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115B1 -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115B1
KR102539115B1 KR1020210117668A KR20210117668A KR102539115B1 KR 102539115 B1 KR102539115 B1 KR 102539115B1 KR 1020210117668 A KR1020210117668 A KR 1020210117668A KR 20210117668 A KR20210117668 A KR 20210117668A KR 102539115 B1 KR102539115 B1 KR 10253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unit
level
power
submersibl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651A (ko
Inventor
조원권
Original Assignee
조원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권 filed Critical 조원권
Priority to KR102021011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1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펌프 제어부를 수구조물 내에 설치하여 용지의 선정, 감전사고, 교통사고, 통행안전, 풍수해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고, 펌프 제어부를 통해 검출되는 수중펌프의 운전, 전력(전원), 고장/이상여부, 조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나 정보를 확인하며, 수중펌프에 대한 미리 설정된 경보조건이 만족되면 즉각 확인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펌프 제어부에 대하여 보다 편리한 감시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수구조물 내 설치된 다수의 수중펌프; 수구조물 내 설치되고, 상기 수중펌프에 대한 운전상태데이터 및 전력상태데이터를 획득하고, 수구조물의 수위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 운전 시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고,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와 상기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의 상기 운전상태데이터에 따른 경보신호 및 조치정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펌프 제어부; 및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중펌프 및 수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 가공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하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리셋,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모드 및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해당 설정값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합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HAVING PUMP CONTROLLER MOUNTABLE IN WATER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Underwater Pump)는 수원(水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상수도로 배출하는 정수 장, 농업관개용, 공장 또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폐수 등을 처리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 빗물 배수 펌프장, 지하차도 등의 다양한 장소와 지하철 공사장, 터널 공사장, 건축물 공사장에서 오수 및 폐수의 배수 및 냉각수 등 과 같은 용수의 공급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중펌프(Underwater Pump)는 사용의 편리성과, 침수에 의한 피해 방지 등의 이유로 사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계적 및 전기적인 결함, 수력학적 결함, 구조적인 결함,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과도한 운전부하로 고장이 발생되고 있으나 설치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점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중펌프에는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경보장치 정도를 구비한 것이 대 부분으로 갑작스런 고장이 발생되면 보수 및 교체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소요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손실도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중펌프에 대한 정상적인 구동 상태는 물론 이상발생 상태 등과 같은 전반적인 운전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고장의 예측 및 고장 원인을 판단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이 있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수중펌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수중펌프의 제어반은 지상에 설치되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용지의 선정, 감전 등의 전기안전, 교통사고 등의 통행 안전, 풍수해로 인한 침수 등의 문제가 있어 왔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인 비용 손실과 인적 손실에 대한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1602호(공개일자: 2015년11월25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775호(등록일자: 2011년07월20일) 등록특허공보 제10-2109337호(등록일자: 2020년05월0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펌프 제어부를 수구조물 내에 설치하여 용지의 선정, 감전사고, 교통사고, 통행안전, 풍수해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고, 펌프 제어부를 통해 검출되는 수중펌프의 운전, 전력(전원), 고장/이상여부, 조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나 정보를 확인하며, 수중펌프에 대한 미리 설정된 경보조건이 만족되면 즉각 확인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펌프 제어부에 대하여 보다 편리한 감시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은, 수구조물 내 설치된 다수의 수중펌프; 수구조물 내 설치되고, 상기 수중펌프에 대한 운전상태데이터 및 전력상태데이터를 획득하고, 수구조물의 수위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 운전 시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고,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와 상기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의 상기 운전상태데이터에 따른 경보신호 및 조치정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펌프 제어부; 및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중펌프 및 수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 가공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하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리셋,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모드 및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해당 설정값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합 관리 서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 제어부는, 계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펌프 제어부 및 