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619A - 분무기 및 저장소 - Google Patents

분무기 및 저장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619A
KR20200031619A KR1020207001833A KR20207001833A KR20200031619A KR 20200031619 A KR20200031619 A KR 20200031619A KR 1020207001833 A KR1020207001833 A KR 1020207001833A KR 20207001833 A KR20207001833 A KR 20207001833A KR 20200031619 A KR20200031619 A KR 2020003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bag
fluid
connect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199B1 (ko
Inventor
요아킴 칼 허베르트 아이체르
슉만 알프레트 폰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on a cylindrica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05B11/004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5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the pumping chamber being a be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1091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being first hold in a loaded state by locking means or the like, then relea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5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ovable suction side
    • B05B11/3035
    • B05B11/3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29C66/4326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7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moves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75Mechanical
    • A61M2205/8281Mechanical spring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2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act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6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r of an enclosure surround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8Blood bags, medical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유체(2)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기(1) 및 유체(2)를 갖는 저장소(3)가 제안된다. 저장소는 유체(2)와 함께 접힘가능한 백(4)을 포함하며, 상기 백(4)은 하우징 부분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소는 분무기(1)를 인장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Description

분무기 및 저장소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저장소 및 청구항 35, 36 및 42의 전제부에 따른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WO 2009/047173 A2는 유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기를 개시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분무기에 삽입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단단한 외부 케이싱 및 다중 용량의 유체를 수용하는 백을 포함한다. 유체를 빼낼 때 백이 접혀질 수 있도록 컨테이너 또는 그 케이싱이 배기된다.
컨테이너는 WO 96/06011 A2 또는 WO 00/49988 A2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WO 2015/169430 A1은 분무될 유체를 갖는 교체 가능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분무기를 개시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분리할 수 없는 인디케이터 장치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및 인디케이터 장치는 분무기의 작동 및 인장 동안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인디케이터 장치는 소정의 사용 횟수에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 추가 사용에 대해 분무기의 잠금을 제어한다.
WO 2008/122018 A1은 스프레이 포트를 갖는 하우징,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소 및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펌프를 구비한 비강 약물 전달 장치를 개시하며, 여기서 유체 저장소는 펌프 옆에 위치된다.
GB 2 291 135 A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며, 여기서 장치는 전달 펌프 및 펌프 옆에 위치한 접힘성 백을 포함한다.
GB 2 495 576 A는 하우징 및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일회용 유체 전달 장치를 개시하고, 여기서 피스톤 펌프는 분배될 유체가 배출 전에 저장되는 펌프 챔버를 형성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분무기 및 개선된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계량 및/또는 컴팩트한 설계 및/또는 간단한 구성을 허용하면서 전체 용적의 유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저장소 또는 청구항 35, 36 또는 42에 따른 분무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접힘성 백에 유체를 수용하는 바람직하게는, 교체 가능한 저장소로부터 유체, 바람직하게는, 액체 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분무기는 유체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및/또는 분무를 위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소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U 자형 방식으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를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것은 매우 많은 용적의 저장소 및 저장소와 함께 분무기의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저장소의 용적 대 분무기의 용적의 비는 증가/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저장소 또는 그 탱크/백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펌프 또는 펌프 또는 압력 챔버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저장소는 유체 펌프 또는 펌프 또는 압력 챔버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저장소는 유체 펌프 또는 펌프 또는 압력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U 자형으로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는 매우 많은 용적의 저장소 및 저장소와 함께 분무기의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며 및/또는 저장소로부터 유체 펌프로 유체를 흡입하는데 필요한 펌프 압력(압력 부족)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계량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의 하우징 부분 내에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 및/또는 유체 펌프 또는 펌프 또는 압력 챔버 주위에 환형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및/또는 U 자형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본질적으로 편평한 탱크 또는 백을 포함한다. 이것은 최적화된 배치 및/또는 매우 큰 용적 및/또는 컴팩트/간단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백 및/또는 그 주요/원주방향 연장부 및/또는 그 내부/표면, 즉 분무기의 중심 및/또는 주요/중심축을 향하는 측부/표면은 오목하고 및/또는 만곡/구부러지고 및/또는 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의 중심 및/또는 주요/중심축에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축에 대해, 특히 U 자형 및/또는 원호를 형성하고 또는 이와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백 및/또는 그 주요/원주방향 연장부 및/또는 그 내부측은 축(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의 중심 및/또는 주요/중심축에 평행하거나 또는 동축이며, 이에 대응하는 축)에 대해 45 ° 또는 90 ° 초과, 특히 120 ° 또는 180 ° 초과의 각도로 가로질러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도는 저장소의 주요/중심축 주위에서 탱크/백의 원주방향으로 최외측 지점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의 주요/중심축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및/또는 세장형 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의 길이방향, 회전 및/또는 운동 축이다. 특히, 주요/중심축은 분무기/저장소의 왕복운동 및/또는 주요 길이방향 연장부 및/또는 분무기의 주요 방향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한정된다.
가장 바람직한 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의 주요/중심축은 탱크/백과 함께/옆/인접하고 및/또는 탱크/백의 주요/원주방향 연장부에 가로방향으로 이어진다.
특히, 저장소 또는 분무기 내의 탱크/백의 배치와 관련하여 용어 "주위"는 탱크/백이 주요/중심축과 관련하여 상술한 각도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및/또는 탱크/백은 특히, 위에서 및/또는 주요/중심축의 방향에서 볼 때. 분무기, 저장소, 유체 펌프, 펌프 또는 압력 챔버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및/또는 주요/중심축의 45 ° 또는 90 ° 초과, 특히 120 ° 또는 180 ° 초과로 봉입/둘러싸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규정은 예를 들어, 링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완만하게 및/또는 균등하게 만곡되지 않지만, 그 주요/원주방향 연장부에서 에지, 꼬임, 벤드 등 및/또는 갭, 공동, 노치, 컷아웃 등을 포함하는 탱크/백에 적용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탱크 또는 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U 자형이다. 특히, 탱크 또는 백은 주요 연장부 내에서 및/또는 저장소의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바람직하게는, 두 번 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무기의 유체 펌프 또는 관련 에너지 저장부는 특히 분무기의 하우징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저장소, 특히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백의 수동 회전에 의해 작동 또는 적재 또는 인장된다.
작동 또는 인장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펌프가 다음 분무 공정을 위해 한 용량의 유체로 적재되도록 저장소로부터의 한 용량의 유체의 인출을 유발한다. 이는 매우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 및/또는 쉬운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무기 또는 그 유체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왕복 운반 요소 및/또는 왕복 홀더를 포함하며, 저장소, 특히 하우징 부분 및/또는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백은 분무기에 의해, 특히 그 내부 부분에 의해 왕복운동하지 않게 유지되며, 및/또는 저장소, 특히 그 탱크 또는 백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유체 연결부를 통해 및/또는 운반 요소 및/또는 유체 펌프와의 커넥터를 통해 유체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왕복 운반 요소와 함께 이동될 질량의 최소화를 허용하고, 따라서 쉬운 작동 및/또는 정확한 계량 및/또는 컴팩트한 구성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탱크 또는 백은 바람직하게는, 주요 연장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주요 연장부에 대해, 수직/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에서, 특히 저장소의 중심축 주위에서 만곡/구부러져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배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우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 및/또는 큰 용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유체 연결부 및 저장소의 탱크 또는 백을 분무기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유체 연결부는 탱크 또는 백에 대한 커넥터의 이동과 무관하게 탱크 또는 백을 커넥터와 유체 연결한다. 이는 운반 또는 펌프 요소의 임의의 이동으로부터 탱크 또는 백의 간단한 구성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펌핑 또는 분무 중에 질량의 감소가 허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 또는 탱크 또는 백은 다중 격실을 포함하며, 특히 격실은 서로 나란히/옆에 배치되고 및/또는 격실은 저장소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는 특히 격실을 꼬이지 않고 탱크 또는 백을 굽히거나 또는 구부릴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 또는 탱크 또는 백은 상이한 유체를 위한 개별 격실을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 직전에 상이한 유체들의 혼합을 허용하여 장기간 안정하지 않은 유체의 혼합물이 분무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백은 함께 용접되는 시트 및/또는 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쉽고 저렴하고 최적화된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상이한 양태 및 청구범위 및 하기 설명에 기재된 양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형태, 특징 및 양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청구범위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비인장 상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인장 상태의 분무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분무기 저장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저장소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저장소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저장소의 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저장소용 백 제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저장소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분무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90 °회전한, 도 9에 따른 분무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분무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분무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중 격실을 포함하는 백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백의 사시도로서, 격실은 서로를 향해 각이지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따른 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중 격실을 포함하는 백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백의 사시도로서, 격실은 서로를 향해 각이지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비록 관련 설명이 반복되지 않더라도 결과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또는 비교가능한 특성 및 장점을 초래하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유체(2), 특히 약학 조성물, 약제 등을 원자화 또는 분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1)를 도시하며, 이는 비인장 상태(도 1) 및 코킹 또는 인장 상태(도 2)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무기(1)는 특히 휴대용 흡입기로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및/또는 추진제없이 작동한다.
유체(2), 바람직하게는, 액체, 보다 특히 의약 조성물이 분무될 때, 에어로졸(A)(도 1)이 형성되거나 또는 분배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호흡되거나 또는 흡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은 환자가 겪고 있는 불만 또는 질병에 따라 적어도 하루에 한 번, 보다 특히 하루에 여러 번,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간격으로 수행된다.
