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77A -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77A
KR20200031777A KR1020180110639A KR20180110639A KR20200031777A KR 20200031777 A KR20200031777 A KR 20200031777A KR 1020180110639 A KR1020180110639 A KR 1020180110639A KR 20180110639 A KR20180110639 A KR 20180110639A KR 20200031777 A KR20200031777 A KR 2020003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bmersible pump
wireless communication
water leve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331B1 (ko
Inventor
한재웅
Original Assignee
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웅 filed Critical 한재웅
Priority to KR10201801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2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 단말기로 확인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수중펌프의 이상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의 외측과, 수중펌프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센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센서;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회전자의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체에 형성되어 전극체에서 회전자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상기 전극체에 형성되어 전극체에서 회전자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수중펌프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수중펌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와 회전자가 형성되는 회전공간 간에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센서; 상기 수위센서, 역회전센서, 회전수센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누수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으로 수중펌프의 회전수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로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센서의 감지값 및 모터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의 제어신호로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며, 관리자가 소지하여 휴대하는 휴대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Water pump control system using real-tim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 단말기로 확인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수중펌프의 이상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Underwater Pump)는 수원(水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상수도로 배출하는 정수장, 농업관개용, 공장 또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폐수 등을 처리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 빗물 배수펌프장 등의 다양한 장소와 지하철 공사장, 터널 공사장, 건축물 공사장에서 오수 및 패수의 배수 및 냉각수 등과 같은 용수의 공급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중펌프(Underwater Pump)는 펌프 전체를 수중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회전 동력이 발생하는 모터, 유체를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흡입 및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임펠러(Impeller)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중펌프는 사용의 편리성과, 침수에 의한 피해 방지 등의 이유로 사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계적 및 전기적인 결함, 수력학적 결함, 구조적인 결함,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과도한 운전부하로 고장이 발생되고 있으나 설치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점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중펌프에는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경보장치 정도를 구비한 것이 대부분으로 갑작스런 고장이 발생되면 보수 및 교체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소요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손실도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중펌프에 대한 정상적인 구동 상태는 물론 이상발생 상태 등과 같은 전반적인 운전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고장의 예측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는 다수의 수중펌프를 효과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중펌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수중펌프 제어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즉, 선행특허는 수중펌프와 수중펌프를 구동시키는 수중펌프 구동유닛과 수중펌프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측정하고 감지 및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유닛과 센서유닛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중펌프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제어기와, 제어기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제어하는 통합관리서버와,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수중펌프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수위가 낮아지거나 수중펌프의 과동작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해 열화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정값 대로 수중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의 구성이 없어 항상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해야 하므로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는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1602호(2015.11.25.)
본 발명은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 단말기로 확인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수중펌프의 이상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는,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의 외측과, 수중펌프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센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센서;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회전자의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체에 형성되어 전극체에서 회전자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상기 전극체에 형성되어 전극체에서 회전자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수중펌프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수중펌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와 회전자가 형성되는 회전공간 간에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센서; 상기 수위센서, 역회전센서, 회전수센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누수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으로 수중펌프의 회전수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로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센서의 