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865A -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865A
KR20200031865A KR1020180110877A KR20180110877A KR20200031865A KR 20200031865 A KR20200031865 A KR 20200031865A KR 1020180110877 A KR1020180110877 A KR 1020180110877A KR 20180110877 A KR20180110877 A KR 20180110877A KR 20200031865 A KR20200031865 A KR 2020003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gear
side panel
gear
leg res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158B1 (ko
Inventor
조기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1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하방에 설치되어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된 패널 구조 및 분할된 패널 구조를 중앙 측으로 오므라지게 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 구조를 적용하여, 레그 레스트의 다리 거치면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레그 레스트 이용 시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Leg-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 하방에 설치되어 승객의 다리를 지지함에 따라 승객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편의장치 중 하나로서 일부 고급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레그 레스트 장치가 구비된 것도 있다.
상기 레그 레스트 장치는 승객의 다리 하중을 지지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해야 하고, 또한 원가 및 중량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부품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부품수를 절감하면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키기 것이 쉽지 않기에 대부분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해서 제작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단가를 낮추기가 쉽지 않아서 일부의 고급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승객이 레그 레스트 장치를 원하는 각도로 이동시켜 다리를 거치시킨다음 휴식을 취할 경우, 레그레스트의 좌면 상의 곡률로 인해 다리가 좌우측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레그레스트 장치의 경우 디자인 및 제조 공정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놓이게 되는 좌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 곡면은 레그 레스트 중심부의 높이가 높고 좌우측 단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주행 중 작은 충격에도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거나, 별도의 충격이 없는 경우라도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등록 특허 제10-1232078호 (2013.02.05) 2. 한국 등록 특허 제10-1426544호 (2014.07.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레그 레스트의 다리 거치면의 곡률을 조절하여, 승객이 레그 레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센터 패널과; 상기 센터 패널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들; 상기 센터 패널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되며, 단수 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래치 어셈블리들;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바;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패널들은 상기 센터 패널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패널들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단수 별 회전에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단수 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래치 어셈블리들은 각각 다수의 기어치들을 갖는 섹터 기어와 상기 섹터 기어의 기어치들에 단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락 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그 레스트 이용 시,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편안하게 레그 레스트 장치를 통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승객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그 레스트의 좌우측 틸팅 메커니즘을 승객이 간편하게 조작하여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레그 레스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틸팅 각도를 원복시킴에 따라 레그룸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패널 상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패널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b에서의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래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섹터 기어와 락 기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b에서의 연결 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이드 틸팅 동작 전, 1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이드 틸팅 동작 후, 2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이드 틸팅 동작 후, 3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하방에 설치되어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된 패널 구조 및 분할된 패널 구조를 중앙 측으로 오므라지게 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200) 구조를 적용하여, 레그 레스트의 다리 거치면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패널 상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패널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널은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다리의 안착면을 구성하는 지지 패널(100)을 의미한다. 지지 패널(100)은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쿠션력을 제공하는 부재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패널(100)을 감싸며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죽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에 의해 싸여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패널(100)은 차량용 시트의 착좌면을 제공하는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된다는 것은 해당 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것 이외에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 또한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지지 패널(100)은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직접 또는 브라켓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들을 매개로 시트 쿠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패널(100)은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또한 승객 다리의 안착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 패널(100)은 적어도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패널(100)은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센터 패널(110) 및 상기 센터 패널(11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 분할되지 않은 레그레스트 장치의 경우, 레그레스트의 안착면 자체가 갖는 곡률로 인해 레그 레스트 중심부의 높이가 높고 좌우측 단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의 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지 패널(100)을 적어도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한편, 좌우측 두 개의 사이드 패널(120)들이 내측으로 틸팅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이 레그레스트 장치를 이용 시,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이드 패널(120)의 틸팅 동작 전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a는 사이드 패널(120)의 틸팅 동작 전의 상태로, 사이드 패널(120)의 외측 표면은 센터 패널(110)의 외측 표면에 비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사이드 패널(120)의 틸팅 동작 시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좌우측 사이드 패널(120)들이 중심의 센터 패널(110)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므라지는 동작 메커니즘을 가지게 되므로써, 사이드 패널(120)들이 다리가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가이드로써 기능하게 된다.