분무기(1)는 분무될 유체(2)를 수용하는 바람직하게는, 교체 가능한 저장소(3)를 포함하거나 또는 구비하거나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소(3)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도 3에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된다.
분무기(1) 또는 저장소(3)는 분무될 유체(2)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백(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백(4)은 "백(bag)"이라는 용어가 다음에 사용되도록 가요성이거나 또는 접을 수 있다. 그러나, 저장소(3)는 강성 탱크(4)를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백(4)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가스 또는 기포없이 및/또는 임의의 압력 및/또는 추진제없이 유체(2)를 수용한다. 따라서, 유체(2)의 인출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공간적 배향과 무관하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백(4)은 특히 적어도 50 또는 100 및/또는 최대 150 또는 200 또는 그 이상의 용량 단위 또는 용량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다중 용량의 유체(2) 또는 활성 물질을 수용하여, 적어도 100 및/또는 최대 200의 스프레이 또는 적용을 허용한다. 저장소(3) 또는 백(4)은 바람직하게는, 30ml 초과 또는 약 40ml 내지 100ml의 (최대) 용적을 유지한다.
또한, 저장소(3) 또는 백(4)에 포함된 용량의 수 및/또는 저장소(3) 또는 백(4)에 포함된 유체(2)의 총 용적은 유체(2) 또는 각각의 약제에 따라 및/또는 저장소(3) 또는 백(4)에 따라 및/또는 필요한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는 분무기(1)의 한 번의 작동/사용 내에/한 번의 스프레이/에어로졸 전달/분배 내에 유체(2)의 1 내지 100 마이크로리터의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마이크로리터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분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백(4)은 교체 또는 교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분무기(1)의 총 사용 횟수, 따라서 동일한 분무기(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저장소(3) 또는 백(4)의 수가 예를 들어, 총 개수가 4, 5 또는 6개의 저장소(5)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O 2012/162305 A1은 동일한 분무기(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저장소(3) 또는 백(4)의 총 개수에 대한 이러한 제한을 추가로 개시하고 있다.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백(4)을 분무기(1)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굽힘가능성/내꼬임성 유체 연결부(5) 및/또는 커넥터(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및/또는 캡형이다.
특히, 저장소(3)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회전 대칭이고 및/또는 중심/주요 축(R)을 포함한다.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은 강성 및/또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및/또는 캡형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은 저장소(3)의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특히, 하우징 부분(7)은 분무기(1)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하우징 부분(7)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회전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축(R)은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을 통해 중심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의 길이방향/회전 축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백(4)은 하우징 부분(7)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배치되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에 의해 특히 이동할 수 없는 방식으로 유지된다.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및/또는 세장형 또는 /길이방향이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주요/중심/길이방향 축(N)을 포함하고, 특히 분무기(1)의 중심축(N)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소(3)의 중심축(R)에 대응하거나 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에 평행하고 및/또는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다[도 11은 예를 들어, 분무기를 도시하고, 저장소(3)의 중심축(R)은 분무기(1)의 중심축(N)으로부터 평행하게/방사상으로 이격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에 특히 분리 가능한 방식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 가능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분무기(1)는 유체(2)를, 특히 미리 설정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용량으로 운반 및 분무하기 위한 전달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압력 발생기 또는 유체 펌프(8)를 포함한다.
특히, 압력 발생기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를 코킹 또는 인장할 때 저장소(3) 또는 그 백(4)으로부터 유체(2), 즉 일정 용량의 유체(2)를 인출 또는 흡입한다. 그 후, 인출된 유체(2) 또는 용량의 유체(2)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또는 분무 공정 후 제 2 단계(분배 단계)에서 분배되고, 특히 가압 및/또는 분무된다.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를 저장소(3), 백(4), 유체 연결부(5) 또는 커넥터(6) 및/또는 유체 연결하기 위한 및/또는 유체(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요소(9), 여기서는 운반 튜브, 모세관 등을 포함한다.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를 펌핑 및/또는 분무하기 위한, 특히 에어로졸(A)로서의 각각의 유체 용량을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의 마우스피스(13) 내로 분무하기 위한 역류 방지 밸브(10), 압력 챔버(11) 및/또는 노즐(12)을 포함한다.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운반 요소(9)에 유체 연결될 때 커넥터(6)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홀더(14)를 포함한다. 특히, 홀더(14)는 운반 요소(9)에 또는 운반 요소와 또는 반대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운반 요소(9)는 특히 유체(2)를 운반 또는 펌핑하기 위해 분무기(1)를 사용할 때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상하 또는 왕복운동 방식으로, 특히 홀더(14)와 함께 및/또는 분무기(1)에 대해 및/또는 분무기(1) 내에 및/또는 특히 백(4), 저장소(3)에 대해 또는 저장소 내에서 축방향으로 및/또는 이동가능하다.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또는 펌핑하기 위해, 특히 유체(2)를 압력 챔버(11) 내로 용량으로 흡입하기 위해 및/또는 유체(2)의 각 용량을 가압 또는 배출하기 위해 여기서는 구동 스프링(15)으로서 실현되는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수동 작동 또는 감압을 위한 버튼에 특히 연결되거나 또는 버튼을 형성하는 차단 요소(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16)는 인장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여기서는 구동 스프링(15)을 포획 및 차단할 수 있고, 홀더(14) 또는 구동 스프링(15)을 완화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되어서 구동 스프링(15)이 펌핑 또는 분무를 위해 팽창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18)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과 함께 회전 가능한 내부 부분(1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은 구동 스프링(15), 홀더(14), 커넥터(6) 및/또는 운반 요소(9)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방사상으로 둘러싸고/봉입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은 중공 실린더로서 구현된다.
분무기(1)의 하우징(18)은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의 상부 및/또는 마우스피스(13)를 형성하고 및/또는 마우스피스(1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8)은 분무기(1)의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내부 부분(17)을 둘러싸거나 또는 봉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은 특히 분리 가능한 방식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18)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 부분(17)에 연결되고/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은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18)/내부 부분(17)에 견고하게/고정적으로 연결되고/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18)/내부 부분(17)에 의해 축방향, 방사상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특히,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은 토크가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으로부터 분무기(1) 특히 내부 부분(17)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분무기(1) 또는 하우징(18)에 대한 저장소(3)의 회전으로 인해 하우징(18)에 대한 내부 부분(17)의 회전이 발생하도록,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18)/내부 부분(17)에 연결되고/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 특히 내부 부분(17) 및/또는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은 저장소(3)가 분무기(1),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9)를 통해 분무기(1)에 스냅 및/또는 로킹될 수 있다.
분무기(1), 홀더(14) 및/또는 보유 요소(들)(19)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가 해제되거나 또는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무기(1) 또는 그 내부 부분(17)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9)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9) 등은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 등에 의해 위치하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는 분무기(1)에 부착 가능하거나 또는 형태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축방향) 분리에 대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분무기(1)의 하우징(18)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분무기(1) 또는 분무기(1)의 외부 쉘 또는 하우징(18)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연장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은 분배 단부 또는 마우스피스(13)의 반대편의 단부에서 분무기(1) 또는 내부 부분(17)에 배치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캡형 또는 하부 하우징 부분을 형성하고 및/또는 분무기(1) 또는 내부 부분(17) 또는 구동 스프링(15)의 하부 자유 단부 부분 주위 또는 위에 끼워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의 분배 단부 또는 마우스피스(13)의 반대편에 있는 분무기(1)의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저장소(3)가 분무기(1)에 부착될 때, 홀더(14)는 바람직하게는, 운반 요소(9)가 저장소(3), 백(4) 또는 커넥터(6)를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에 유체 연결하도록 커넥터(6)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가 분무기(1)에 부착될 때, 하우징(18)/내부 부분(17)은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운반 요소(9)는 특히 저장소(3)를 분무기(1), 즉 유체 펌프(8)에 유체 연결하기 위해, 특히 폐쇄부 또는 격막(20) 등을 통해 커넥터(6)를 관통하거나 또는 침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와 분무기(1), 특히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 사이의 유체 연결은 커넥터(6)를 분무기(1), 특히 압력 발생기/유체 펌프(8) 및/또는 운반 요소(9)에 연결함으로써 확립된다.
특히, 저장소(3)와 분무기(1)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을 분무기(1)의 하우징(18)/내부 부분(17)에 연결함으로써 추가로 확립된다.
구동 스프링(15)이 인장 공정에서 또는 코킹 중에 축방향으로 인장될 때, 홀더(14)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및 운반 요소(9)와 함께 축방향으로(즉 도면에서 하향으로) 이동되고 유체(2)는 역류 방지 밸브(10)를 통해 백(4)으로부터 유체 펌프(8) 또는 그 압력 챔버(11) 내로 인출 또는 흡인된다.
이 인장 공정 동안, 노즐(12)은 챔버(11)의 원하는 충전이 달성되도록 높은 유동 저항을 갖는 스로틀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위치에서, 홀더(14)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15)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차단 요소(16)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분무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 또는 인장 상태에 있게 된다.