감지값 및 모터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의 제어신호로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며, 관리자가 소지하여 휴대하는 휴대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는 유입구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유입구 아래로 저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 및 상기 수중펌프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수중펌프 이상으로 고수위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고수위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중펌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수위센서의 수위와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수중펌프의 온도에 따라 수중펌프의 작동과 속도를 조절하며, 역회전센서를 통해 역회전시 수중펌프를 정지시키고 정상회전으로 구동시키고, 누수센서를 통해 누수발생 경고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휴대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또는 휴대 단말부는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에 넘버링을 하여 각 수중펌프의 상태를 선택을 통해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 단말기로 확인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수중펌프의 이상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를 통해 서버와 휴대 단말부에서 표시 및 제어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1)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2)의 외측과,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0); 상기 수중펌프(1)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s)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s)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센서(60); 상기 샤프트(s)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s)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센서(65); 상기 샤프트(s)에 형성되는 회전자의 전극(e)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체(el)에 형성되어 전극체(el)에서 회전자의 전극(e)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30); 상기 전극체(el)에 형성되어 전극체(el)에서 회전자의 전극(e)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40); 상기 수중펌프(1)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수중펌프(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0); 상기 수중펌프(1)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2)와 회전자가 형성되는 회전공간 간에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센서(50); 상기 수위센서(20), 역회전센서(60), 회전수센서(65), 전압센서(30), 전류센서(40), 온도센서(70), 누수센서(50)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으로 수중펌프의 회전수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각 센서의 감지값 및 모터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의 제어신호로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제어부(10)의 신호를 외부의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0)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80); 상기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제어부(10)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제어부(10)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수중펌프를 제어하며, 관리자가 소지하여 휴대하는 휴대 단말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20)는 유입구(2)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유입구(2) 아래로 저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21) 및 상기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수중펌프(1) 이상으로 고수위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고수위 센서(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수중펌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수위센서(20)의 수위와 온도센서(70)를 통해 감지되는 수중펌프(1)의 온도에 따라 수중펌프의 작동과 속도를 조절하며, 역회전센서(60)를 통해 역회전시 수중펌프를 정지시키고 정상회전으로 구동시키고, 누수센서(50)를 통해 누수발생 경고를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는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에 넘버링을 하여 각 수중펌프(1)의 상태를 선택을 통해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중펌프(1)의 외측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0), 수중펌프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센서(60), 수중펌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센서(65), 수중펌프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30),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40), 수중펌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0), 수중펌프 내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센서(50), 각 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수중펌프의 상태 및 각 센서의 감지값을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80) 및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수중펌프의 작동상태, 각 센서의 감지값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80)로 전송하는 서버(100) 및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수중펌프의 작동상태, 각 센서의 감지값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80)로 전송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휴대 단말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펌프는 물 또는 오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임펠러가 형성되고, 임펠러의 외측으로 임펠러를 통해 물 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가 형성되며, 유입구(2)와 연결되는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임펠러를 통해 유입되는 물 또는 오폐수가 배수구(3)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수중펌프(1)는 중심에 밀폐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샤프트(s)가 회전공간을 관통하여 임펠러와 결합되며, 샤프트(s)에 전극(e)이 구비되는 회전자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회전되고, 회전공간 내주연에 코일체가 형성되며, 회전자의 전극(e)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체(el)가 접촉된다.
상기 샤프트(s)의 외주연에는 역회전센서(60)와 회전수센서(65)가 형성되며, 전극체(el)에는 전압센서(30) 및 전류센서(40)가 형성된다.
상기 수중펌프(1)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2) 외측과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는 수위센서(20)가 형성되어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10)에서 수중펌프(1)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구동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수위센서(20)는 유입구(2) 외측에 형성되는 저수위 센서(21)와 수중펌프(1) 상측 외측에 형성되는 고수위 센서(22)로 형성된다.
