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755B1 -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 Google Patents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755B1
KR102148755B1 KR1020200049827A KR20200049827A KR102148755B1 KR 102148755 B1 KR102148755 B1 KR 102148755B1 KR 1020200049827 A KR1020200049827 A KR 1020200049827A KR 20200049827 A KR20200049827 A KR 20200049827A KR 102148755 B1 KR102148755 B1 KR 10214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engine
temperature
drive shaft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김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기 filed Critical 김형기
Priority to KR102020004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04D15/0263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the condition being temperature, ingress of humidity or leaka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F05D2260/602Drainage
    • F05D2260/6022Drainage of leakage having past a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3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은, 엔진 및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로서, 펌프의 구동축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수신하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 및 펌프 모니터링 유닛과 일체의 장비를 형성하고, 펌프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고려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UNIFICATION CONTROL PANEL FOR FIRE-FIGHTING ENGINE PUMP}
본 발명은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이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유닛이 감시한 펌프 구동축의 온도에 따라 엔진 구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소방용 엔진펌프는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로서, 통상의 모터펌프에 비해 고양정 및 대용량을 얻을 수 있어 화재시 소화에 필요한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소방용 엔진펌프의 경우(등록특허 제10-1626353호 참조), 엔진의 냉각에 관심을 두어, 엔진에 냉각라인이 구비되고 소방수가 공급될 때에 소방수의 일부가 냉각라인으로 우회하여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용 엔진펌프의 구성 중 펌프의 상태를 점검하여 그에 따라 엔진의 가동을 제어하고 있지 않아 소방용 엔진펌프의 작동 성능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펌프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가 별개의 장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펌프 상태 정보는 별도의 중계 시스템을 이용해야만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펌프 및 엔진 제어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펌프의 상태를 점검하여 그에 따라 엔진의 가동을 제어하고, 펌프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가 일체를 이루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및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펌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이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유닛이 감시한 펌프 구동축의 온도에 따라 엔진 구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및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은, 엔진 및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로서, 펌프의 구동축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수신하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 및 펌프 모니터링 유닛과 일체의 장비를 형성하고, 펌프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고려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은,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에 펌프의 구동축의 온도를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에 펌프의 주변 온도를 제공하는 외부 온도 센서,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에 펌프의 내부에 있는 물의 온도를 제공하는 내부 온도 센서,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에 펌프의 누수 발생 여부를 제공하는 누수 센서, 및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과 통신하면서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이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유닛이 감시한 펌프 구동축의 온도에 따라 엔진 구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및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의 표시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이 펌프 구동축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이 펌프의 누수를 체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의 표시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이 펌프 구동축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이 펌프의 누수를 체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 시스템은, 소방용 엔진펌프(30),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 구동축 온도 센서(180), 외부 온도 센서, 내부 온도 센서, 누수 센서(200), 관리 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엔진펌프(30)는 화재 시 소화에 필요한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엔진(10) 및 엔진(10)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20)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10)은 펌프(20)의 임펠러(130)를 고속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디젤기관과 같은 내연기관일 수 있으며, 엔진(10)의 크랭크축(150)이 펌프(20)의 구동축(140)과 연결되어 엔진(10)의 구동력이 구동축(140)으로 전달됨으로써 펌프(20)가 작동할 수 있다.
펌프(20)는 급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임펠러(130)가 위치할 수 있고, 외형을 형성하며 임펠러(130)를 수용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급수관은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이나 저수탱크에 연결되며, 배수관은 건축물에 구비된 스프링클러나 소방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30)에 연결된 구동축(140)은 엔진(10)의 크랭크축(15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엔진(10)의 구동력은 크랭크축(150)을 지나 구동축(140)으로 전달되어 임펠러(130)가 고속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이 임펠러(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부 유동 공간으로부터 펌프(20) 내의 다른 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축(140) 상에는 메커니컬 실(mechanical seal)(190)이 설치될 수 있다.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은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에 따라 소방용 엔진펌프(30)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이다.
이러한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 및 엔진 제어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펌프(20)의 상태를 감시하는 유닛으로서, 이러한 감시의 일 형태로서, 펌프(20)의 구동축(140)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180)가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수신하는 유닛이다.
