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590B1 -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 Google Patents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590B1
KR102583590B1 KR1020230047665A KR20230047665A KR102583590B1 KR 102583590 B1 KR102583590 B1 KR 102583590B1 KR 1020230047665 A KR1020230047665 A KR 1020230047665A KR 20230047665 A KR20230047665 A KR 20230047665A KR 102583590 B1 KR102583590 B1 KR 102583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rsible pump
pump
controller
temperature
wa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신한펌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펌프테크 filed Critical (주)신한펌프테크
Priority to KR102023004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04D15/0263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the condition being temperature, ingress of humidity or lea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40Type of control system
    • F05D2270/44Type of control system active, predictive, or anticip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조에 수장되어 있는 수중펌프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수중펌프와 펌프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고, 특히 수중펌프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해당 수중펌프 내부에 설치된 가온기를 작동시켜 수중펌프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킴으로써 수중펌프 내부 결로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수중펌프와 펌프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면 기존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던 복수의 아날로그감지신호 전달용 전선로 설치 작업을 복잡하게 수행할 필요가 없고 해당 전선로 배치 공간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중펌프시스템에 있어서 전반적인 선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 내부에 설치된 가온기를 구동하면 해당 수중펌프의 내부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수중펌프가 배수조에 수장되어 있는 동안 내부 결로 발생에 기인하는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Built-in data collecting device for a submerged pump}
본 발명은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중펌프시스템은 수중에 수장된 수중펌프를 펌프 제어기로 작동 제어하고 배수용이나 양수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수중펌프시스템이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통상 배수조에 수장된 수중펌프를 배수조 밖에 설치되는 펌프 제어기로 작동 제어하여 해당 배수조에 입수되는 유체(예컨대, 농업용수, 공업용수, 오수, 폐수 등)를 외부로 배출한다.
특히, 수중펌프시스템이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배수조에 유체가 없거나 수중펌프의 공회전을 유발하는 배수조의 하한 수위 이하에서 수중펌프가 장시간 공회전하면 수중펌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배수조에 수장된 수중펌프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은 입수관(210)을 통해 입수되는 유체(예컨대, 농업용수, 공업용수, 오수, 폐수 등)를 저장하는 배수조(200)에 수장된 상태에서 펌핑 작동하여 배수조(200)에 저장된 유체를 배수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펌프(110)를 펌프 제어기(120)로 작동 제어하는 종래의 수중펌프시스템(10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수중펌프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수중펌프(110)의 장시간 공회전에 기인하는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 문제 혹은 누수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온도센서(111)로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거나 해당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누수감지센서(112)로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감지하거나 해당 수중펌프(110) 몸체에 부착되는 수위센서(113)의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해당 수중펌프(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와 전원선(PL)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 제어 중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에 따라 과열 작동 시 해당 수중펌프(110)의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 제어 중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로 누수가 감지되면 해당 수중펌프(110)의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배수조(2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을 개시하여 유체를 배수조(200) 외부로 배출하고, 배수조(200)의 수위가 미리 정한 배수 정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을 정지하여 상기 배수 정지 수위 이상으로 배수조(200)에 유체가 저장되게 한다. 상기 배수 개시 수위는 상기 상한 수위와 상기 하한 수위 사이의 적정 수위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배수 정지 수위는 상기 하한 수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온도센서(111)와 누수감지센서(112) 및 수중펌프(110) 몸체 하부의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3)를 예시한다.
이 경우, 상기한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한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는 온도감지 전선로(L1)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고, 상기한 누수를 감지한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는 누수감지 전선로(L2)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고, 상기한 수위를 감지한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는 수위감지 전선로(L3)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온도감지 전선로(L1)와 누수감지 전선로(L2) 및 수위감지 전선로(L3)가 상기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 전선로(L1)와 누수감지 전선로(L2) 및 수위감지 전선로(L3)를 설치하여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온도센서(111)와 누수감지센서(112) 및 상기 수중펌프(110) 몸체에 부착된 수위센서(113)를 각각 상기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선로(L1, L2, L3) 배치 공간이 필요하고 각각의 전선로(L1, L2, L3) 설치 작업이 복잡하다.