분배 또는 분무 공정에서의 후속 완화 중에, 즉 차단 요소(16)의 작동 또는 가압 후에, 압력 챔버(11) 내의 유체(2)는 현재 폐쇄된 역류 방지 밸브(10)를 갖는 운반 요소(9)가 이제 가압 램 또는 피스톤으로서 작용하는 구동 스프링(15)의 이완 또는 힘에 의해 압력 챔버(11)를 향해(즉, 도면에서 상향으로) 뒤로 이동할 때 압력을 받는다. 이 압력은 노즐(12)을 통해 유체(2)를 압송하고, 이때 유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A) 내로 분무되어 분배된다.
일반적으로, 분무기(1)는 유체(2) 상에서 5 내지 300 MP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MPa의 스프링 압력으로 및/또는 1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의 행정 당 전달되는 유체(2)의 용적으로 작동한다.
유체(2)는 그 방울이 최대 20 μ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μm의 공기 역학적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A)로 변환되거나 또는 분무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제트 스프레이는 20 ° 내지 160 °,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00 °의 각도를 갖는다. 이들 값은 또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분무기(1)에 특히 바람직한 값으로 적용된다.
사용자 또는 환자(미도시)는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공기 공급 개방부(미도시)를 통해 마우스피스(13) 내로 흡인되는 동안 에어로졸(A)을 흡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 또는 구동 스프링(15)은 특히 작동 부재의 수동 작동 또는 회전에 의해,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 저장소(3)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를 특히 분무기(1)의 하우징(18)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작동 또는 인장 또는 로딩될 수 있다.
작동 부재,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 또는 저장소(3)는 작동될 수 있고, 여기에서는 하우징(18)에 대해 회전되어서 이를 지탱하거나 또는 내부 부분(17)을 구동시킬 수 있다.
내부 부분(17)은 바람직하게는, 기어 또는 변속기(미도시)에 작용하여 축방향 운동에서 회전을 변형시킨다. 결과적으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 스프링(15)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과 홀더(14) 사이에 형성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홀더(14)에 작용하는 기어 또는 변속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된다.
인장 동안 커넥터(6) 및 홀더(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도면에서 하방으로 축방향으로 및/또는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을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 또는 인장 상태에서, 구동 스프링(15)은 차단 요소(16)에 의해 고정거나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분무 공정 동안, 컨테이너(3)는 구동 스프링(15)(의 힘)에 의해 원래 위치(도 1에 도시된 비인장 위치 또는 상태)로 다시 이동된다. 따라서, 운반 요소(9)는 인장 공정 동안 및 분무 공정 동안 리프팅 또는 행정 또는 왕복운동을 실행한다.
저장소(3)가 분무기(1)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때, 백(4) 또는 유체 연결부(5) 또는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또는 동시에 유체 펌프(8) 또는 운반 요소(9)에 유체 연결된다. 그러나, 분무기(1) 또는 운반 요소(9)에 대한 저장소(3) 또는 커넥터(6)의 유체 연결은 나중에 제 1 인장에 의해 또는 제 1 인장으로, 즉 저장소(3) 또는 커넥터(6)를 향해 또는 안으로의 홀더(14) 및/또는 운반 요소(9)의 이동이 실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경우 모두에 대해, 분무기(1) 및/또는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유체 연결이 보장되거나 또는 용이해질 수 있도록 커넥터(6)를 유지 및/또는 안내하기 위한 유지 장치(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소(3) 또는 그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21)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는 운반 요소(9) 및/또는 홀더(14)와 함께 축방향 및/또는 왕복운동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특히, 적어도 운반 요소(9) 및 홀더(14)와 커넥터(6)의 기계적 및 유체 연결 후 및/또는 분무기(1)의 정상적인 사용 중에] 유지된다.
저장소(3) 또는 유지 장치(21)는 분무기(1)가 비인장 상태에 있고 및/또는 홀더(14)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3)로부터 떨어진 축방향 단부 위치에 있더라도 저장소(3)를 분무기(1)에 기계적으로 연결할 때 커넥터(6)가 분무기(1) 또는 운반 요소(9)와의 직접적인 유체 연결을 보장하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가 상부 위치에서 편향되거나 또는 유지되도록 적응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소(3)는 여기서는 상부 위치에서 또는 운반 요소(9) 또는 유체 펌프(8)를 향하여 또는 유체(2)를 분무하기 위한 펌핑 방향으로 커넥터(6)를 유지, 배치 및/또는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특히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서 형성된 편향 장치(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장치(22)는 편향 장치(22)가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15)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가압 행정 또는 구동 스프링(15)을 지지할 수 있고 및/또는 운반 요소(9)를 커넥터(6)와 연결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유지 장치(21)는 편향 장치(22)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반대일 수 있다.
유지 장치(21)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가이드를 형성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단부 위치들을 형성하고, 상기 축방향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커넥터(6)가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21)는 커넥터(6)가 행정으로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구성되며, 그 행정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공정 동안 및/또는 분무 공정 동안 운반 요소(9) 및/또는 홀더(14)의 행정 길이로 제한된다.
특히, 유지 장치(21)는 커넥터(6)를 원주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유지 및/또는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커넥터(6)는 제 1 또는 전달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유지되고, 기계적 및/또는 유체 연결 후에는 인장 및 분무 행정 중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제된다. 이 초기 유지는 유지 장치(21) 및/또는 추가 고정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커넥터(6)는 강제 끼워맞춤 또는 형태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커넥터(6)가 유지 장치(21) 및/또는 하우징 부분(7)에 (일정하게) 견고하게/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분무기(1)를 인장/작동시킬 때 운반 요소(9)가 커넥터(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적 해결방안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에는 처음 사용하기 전에 특히 격막(20) 또는 저장소(3)에 포함된 유체(2)의 액체 밀봉, 특히 기밀 밀봉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폐쇄부에 추가하여 밀봉부 또는 커버(23)가 제공된다. 커버(23)는 포일, 특히 금속 포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커버(23)는 처음 사용하기 전에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저장소(3)를 분무기(1)에 연결할 때 운반 요소(9)에 의해 직접 개방되거나 또는 관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분무기(1) 또는 내부 부분(17) 및/또는 에너지 저장부/구동부/구동 스프링(15)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축방향 단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환형/링형 공간 또는 리셉터클(2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24)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중심 부분(25) 및/또는 내부 부분(26), 특히 하우징 부분(7)에 의해 또는 그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부분(25)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유지 장치(21) 및/또는 편향 장치(22)를 둘러싸거나 또는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26)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중심 부분(25), 유지 장치(21) 및/또는 편향 장치(22)를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26)은 리셉터클(24)이 부분들(25 및 26) 사이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링형이 되도록 중심 부분(2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다.
리셉터클(24)은 바람직하게는, 부분들(25, 26)을 상호 연결하고 및/또는 리셉터클(24)의 축방향 단부 또는 바닥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단부 부분(27)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되거나 또는 폐쇄된다.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백(4)을 수용하기 위한 특히 환형/링형 공간(28)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간(28)은 하우징 부분(7)(외부 쉘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벽)과 내부 부분(26) 사이에 형성된다.
공간(28)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환형 또는 링형이다.
공간(28)은 리셉터클(24), 유지 장치(21) 및/또는 편향 장치(22)를 특히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간(28)은 리셉터클(24), 유지 장치(21) 및/또는 편향 장치(22) 주위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환형 또는 링 형태로 연장된다.
공간(28)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유지 장치(21), 편향 장치(22), 리셉터클(24),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 스프링(15) 및/또는 내부 부분(17)의 방사상 연장부보다 큰 방사상 거리에 배치된다.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의 외부 또는 원주방향 쉘을 축방향으로 한정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단부면, 축방향 단부 또는 바닥부(29)을 포함한다.
저장소(3), 하우징 부분(7), 편향 장치(22) 또는 중심 부분(25)은 바람직하게는, 편향 장치(22)의 스프링의 일 단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톱(30)을 포함한다. 스톱(30)은 중심 부분(25) 등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를 홀더(14) 또는 운반 요소(9) 또는 유체 펌프(8)를 향해 축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커넥터(6)에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방사상"및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의 주요 축 또는 중심축(N) 및/또는 저장소(3)의 주요 축 또는 중심축(R)에 관한 것이고, 이들은 왕복운동에 의해서 분무기(1) 및/또는 저장소(3)의 주요 길이방향 연장 및/또는 분무의 주요 방향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소(3), 유지 장치(21) 또는 중심 부분(25)은 바람직하게는, 노우즈 등과 같은 결합 요소(31)를 포함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가 2 개의 축방향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커넥터(6)에서 또는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 축방향 슬릿과 같은 리세스(32) 내로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21)는 이러한 결합 또는 축방향 안내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공한다.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헤드(33), 샤프트(34) 및/또는 (축방향) 단부(35)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단부(35)는 유지 장치(21) 내에 배치 및/또는 안내된다.
커넥터(6) 또는 그 샤프트(34)는 바람직하게는, 중공형이고 및/또는 유체 연결 상태에서 한편으로는 백(4) 또는 유체 연결부(5)와 유체 펌프(8)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유체 펌프(8) 또는 운반 요소(9) 사이에 축방향 유체 연결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백(4), 유체 연결부(5) 또는 커넥터(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될 상이한 유체(2)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3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혼합 챔버(36)는 커넥터(6) 또는 그 샤프트(34)에 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백(4), 유체 연결부(5) 또는 커넥터(6)는 유체(2)를 유체 펌프(8) 또는 운반 요소(9)로 또는 안으로 배출하기 전에 유체(2)를 여과하기 위한 선택적인 필터(37)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37)는 바람직하게는, 필터(37)로 들어가기 전에 유체(2)를 늦추도록 구성되는 커넥터(6) 또는 그 샤프트(34) 및/또는 혼합 챔버(36) 하류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필터(37)는 임의의 가스 기포가 보유될 수 있도록 에어 트랩 및/또는 소수성이다.