상기 수중펌프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반; 인터넷 통신 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입반; 상기 동력반 및 PLC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의 획득,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의 획득,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데이터의 획득,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한 상기 경보신호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반; 상기 통신 인입반과 계량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의 감시,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 감시를 통한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추정 및 리셋, 상기 설정값에 따른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모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및 상기 펌프 제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의 현장 조작을 위한 현장 조작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반은, 상기 계량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는 전원 감시 유닛; 상기 전원 감시 유닛의 전력 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 및 정전 시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 보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수중펌프 및 상기 펌프 제어부는 수구조물 내에 마련되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가스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충진되며, 방수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는 방수유지, 결로방지, 전기적 절연저하, 열화방지 및 아크발생 저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반은, 수구조물 내 수위를 검출하고 신호 변환을 수행하며, 변환된 수위계측값을 상기 PLC에 입력하는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 상기 펌프 제어부 내의 가스의 압력 값을 측정하는 가스압력센서 유닛; 상기 수중펌프에 대한 운전 상태와 전력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펌프 상태 검출 유닛;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수위계측값, 상기 가스의 압력 값, 상기 통신 인입반및 상기 PLC 이상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누수 감지 여부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 관리 유닛; 및 수구조물 내 수위를 검출하고 신호 변환을 수행하며, 변환된 수위계측값을 상기 PLC에 입력하는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PLC는,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을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와 상기 설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중펌프를 교번운전으로 제어하는 펌프 제어 유닛;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중펌프 운전 시 수위 변화 및, 수위 변화에 따른 수구조물 내 물의 체적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 변화 데이터와 체적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간유량값을 실시간 산정하며, 산정된 순간유량값에 펌프운전시간을 곱하여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는 가상 유량 추정 유닛; 및 상기 제어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 및 상기 PLC를 통해 연산 및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 발생 관리 유닛은,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 중 최고수위레벨 및 최저수위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인 경우, 상기 펌프 상태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된 상기 수중펌프가 과부하, 권선, 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 상태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된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스압력센서 유닛을 통해 측정된 가스의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및 상기 통신 인입반 및 상기 PLC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황에서 일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 중에 미리 설정된 최고수위레벨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 중에 전류가 0인 경우, 상기 수중펌프가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에 의하여 동작할 경우,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전류가 정상 값의 허용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 중 최고수위레벨 아래레벨에서 상기 수중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현장 조작반을 통해 상기 제어반이 조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특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는,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표시 및 리셋, 상기 수위계측값을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표시, 및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 동작상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공정 화면 실행 유닛; 상기 경보신호의 표시, 및 새로운 경보신호 발생 시 경보 리스트 추가 후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경보 화면 실행 유닛; 및 상기 수위계측값,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동작상태, 상기 수중펌프 동작, 정지, 고장 상태,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력량, 및 상기 펌프 제어부의 가스 압력에 대한 개별 태그를 표시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개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개별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 및 상기 공정 화면 실행 유닛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한 공정 그룹 트랜드, 상기 펌프 제어부의 전력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전력상태 그룹 트랜드, 상기 경보 발생 관리 유닛의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프로세스 알람 그룹 트랜드로 구분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그룹 데이터를 제공하는 그룹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구조물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 제어부의 장치고유식별번호가 저장된 무선통신태그; 상기 작업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태그로부터 상기 장치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작업자 통신단말에 입력된 생체정보 및 작업자 