한편, 좌우측 사이드 패널(120)들은 레그레스트 장치 미사용 시에는 레그룸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하여 초기 위치로 원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이드 패널(120)의 틸팅 동작을 위해, 각 사이드 패널(120)에 장착되는 한 쌍의 래치 어셈블리(200)들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연결 바(26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연결 바(260)는 상기 사이드 패널(120)의 회전 움직임을 각각의 래치 어셈블리(200)로 전달하는 한편, 각 래치 어셈블리(200)가 단수 별로 고정됨에 따라 사이드 패널(120)이 단수 별 소정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들은 상기 센터 패널(110)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되며, 단수 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는 사이드 패널(120)이 소정의 각도에 따라 단수 별로 회전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래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2는 도 1b에서의 래치 어셈블리(2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래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섹터 기어와 락 기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래치 어셈블리(200)는 다수의 기어치들을 갖는 섹터 기어(210)와 상기 섹터 기어(210)의 기어치들에 단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락 기어(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들은 지지 패널(100) 상에 장착 고정되는 브라켓(25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섹터 기어(210) 및 상기 락 기어(220)는 상기 브라켓(250) 상에 회전가능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50)은 지지 패널(1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섹터 기어(210) 및 상기 락 기어(220)는 각각 지지 패널(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250)은 상기 센터 패널(110)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브라켓(250)에는 상기 섹터 기어(210) 및 상기 락 기어(220)를 관통하면서 각각의 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들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섹터 기어(210)는 기어 몸체의 특정 영역에 다수의 기어치가 소정의 간격 또는 회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락 기어(220)는 이러한 섹터 기어(210)에 치합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섹터 기어(210)의 다수의 기어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락 기어(220)는 상기 섹터 기어(210)의 기어치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치합하기 위한 단일의 기어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섹터 기어(210)의 기어치 형상은 단수 별 사이드 패널(120)의 설정된 위치를 감안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패널(120)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단계별로 회전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어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섹터 기어(210)가 사이드 패널(120) 측에 형성되고, 상기 섹터 기어(210)가 사이드 패널(120) 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사이드 패널(120)의 회전 움직임을 섹터기어에 전달하여 섹터 기어(210)의 단수를 변경하고, 변경된 단수에 섹터 기어(210)가 고정됨에 따라 사이드 패널(120)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즉, 승객이 사이드 패널(120)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사이드 패널(120)에 연결된 연결 바(260)를 통해 이 회전 움직임이 래치 어셈블리(20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섹터 기어(210)가 소정의 단수의 위치에서 락 기어(220)와 체결됨에 따라 사이드 패널(120)이 단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섹터 기어(210)는 상기 브라켓(250) 및 센터 패널(110)에 대하여 단수 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이러한 회전 움직임은 사이드 패널(120)의 회전과 연동된다.
이와 관련, 상기 연결 바(260)는 상기 섹터 기어(210)의 회전 축 상에서 상기 섹터 기어(2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b에서의 연결 바(26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 바(260)는 상기 섹터 기어(210)의 회전 축으로 동작하는 회전 축부와 상기 회전 축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사이드 패널(120)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260b)들 및 상기 사이드 패널(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260c)는 상기 연장부(260b)들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축부(260a)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봉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60c)는 상기 사이드 패널(12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121)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구(121)는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도록 가공된 사이드 패널 하부 구조일 수 있으며, 사이드 패널 하부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해당 브라켓에 홀을 가공한 구조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연결 바(260)의 상기 회전 축부에는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P)가 형성되고, 상기 섹터 기어(210)는 상기 연결 바(260)의 회전 축부를 수용하기 위한 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섹터 기어(210)의 홀(211)에는 상기 회전 축부의 돌기부(P)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 홈(2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 홈(212) 및 상기 섹터 기어(210)의 홀(211)은 상기 연결 바(260)의 회전 축부 및 돌기부(P)의 형상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제작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러한 돌기부(P)는 상기 회전 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부의 반경 방향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P)는 사이드 패널(120)이 센터 패널(110) 측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섹터 기어(210)의 회전 움직임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 바(260)의 회전 축부 및 상기 고정부(260c)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봉형 구조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섹터 기어(210)와 사이드 패널(120) 삽입구(12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객이 사이드 패널(120)을 내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연결 바(260)의 연장부(260b)의 길이 만큼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이드 패널(120)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사이드 패널(120)의 회전과 함께 연결 바(260)의 회전 축부 또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120)의 회전에 따라 연결 바(260)의 돌기부(P)가 회전하면서 섹터 기어(210)를 회전시키게 되는 바, 단수 별로 섹터 기어(210)는 락 기어(220)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패널(120)을 내측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들이 단수 별로 회전하면서 고정되고, 이 때 각각에 연결된 사이드 패널(120)들의 상면이 상기 센터 패널(110)에 비하여 단계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섹터 기어(210)와 상기 락 기어(220)에는 각각 상기 브라켓(250)에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는 스프링이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섹터 기어(210)와 락 기어(22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섹터 기어(210)에는 상기 브라켓(250)에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섹터 기어(210)가 상기 브라켓(250)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230)이 설치되며, 상기 락 기어(220)에는 상기 브라켓(250)에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락 기어(220)가 상기 브라켓(250)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240)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섹터 기어(210) 상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30)은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240)도 비틀림 스플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 패널(120)을 상기 센터 패널(110) 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섹터 기어(210)는 2단 이상의 단수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각 단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만일, 상기 사이드 패널(120)에 큰 힘을 가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거나, 또는 최고 단수까지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섹터 기어(210)가 초기 위치로 원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의 단수 별로 동작 상태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틸팅 전 초기 상태로, 사이드 패널(120)이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다. 