저장소(3)가 분무기(1)와 연결될 때,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스냅 암(snap arm) 등을 통해 홀더(14)에 의해 유지된다. 연결된 상태에서, 운반 요소(9)는 저장소(3) 또는 백(4)이 유체 연결부(5), 커넥터(6), 선택적 혼합 챔버(36), 선택적 필터(37) 및/또는 중공 샤프트(34)를 통해서 운반 요소(9) 및 따라서 압력 발생기 또는 유체 펌프(8)로 유체 연결되도록 밀봉부 또는 커버(23) 및/또는 격막(20)을 개방 또는 천공하였다.
백(4)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 또는 외부 쉘 및/또는 공간(28) 내에서 환형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백(4)은 주요 연장부, 즉 여기서 원주방향으로 및/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 주위 및/또는 분무기(1)의 중심축(N) 주위에서 만곡/구부러진 다.
바람직하게는, 백(4)의 환형 또는 원주방향 연장부는 저장소(3) 또는 그 축방향 연장부 및/또는 하우징 부분(7)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유체(2)가 유체 펌프(8)로 인출되거나 또는 전달될 때 백(4)이 접혀진다. 그러나, 탱크 또는 백(4)은 강성, 반강성 또는 접을 수 없지만 통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소(3) 또는 백(4)은 압력 하에서, 특히 유체 인출 동안 영구적으로 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설정될 수 있으며, 행정형 운동은 밸브를 개방 또는 제어하고 및/또는 특히 WO 2010/094305 A1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저장소(3)/백(4)으로부터 한 용량의 유체(2)의 분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운반 요소(9)를 커넥터(6)에 대해 또는 커넥터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4)의 접힘은 압력을 가하고 및/또는 백(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구성요소와 같은 각각의 장치 또는 구성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 펌프(8)에 의한 백(4)으로부터의 한 용량의 유체(2)의 인출은 지지되거나 또는 촉진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백(4)은 저장소(3)가 새로운 백(4)과 함께 재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 후에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백(4)과 함께 저장소(3)가 단일 사용만을 위한 것이 또한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백(4)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가스 또는 기포없이 및/또는 임의의 압력 및/또는 추진제없이 유체(2)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레벨은 외부로부터[특히 탱크 또는 백(4)이 강성 또는 반 강성인 경우] 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4)이 접혀질 수 있을 때 백(4)의 변형 또는 접혀짐에 의해 저장소(3)의 충전 레벨이 간접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충전 레벨을 점검하거나 또는 나타내기 위해,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각각의 윈도우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탱크 또는 백(4)은 특히 탱크 또는 백(4)이 강성 또는 반 강성인 경우, 저장소(3) 및/또는 하우징 부분(7)의 외부 쉘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밸브, 반투과성 막, 필터 등에 의해 각각의 통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저장소(3)에는 연결 전에 분무기(1)에 대해 한정된 배향, 백(4)에 포함된 유체(2)(의약)의 유형을 표시하기 위한 코딩, 라벨, 용량 인디케이터 및/또는 등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연결부(5)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굽힘성이다.
특히, 그 가요성으로 인해, 유체 연결부(5)는 백(4)에 대한 커넥터(6)의 축방향 이동으로부터 및/또는 커넥터(6)가 왕복운동할 때에도 커넥터(6)와 백(4) 사이의 유체 연결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부(5)는 특히 유체 연결부(5)가 구부러지지 않을 때 꼬임없이 및/또는 유체 연결부(5)의 내경을 내경의 10% 초과만큼 감소시키지 않고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부(5)는 가요성 튜브(5A)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5A)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특히 부틸 고무 및/또는 (가요성)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등으로 제조된다. 다른 적합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연결부(5) 또는 가요성 튜브(5A)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가스 기포 또는 거품의 형성을 피하거나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0.4 내지 1.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부(5) 또는 가요성 튜브(5A)는 오버헤드 배향에서 백(4) 내의 임의의 작은 가스 기포가 유체 연결부(5) 및 연결된 유체 펌프(8) 내로 흡인되지 않도록 특히 수 밀리미터 또는 적어도 1cm 이상 연장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튜브(5A), 특히 그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는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백(5)에 적층된다.
가요성 유체 연결부(5)는 탱크 또는 백(4)의 임의의 또는 각각의 축방향 이동없이 유체 펌프(8) 또는 그 피스톤/운반 요소(9)의 행정형 이동 또는 왕복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각 행정 동안 이동할 총 질량이 최소화된다. 이는 요구되는 또는 작용력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고 및/또는 유체(2)의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계량을 지원하여 모든 용량이 저장소(3) 또는 백(4)의 충전 레벨과 적어도 일정하고 독립되도록 한다.
분무기(1) 또는 구동 스프링(15)을 인장시키기 위해,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8)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수동 조작 및/또는 직관적인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에는 만입부 또는 돌출부와 같은 그립부 및/또는 화살표 등과 같은 표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커넥터(6)는 하우징 부분(7)의 고정 또는 형성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및/또는 O-링과 같은 밀봉부를 포함하며, 이는 이동 가능한 운반 요소에 대해 밀봉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저장소(3)/커넥터(6)를 밀봉하기 위해 그리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만들어진 보호 캡에 의해 덮일 수 있는,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플러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하기 위해, 캡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그 후, 저장소(3)는 분무기(1)에 연결되고 운반 요소(9)는 플러그를 관통한다. 이 플러그는 또한 운반 요소(9)의 행정 이동 동안 밀봉 역할을 한다. 고정 커넥터(6)를 제시한 실시예가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른 변형(미도시)에 따르면, 저장소(3) 또는 탱크/백(4)은 유체 펌프(8) 또는 펌프/압력 챔버(11) 주위 및/또는 유체 펌프(8) 및/또는 그의 펌프/압력 챔버(11)의 높이 또는 축방향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서, 저장소(3)로부터의 한 용량의 유체(2)를 유체 펌프(8) 또는 그의 펌프/압력 챔버(11) 내로 흡입하기 위해 매우 낮은 압력 차이 만이 필요한다. 이것은 일정한 용적의 용량으로 매우 정확한 계량을 촉진하거나 또는 보장한다. 또한, 이것은 프라이밍, 즉 처음 사용하기 전에 분무기(1)를 준비하기 위한, 특히 유체(2)에 의해 유체 시스템 내의 임의의 공기를 대체하기 위한 다중 펌핑 공정(인장 행정 및 분무 행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저장소(3)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단지 관련 차이점 또는 새로운 양태/특징이 기술되거나 또는 강조되며, 상기 설명 및 기술은 반복 없이도 추가로 또는 대응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용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따른 저장소(3)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또는 여러개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분무기(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개략 단면도로서 저장소(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후퇴 위치, 특히 인장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커넥터(6)를 갖는 저장소(3)를 도시한 반면, 도 3은 특히 분무기(1)의 비 인장 상태에서의 축 위치에 대응하는 돌출 위치에 있는 커넥터(6)를 도시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유체(2A 및 2B)를 갖는 다수, 특히 2 개의 백(4A 및 4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백(4A, 4B)은 개별 가요성 유체 연결부(5A, 5B)를 통해 혼합 챔버(36) 및/또는 공통 커넥터(6)에 유체 연결된다. 따라서, 상이한 액체(2A 및 2B)는 사용 직전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안정하지 않은 유체(2A, 2B)의 혼합물의 분무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백(4)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유체(2A 및 2B)를 갖는 복수의, 여기서 2 개의 개별 격실(4A 및 4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 각각의 격실(4A 및 4B)은 개별 가요성 유체 연결부(5)를 통해 혼합 챔버(36) 또는 커넥터(6) 또는 운반 요소(9)에 유체 연결된다. 따라서, 개별 백(4A, 4B)의 경우와 유사한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다중 격실을 갖는 백(4)의 실시예는 도 13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체(2A 및 2B)는 저장소(3) 또는 커넥터(6)에서 혼합된다. 그러나,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에서 상이한 유체(2A, 2B)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커넥터(6)는 상이한 유체 연결부(5A, 5B) 또는 상이한 유체(2A, 2B)를 위한 개별 유체 포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공통 운반 요소(9)를 통해 이들 포트를 2 개의 개별 유체 라인에 유체 연결하거나 또는 2 개의 개별 운반 요소(9)를 통해 유체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유체(2A, 2B) 및/또는 개별 백/격실들(4A, 4B) 및/또는 유체 연결부(5A, 5B)에 대해 밸브, 특히 역류 방지 밸브 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어, 상이한 유체(2A 및 2B)가 유체 시스템/연결부(5)/격실 또는 백(4A, 4B) 중 하나에서 혼합될 수 없고 역류할 수 없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소(3) 또는 외부 하우징(7) 및/또는 내부 부분(26)은 저장소(3),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에서 백(4) 또는 백들(4A, 4B)을 유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 등과 같은 유지 요소(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저장소(3)의 추가 실시예를 유사한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 저장소(3)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유체(2) 또는 유체들(2A, 2B)을 예비가압하기 위한 또는 유체(2) 또는 유체들(2A, 2B)을 유체 펌프(8)에 전달 또는 펌핑하기 위한 벨로우즈 등과 같은 펌프 장치(39)를 포함한다.