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작업자 통신단말의 IMEI(Internation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로부터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상기 통신 인입반으로 전송하여 상기 작업자 통신단말을 상기 펌프 제어부와 무선 연결하는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는, 작업자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IMEI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IMEI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 등록 여부를 체크한 후, 모두 기 등록된 경우 상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되는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상기 IMEI에 기초하여 작업자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접속 인증 관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 제어부를 수구조물 내에 설치하여 용지의 선정, 감전사고, 교통사고, 통행안전, 풍수해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고, 펌프 제어부를 통해 검출되는 수중펌프의 운전, 전력(전원), 고장/이상여부, 조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나 정보를 확인하며, 수중펌프에 대한 미리 설정된 경보조건이 만족되면 즉각 확인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펌프 제어부에 대하여 보다 편리한 감시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구현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 및 PL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수구조물에 대한 통합 관리 서버부의 관리 및 모니터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작반의 기능을 작업자의 통신단말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구현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 및 PL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수중펌프(100), 펌프 제어부(200), 통합 관리 서버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수중펌프(100) 및 이들과 연결된 펌프 제어부(200)는 수구조물(맨홀 펌프장 등의 물에 잠기거나 담는 구조물)(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다수의 수구조물(10)에 설치된 수중펌프(100)와 펌프 제어부(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개별적 또는 그룹적인 모니터링 및 감시 제어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수중펌프(100)는, 펌프 전체가 수중(수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펌프장 내의 물을 외부로 펌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회전 동력이 발생하는 모터, 유체를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흡입 및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임펠러(Impeller)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중펌프(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펌프 제어부(200)는, 수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되고, 수중펌프(100)에 대한 운전상태데이터 및 전력상태데이터를 획득하고, 수중펌프(100)가 설치된 수구조물(10)의 수위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수중펌프(100)의 운영 시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고, 획득된 운전상태데이터 및 전력상태데이터와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에 따른 경보신호 및 조치정보를 발생시키며, 운전 및 전력상태데이터, 가상유량적산값, 경보신호 및 조치정보를 인터넷 통신 회선(전용회선)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펌프 제어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반(210), 통신 인입반(220),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240), 제어반(230) 및 현장 조작반(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반(210)은, 계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펌프 제어부(200)의 전체 동작뿐만 아니라 수중펌프(1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동력반(210)으로 전달하며 동력반(210)로 공급되는 전력의 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계량기는 수구조물(10)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신주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계량기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동력반(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유닛(211), 전원 감시 유닛(212), 전원 제어 유닛(213) 및 정전 보상 유닛(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211)은 계량기와 연결되어 제어반(230)과 수중펌프(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물론 이 뿐만 아니라 펌프 제어부(200)에 전원이 필요한 모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감시 유닛(212)은 제어반(230)과 수중펌프(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전력 데이터를 생성해 제어반(2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 유닛(213)은, 전원 감시 유닛(212)에서 제공되는 전력 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반(230)과 수중펌프(100)에 공급되는 전원(또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전 보상 유닛(214)은, 정전 시 임시 전원을 공급하여 정전에 대한 보상(전원 정전 발생시 PLC(240) 및 각종 통신장비 등 필수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여 통합 관리 서버부(30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을 실시할 수 있다. 정전 시 전원 보상을 위한 전력 공급량은 대략 30분 내외로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보상을 위해 공급 또는 축전된 전력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신 인입반(220)은, 인터넷 통신 회선(전용회선)과 연결되어 통합 관리 서버부(300)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통합 관리 서버부(300)와의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 인입반(220)은 KT, SKT, LGU+ 등 전용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230)은, 동력반(210) 및 PLC(240)와 각각 연결되고,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의 획득, 수구조물(10)의 수위 레벨의 획득, 펌프 제어부(200) 내 가스압력상태데이터의 획득, 펌프 제어부(200)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한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반(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Level Switch: LS)(231), 펌프 상태 검출 유닛(232),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 