펌프(20) 내부에서 구동축(140)의 주변에 설치된 구동축 온도 센서(180)는 구동축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구동축 온도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또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의 센서 수신부(9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의 센서 수신부(90)는 펌프(20)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로부터 주변 온도, 즉 펌프(2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의 센서 수신부(90)는 펌프(20)가 정지한 상태에서 펌프(20)의 내부, 특히 내부 유동 공간에 설치된 내부 온도 센서가 측정한 펌프(20)의 내부에 있는 물의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의 센서 수신부(90)는 펌프의 내부에 설치된 누수 센서(200)로부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펌프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감시하고, 또한 펌프의 누수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시 정보는 엔진 제어 유닛(160)으로 전달되어 엔진 제어 유닛(160)이 엔진(10)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과 일체의 장비를 형성하고,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이 제공하는 각종 펌프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일 형태로,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이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고려하여 엔진(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펌프(20) 내부에 설치된 구동축(140)의 주위에는 구동축 온도 센서(180)가 위치할 수 있고, 이 구동축 온도 센서(180)는 구동축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구동축 온도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에 제공될 수 있고,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엔진 제어 유닛(160)에게 구동축(140)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엔진 제어 유닛(160)은 구동축 온도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구동축 온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엔진(10) 내지 펌프(20)에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엔진(10)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로, 펌프(20)의 외부, 즉 펌프(20)가 설치된 공간에는 외부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외부 온도 센서는 펌프(20)의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주변 온도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에 제공될 수 있고,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엔진 제어 유닛(160)에게 주변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식에 의해,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엔진 제어 유닛(160)에게 구동축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구동축(140)의 온도 상승은 엔진(10) 내지 펌프(2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으나, 펌프(20)의 주변 온도가 높아 주변의 열이 펌프 내부를 가열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즉, 구동축(140)의 온도만을 고려하여 엔진(10)을 정지시킬 경우, 엔진(10) 내지 펌프(2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았음에도 엔진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되어 소방용 엔진펌프(30)의 가동 시간을 불필요하게 줄이는 것이 될 수 있다.
특히, 소화를 위해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지속적인 가동이 필요할 때도 엔진(10)을 정지시키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140)의 온도 상승의 원인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여, 펌프(20) 주변의 온도가 높아 펌프(20)가 가열되는 것은 별도의 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펌프(20)의 가열 정도를 낮추고, 엔진(10)을 지속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엔진 제어 유닛(160)의 제어부(120)는 엔진 구동부(100)에 엔진(10)의 구동 및 정지를 명령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에 따라 엔진 구동부(100)는 엔진(10)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제어 유닛(160)은 엔진 가동 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10)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엔진(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이 제공하는 주변 온도 및 엔진 가동 시간으로 구동축(140) 온도를 보정한 후, 보정된 구동축(140) 온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엔진 제어 유닛(160)은 엔진(10)을 정지시킬 수 있다.
펌프(20)의 주변 온도로 인해서 펌프 내부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축(140) 주변에서 구동축(140) 온도를 측정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180)는 구동축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실제보다 높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구동축 온도 센서(180)가 측정한 구동축 온도를 보정할 필요가 있으며, 온도 보정에 주변 온도 및 엔진 가동 시간이 활용될 수 있다.
온도 보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주변 온도로 인한 구동축 온도 상승분은 차감을 하고, 엔진 가동 시간은 실제 구동축 온도를 높이는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도출된, 구동축 온도의 보정식은,
Figure 112020042324708-pat00001
이고,
단, (주변온도)≥(기준온도), (가동시간)≥(기준시간)일 때, 위 보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위 보정식에서, 기준온도는 상온온도, 즉 25℃일 수 있고, 기준시간은 일평균 가동시간일 수 있으며, 예로서 기준시간은 8시간일 수 있다.