특히, 펌프 장치(39)는 인장 공정 및 분무 공정 동안 특히 커넥터(6)의 왕복운동 또는 행정형 운동에 의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커넥터(6)의 스트림-업(stream-up)에 위치되고 및/또는 커넥터(6)와 유체 연결되고 및/또는 커넥터(6)를 축방향 위치, 여기서 돌출 또는 상향 위치로 편향시키고 및/또는 혼합 챔버(36)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유지 장치(21), 편향 장치(22) 및/또는 펌프 장치(39)는 저장소(3), 하우징 부분(7), 리셉터클(24), 중심 부분(25), 내부 부분(26) 및/또는 공간(28) 내에 또는 중심에 배치된다. 특히, 분무기(1)의 중심축(N) 및/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은 커넥터(6), 유지 장치(21), 편향 장치(22) 및/또는 펌프 장치(39)를 통해 중심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들도 가능하며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편향 장치(22) 및/또는 유지 장치(21)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형성한다.
펌프 장치(39)를 구비한 저장소(2)에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하나의 단일 백(4), 유체(2) 및/또는 가요성 유체 연결부(5)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펌프 장치(39)에는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펌핑 또는 가압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입구 및/또는 출구 측에 각각의 스로틀 또는 밸브가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지 장치(21)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전달 상태에서 또는 처음 사용하기 전 또는 저장소(3)가 분무기(1)에 연결될 때까지 커넥터(6)를 한정된 위치에 유지한다. 이 한정된 위치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돌출 위치 또는 상방 위치 또는 도 4에 도시된 인출 또는 후퇴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유지는 형태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 또는 미리 결정된 파단 점 또는 풀 링키지 등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넥터(6)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인장 위치보다 훨씬 더 전달 상태에서 하우징 부분(7)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장치(21)는 저장소(3)를 처음 연결할 때 극복될 필요가 있는 돌출부(미도시) 또는 저장소(3)를 처음으로 연결하기 전에 분리될 필요가 있는 고정 요소/커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21)는 저장소(3) 또는 커넥터(6)가 분무기(1)에 연결된 후에 커넥터(6)를 해제하고 및/또는 커넥터(6)의 왕복운동을 허용한다.
도 6은 바람직한 구현에 따른 백(4)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백(4)은 (가요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는 다층 구조이고 및/또는 함께 용접되고 및/또는 가요성이고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또는 두 개의 시트(40, 41)가 함께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의 용접 이음매(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6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용접 이음매(42)가 형성된다. 이들 용접 이음매(42)는 시트 재료 또는 시트(40, 41)의 길이방향 측부 또는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백(4)은 파우치형이고 및/또는 본질적으로 또는 비교적 편평하다. 특히, "편평(flat)"이라는 용어는 백(4)이 2 차원의 면적 연장부를 가지며, 이러한 연장부들은 백(4)의 두께보다 5 배 초과, 즉 면적 연장부에 수직하는 백(4)의 연장부 보다 큰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편평"이라는 용어는 백(4)이 그 두께보다 몇 배, 특히 적어도 5 배 더 큰 높이 및/또는 길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백(4)이 저장소(3)에 장착되거나 또는 배치될 때 백(4)의 길이방향 에지 또는 이음매(42)는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7은 백(4)의 가능한 제조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시트 재료 또는 시트들(40, 41)은 위에서 또는 편평한 측으로 도시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 스트라이프 또는 슬랫(slat) 등에 의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용접 이음매(42)에 더하여, 가로방향 용접 이음매(43)는 특히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백(4)이 이들 용접 이음매(43) 또는 분리 라인(S)을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4)은 편평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파우치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백(4) 또는 그 격실에는 특히 각 격실 또는 백(4)의 유체(2)를 안내하기 위해 손가락 사이의 또는 손가락형의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중간 용접 이음매(46)가 제공될 수 있다.
백(4)에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에서 기포가 없이 백(4)을 채우기 위해 및/또는 통기를 위해 입구(44) 및/또는 출구(45)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백(4)에는 바람직하게는, 접착, 용접 등에 의해 출구(45)에 유체 연결되는 튜브(5A)와 같은 관련 가요성 유체 연결부(5)가 제공된다.
가장 바람직한, 유체 연결부(5), 특히 튜브(5A)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는 백(4), 시트(40, 41) 및/또는 이음매(42) 안으로 및/또는 시트(40, 41) 사이에서 용접/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부(5)의 자유 단부에는 폐쇄, 파열 요소, 밸브, 격막 및/또는 연결 요소(47)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출구(45)에는 폐쇄, 파열 요소, 밸브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백(4)을 유체(2)로 충전한 후, 백(4)은 특히 입구(44) 및 출구 측, 즉 출구(45), 유체 연결부(5) 및/또는 연결 요소(47) 또는 를 각각의 폐쇄부 또는 밸브를 폐쇄 또는 밀봉함으로써 폐쇄되거나 또는 밀봉된다.
백(4), 출구(45) 또는 연결 요소(47)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처음 사용하는 동안 예를 들어,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를 코킹할 때, 또는 백(4), 유체 연결부(5) 또는 연결 요소(47)가 커넥터(6)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는 저장소(3)의 간단한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 요소(47)를 수용하거나 또는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47)에는 격막(20)이 제공되고 및/또는 운반 요소(9)가 연결 요소(47)를 개방하거나 또는 침투하거나 또는 연관된 백(4)에 대한 유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종류의 폐쇄를 개방하도록 커넥터(6)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백(4) 또는 시트(40, 41)은 PE, PP, COC, COP, PVC, 유리, PCTFE(ACLAR®) 포일, Surlyn® 포일, PE/AL/PET 등과 같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복합 포일로 제조되고 및/또는 SiO2 등으로 코팅된다.
저장소(3), 백(4) 및/또는 커넥터(6)에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PET, SiO2 등의 살균 및/또는 유체 기밀성 또는 가스 기밀성 배리어, 커버 또는 패키징이 제공될 수 있다. 분무기(1) 또는 그 운반 요소(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운반 요소(9)는 그 자유 단부에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만들어져 살균될 수 있는 커버 또는 플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 운반 요소(9)가 저장소(3) 또는 커넥터(6)에 연결될 때, 운반 요소(9)는 커버/플러그를 관통하여 그것이 운반 요소(9) 위로 다시 밀려진다.
특히 유체(2)가 임의의 방부제/보존제를 수용하지 않는 경우, 운반 요소(9) 및/또는 저장소(3) 또는 커넥터(6)의 살균 보호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저장소(3)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단지 관련 차이점 또는 새로운 양태/특징이 설명되거나 또는 강조되며, 상기 설명 및 기술은 바람직하게는, 반복 없이도 추가로 또는 대응하여 적용된다. 특히,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저장소(3)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분무기(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소(3)는 펌프 장치(3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저장소(3)에 통합된다.
선택적인 펌프 장치(39)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의 인장 동안 유체(2)를 용량으로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특히 저장소(3) 내의 유체(2)를 일시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즉 커넥터(6)가 하우징 부분(7) 및/또는 백(4)에 대해 이동될 때 분무기(1)의 인장 및/또는 유체(2)의 분무, 특히 커넥터(6)의 행정형 운동에 의해 작동된다.
도 5에 도시된 펌프 장치(39)와 대조적으로,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펌프 장치(39)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펌프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백(4) 내의 유체(2)를 가압하고 및/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및/또는 분무기(1)의 인장 동안 및/또는 한 용량의 유체(2)의 인출 동안 백(4)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에 포함된 공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펌프 장치(39)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실린더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특히 그 축방향 단부(35)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피스톤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 특히 유지 장치(21)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실린더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펌프 장치(39)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및 유지 장치(21)에 의해 형성되며, 커넥터(6)는 유지 장치(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및/또는 유지 장치(21)에 의해 원주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안내된다.
선택적으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밀봉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링 등과 같은 밀봉 요소(39A)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39A)는 피스톤에 형성된 홈(39B) 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실린더의 내면 및/또는 피스톤의 외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밀봉하기 위해 실리콘, 그리스 등과 같은 활주제(glide agent)가 제공될 수 있다.
펌프 장치(39)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공기 누설부(39C)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누설부(39C)는 하우징 부분(7) 여기서는 단부 부분(27) 내의 개방부/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누설부(39C)는 공간(28)을 대기/환경에 연결한다.
저장소(3) 또는 그 백(4)으로부터 유체(2)를 인출하거나 또는 흡인한 후에, 분무기(1)는 인장 또는 코킹 상태에 있고 및/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배/분무 준비가 되어 있다.
분무기(1)의 인장 또는 코킹 상태에서,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 내의 공기 압력 및 따라서 백(4) 내의 유체(2)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공기 누설부(39C)로 인해 자동으로 대기에 대해 감소되고 및/또는 보상된다.