및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2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 제어부(200) 내의 가스의 압력 값을 측정하는 가스압력센서 유닛(2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Level Switch: LS)(231)은, 수구조물(10) 내 수위를 검출하여 레벨 컨트롤러(Level Controller)를 통해 PLC(240)로 입력할 수 있으며, 펌프정의 수위를 4측정점(HH:High High, H:High, L:Low, LL:Low Low)을 측정하여 LC(Level Controller)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레벨 스위치 유닛(231)은, LL, L, H, HH 4점에서 동작하여 레벨 컨트롤러(LC)(수위제어기)에 신호를 전송하면 레벨 컨트롤러(LC)에서 펌프를 제어하고 PLC(240)에 데이터 신호(신호 변환된 수위계측값)를 입력하고, PLC(240)에서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후 통합 관리 서버부(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상태 검출 유닛(232)은 수중펌프(100)에 대한 운전 상태와 전력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은,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 수위계측값, 가스의 압력 값, 통신 인입반(220)과 PLC(240) 이상 여부를 기초로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 및 펌프 제어부(200)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 및 누수 감지 여부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은,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231) 및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234)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HH/H/L/LL) 중 최고수위레벨(HH) 및 최저수위레벨(LL)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인 경우, 펌프 상태 검출 유닛(232)을 통해 검출된 수중펌프(100)가 과부하, 권선, 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펌프 상태 검출 유닛(232)을 통해 검출된 수중펌프(100)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을 초과한 경우, 및 통신 인입반(220) 및 PLC(24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황이나 상태에서 일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은, 수중펌프(100)의 운전 중에 미리 설정된 최고수위레벨(HH)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수중펌프(100)의 운전 중에 전류가 0인 경우, 수중펌프(100)가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234)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에 의하여 동작할 경우, 수중펌프(100)의 운전전류가 정상 값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231)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HH/H/L/LL) 중 최고수위레벨(HH)의 아래 레벨(H)에서도 수중펌프(100)가 동작하지 안는 경우, 및 현장 조작반(250)을 통해 PLC(240), 제어반(230) 및 동력반(210)이 각각 조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특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은 PLC(240)의 상태 감시 결과와 연동하여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 출력이 A 수중펌프(100) 기동용 MC A(Magnetic Contactor A) ON 출력인데 MCA가 'ON'되지 않을 경우 MCA고장 경보, LC 출력이 B 수중펌프(100) 기동용 MCB ON 출력인데 MCB가 'ON'되지 않을 경우 MCB고장 경보, LC 출력이 HH인데 MC A, B가 'ON'되지 않을 경우 MCA과 MCB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L인데 MC가 'OFF'되지 않을 경우 LC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H인데 LC A또는B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LC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HH인데 LC HH출력이되지 않을 경우 LC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H이고 PLC출력이 MCA ON출력인데 MC가 'ON'되지 않을 경우 MCA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H이고 PLC출력이 MCB 'ON'출력인데 MC가 'ON'되지 않을 경우 MCB고장 경보, LT 입력신호가 HH이고 PLC출력이 MCA, MCB가 'ON'출력인데 MC가 'ON'되지 않을 경우 MCA, MCB고장 경보, 수중펌프(100)가 'RUN'상태에서 전류가 0인 경우 수중펌프(100)전기적 고장 경보, 수중펌프(100)가 'RUN'상태에서 전류가 정상인데 수위가 내려가지 않을 경우 홍수경보-수중펌프(100) 2대 운전, 수중펌프(100)의 운전전류가 90%보다 작거나 120%보다 높을 경우 수중펌프(100)의 기계적 고장 경보, 수중펌프(100)를 현장에서 조작할 경우 수중펌프(100) 현장운전 중 경보, LT입력신호에 의한 수위상승속도가 빠를 경우 홍수예보-수중펌프(100) 2대 운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벨 디텍터(Level Detector: LD) 유닛(234)은, 수구조물(10) 내 수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값을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에 입력하여 신호를 변조 후 PLC(240)로 입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레벨 디텍터 유닛(234)은 수위를 검출하여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에 전송하면 해당 신호를 4~20mA(또는 씨리얼통신, 이더넷 등)의 신호로 변환하여 PLC(240)에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PLC(240)에서 펌프를 제어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 후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 디텍터 유닛(234)은 초음파 방식의 비접촉식 센서로, 액체와 직접 닿지 않고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초음파가 공기 중을 통과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을 맞고 되돌아오는 시간과 속도를 계산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에서부터 저장소 바닥 면까지의 거리와 센서에서부터 물체표면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위 값을 알 수 있다.
상기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240)는, 통신 인입반(220)과 계량기에 연결되어 수중펌프(100)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의 감시, 수구조물(10)의 수위 레벨 감시를 통한 가상유량적산값의 추정 및 리셋, 설정값에 따른 수중펌프(100)의 운전모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LC(240)의 감시 기능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력상태 감시(각상전압, 전류, 역율, 유효전력, 무효전력, 주파수, 각MCCB상태 등), 펌프상태 감시(운전, 정지, 과부하, 누수, 권선온도상승 등), 수위상태감시(HH, H, L, LL, 수위(아날로그신호, 4~20mA)), 반내 가스압력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PLC(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제어 유닛(241), 가상 유량 추정 유닛(242) 및 데이터 전송 유닛(2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어 유닛(241)은 레벨 컨트롤러(LC)를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와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중펌프(100)를 교번운전으로 제어할 수 잇다.