상기 저수위 센서(21)는 유입구(2) 외측에 형성되어 물 또는 오폐수의 수위가 수중펌프(1)의 유입구(2) 이하로 내려가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고, 이로 인해 수중펌프(1)가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발열로 인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10)에서 수중펌프(1)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수위 센서(22)는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중펌프(1)의 상측면 이상으로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게 되며, 고수위 센서(22) 이상으로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수중펌프(1)가 모두 잠기게 되므로 다량의 물 또는 오폐수가 발생됨을 의미하게 되어 제어부(10)에서 빠른 속도로 수중펌프(1)가 작동되도록 작동 속도를 증가시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역회전센서(60)는 수중펌프(1)의 샤프트(s)에 형성되어 샤프트(s)가 정해진 방향으로 정회전이 되지 않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고, 제어부(10)에서 역회전일 경우 회전을 정지시킨뒤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샤프트(s)가 역회전되는 경우는 전극(e)에 인가되는 전원이 교류인 경우 역방향의 전압이 걸려 샤프트(s)가 역회전 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이로 인해 외부로 물 또는 오폐수가 배수되지 않고 외부의 물 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s)에는 회전수센서(65)가 형성되는데 이는 샤프트(s)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고, 제어부(10)에서 회전수를 조절하여 수위센서(20)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회전속도가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압센서(30)와 전류센서(40)는 수중펌프(1)를 작동시키는 정격 전압과 전류 범위 미만 또는 초과 상태로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으로 인한 수중펌프(1)의 동작 오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70)는 수중펌프(1)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감지되는 수중펌프(1)의 온도를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70)로 인해 수중펌프(1)의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0)에서 설정되는 정상 온도범위를 초과할 경우 수중펌프(1)의 동작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1)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므로, 오랜시간 작동되면 수중펌프(1) 내부의 회전공간으로 물 또는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회전자와 코일체가 물 또는 오폐수에 잠기게되어 누전이 발생되어 수중펌프(1)가 파손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외부 전원 공급장치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펌프(1)의 회전공간 바닥면에 누수감지를 위한 누수센서(50)를 형성하여 제어부(10)로 누수가 되는지 여부를 전송하게된다.
이와 같이 수중펌프(1)에 구비되는 센서들은 제어부(1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10)는 수위센서(20), 역회전센서(60), 회전수센서(65), 전압센서(30), 전류센서(40), 온도센서(70), 누수센서(50)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으로 수중펌프(1)의 회전수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각 센서의 감지값 및 수중펌프(1)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의 제어신호로 수중펌프(1)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전압센서(30)와 전류센서(40)를 통해 수중펌프(1)가 정상동작하는 정격 전압 및 정격전류 범위 미만 또는 초과를 감지하여 수중펌프(1)가 정상동작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역회전센서(60)를 통해 수중펌프(1)의 역회전을 감지하여 수중펌프(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정회전으로 회전되도록 수중펌프(1)를 다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수센서(65)의 감지값을 통해 제어부(10)는 수중펌프(1)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수중펌프(1)의 회전수를 조절할 때에는 수위센서(20)를 통해 감지되는 저수위와 고수위를 통해 느리게 또는 빠르게 회전수를 조절하게 되며,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수중펌프(1)의 온도로 수중펌프(1)의 회전수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조절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수위센서(20) 또는 온도센서(70)의 감지값을 통해 최대 속도가 3200RPM인 수중펌프(1) 회전수를 수위센서(20)를 통해 감지되는 수위가 낮을 경우 저속인 2000RPM으로 작동시켜 배수를 하고, 수위센서(20)로 감지되는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3200RPM으로 회전수를 증가시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수중펌프(1)의 온도가 제어부(10)에 설정되는 정상 온도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10)에서 수중펌프(1)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켜 수중펌프(1)의 열화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는 물의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장시간 고속으로 동작되어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게 되면 온도가 점차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0)는 수위센서(20)와 온도센서(70)에서 감지되는 수위와 온도를 통해 수중펌프(1)의 작동여부와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펌프(1)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공간 바닥에 형성되는 누수센서(50)는 수중펌프(1)의 노후화시 발생될 수 있는 물 또는 오폐수의 회전공간 유입을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제어부(10)에서 수중펌프(1)의 작동을 정지시켜 전원합선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에는 무선 통신부(80)가 연결되어 제어부(10)로 전송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 및 제어부(10)의 제어상태를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에서 무선통신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수중펌프(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은 LTE, WIFI 또는 3G 등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각 센서들의 감지값 및 제어부(10)의 수중펌프(1) 제어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각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수중펌프(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 단말부(90)는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으로 이루어지며,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전송되는 각 센서들의 감지값 및 제어부(10)의 수중펌프(1) 제어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각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수중펌프(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고, 서버(100)와 통신하여 제어부(10)를 제어하는 상태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에서 제어되는 제어부(10)의 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부(90)는 휴대폰, 태블릿, PDA 또는 랩탑 등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으로 수중펌프(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서버(100) 또는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수중펌프(1)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제어부(10)의 제어신호보다 우위에 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과 제어부(10)의 수중펌프(1) 제어상태 신호를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에서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수중펌프(1)가 한곳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므로, 이를 지역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지역별로 선택버튼을 표시한다.