또한, α 및 β는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상수일 수 있으며, 0<α, β≤0.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 온도는 80℃, 주변온도는 40℃, 가동시간은 10시간이라고 할 경우,
Figure 112020042324708-pat00002
보정된 구동축 온도는 38.8℃가 되며, 이 보정된 구동축 온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엔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주변온도)≥(기준온도), (가동시간)≥(기준시간)일 때, 위 보정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엔진 제어 유닛(160)은 주변온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펌프 주변에 설치된 냉각 장치를 가동하여 펌프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펌프(20)의 내부, 즉 내부 유동 공간에는 내부 온도 센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 센서는 내부 유동 공간에 있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펌프(20)가 정지한 상태에서 내부 온도 센서가 측정한 물의 온도를 수신할 수 있고,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이 제공하는 물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엔진(10)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엔진(10)이 가동되어 임펠러(130)가 작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임펠러(130)와 물의 마찰로 인해 마찰열이 발생하여 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은 펌프(20)의 내부에 설치된 누수 센서(200)로부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으로부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엔진(1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20)의 구동축(140) 상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메커니컬 실(19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메커니컬 실(190)의 근처에는 누수 센서(200)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유동 공간의 물이 메커니컬 실(190)을 넘어 누수될 경우, 누수 센서(200)는 이를 감지하여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에게 이러한 사실을 전달하고, 엔진 제어 유닛(160)은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으로부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엔진(10)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과 엔진 제어 유닛(160)은 일체의 장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을 통해 펌프(20)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를 별도의 통신 수단을 통해 중계하여 엔진 제어 유닛(160)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과 엔진 제어 유닛(160)이 하나의 패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중계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다.
종래에는 펌프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유닛과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가 별개의 장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펌프 상태 정보는 별도의 중계 시스템을 이용해야만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펌프 및 엔진 제어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과 엔진 제어 유닛(160)이 일체의 장비를 형성하므로 장비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펌프(20) 및 엔진(10)의 제어가 용이하다.
이상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을 유닛 관점에서, 펌프 모니터링 유닛(170) 및 엔진 제어 유닛(160)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을 기능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은 송수신부(110), 센서 수신부(90), 디스플레이부(70), 메모리부(80), 엔진 구동부(10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이 외부, 즉 관리 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와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센서 수신부(90)는 구동축(140) 온도 센서, 내부 온도 센서, 외부 온도 센서 및 누수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 및 누수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표시창에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의 표면에는 엔진 제어에 관련된 엔진 제어 표시창(50) 및 펌프 모니터링에 관련된 펌프 모니터링 표시창(60)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엔진 제어 표시창(50)에 엔진 제어와 관련된 사항을 표시하고, 펌프 모니터링 표시창(60)에 펌프 상태에 관련된 사항을 표시하여, 관리자가 즉시로 펌프(20) 및 엔진(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80)는 엔진(10) 및 펌프(2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엔진(10) 및 펌프(20)의 상태 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어하여 엔진(10) 및 펌프(20)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들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구동축 온도와 기준치를 비교하고, 구동축 온도를 보정하여 보정된 구동축 온도와 기준치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엔진 구동 및 냉각장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축 온도 센서(180)는 펌프(20)의 구동축(140) 주변에 설치되어 구동축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 온도 센서(180)가 측정한 구동축 온도를 통해 엔진(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는 펌프(20)가 설치된 장소에 위치하면서 펌프(20)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온도 센서가 측정한 주변 온도를 통해 구동축 온도를 보정하여 엔진(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는 펌프 내부의 내부 유동 공간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온도 센서가 측정한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펌프(20) 정지 시에 엔진(10)을 가동시켜 동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누수 센서(200)는 메커니컬 실(190)의 주변에 구동축(140) 상에 설치되어 물의 누수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수 센서(200)가 측정한 누수 여부를 근거로 엔진(1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과 통신하면서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제어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이다.