상기 가상 유량 추정 유닛(242)은, 레벨 트랜스미터(LT)를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기반으로 수중펌프(100) 운전 시 수위 변화 및, 수위 변화에 따른 수구조물 내 물의 체적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 변화 데이터와 체적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간유량값을 실시간 산정하며, 산정된 유량값에 펌프운전시간을 곱하여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유량 추정 유닛(242)을 통해 펌프 제어부(200) 또는 수구조물(10)에 유량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유량값을 추정함으로써 기존의 유량계 설치에 의한 물리적 공간 차지 또는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나 장치의 파손 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유닛(243)은, 제어반(230)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 및 PLC(240)를 통해 연산 및 처리된 데이터를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조작반(250)은, 펌프 제어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반(230)의 현장 조작을 위한 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조작반(250)은 운영자가 시스템을 임의로 점검하기 위하여 펌프 제어부(200)와 접속하여 임의 운전하기 위하여 펌프 운전용 푸쉬 버튼과 운전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장 조작반(250)은 펌프 제어부(200)의 전반적인 운영, 관리, 제어를 위한 다양한 조작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유선 또는/및 무선 방식으로 펌프 제어부(200)의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PLC(240)는, 전력선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과 전화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데이터(음성, 문자,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구성요소로, 통신 인입반(220)과 계량기에 연결되어 계량기를 통한 전력 공급 및 통신 인입반(220)을 통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PLC(240)은 전력선을 통해 별도의 배선 없이도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제어부(200)는, 3상4선 380V/220V 60Hz를 인입 받아 7.5KW 이하의 펌프 2대(상용/예비, 정역운전)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전력 계통의 설계 사양은 일례이며, 다양하게 변형된 조건으로 설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펌프 제어부(200)는, 다수의 수중펌프(100)와 함께 수구조물(10) 내에 마련되는 케이스(미도시) 내에 함께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케이스(미도시)는 내부에 가스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충진되며, 방수 구조물로 이루어지어 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스(미도시)는 가스 충진 방식을 적용하여 방수 후비 보호, 전기 절연성의 상승으로 인해 전기 사고 방지, 결로 방지, 불꽃 등을 방지하며, 절연성의 향상으로 인해 전장품의 수명연장 및 고장감소 또한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는 질소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질소봉입방식을 사용할 경우 질소는 수분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결과로 절연효과가 상승되어 전장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반내는 반외에 형성되어 있는 수압보다 높은 양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누수에 대한 후비보호를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질소압력이 일정 값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반이 밀폐가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고, 내부에 발열량이 많아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질소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반내의 질소압력을 압력검출기로 상시 검출하여 일정 값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는 질소뿐만 아니라, 방수유지, 결로방지, 전기적 절연저하 및 열화방지, 아크발생 저감, 및 방수장치 산화방지로 수명연장을 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물질이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제어부(200)는, 펌프 제어부 내에 가스를 봉입하여 방수 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며 펌프 제어부 내에 필요압력을 충진하여 방수에 대한 후비 보호를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구조물 내에 펌프 제어부를 설치하게 되면 내외의 온도 차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펌프 제어부 내의 전기시설물의 절연을 파괴하게 되므로 순수 가스를 봉입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수 구조를 갖게 되면 내부가 밀폐되어 전기장치의 운전에 따른 전력소비로 발열이 되어 내부에 축적하게 되어 운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자연적인 온도 전달량 이내로 발열이 되도록 하기 위한 저 소비전력회로를 적용한다. 또한, 수구조물 내에 설치되기 위하여는 수구조물 인입구를 관통할 수 있고 제한된 크기의 수구조물 내에 설치될 수 있는 크기 이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최소 수량과 최소크기의 구성품을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구조물 내에 설치가 되면 접근성이 떨어져 점검이 어려운 상태가 되므로 고장 및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고장 및 성능저하의 원인인 전기적 절연저하, 열화, 아크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상술한 가스봉입, 저소비 전력 회로를 구성하여 고장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구조물 내에는 각 종 부식성 미생물로 부식이 촉진되므로 부식에 강한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펌프 제어부(200)의 원격 제어 감시 수단으로서, 인터넷 통신 회선(전용회선)을 통해 수중펌프(100)의 운전 및 전력상태데이터, 가상유량 추정 유닛(253)의 가상유량적산값 및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의 경보신호를 수신하고, 수중펌프 및 수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해 운전상태데이터, 전력상태데이터, 가상유량적산값 및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 가공 처리를 수행한 후 화면을 통해 출력하며, 수중펌프(100)의 운전모드, 수구조물(10)의 수위 레벨,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231)의 가상유량적산값의 리셋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값(이하 설정값)을 인터넷 통신 회선(전용회선)을 통해 펌프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화면 실행 유닛(310), 경보 화면 실행 유닛(320), 개별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330), 그룹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340), 및 무선 접속 인증 관리 유닛(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 