그리고, 다수의 지역별로 표시되는 선택버튼 중 임의의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수중펌프(1)가 넘버링되어 표시되며, 이 표시되는 수중펌프(1) 중 임의의 수중펌프(1)를 선택하면 해당 수중펌프(1)의 설치 위치, 현재 감지되는 각 센서들의 감지값, 정상 여부 및 제어부(10)의 제어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선택되는 수중펌프(1)의 각 센서들의 감지값, 정상 여부 및 제어부(10)의 제어상태를 확인하여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에 표시되는 제어버튼을 선택하여 수중펌프(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각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값과 제어부(10)의 제어상태 신호는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로 전송되고, 이상이 발생되는 수중펌프(1)에 대하여 서버(100) 및 휴대 단말기에 표시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 단말기로 확인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수중펌프의 이상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수중펌프 2 : 유입구
3 : 배수구 s : 샤프트
e : 전극 el : 전극체
10 : 제어부
20 : 수위센서 21 : 저수위 센서
22 : 고수위 센서
30 : 전압센서 40 : 전류센서
50 : 누수센서 60 : 역회전센서
65 : 회전수센서 70 : 온도센서
80 : 무선 통신부 90 : 휴대 단말부
100 : 서버

Claims (4)

  1. 물 또는 오폐수를 배수시키는 수중펌프(1)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2)의 외측과,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0);
    상기 수중펌프(1)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s)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s)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센서(60);
    상기 샤프트(s)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샤프트(s)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센서(65);
    상기 샤프트(s)에 형성되는 회전자의 전극(e)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체(el)에 형성되어 전극체(el)에서 회전자의 전극(e)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30);
    상기 전극체(el)에 형성되어 전극체(el)에서 회전자의 전극(e)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40);
    상기 수중펌프(1)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수중펌프(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0);
    상기 수중펌프(1)의 임펠러가 형성되는 유입구(2)와 회전자가 형성되는 회전공간 간에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센서(50);
    상기 수위센서(20), 역회전센서(60), 회전수센서(65), 전압센서(30), 전류센서(40), 온도센서(70), 누수센서(50)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센서의 감지값으로 수중펌프(1)의 회전수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각 센서의 감지값 및 수중펌프(1)의 작동상태를 전송하여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의 제어신호로 수중펌프(1)를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제어부(10)의 신호를 외부의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로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0)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80);
    상기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제어부(10)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수중펌프(1)를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제어부(10)의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수중펌프(1)를 제어하며, 관리자가 소지하여 휴대하는 휴대 단말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20)는 유입구(2)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유입구(2) 아래로 저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21) 및
    상기 수중펌프(1)의 상측 외측에 형성되어 수위가 수중펌프(1) 이상으로 고수위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고수위 센서(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수중펌프(1)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수위센서(20)의 수위와 온도센서(70)를 통해 감지되는 수중펌프(1)의 온도에 따라 수중펌프(1)의 작동과 속도를 조절하며, 역회전센서(60)를 통해 역회전시 수중펌프(1)를 정지시키고 정상회전으로 구동시키고, 누수센서(50)를 통해 누수발생 경고를 무선 통신부(80)를 통해 서버(100)와 휴대 단말부(9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 또는 휴대 단말부(90)는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에 넘버링을 하여 각 수중펌프(1)의 상태를 선택을 통해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0180110639A 2018-09-17 2018-09-17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11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39A KR102111331B1 (ko) 2018-09-17 2018-09-17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39A KR102111331B1 (ko) 2018-09-17 2018-09-17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77A true KR20200031777A (ko) 2020-03-25
KR102111331B1 KR102111331B1 (ko) 2020-05-15

Family