예컨대, 도 2의 각각의 전선로(L1, L2, L3) 설치 작업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한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111)는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온도감지 전선로(L1)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되고, 누수를 감지한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수감지센서(112)도 수중펌프(110)에 내장된 상태에서 누수감지 전선로(L2)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되고, 수위를 감지한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113)는 수중펌프(110)의 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위감지 전선로(L3)를 통해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전선로(L1, L2, L3) 배치 공간이 필요하고 각각의 전선로(L1, L2, L3) 설치 작업이 복잡하다.
또한, 상기한 온도센서(111)와 누수감지센서(112) 및 수위센서(11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수중펌프(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PL)을 상기 펌프 제어기(120)와 연결하는 전원선(PL) 설치 작업을 상기한 각각의 전선로(L1, L2, L3) 설치 작업과 함께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수중펌프시스템(100)에 있어서 전반적인 선로 작업이 복잡하다.
특히, 종래의 수중펌프(110)는 배수조(200)에 수장되어 있는 동안 내부 결로 발생에 기인하는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KR 10-1694972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조에 수장되어 있는 수중펌프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수중펌프와 펌프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고, 특히 수중펌프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해당 수중펌프 내부에 설치된 가온기를 작동시켜 수중펌프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킴으로써 수중펌프 내부 결로를 방지하는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는, 입수관을 통해 입수되는 유체(예컨대, 농업용수, 공업용수, 오수, 폐수 등)를 저장하는 배수조에 수장된 상태에서 펌핑 작동하여 배수조에 저장된 유체를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펌프를 배수조 밖에 설치되는 펌프 제어기로 작동 제어하는 수중펌프시스템의 수중펌프에 내장되고,
상기 수중펌프에 내장되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와 상기 수중펌프에 내장되어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 및 상기 수중펌프 몸체에 부착되어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수중펌프와 펌프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수중펌프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가온기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수중펌프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보다 높으면 가온기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집속 제어기; 및 상기 수중펌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하여 해당 수중펌프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켜 해당 수중펌프 내부 결로를 방지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정지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을 정지하는 가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한 상기 펌프 제어기로부터 상기 수중펌프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 및 상기 수중펌프가 수장되는 배수조 내부 유체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결로점을 전달받아 해당 수중펌프 내부 결로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되,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온기는 상기 수중펌프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점등 혹은 소등되는 램프 혹은 LED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온기는 상기 수중펌프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되, 발열면이 수중펌프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발열 작동 혹은 발열 작동 중지되는 펠티어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수중펌프와 펌프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로 전달하면 기존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던 복수의 아날로그감지신호 전달용 전선로 설치 작업을 복잡하게 수행할 필요가 없고 해당 전선로 배치 공간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중펌프시스템에 있어서 전반적인 선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 내부에 설치된 가온기를 구동하면 해당 수중펌프의 내부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수중펌프가 배수조에 수장되어 있는 동안 내부 결로 발생에 기인하는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중펌프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도 1의 수중펌프에 내장된 온도센서와 누수감지센서 및 해당 수중펌프 몸체에 부착된 수위센서와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는 전선로를 나타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가 적용된 수중펌프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가 적용된 수중펌프시스템(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는
입수관(210)을 통해 입수되는 유체(예컨대, 농업용수, 공업용수, 오수, 폐수 등)를 저장하는 배수조(200)에 수장된 상태에서 펌핑 작동하여 배수조(200)에 저장된 유체를 배수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펌프(110')를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는 펌프 제어기(120')로 작동 제어하는 수중펌프시스템(100')의 수중펌프(110')에 내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300)는 A/D컨버터(310)와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 및 가온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 3에 나타낸 수중펌프시스템(100')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300) 중 상기 가온기(33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A/D컨버터(310)는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와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 및 상기 수중펌프(110') 몸체에 