화면 실행 유닛(310)은, 가상유량적산값의 표시 및 리셋, 수위계측값을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234)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 동작상태 표시 기능, 그리고, 공정계통, 수위값지시 및 설정창, 통신상태, 전력상태, 펌프상태, 가상유량값 및 적산값 등이 표시되고 수위운전값설정, 펌프운전모드설정, 펌프자동/수동운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보 화면 실행 유닛(320)은, 각종 경보신호의 표시, 및 새로운 경보신호 발생 시 경보 리스트 추가 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개별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330)은, 수위계측값,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231)의 스위치 동작상태, 수중펌프(100)의 동작(RUN)/정지(STOP)/고장(FAULT) 상태, 수중펌프(100)에 공급되는 전력량, 및 펌프 제어부(200)의 반내 압력에 대한 개별 태그(TAG)를 표시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개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룹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340)은, 공정 화면 실행 유닛(31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한 공정 그룹 트랜드, 펌프 제어부(200)의 전력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전력상태 그룹 트랜드, 경보 발생 관리 유닛(233)의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프로세스 알람 그룹 트랜드로 구분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그룹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원인 파악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 접속 인증 관리 유닛(350)은, 작업자 통신단말(20)로부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IMEI를 수신하고,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생체정보 및 IMEI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 등록 여부를 체크한 후, 모두 기 등록된 경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되는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IMEI에 기초하여 작업자 통신단말(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무선태그통신(400)과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을 이용한 모바일 현장 조작반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각 모든 실시간 경향화면과 그룹경향화면(공정그룹, 전력상태그룹, 프로세스 알람 그룹)을 제공할 수 있고, 각종 보고서 작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SMS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정화면 및 경보화면에서 필요항목을 운영자의 모바일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수구조물(맨홀 펌프장 등의 물에 잠기거나 담는 구조물)에 대한 통합 관리 서버부의 관리 및 모니터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다수의 수구조물(10)에 설치된 수중펌프(100)와 펌프 제어부(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개별적 또는 그룹적인 모니터링 및 감시 제어가 가능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산유량계, 제어반 압력 경보, 펌프장 수위, 펌프장 수위 경보, 각 펌프 누수권선온도경보, 펌프 전원 과부하 트립 경보, 각 펌프 과부하 경보, 각 펌프전원 정상 투입, 각 펌프 정방향 RUN상태, 각 펌프 역회전 RUN 상태, 주 전원 과부하 트립(TRIP) 경보, 주 전원 정상 투입, 주 전원 상태(전압, 전류, 역율, 유무효전력량 등), 제어 전원 과부하 트립 경보, 제어 전원 정상 투입, 반내 압력 상태 및 경보 등의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서(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작반의 기능을 작업자의 통신단말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무선통신태그(400)와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태그(400)는, 수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펌프 제어부(200)의 장치고유식별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태그(400)는 펌프 제어부(200)의 외벽이나 수구조물(10)의 벽면 등에 별도로 마련된 거치기구 상에 고정되어 작업자 통신단말(20)로 장치고유식별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무선통신태그(400)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RFID 또는 NFC 등 근거리 비접촉 무선 통신 방식이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은, 작업자 통신단말(20)에 설치되고, 무선통신태그로부터 장치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장치고유식별번호', 작업자 통신단말에 입력된 '생체정보' 및 작업자 통신단말(20)에 기 저장된 작업자 통신단말의 'IMEI(Internation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부터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통신 인입반(220)으로 전송하여 작업자 통신단말(20)을 펌프 제어부(200)와 무선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인증 관리 유닛(350)을 통해 작업자 통신단말(20)의 무선 연결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자 통신단말(20)로부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생체정보 및 IMEI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생체정보 및 IMEI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 등록 여부를 체크한 후, 모두 기 등록된 경우 장치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되는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IMEI에 기초하여 작업자 통신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작업자 통신단말(20)과 펌프 제어부(200) 간의 무선 연결 절차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가 수구조물(10) 내에 위치하게 된 경우, RFID, NFC, Bluetooth, Wi-Fi 기능을 모두 활성화시킨 작업자 통신단말(20)은 무선통신태그(400)에 태깅하여 장치고유식별번호를 획득한다(①).
다음, 작업자 통신단말(20)은 무선통신태그(400)로부터 장치고유식별번호를 획득하면 생체정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에 따라 지문, 홍채, 얼굴, 음성 등의 생체정보를 입력(②)하거나, 기 저장되어 있는 IMEI를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한다(③). 즉, 작업자 통신단말(20)은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생체정보 또는/및 IMEI'를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③).
이에, 통합 관리 서버부(300) 즉 무선 접속 인증 관리 유닛(350)은 작업자 통신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장치고유식별번호'와, '생체정보 또는/및 IMEI'에 대한 기 등록 여부를 모두 체크(④)한 다음, 인증 완료 시 장치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된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작업자 통신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⑤).