펌프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방사상 유격 및/또는 예를 들어, 밀봉부(39A)에서의 각각의 누설 채널 또는 통로에 의해 원하는 누설을 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누설부(39C) 또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선택적인/바람직한 방사상 유격과 같은 임의의 다른 공기 누설부는 흐름 저항이 인장 행정 중에 충분히 높은 공기 압력을 생성하기에 충분히 높고 가압 공기가 하우징 부분(7) 또는 공간(28)으로부터 환경으로의 인장 상태에서 대기로 비교적 빠르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충분히 낮도록 치수가 조절된 스로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화 전에 분무기(1)의 인장 상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 흐름을 피하기 위해 인장 상태에서 공기 압력이 빠르게 감소된다[분무를 개시하기 위해 차단 요소(16)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특히 펌프 장치(39)는 (최대) 공기 압력을 제어 또는 제한하기 위해 및/또는 펌프 장치(39)를 통기시키기 위해 및/또는 펌프 장치(39)에서 임의의 저압(대기압에 대한 음압)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48)를 포함한다. 그러나, 밸브(48)는 선택사항일 뿐이며 생략될 수 있다.
밸브(48)는 바람직하게는, 입구, 덕빌 또는 일방향/체크 밸브를 형성하거나 또는 포함하며 및/또는 발화/분배 동안, 즉, 커넥터(6)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갈 때, 펌프 장치(39)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에서의 임의의 압축상태를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방된다.
선택적으로, 분무기(1), 저장소(3) 및/또는 펌프 장치(39)의 밸브(48) 또는 다른 밸브는 저장소(3) 또는 백(4)의 충전 수준과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백(4) 내의 유체(2)에 작용하는 공기 압력을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초과의 최대 값으로 제어 또는 제한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밸브(48) 및/또는 추가 제어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39)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에서 미리 결정된 또는 원하는 공기 압력에 도달할 때 개방된다. 따라서, 한정된 또는 최대 공기 압력이 저장소(3) 내의 유체(2)를 가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 특히 그 하우징 부분(7) 또는 바닥부(29)는 개방부(49)를 포함하며, 특히 개방부(49)는 공간(28)을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밸브(48)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바닥부(29)에 배치 및/또는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개방부(49)를 덮고 있다. 특히, 공간(28)은 밸브(48)와 개방부(49)를 통해 대기에 (유체) 연결되어 있다.
펌프 장치(39)에 대해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로, 저장소(3)는 특히 유체(2)를 용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하게 및/또는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인장 및/또는 작동과 독립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저장소(3)/백(4) 내의 유체(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2)의 인출은 저장소(3)의 공간적 배향과 독립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장치(50)는 백(4)에 기계적으로 및/또는 직접 작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압 장치(50)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 내에 및/또는 백(4) 바로 옆에 배치된다.
가압 장치(50)는 바람직하게는, 백(4), 즉 편평한 내부 및/또는 외부 측면/표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장치(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특히 판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은 백(4)에 대해 사전인장되고 및/또는 백(4)과 하우징 부분(7) 사이에 배치된다.
저장소(3), 즉 그 하우징 부분(7)이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므로, 가압 장치(50)는 저장소(3)의 주요 연장부 및/또는 축(R) 주위에서 만곡지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내에서 환형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장치(50)는 백(4)의 원주에 걸쳐 만곡/구부러지거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포된 몇몇 스프링 또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압 장치(50)는 백(4)의 외부 편평한 측면/표면에 배치되고 및/또는 백(4)을 향하여 [저장소(3)의 축(R)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나,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고, 가압 장치(50)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백(4)의 내부 편평한 측면/표면에 배치되고 및/또는 백(4)을 향하여 외향으로 [저장소(3)의 축(R)에 대해] 가압된다. 특히, 백(4)은 예를 들어, 가압 장치(50) 예를 들어, 2 개의 스프링들 또는 그의 스프링 요소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핑된다.
이하에서, 분무기(1) 및 저장소(3)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새로운 양태/특징에 대한 관련 차이점만이 기술되거나 또는 강조되며, 상기 설명 또는 기술은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또는 대응하게 반복하지 않아도 적용된다. 특히, 도 9 내지 도 18에 따른 분무기(1) 또는 저장소(3)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하나 또는 여러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소(3), 특히 그 하우징 부분(7)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주요/중심/길이방향 축(R)을 포함한다. 또한, 분무기(1), 특히 그 하우징(18)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세장형/길이방향이고 및/또는 주요/중심/길이방향 축(N)을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1)의 중심축(N)은 도 9 및 도 11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저장소(3)의 중심축(R)으로부터 이격되고 및/또는 방사상으로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저장소(3)의 중심축(R)은 분무기(1)의 중심축(N)에 평행하다.
특히, 저장소(3)는 분무기(1), 특히 내부 부분(17) 또는 하우징(18)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중심축(R)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변위된다.
특히, 하우징 부분(7)의 중심축(R)은 내부 부분(17), 하우징(18) 및/또는 유체 펌프(8)의 중심축(N)으로부터 이격되고 및/또는 방사상으로 변위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유지 장치(21), 편향 장치(22) 및/또는 리셉터클(24)은 특히 하우징 부분(7) 및/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과 관련하여 저장소(3) 내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및/또는 점선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기(1), 특히 유체 펌프(8), 운반 요소(9), 홀더(14), 구동 스프링(15), 내부 부분(17) 및/또는 하우징(18)의 중심축(N)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특히, 커넥터(6), 유지 장치(21), 편향 장치(22) 및/또는 리셉터클(24)은 분무기(1)의 유체 펌프(8), 운반 요소(9) 및/또는 홀더(14)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저장소(3) 내에서 커넥터(6)의 편심 배치로 인해,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 내에 백(4)을 편심 배치하고 및/또는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을 분무기(1), 특히 그 내부 부분(17) 및/또는 하우징(18)에 대해서 편심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소(3)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분무기(1)의 중심축(N)과 저장소(3)의 중심축(R) 사이의 방사상 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레버로 인해 저장소(3)의 수동 회전이 촉진된다.
분무기(1) 또는 저장소(3)는 저장소(3) 또는 백(4)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및/또는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바닥부(29)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도 9와 10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제 1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29)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에 직접 및/또는 견고하게 고정/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장치(51) 및 하우징 부분(7)은 형태 끼워맞춤, 스냅 끼워맞춤 및/또는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인디케이터 하우징(52)을 포함하고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인디케이터 하우징(52)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원주 벽에 윈도우(53)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저장소(3) 또는 백(4)으로 이미 수행되었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표시하는 관련 마킹(54)은 사용자 또는 환자를 위한 윈도우(53)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도 12는 저장소(3)의 부분 섹션을 도시하고, 인디케이터 장치(51)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서 사용될 것이다.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의 인덱싱을 위한 및/또는 인디케이터 요소(55)의 인덱싱을 유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요소(55), 관련 작동 요소(56) 및/또는 변속 기어(57)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56)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인덱싱하도록 구성된다.
"인덱싱"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가 특히 저장소(3)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및/또는 표시하기 위해 증분 또는 단계식으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 요소(56)가 변속기(57)를 통해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구동시키도록 간접 작동 또는 구동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 구동부(60) 및/또는 작동 요소(56)의 축방향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변속기(57)에 의해 인디케이터 하우징(52)에 대한 인디케이터 요소(55)의 회전 이동으로 변환된다. 다시 말해, 변속기(57)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56)의 이동을 인디케이터 요소(55)의 이동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변속기(57)는 바람직하게는, 샤프트(57A)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샤프트(57A), 즉 그 회전축은 저장소(3)의 중심축(R)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인디케이터 하우징(52)을 통해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변속기(57)는 바람직하게는, 제 1 기어 휠(57B) 및 제 2 기어 휠(57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기어 휠(57B)은 작동 요소(56)와 상호 작용하고 및/또는 제 2 기어 휠(57C)은 인디케이터 요소(55)와 상호 작용한다.
작동 요소(56)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 주위의 변속기(57)의 회전을 유발하며,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은 작동 요소(56)의 이동 방향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직이다.
변속기(57)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하우징(52)에 의해, 특히 적어도 2 개의 베어링 섹션(5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섹션(58)은 인디케이터 하우징(52)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섹션(58)은 변속기(57)의 샤프트(57A)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변속기(57), 특히 그 샤프트(57A)의 임의의 역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ratchet)(57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래칫(57D)은 인터록 및 인터록에 맞물리는 암(미도시)에 의해 형성된다.
인디케이터 하우징(52)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중심축(R)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지지한다.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작동 요소(56)를 바람직한 방향, 도면 상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및/또는 인디케이터 요소(55)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스프링(59)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요소(55)는 바람직하게는, 환형이고 및/또는 링으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는 환형 기어로 구현되고 및/또는 기어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기어링은 변속기(57)의 제 2 휠(57C)과 상호 작용한다.
분무기(1) 또는 저장소(3), 특히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장치(51), 특히 작동 요소(5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60)는 하우징 부분(7) 내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및/또는 편심으로 배치된 암으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60)는 하우징 부분(7)에 의해/내부에서 유지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 특히 유지 장치(21)는 커넥터(6), 특히 구동부(60)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편심 선형 안내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선형 안내부는 유지 장치(21) 또는 하우징 부분(7)의 길이방향 홈에 의해 형성된다. 분무기(1), 특히 내부 부분(17) 또는 하우징(18)에 대한 저장소(3)의 편심 배치로 인해, 커넥터(6)와 하우징 부분(7) 사이의 짧은 (방사상) 거리만이 구동부(60) 및/또는 선형 안내부에 의해 가교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동안 커넥터(6)의 이동 및 그에 따른 구동부(60)의 이동은 작동 요소(56)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며, 이는 결국 변속기(57)의 회전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변속기(57)를 통한 인디케이터 요소(55)의 회전을 유발한다.