부착되어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3)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A/D컨버터(310)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수중펌프(110')와 펌프 제어기(120')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가온기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보다 높으면 가온기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한 상기 펌프 제어기(120')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 및 상기 수중펌프(110')가 수장되는 배수조(200) 내부 유체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결로점을 전달받아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되,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온기(330)는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하여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켜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를 방지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정지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온기(33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점등 혹은 소등되는 램프 혹은 LED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온기(33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되, 발열면이 수중펌프(11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발열 작동 혹은 발열 작동 중지되는 펠티어소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와 전원선(PL)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110')와 상기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로부터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받되,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 제어 중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에 따라 과열 작동 시 해당 수중펌프(110')의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 중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를 변환한 디지털데이터신호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를 확인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 제어 중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로 누수가 감지되면 해당 수중펌프(110')의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 중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를 변환한 디지털데이터신호로부터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배수조(2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을 개시하여 유체를 배수조(200) 외부로 배출하고, 배수조(200)의 수위가 미리 정한 배수 정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중펌프(110')의 펌핑 작동을 정지하여 상기 배수 정지 수위 이상으로 배수조(200)에 유체가 저장되게 한다. 상기 배수 개시 수위는 상기 상한 수위와 상기 하한 수위 사이의 적정 수위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배수 정지 수위는 상기 하한 수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 중 상기 수중펌프(110') 몸체에 부착되어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3)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를 변환한 디지털데이터신호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가 수장된 배수조(200)의 수위 변화를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가온기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보다 높으면 가온기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가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온기(330)로 입력되면, 상기 가온기(330)(예컨대, 램프, LED, 펠티어소자 등)는 가온 작동하여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켜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가온 작동 중 상기 가온기 구동정지신호가 상기 가온기(330)로 입력되면, 상기 가온기(330)는 가온 작동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한 상기 펌프 제어기(120')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 및 상기 수중펌프(110')가 수장되는 배수조(200) 내부 유체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결로점을 전달받아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 경우, 상기 펌프 제어기(1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 중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를 변환한 디지털데이터신호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배수조(200) 내부 유체 온도 변화는 해당 배수조(200)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입수관(210) 혹은 배수관(22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110')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수중펌프(110')와 펌프 제어기(120')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면 기존의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던 복수의 아날로그감지신호 전달용 전선로 설치 작업을 복잡하게 수행할 필요가 없고 해당 전선로 배치 공간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중펌프시스템(100')에 있어서 전반적인 선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수중펌프(110') 내부에 설치된 가온기(330)를 구동하면 해당 수중펌프(110')의 내부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수중펌프(110')가 배수조(200)에 수장되어 있는 동안 내부 결로 발생에 기인하는 수명 단축이나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00,100': 수중펌프시스템
110,110': 수중펌프 111: 온도센서
112: 누수감지센서 113: 수위센서
120,120': 펌프 제어기
200: 배수조 210: 입수관
220: 배수관
300: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310: A/D컨버터 320: 데이터 집속 제어기
330: 가온기
L1, L2, L3: 전선로 PL: 전원선

Claims (5)