이후, 작업자 통신단말(20)은 통신 인입반(220)에 의한 무선접속 비밀번호 입력 요청에 따른 무선접속 비밀번호를 입력 또는 전송(⑥)하고, 통신 인입반(220)에서 해당 무선접속 비밀번호에 대한 일치 여부를 판별한 후 일치 시 펌프 제어부(200)와 무선 접속 또는 연결될 수 있다(⑦). 물론, 작업자 통신단말(20)에 대한 식별 및 무선 접속을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태그(400),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 무선접속 인증 관리 유닛(350)은 수구조물(10) 내 현장 조작반(250)을 고장, 파손, 접속불량 등의 이유로 사용이 불가한 경우 또는 작업자가 현장 조작반(250)의 사용을 원치 않는 경우, 상술한 구성들을 이용해 작업자 통신단말(20)과 펌프 제어부(200)를 무선 연결시키고,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을 이용해 현장 조작반(250)을 대신하여 펌프 제어부(200)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은 현장 조작반(250)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 검출된 데이터나 조작(제어) 데이터 등을 통합 관리 서버부(300)로 직접 전송하거나,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 후 통합 관리 서버부(300)에 별도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통신단말(20)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통신단말(20)과 통합관리 서버부(300) 간을 연결하는 인터넷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부(300)는 수중펌프(100)의 운전 및 전력 상태 등 모니터링 및 감시 대상의 정보를 SMS로 관리자(또는 펌프 운영자)에게 통보하여 감시 제어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펌프 원격 제어 시스템
100: 수중 펌프
200: 펌프 제어부
210: 동력반
211: 전원 공급 유닛
212: 전원 감시 유닛
213: 전원 제어 유닛
214: 정전 보상 유닛
220: 통신 인입반
230: 제어반
231: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
232: 펌프 상태 검출 유닛
233: 경보 발생 관리 유닛
234: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
235: 가스압력센서 유닛
240: PLC
241: 펌프 제어 유닛
242: 가상 유량 추정 유닛
243: 데이터 전송 유닛
250: 현장 조작반
300: 통합 관리 서버부
310: 공정 화면 실행 유닛
320: 경보 화면 실행 유닛
330: 개별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
340: 그룹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
350: 무선접속 인증 관리 유닛
400: 무선통신태그
500: 현장 조작 어플리케이션
10: 수구조물
20: 작업자 통신단말

Claims (7)

  1. 수구조물 내 설치된 다수의 수중펌프;
    수구조물 내 설치되고, 상기 수중펌프에 대한 운전상태데이터 및 전력상태데이터를 획득하고, 수구조물의 수위를 계측하고, 계측된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 운전 시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고,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와 상기 수위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의 상기 운전상태데이터에 따른 경보신호 및 조치정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및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펌프 제어부; 및
    인터넷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상기 경보신호 및 상기 조치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중펌프 및 수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운전상태데이터, 상기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 가공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하며,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리셋,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모드 및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해당 설정값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합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제어부는,
    계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펌프 제어부 및 상기 수중펌프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반;
    인터넷 통신 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입반;
    상기 동력반 및 PLC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의 획득,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의 획득,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데이터의 획득,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한 상기 경보신호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반;
    상기 통신 인입반과 계량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의 감시, 수구조물의 수위 레벨 감시를 통한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추정 및 리셋, 상기 설정값에 따른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모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및
    상기 펌프 제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의 현장 조작을 위한 현장 조작반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중펌프 및 상기 펌프 제어부는 수구조물 내에 마련되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가스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충진되며, 방수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는 방수유지, 결로방지, 전기적 절연저하, 열화방지 및 아크발생 저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반은,
    상기 계량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검출하는 전원 감시 유닛;
    상기 전원 감시 유닛의 전력 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반과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 및
    정전 시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 보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수구조물 내 수위를 검출하고 신호 변환을 수행하며, 변환된 수위계측값을 상기 PLC에 입력하는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
    상기 펌프 제어부 내의 가스의 압력 값을 측정하는 가스압력센서 유닛;
    상기 수중펌프에 대한 운전 상태와 전력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펌프 상태 검출 유닛;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전력상태데이터, 상기 수위계측값, 상기 가스의 압력 값, 상기 통신 인입반및 상기 PLC 이상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상기 펌프 제어부 내 가스압력상태의 감시를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상태 및 누수 감지 여부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 관리 유닛; 및
    수구조물 내 수위를 검출하고 신호 변환을 수행하며, 변환된 수위계측값을 상기 PLC에 입력하는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PLC는,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을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와 상기 설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중펌프를 교번운전으로 제어하는 펌프 제어 유닛;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통해 입력된 수위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중펌프 운전 시 수위 변화 및, 수위 변화에 따른 수구조물 내 물의 체적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 변화 데이터와 체적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간유량값을 실시간 산정하며, 산정된 순간유량값에 펌프운전시간을 곱하여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을 추정하는 가상 유량 추정 유닛; 및