관리자 단말기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40)과 통신하면서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제어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는 수시로 어디에서나 소방용 엔진펌프(3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기는 소방용 엔진펌프(30)의 관리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소방용 엔진펌프(30)의 구동 여부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엔진 20: 펌프
30: 소방용 엔진펌프
40: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50: 엔진 제어 표시창 60: 펌프 모니터링 표시창
70: 디스플레이부 80: 메모리부
90: 센서 수신부 100: 엔진 구동부
110: 송수신부 120: 제어부
130: 임펠러 140: 구동축
150: 크랭크축 160: 엔진 제어 유닛
170: 펌프 모니터링 유닛 180: 구동축 온도 센서
190: 메커니컬 실 200: 누수 센서
210: 하우징

Claims (8)

  1. 엔진 및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로서,
    상기 펌프의 구동축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동축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구동축 온도를 수신하는 펌프 모니터링 유닛; 및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과 일체의 장비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상기 구동축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펌프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주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상기 주변 온도 및 엔진 가동 시간으로 상기 구동축 온도를 보정한 후, 보정된 구동축 온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온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식은,
    Figure 112020085163964-pat00003
    이고,
    단, (주변온도)≥(기준온도), (가동시간)≥(기준시간)일 때, 위 보정식이 적용되는 것이고,
    α 및 β는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상수이며, 0<α, β≤0.5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보정식이 적용될 때, 상기 펌프의 주변에 설치된 냉각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펌프가 냉각되도록 하는 것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펌프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온도 센서가 측정한 상기 펌프의 내부에 있는 물의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이 제공하는 상기 물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엔진을 가동시키는 것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펌프의 내부에 설치된 누수 센서로부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펌프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누수 발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인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8. 삭제
KR1020200049827A 2020-04-24 2020-04-24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KR10214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27A KR102148755B1 (ko) 2020-04-24 2020-04-24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27A KR102148755B1 (ko) 2020-04-24 2020-04-24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55B1 true KR102148755B1 (ko) 2020-08-27

Family

ID=7223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827A KR102148755B1 (ko) 2020-04-24 2020-04-24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022B1 (ko) * 2021-12-09 2022-08-03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소방차 방수압력 조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0U (ko) * 1993-08-30 1995-03-20 차량용 살수 펌프수단의 동파 방지장치
JP2007278225A (ja) * 2006-04-10 2007-10-25 Tohatsu Corp 消防用エンジンポンプの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459302Y1 (ko) * 2011-05-24 2012-03-22 윤영상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장치
KR20200031777A (ko) * 2018-09-17 2020-03-25 한재웅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0U (ko) * 1993-08-30 1995-03-20 차량용 살수 펌프수단의 동파 방지장치
JP2007278225A (ja) * 2006-04-10 2007-10-25 Tohatsu Corp 消防用エンジンポンプの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459302Y1 (ko) * 2011-05-24 2012-03-22 윤영상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장치
KR20200031777A (ko) * 2018-09-17 2020-03-25 한재웅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022B1 (ko) * 2021-12-09 2022-08-03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소방차 방수압력 조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2994A1 (en) Remote starter for a pump
KR102148755B1 (ko) 소방용 엔진펌프 통합 제어 패널
CN106257161B (zh) 空调器压缩机防烧毁控制方法和空调器
US6085530A (en)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for sealed compressor
US20060191324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RU272231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кондиционером
CN107062560A (zh) 空调器以及空调器的冷媒泄漏保护装置和方法
US20080299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d cooling enclosures during an electrical power failure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1880878B1 (ko) IoT 스마트 공설 지상 소화전
CN113623706A (zh) 防冻保护方法、防冻保护系统以及水系统热泵机组
JP2010101582A (ja) 輸送用冷凍装置
WO2020240158A1 (en) Vacuum pump for use during maintenance or commissioning of an hvac-r system, adapter for a vacuum pump,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vacuum test on an hvac-r system
JP2018107970A (ja) 消火ポンプユニット及び消火ポンプ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6134977B2 (ja) 消火設備
KR200460802Y1 (ko) 산불진화차량의 펌프 보호장치
KR102579317B1 (ko) 가압수 신뢰성을 높인 옥내소화전 장치
KR102047446B1 (ko)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수중모터펌프
JP6469520B2 (ja) ポンプ装置、遠隔制御装置、及び、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KR102189532B1 (ko) 지열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지열 공급시스템
KR101410965B1 (ko)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JP4090269B2 (ja) ガスタービン装置
US11905981B2 (en) Hydraulic accumulator autostart
KR102583985B1 (ko) 배전 전력구 감시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배전 전력구 감시방법
CN216617965U (zh) 一种用于商用燃气设备的排风工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