  1. 입수관(210)을 통해 입수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배수조(200)에 수장된 상태에서 펌핑 작동하여 배수조(200)에 저장된 유체를 배수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펌프(110')를 배수조(200) 밖에 설치되는 펌프 제어기(120')로 작동 제어하는 수중펌프시스템(100')의 수중펌프(110')에 내장되고,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온도감지신호와 상기 수중펌프(110')에 내장되어 펌프 내부로 누수가 되는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누수감지신호 및 상기 수중펌프(110') 몸체에 부착되어 센서부착점을 기준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3)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수위감지신호를 집속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10)와;
    상기 A/D컨버터(310)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수중펌프(110')와 펌프 제어기(120')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고,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 이하가 되면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으로 판단하고 가온기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중 어느 하나가 결로점보다 높으면 가온기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 및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하여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온도를 결로점보다 높게 상승시켜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를 방지하고 상기 가온기 구동정지신호가 입력되면 가온 작동을 정지하는 가온기(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한 상기 펌프 제어기(120')로부터 상기 수중펌프(110') 내부의 모터의 권선온도 혹은 펌프 베어링온도 변화 및 상기 수중펌프(110')가 수장되는 배수조(200) 내부 유체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결로점을 전달받아 해당 수중펌프(110') 내부 결로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고,
    상기 가온기(330)는 상기 수중펌프(110')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점등 혹은 소등되어 발열 작동 혹은 발열 작동 중지되는 램프 혹은 LED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중펌프(110')의 덮개 이면에 설치되되 발열면이 수중펌프(11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 구동신호와 가온기 구동정지신호에 의해 발열 작동 혹은 발열 작동 중지되는 펠티어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속 제어기(320)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원선(PL)을 통해 전원선 통신 방식(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펌프 제어기(120')로 전달하되,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47665A 2023-04-11 2023-04-11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KR10258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665A KR102583590B1 (ko) 2023-04-11 2023-04-11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665A KR102583590B1 (ko) 2023-04-11 2023-04-11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590B1 true KR102583590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665A KR102583590B1 (ko) 2023-04-11 2023-04-11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5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72B1 (ko) 2016-02-16 2017-01-10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중모터펌프 수위감지장치
KR20180014300A (ko) * 2016-07-28 2018-02-08 (주)대진정공 수중펌프의 통신제어 시스템
JP2018145933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水中ポンプ
KR20200031777A (ko) * 2018-09-17 2020-03-25 한재웅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483209B1 (ko) * 2022-03-23 2023-01-03 (주)신한펌프테크 수위검지 기능을 구비한 수중펌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72B1 (ko) 2016-02-16 2017-01-10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중모터펌프 수위감지장치
KR20180014300A (ko) * 2016-07-28 2018-02-08 (주)대진정공 수중펌프의 통신제어 시스템
JP2018145933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水中ポンプ
KR20200031777A (ko) * 2018-09-17 2020-03-25 한재웅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483209B1 (ko) * 2022-03-23 2023-01-03 (주)신한펌프테크 수위검지 기능을 구비한 수중펌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7499C2 (ru) Погружная насосная система
CA2934242C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hybrid tankless water heater
US8971694B2 (en) Control method for a hybrid tankless water heater
US10900668B2 (en) Recirculating fluid heating systems
KR930009737B1 (ko) 저탕식(貯湯式) 온수기
KR101389410B1 (ko) 개방형 지중 열교환기의 실시간 자동제어시스템
CN104359228B (zh) 热水系统及其防干烧控制方法
US20120090597A1 (en) Pump drained solar water heating system
CN109854429B (zh) 用于发动机冷却液的加热系统
JP4838654B2 (ja) 管路凍結防止方法及びコ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229934B1 (ko) 보일러와 태양열 축열조를 연계한 난방 및 온수 시스템
KR102583590B1 (ko) 수중펌프용 내장형 데이터 집속장치
KR20100067917A (ko) 무선 수위 자동 조절 장치
JP3414881B2 (ja) 給水装置
JP5075390B2 (ja) ポンプ
KR100343525B1 (ko) 급수 시스템
JP4865335B2 (ja) ポンプ停止回転速度を自動調整する給水装置
EA02912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бурильных труб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вода бурильных труб
CN210620289U (zh) 排液系统及电气设备
CN109253091B (zh) 一种浮水泵
AU2016101568A4 (en) Solar pool heating system
JP6696843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US20180347831A1 (en) Pump device, industrial water system, method for operating an industrial water system, and self-teaching method for a delivery pump in an industrial water system
AU2013100101B4 (en) Solar heating
JP7435377B2 (ja) 水中電動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水中電動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