반며, 편의상 이를 1단이라 한다. 한편, 승객이 사이드 패널(120)을 내측으로 당기게 되며, 연결 바(260)를 통해 이 회전력이 래치 어셈블리(200)로 전달되고, 따라서 섹터 기어(210)가 회전하면서 락 기어(220)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한편, 2단 위치에서 섹터 기어(210)와 락 기어(220)가 체결되면서 틸팅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승객이 다시 한번 사이드 패널(120)을 내측으로 당기게 되면, 도 5c에서와 같이 3단의 위치에서 섹터 기어(210)와 락 기어(220)가 체결되고, 이에 따라 사이드 패널(120)의 각도가 조금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 패널(120)의 각도는 단수 별로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도 간격으로 사이드 패널(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패널과 센터 패널 사이의 각도는 연결 바(260)의 돌기부(P)의 각도 변화에 동기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돌기부(P)의 각도(α)가 단수 별로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최종 단수에서 추가로 사이드 패널(120)을 당기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사이드 패널(120)을 당기는 경우에는 락 기어(220)와 섹터 기어(210)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섹터 기어(210)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사이드 패널(120)이 초기 위치로 원복하게 되며, 이 경우 도 5a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0: 지지 패널 110: 센터 패널
120: 사이드 패널 200: 래치 어셈블리
210: 섹터 기어 211: 홀
212: 걸림 홈 220: 락 기어
230: 제1스프링 240: 제2스프링
250: 브라켓 260: 연결 바
260a: 회전축부 260b: 연장부
260c: 고정부 P: 돌기부

Claims (11)

  1. 시트 쿠션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센터 패널과;
    상기 센터 패널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들;
    상기 센터 패널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되며, 단수 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래치 어셈블리들;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바;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패널들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단수 별 회전에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단수 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들은 각각 다수의 기어치들을 갖는 섹터 기어와 상기 섹터 기어의 기어치들에 단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락 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들은 상기 센터 패널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섹터 기어 및 상기 락 기어는 상기 브라켓 상에 회전가능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섹터 기어의 회전 축 상에서 상기 섹터 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섹터 기어의 회전 축으로 동작하는 회전 축부와 상기 회전 축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사이드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 및 상기 사이드 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의 상기 회전 축부에는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섹터 기어는 상기 연결 바의 회전 축부를 수용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섹터 기어의 홀에는 상기 회전 축부의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들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봉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브라켓에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섹터 기어가 상기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락 기어에는 상기 브라켓에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락 기어가 상기 브라켓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을 상기 센터 패널 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섹터 기어는 2단 이상의 단수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각 단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패널을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서 당기는 경우, 상기 섹터 기어는 초기 위치로 원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들은 상기 센터 패널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20180110877A 2018-09-17 2018-09-17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211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77A KR102110158B1 (ko) 2018-09-17 2018-09-17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77A KR102110158B1 (ko) 2018-09-17 2018-09-17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65A true KR20200031865A (ko) 2020-03-25
KR102110158B1 KR102110158B1 (ko) 2020-05-13

Family

ID=7000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77A KR102110158B1 (ko) 2018-09-17 2018-09-17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1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53U (ko) * 1989-07-19 1991-03-08
JP2010082099A (ja)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232078B1 (ko) 2011-06-09 2013-02-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426544B1 (ko) 2012-10-30 2014-08-0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53U (ko) * 1989-07-19 1991-03-08
JP2010082099A (ja)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232078B1 (ko) 2011-06-09 2013-02-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426544B1 (ko) 2012-10-30 2014-08-0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158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JP5218506B2 (ja) シートリフター装置
KR100589834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EP1905640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10940773B2 (en) Vehicle seat
US20100109406A1 (en) Seat
US10759318B2 (en) Infinite adjustment mechanism for a head restraint
KR102110158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6039457B2 (ja) オットマン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H06141949A (ja) アームレストの角度調整機構
JP2018083452A (ja) 乗物用シート
CN107415785B (zh) 一种汽车座椅无级调节扶手机构
US20130187425A1 (e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a motor vehicle seat
KR20210067583A (ko)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200729686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855792B2 (ja) シートバックの荷重調整構造を備えた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422816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US8226147B2 (en) Linear latch with spring biased and opposite teethed gear rack for use with an upper rear pivoting seat back
KR101585263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동장치
CN220281196U (zh) 零重力车辆座椅及座椅骨架
JP200814985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0051385A (ja) アームレスト
KR102522176B1 (ko) 차량의 시트프레임
JP422514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869052B1 (ko) 가변샤프트부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