, 페닐 및 5-6원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X는 없거나 또는 X는 산소이며;
    n, p, q는 각각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M은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8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알킬 아실, 사이클로알킬 아실,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바람직하게, M은 하이드록시,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3-6원 사이클로알킬 아실, C1-4 알킬 설포닐, 옥소 그룹 및 1-3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6원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8원 사이클로알킬,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8원 아릴 또는 3-8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실, C1-4 알킬, 아미노 C1-4 알킬, C1-4 알킬아미노, C1-4 알콕시, C2-4 알케닐, C2-4 알키닐, 할로겐화된 C1-4 알킬, C1-4 알킬 아실, C1-4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M은 하이드록시, 메틸, 아미노메틸, 메틸아미노, 메톡시, 에테닐, 에티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아세틸, 아세틸아미노,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사이클로헥실포르밀, 옥소 그룹 및 이미다졸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거나, 또는 두 개의 M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들)와 함께 3-6원 사이클로알킬, 3-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3-6원 아릴 또는 3-6원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 하이드록시, C1-3 알킬, 아미노 C1-3 알킬, C1-3 알킬아미노, C1-3 알콕시, C2-3 알케닐, C2-3 알키닐, 할로겐화된 C1-3 알킬, C1-3 알킬 아실, C1-3 알카노일아미노 및 옥소 그룹 중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7. 제6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33
    Figure pct00334
    ,
    Figure pct00335
    ,
    Figure pct00336
    ,
    Figure pct00337
    ,
    Figure pct00338
    ,
    Figure pct00339
    ,
    Figure pct00340
    ,
    Figure pct00341
    ,
    Figure pct00342
    ,
    Figure pct00343
    ,
    Figure pct00344
    ,
    Figure pct00345
    ,
    Figure pct00346
    ,
    Figure pct00347
    ,
    Figure pct00348
    ,
    Figure pct00349
    ,
    Figure pct00350
    ,
    Figure pct00351
    Figure pct00352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8.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Figure pct00353
    ,
    Figure pct00354
    ,
    Figure pct00355
    ,
    Figure pct00356
    ,
    Figure pct00357
    ,
    Figure pct00358
    ,
    Figure pct00359
    ,
    Figure pct00360
    ,
    Figure pct00361
    ,
    Figure pct00362
    ,
    Figure pct00363
    ,
    Figure pct00364
    ,
    Figure pct00365
    ,
    Figure pct00366
    ,
    Figure pct00367
    ,
    Figure pct00368
    ,
    Figure pct00369
    ,
    Figure pct00370
    ,
    Figure pct00371
    ,
    Figure pct00372
    ,
    Figure pct00373
    ,
    Figure pct00374
    ,
    Figure pct00375
    ,
    Figure pct00376
    ,
    Figure pct00377
    ,
    Figure pct00378
    ,
    Figure pct00379
    ,
    Figure pct00380
    ,
    Figure pct00381
    ,
    Figure pct00382
    ,
    Figure pct00383
    ,
    Figure pct00384
    ,
    Figure pct00385
    ,
    Figure pct00386
    ,
    Figure pct00387
    ,
    Figure pct00388
    ,
    Figure pct00389
    ,
    Figure pct00390
    ,
    Figure pct00391
    ,
    Figure pct00392
    ,
    Figure pct00393
    ,
    Figure pct00394
    ,
    Figure pct00395
    ,
    Figure pct00396
    ,
    Figure pct00397
    ,
    Figure pct00398
    ,
    Figure pct00399
    ,
    Figure pct00400
    ,
    Figure pct00401
    ,
    Figure pct00402
    ,
    Figure pct00403
    ,
    Figure pct00404
    ,
    Figure pct00405
    ,
    Figure pct00406
    ,
    Figure pct00407
    ,
    Figure pct00408
    Figure pct00409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환자에게서 ACC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억제하게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 질병은 섬유성 질병, 대사성 질병, 종양 또는 증식성 질병이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질병은 간 섬유증, 비만, 당뇨,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암, 신장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유두상 갑상선암, 담관암, 대장암, 난소암, 악성 림프종, 방광, 전립선 및 췌장의 암과 육종, 또는 피부, 결장, 갑상선 또는 난소의 원발성 및 재발성 고형 종양인,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성질체, 용매화물, 결정 또는 전구약물, 또는 제9항의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

KR1020207004936A 2017-07-26 2018-07-25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418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16033 2017-07-26
CN201710616033.2 2017-07-26
PCT/CN2018/096930 WO2019020041A1 (zh) 2017-07-26 2018-07-25 作为acc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158A true KR20200032158A (ko) 2020-03-25
KR102418195B1 KR102418195B1 (ko) 2022-07-07