다시 말해서, 저장소(3) 내에서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백(4)에 대한 커넥터(6)의 이동은 인디케이터 장치(51)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촉발시키고 및/또는 계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56)와 구동부(60)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부분으로 구현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동부(60)는 특히 인장 공정의 끝에서 및/또는 커넥터(6) 및/또는 구동부(6)의 축방향 이동의 일부 만이 작동 요소(56)에 전달되도록 작동 요소(56)에 단지 일시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특히 작동 요소(56)와 구동부(6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스프링(59)은 작동 요소(56)를 제 1 위치로 편향시킨다. 작동 요소(56)는 인디케이터 장치(51), 특히 인디케이터 요소(55)의 작동을 위해 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56)는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인덱싱하기 위해, 특히 인디케이터 요소(55)를 각각 구동시키도록 변속기(57)를 한 방향으로 증분 회전시키기 위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변속기(57)의 임의의 회전이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의 감소된 회전으로 변환될 때, 그에 따라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의 작동 요소(56)의 모든 이동은 인디케이터 요소(55)의 이동을 초래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56)는 축방향으로, 특히 저장소(3)의 중심축(R) 또는 분무기(1)의 중심축(N) 및/또는 커넥터(6)의 행정 운동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분무기(1) 또는 저장소(3)의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29)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다른 축방향 단부 및/또는 상단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특히, 커넥터(6) 및/또는 그 출구는 인디케이터 장치(51)에 의해 형성된 축방향 단부 또는 바닥부의 반대편의 축방향 단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따라서, 저장소(3)의 구성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에 의해 저장소(3)의 상단부으로부터 인디케이터 장치(5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4), 유체 연결부(5) 및 커넥터(6)를 도시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백(4)은 바람직하게는, 다중의 (분리된) 격실들(4A, 4B, 4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격실(4A-4C)은 특히 저장소(3)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특히, 격실들(4A-4C)은 도 13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수직 이음매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격실(4A-4C)은 서로 유체 연결된다. 특히, 유체 연결부(5)는 격실(4A-4C)을 위한 조인트 출구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모든 격실(4A-4C)을 커넥터(6) 및/또는 운반 요소(9)(도 13 내지 15에 미도시)와 유체 연결한다.
특히, 격실(4A-4C)은 대응하는 유체 채널에 의해 서로 유체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부(5)는 백(4)의 중심 및/또는 백(4)의 중간에 배치된 격실(4B)과 유체 연결되고 및/또는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격실(4A-4C)은 특히 U 자형 방식으로 및/또는 백(4)이 도 14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6) 및/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을 적어도 본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각이지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특히, 격실(4A-4C)은 각각의 격실(4A-4C)이 상이한 측면에서 커넥터(6)를 덮거나 또는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4)은 격실(4A-4C)을 서로 분리하는 이음매에서 구부러지거고/각이지고/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인접한 격실(4A-4C)에 의해 둘러싸인 각도는 특히 위에서 및/또는 저장소(3)의 중심축(R)의 방향으로 볼 때 45 °또는 60 °초과, 특히 90 ° 또는 120 ° 초과, 및/또는 180 °또는 160 °미만이다.
본 실시예에서, 백(4)은 3 개의 격실(4A-4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격실(4A-4C)은 90 °초과 및/또는 120 °미만의 각도만큼 서로를 향해 각도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백(4)이 3 개 초과, 특히 4 개 또는 5 개의 격실(4A-4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격실(4A-4C)이 120 °초과 또는 160 °미만의 각도만큼 서로에 대해 각도 형성되는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이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미도시)에서, 저장소(3)는 프리즘 형태 및/또는 백(4)의 각형에 따른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 연결부(5)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튜브(5A)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튜브(5A)는 커넥터(6)를 백(4), 특히 그 격실(4A-4C)과 유체 연결한다.
도 1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연결부(5)는 바람직하게는, 커버(5B)를 포함하고, 특히 커버(5B)는 전체 길이 및/또는 전체 원주를 따라 튜브(5A)를 커버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5B)는 백(4)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커버(5B)는 튜브(5A)를 백(4) 안으로 및/또는 시트(40, 41) 사이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5A)의 축방향 단부는 커넥터(6)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5B)는 커넥터(6)의 축방향 단부와 중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6)의 축방향 단부는 백(5) 및/또는 커버(5B) 안으로 적층된다.
특히, 커버(5B)는 튜브(5A)와 커넥터(6) 사이 및/또는 튜브(5A) 및/또는 백(4) 또는 그 격실(4A-4C) 사이에 밀봉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6A), 운반 요소(9)를 위한 포트(6B), 유체 연결부(5)를 위한 어댑터(6C) 및/또는 커넥터(6)와 운반 요소(9) 사이의 유체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6D)를 포함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4), 유체 연결부(5) 및 커넥터(6)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6)는 유지 장치(21)(미도시) 및/또는 하우징 부분(7)(미도시), 특히 그 바닥부에 견고하게/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넥터(6)는 분무기(1)에 대한 저장소(3) 또는 하우징 부분(7)의 회전, 특히 내부 부분(17) 또는 하우징(18)의 회전이 커넥터(6)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하우징 부분(7)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6)는 저장소(3)의 바닥부(29)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스탠드 파이프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하우징(6A)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및/또는 길이방향이고 및/또는 바닥부(29)로부터 저장소(3)의 상단부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6A)은 저장소(3)의 바닥부(29) 또는 하우징 부분(7)에 견고하게 부착된 커넥터(6)의 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6A)은 하우징 부분(6A)을 통해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포트(6B)는 바람직하게는, 운반 요소(9)(미도시)를 밀봉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운반 요소(9)는 도 18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포트(6B)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및/또는 밀봉부(6D)에 의해 방사상으로 밀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6D)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6A) 및/또는 포트(6B)에 삽입되는 인서트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포트(6B)는 커넥터(6)의 축방향 단부 또는 상단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어댑터(6C)는 바람직하게는, 백(4)과 커넥터 하우징(6A) 사이에 (견고한) 유체 연결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특히, 어댑터(6C)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체 채널은 하우징 부분(7) 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어댑터(6C)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백(4) 및/또는 그 격실(4A-AC) 중 하나에 부착 및/또는 삽입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6A), 포트(6B), 어댑터(6C) 및/또는 밀봉부(6D)는 개별 부품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6A), 포트(6B), 어댑터(6C) 및/또는 밀봉부(6D)가 일체형 및/또는 한 부재로 형성되는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7)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및/또는 백(4)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분무기(1)의 인장 및/또는 작동 중에, 운반 요소(9) 및/또는 홀더(14)는 커넥터(6)에 대해 이동한다. 이는 왕복 운반 요소(9)와 함께 이동될 질량의 추가 최소화를 허용하고, 따라서 쉬운 작동 및 최적화된 계량 또는 컴팩트한 구조를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14)(미도시)는 인디케이터 장치(51), 특히 그 작동 요소(56)의 구동 및/또는 작동을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의 개별적인 특징, 양태 및/또는 원리는 또한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고 특히 도시된 분무기(1)뿐만 아니라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분무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독립형 장비 등과는 달리 제안된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으로 설계되고 특히 휴대용 수동 조작 장치이다.