ID=7000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639A KR102111331B1 (ko) 2018-09-17 2018-09-17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3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755B1 (ko) * 2020-04-24 2020-08-27 김형기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KR102243057B1 (ko) * 2020-11-03 2021-04-21 조영재 인텔리전트 IoT 수중 펌프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102283762B1 (ko) * 2021-04-16 2021-07-30 주식회사 우승산업 직관적인 누수정보 파악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2469110B1 (ko) * 2022-07-06 2022-11-22 다성중공업 주식회사 축 뒤틀림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재난방재시설용 수중펌프
KR102583590B1 (ko) * 2023-04-11 2023-10-06 (주)신한펌프테크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57B1 (ko) * 2021-05-17 2023-08-29 주식회사 다인펌프 수중펌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483209B1 (ko) * 2022-03-23 2023-01-03 (주)신한펌프테크 수위검지 기능을 구비한 수중펌프시스템
KR102615546B1 (ko) * 2023-06-28 2023-12-19 윤성업 2축 2속 횡형식 원심 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254A (ja) * 2003-01-29 2004-08-19 Komatsu Ltd 水中ポンプシステム及び同ポンプの駆動制御方法
KR20140135151A (ko) * 2012-03-14 2014-11-25 사우스 이스트 워터 코포레이션 압력식 하수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602A (ko) 2014-05-15 2015-11-25 김형진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20180014300A (ko) * 2016-07-28 2018-02-08 (주)대진정공 수중펌프의 통신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254A (ja) * 2003-01-29 2004-08-19 Komatsu Ltd 水中ポンプシステム及び同ポンプの駆動制御方法
KR20140135151A (ko) * 2012-03-14 2014-11-25 사우스 이스트 워터 코포레이션 압력식 하수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602A (ko) 2014-05-15 2015-11-25 김형진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20180014300A (ko) * 2016-07-28 2018-02-08 (주)대진정공 수중펌프의 통신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755B1 (ko) * 2020-04-24 2020-08-27 김형기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KR102243057B1 (ko) * 2020-11-03 2021-04-21 조영재 인텔리전트 IoT 수중 펌프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102283762B1 (ko) * 2021-04-16 2021-07-30 주식회사 우승산업 직관적인 누수정보 파악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2469110B1 (ko) * 2022-07-06 2022-11-22 다성중공업 주식회사 축 뒤틀림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재난방재시설용 수중펌프
KR102583590B1 (ko) * 2023-04-11 2023-10-06 (주)신한펌프테크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331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AU2017414139B2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KR20150131602A (ko)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200454775Y1 (ko) 수중 모터 펌프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니트
KR101441660B1 (ko) 수처리 시스템용 계측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ES2908717T3 (es) Módulo de gestión de alarmas para una estación de bombeo de aguas residuales
KR102040176B1 (ko) 스마트 감시제어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2112558B1 (ko)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KR101228415B1 (ko) 오배수용 수중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방법
JP4637614B2 (ja) 水中ポンプオイル監視装置
KR102148753B1 (ko) 오배수 펌프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오배수 펌프 제어 시스템
CN111386398A (zh) 泵和用于控制泵的方法
KR102135431B1 (ko) 스마트 감시제어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펌프
WO2017094304A1 (ja) ポンプ装置
KR102047446B1 (ko)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수중모터펌프
JP2017198162A (ja) ポンプ装置
KR20120083101A (ko) 펌프와 타이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방법
JP2017137801A (ja) 給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の運転方法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US8777137B2 (en) Grinder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KR102539115B1 (ko)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243057B1 (ko) 인텔리전트 IoT 수중 펌프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JP2018135761A (ja) 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排水機場
JP7055737B2 (ja) 複数の電動機組立体を備えた駆動装置
KR20170135077A (ko) 정량튜브펌프 및 그 제어시스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