Family

ID=6504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936A KR102418195B1 (ko) 2017-07-26 2018-07-25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86587B2 (ko)
EP (1) EP3660023B1 (ko)
JP (1) JP6919055B2 (ko)
KR (1) KR102418195B1 (ko)
CN (2) CN109305976B (ko)
CA (1) CA3070525C (ko)
TW (1) TW201910338A (ko)
WO (1) WO2019020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5099B2 (en) * 2017-07-17 2021-05-04 Nanjing Ruijie Pharmatech Co., Ltd. Compounds and their uses as ACC inhibitors
CN111484504B (zh) * 2019-01-25 2024-05-10 南京圣和药业股份有限公司 Acc抑制剂的光学异构体及其应用
CN111848678A (zh) * 2019-04-30 2020-10-3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含磷类噻吩并嘧啶衍生物
CN112778325A (zh) * 2019-11-07 2021-05-11 南京瑞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acc抑制剂及其用途
WO2021112213A1 (ja) * 2019-12-05 2021-06-10 日本曹達株式会社 2,4-ジオキソ-1,4-ジヒドロチエノピリミジ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又は医療用・動物用抗真菌剤
CN113967213A (zh) * 2020-07-25 2022-01-25 南京圣和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包含苯基取代类acc抑制剂的组合物及其用途
CN113968871A (zh) * 2020-07-25 2022-01-25 南京圣和药业股份有限公司 苯基取代类acc抑制剂的晶型
CN116745299A (zh) * 2021-02-07 2023-09-12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噻吩并嘧啶衍生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3231A1 (en) * 2011-11-11 2013-05-16 Nimbus Apollo, Inc. Ac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7075056A1 (en) * 2015-10-26 2017-05-04 Gilead Apollo, Llc Ac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9015583A1 (en) * 2017-07-17 2019-01-24 Nanjing Ruijie Pharmatech Co.,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USES AS ACC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3776A2 (en) * 2006-03-02 2007-09-13 Cv Therapeutics, Inc. A2a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WO2015007451A1 (en) * 2013-07-15 2015-01-22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heterobicyclic derivatives
WO2016112305A1 (en) * 2015-01-09 2016-07-14 Nimbus Apollo, Inc. Acc inhibitor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EP3571205B1 (en) * 2017-01-22 2023-08-30 Sunshine Lake Pharma Co., Ltd. Thieno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in medicine
CN110709402B (zh) * 2017-06-15 2022-05-10 浙江海正药业股份有限公司 杂芳基并嘧啶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3231A1 (en) * 2011-11-11 2013-05-16 Nimbus Apollo, Inc. Ac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7075056A1 (en) * 2015-10-26 2017-05-04 Gilead Apollo, Llc Ac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9015583A1 (en) * 2017-07-17 2019-01-24 Nanjing Ruijie Pharmatech Co.,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USES AS ACC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05976B (zh) 2022-07-01
JP2020527160A (ja) 2020-09-03
JP6919055B2 (ja) 2021-08-11
EP3660023A4 (en) 2021-05-26
EP3660023B1 (en) 2023-03-08
EP3660023A1 (en) 2020-06-03
WO2019020041A1 (zh) 2019-01-31
CN109305976A (zh) 2019-02-05
US20200165265A1 (en) 2020-05-28
CA3070525C (en) 2022-03-15
TW201910338A (zh) 2019-03-16
CN110959007A (zh) 2020-04-03
CA3070525A1 (en) 2019-01-31
KR102418195B1 (ko) 2022-07-07
US11186587B2 (en) 2021-11-30
CN110959007B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195B1 (ko) Acc 억제제로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A2800079C (en) Macrocyclic compounds as trk kinase inhibitors
TW201713665A (zh) 適用於治療與ntrk相關之病症的化合物及組合物
CN103664973A (zh) 螺羟吲哚化合物及其作为治疗剂的用途
KR20150129741A (ko) 화학 물질
CN111918868A (zh) 作为蛋白激酶调节剂的二芳基大环化合物
BR112016025835B1 (pt) Composto de pirrolopirimidina ou sal do mesmo, inibidor de nae,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agente antitumor
CN114315834A (zh) 咪唑啉酮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15038707A (zh) 氮杂卓类稠环化合物及其医药用途
TW202202492A (zh) 3-氮雜二環烷基衍生物及包含其之醫藥組成物
CN113874354A (zh) 吡啶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10431142A (zh) 药理学活性的脂环族取代的吡唑并[1,5-a]嘧啶衍生物
CN111484504B (zh) Acc抑制剂的光学异构体及其应用
TW202309008A (zh) 類polo激酶4抑制劑
WO2021088957A1 (zh) 芳杂环化合物、其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7072993B (zh) 含有钠依赖性磷酸转运蛋白抑制剂的药物
WO2016045128A1 (en) Inhibitors of hif prolyl hydroxylase
WO2023155927A1 (zh) Yap/taz与tead相互作用的抑制剂、其制备、药物组合物及应用
EP4043459A1 (en) Substituted tricyclic compound as prmt5 inhibitor and use thereof
CN114728938B (zh) 作为prmt5抑制剂的四氢异喹啉螺环化合物
WO2022135390A1 (zh) 己酮糖激酶抑制剂及其用途
ES2599822T3 (es) Heterocíclicos cromeno-espirociclico piperidin amidas como moduladores de canales de ion
WO2023151662A1 (zh) 雄激素受体活性调节剂及其应用
CN113149968A (zh) 一种作为己酮糖激酶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CN116262749A (zh) 一类芳杂环取代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