    상기 제어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 및 상기 PLC를 통해 연산 및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 관리 유닛은,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 중 최고수위레벨 및 최저수위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인 경우, 상기 펌프 상태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된 상기 수중펌프가 과부하, 권선, 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펌프 상태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된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스압력센서 유닛을 통해 측정된 가스의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및 상기 통신 인입반 및 상기 PLC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황에서 일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 중에 미리 설정된 최고수위레벨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 중에 전류가 0인 경우, 상기 수중펌프가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에 의하여 동작할 경우, 상기 수중펌프의 운전전류가 정상 값의 허용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을 통해 측정된 수위값이 미리 설정된 수위레벨 중 최고수위레벨 아래레벨에서 상기 수중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현장 조작반을 통해 상기 제어반이 조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서 특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부는,
    상기 가상유량적산값의 표시 및 리셋, 상기 수위계측값을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표시, 및 상기 레벨 트랜스미터-레벨 디텍터 유닛의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LT) 동작상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공정 화면 실행 유닛;
    상기 경보신호의 표시, 및 새로운 경보신호 발생 시 경보 리스트 추가 후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경보 화면 실행 유닛; 및
    상기 수위계측값, 상기 레벨 컨트롤러-레벨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동작상태, 상기 수중펌프 동작, 정지, 고장 상태, 상기 수중펌프에 공급되는 전력량, 및 상기 펌프 제어부의 가스 압력에 대한 개별 태그를 표시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개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개별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 및
    상기 공정 화면 실행 유닛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한 공정 그룹 트랜드, 상기 펌프 제어부의 전력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전력상태 그룹 트랜드, 상기 경보 발생 관리 유닛의 경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그룹화한 프로세스 알람 그룹 트랜드로 구분하여 경보신호에 대한 그룹 데이터를 제공하는 그룹 트랜드 화면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10117668A 2021-09-03 2021-09-03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539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68A KR102539115B1 (ko) 2021-09-03 2021-09-03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68A KR102539115B1 (ko) 2021-09-03 2021-09-03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51A KR20230034651A (ko) 2023-03-10
KR102539115B1 true KR102539115B1 (ko) 2023-06-01

Family

ID=8557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68A KR102539115B1 (ko) 2021-09-03 2021-09-03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1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115B2 (ja) * 2005-06-03 2011-06-1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ポンプ槽内攪拌装置、並びに該ポンプ槽内攪拌装置と水中ポンプとの組み合わせ
KR102277247B1 (ko) * 2020-11-24 2021-07-14 주식회사 대은계전 펌프 성능 데이터 기반의 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75Y1 (ko) 2011-01-20 2011-07-28 김해웅 수중 모터 펌프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니트
KR20150131602A (ko) 2014-05-15 2015-11-25 김형진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102109337B1 (ko) 2018-11-14 2020-05-12 (유)엔티엘 수중 모터 펌프의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12360A (ko) * 2019-07-25 2021-02-03 김현숙 오접감지 및 수질/유량측정이 가능한 오수용 맨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115B2 (ja) * 2005-06-03 2011-06-1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ポンプ槽内攪拌装置、並びに該ポンプ槽内攪拌装置と水中ポンプとの組み合わせ
KR102277247B1 (ko) * 2020-11-24 2021-07-14 주식회사 대은계전 펌프 성능 데이터 기반의 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51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0329B1 (en) Utility meter with alarm reporting function through security system infrastructure
KR200454775Y1 (ko) 수중 모터 펌프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니트
KR20150131602A (ko)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CN209820523U (zh) 基于物联网的锅炉安全监测系统
CN103529348B (zh) 一种高压电缆故障监测方法
CN110439795B (zh) 一种泵机远程监控系统
KR102539115B1 (ko)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한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539116B1 (ko) 수구조물 내에 설치 가능 펌프 제어부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07370241A (zh) 一种配电箱第三方监控系统
KR101596863B1 (ko) 핸드폰을 이용한 맨홀 펌프장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805843B1 (ko)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원격 수문 계장 제어 시스템
KR20090132266A (ko) 최대전력 통합 제어시스템
CN102509436A (zh) 输电线路杆塔接地状况远程在线监测系统
KR20060105704A (ko)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CN203325159U (zh) 变电站告警系统
CN203384062U (zh) 变电站自动排水监控系统
KR102056845B1 (ko) 소규모 수도 시설용 스마트 배전반
KR100567434B1 (ko) 빗물펌프장용 온라인 감시시스템
CN101840369A (zh) 一种远程控制并诊断服务器电源故障的方法
CN115824304A (zh) 一种电缆中间接头运行状态在线监控系统及其在线监控方法
KR102243057B1 (ko) 인텔리전트 IoT 수중 펌프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102501188B1 (ko) 역전력 차단 예방 및 화재 감시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접속함
CN113885595A (zh) 一种变电站集水井监测控制系统
CN108443129B (zh) 一种潜水泵控制装置
KR102288535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수처리시설의 현장감시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