그러나, 제안된 해결방안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분무기(1)뿐만 아니라 다른 분무기 또는 흡입기 또는 액체 제제의 전달을 위한 다른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2)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액체, 특히 수성 약학 제형 또는 에탄올 약학 제형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일부 다른 약학 제형, 현탁액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약 유체(2)의 바람직한 성분 및/또는 제형은 특히 WO 2009/115200 A1,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페이지, 또는 EP 2 614 848 A1, 단락 0040 내지 0087에 열거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이들은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혼합물, 에탄올을 수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용매가 없는 제형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독립적인 양태는 다음과 같다:
1 .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수용하는 저장소(3) 및
저장소(3)로부터 유체(2)의 용량을 인출하고 분무를 위해 각각의 용량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펌프(8)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2)용 분무기(1)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유체 펌프(8)를 구동하기 위한 및/또는 분무를 위한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저장소(3) 또는 탱크 또는 백(4)은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 배치되고, 및/또는
저장소(3) 또는 탱크 또는 백(4)이 유체 펌프(8) 또는 그 펌프 또는 압력 챔버(11)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유체 펌프(8) 또는 관련 에너지 저장부가 저장소(3)의 수동 회전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인장이 가해지고, 및/또는
유체 펌프(8)는 왕복 운반 요소(9)를 포함하고, 저장소(3)는 분무기(1)에 의해 왕복운동하지 않고 운반 요소(9)와 가요성 유체 연결부(5)를 통해 유체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저장소(3)는 양태 5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양태 1에 있어서, 저장소(3)는 상이한 유체(2A, 2B)를 갖는 다중 격실 또는 백(4A, 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 양태 2에 있어서, 저장소(3), 분무기(1) 또는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직전에 상이한 유체(2A, 2B)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 상기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장소(3) 및/또는 분무기(1)는 보유 요소(19)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소(3)가 강제 끼워맞춤, 형태 끼워맞춤 및/또는 스냅핑에 의해 분무기(1)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 분무기(1)를 위한 저장소(3)로서, 저장소(3)는:
분무될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갖는 탱크 또는 백(4) 및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소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이 편평하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 내에서 환형이고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탱크 또는 백(4)이 주요 연장부에서 만곡되고, 및/또는
저장소(3)는 탱크 또는 백(4)을 분무기(1)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유체 연결부(5) 및 커넥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6. 양태 5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은 상이한 유체(2A, 2B)를 갖는 개별 격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7. 양태 5에 있어서, 저장소(3)는 상이한 유체(2A, 2B)를 갖는 다중 탱크 또는 백들(4A, 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8. 양태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탱크(들) 또는 백(들)(4)의 환형 또는 원주방향 연장부는 그것의 축방향 연장부 또는 하우징 부분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9. 양태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은 용접된 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0. 양태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장소(3)는 저장소(3)의 전달 상태에서 또는 처음 사용하기 전 또는 저장소(3)가 분무기(1)에 연결될 때까지 규정된 위치에 커넥터(6)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장치(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1. 양태 10에 있어서, 유지 장치(21)는 커넥터(6)를 해제하고 및/또는 저장소(3) 또는 커넥터(6)가 분무기(1)에 연결된 후에 커넥터(6)의 왕복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2. 양태 5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요성 유체 연결부(5)는 가요성 튜브(5A)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가요성 튜브(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3. 양태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은 하우징 부분(7) 내에서 고정 가능하게 유지되는 반면, 커넥터(6)는 사용시에 특히 왕복운동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4. 양태 5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은 교환가능하고 및/또는 접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5. 양태 5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장소(3)는 유체(2)를 용량으로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유체(2)를 바람직하게는, 일시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펌프 장치(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6. 양태 15에 있어서, 펌프 장치(39)는 인장 공정 및/또는 분무 공정 동안 왕복운동 또는 행정형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7. 양태 15 또는 16에 있어서, 펌프 장치(39)는 에어 펌프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 및/또는 공간(28) 내의 공기를 가압함으로써 탱크 또는 백(4)에 포함된 유체(2)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공간(8)은 탱크 또는 백(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8. 양태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펌프 장치(39)는 탱크 또는 백(4)으로부터 유체(2)의 용량을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공기를 저장소(3), 특히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 내로 공기를 펌핑하기 위한 피스톤/실린더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커넥터(6)가 펌프 장치(39)를 위한 피스톤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하우징 부분(7)은 펌프 장치(39)를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9. 양태 15 또는 16에 있어서, 펌프 장치(39)는 벨로우즈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그 안에 포함된 유체(2)를 가압하기 위해 압축성 챔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0. 양태 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탱크 또는 백(4) 내의 유체(2)를 특히 일정하게 및/또는 저장소(3)의 인장 또는 작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50), 바람직하게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1. 양태 20에 있어서, 가압 장치(50)는 탱크 또는 백(4)에 대해, 특히 탱크 또는 백(4)의 편평한 측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2. 분무기(1)를 위한 저장소(3)로서, 저장소(3)는:
분무될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갖는 탱크 또는 백(4) 및
저장소(3)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또는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51)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소에 있어서,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저장소(3)의 제 1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저장소(3)의 제 2 축방향 단부 및/또는 상단부로부터 작동/작동 가능하고. 및/또는
저장소(3)는 탱크 또는 백(4)을 분무기(1)와 유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를 포함하고, 인디케이터 장치(51)는 탱크 또는 백(4)에 대해 커넥터(6)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고, 및/또는
저장소(3)가 인디케이터 장치(5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에 대한 편심 선형 안내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저장소(3)는 탱크 또는 백(4)을 분무기(1)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유체 연결부(5)를 포함하며, 유체 연결부(5)는 탱크 또는 백(4)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커버(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3. 양태 22에 있어서, 저장소(3)는 양태 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4. 양태 22 또는 23에 있어서, 탱크 또는 백(4)은 2 개 초과의 격실을 포함하고, 격실은 특히 U 자형 방식으로 및/또는 탱크 또는 백(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6)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각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5. 양태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에 직접 및/또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6. 양태 22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링형 인디케이터 요소(55) 및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인덱싱하기 위한 왕복 가능한 작동 요소(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7. 양태 26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변속기(57)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요소(56)는 변속기(57)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요소(55)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작동 요소(56)의 선형 운동은 상기 변속기(57)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요소(55)의 회전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8. 양태 22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6)는 인디케이터 장치(51)를 구동하기 위한, 특히 인디케이터 장치(51)의 작동 요소(5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9. 양태 22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6)는 저장소(3)의 제 2 축방향 단부 및/또는 상단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0. 양태 22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6)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안내부에 의해 하우징 부분(7)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1. 양태 22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6)는 하우징 부분(7) 내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및/또는 커넥터(6)의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 부분(7)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2. 양태 22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선형 안내부는 커넥터(6) 또는 하우징 부분(7)의 길이방향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3. 양태 22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체 연결부(5)의 커버(5B)와 탱크 또는 백(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4.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수용하는 탱크 또는 백(4)을 갖는 저장소(3), 및
저장소(3)로부터 유체의 한 용량(2)을 인출하고 분무를 위해 각각의 용량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펌프(8)를 포함하고,
유체 펌프(8)는 유체 펌프(8)를 저장소(3)와 유체 연결하기 위한 운반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소(3)는 저장소(3)를 운반 요소(9)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저장소(3)는 저장소(3)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또는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51)를 포함하는, 상기 분무기에 있어서,
인디케이터 장치(51)가 분무기(1)의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저장소(3)의 하우징 부분(7)은 유체 펌프(8)에 왕복운동 하지 않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커넥터(6)는 인디케이터 장치(51)의 작동을 위해 탱크 또는 백(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및/또는
유체 펌프(8)는 인디케이터 장치(5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고, 구동부(60)는 커넥터(6) 옆에서 저장소(3) 내로 연장되고, 및/또는
저장소(3)는 양태 5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5. 양태 34에 있어서, 분무기(1)는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6. 양태 34 또는 35에 있어서, 분무기(1)는 유체 펌프(8)를 커넥터(6)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더(14)를 포함하고, 홀더(14)는 커넥터(6)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 분무기 32 리세스
2 유체 33 헤드
3 저장소 34 샤프트
4 백 35 단부
4A 백/격실 36 혼합 챔버
4B 백/격실 37 필터
4C 백/격실 38 유지 요소
5 유체 연결부 39 펌프 장치
5A 튜브 39A 밀봉 요소
5B 커버 39B 홈
6 커넥터 39C 공기 누설
6A 커넥터 하우징 40 시트
6B 포트 41 시트
6C 어댑터 42 길이방향 이음매
6D 밀봉부 43 가로방향 이음매
7 하우징 부분 44 입구
8 유체 펌프 45 출구
9 운반 요소 46 중간 이음매
10 비복귀 밸브 47 연결 요소
11 압력 챔버 48 밸브
12 노즐 49 개방부
13 마우스피스 50 가압 장치
14 홀더 51 인디케이터
15 구동 스프링 52 인디케이터 하우징
16 차단 요소 53 윈도우
17 내부 부분 54 마킹
18 하우징 55 인디케이터 요소
19 보유 요소 56 작동 요소
20 격막 57 변속/기어
21 유지 장치 57A 샤프트
22 편향 장치 57B 제 1 기어 휠
23 커버 57C 제 2 기어 휠
24 리셉터클 57D 래칫
25 중심부 58 베어링 섹션
26 내부 부분 59 작동 스프링
27 단부 부분 60 구동부
28 공간 A 에어로졸
29 바닥부 R 저장소의 축
30 정지부 N 분무기의 축
31 결합 요소 S 분리 라인

Claims (53)

  1. 분무기(1)를 위한 저장소(3)로서,
    분무될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갖는 탱크 또는 백(4) 및
    상기 탱크 또는 백(4)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소(3)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이 상기 하우징 부분(7)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3)의 중심축(R) 주위에서 만곡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3)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을 상기 분무기(1)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유체 연결부(5) 및 커넥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다중 격실들(4A, 4B, 4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실들(4A, 4B, 4C)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들(4A, 4B, 4C)은 특히 U 자형 방식으로 및/또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이 상기 커넥터(6) 및/또는 상기 저장소(3)의 중심축(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하여 각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들(4A, 4B, 4C)은 서로 유체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유체 연결부(5)는 상기 격실들(4A, 4B, 4C)을 위한 조인트 출구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다중 탱크들 또는 백들(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이한 유체들(2A, 2B, 2C)을 포함하고, 각 유체(2)는 상이한 격실들(4A, 4B, 4C) 및/또는 탱크들 또는 백들(4)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직전에 상기 상이한 유체들(2A, 2B, 2C)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편평하고 및/또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의 환형/원주방향 연장부가 그 축방향 연장부 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7)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시트(40, 41)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교환가능하고 및/또는 접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특히 상기 하우징 부분(7)은, 상기 커넥터(6)를 특히 원주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및/또는 상기 커넥터(6)를 특히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유지 장치(21)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21)는 상기 저장소(3)의 전달 상태에서 또는 처음 사용하기 전에 또는 상기 저장소(3)가 상기 분무기(1)에 연결될 때까지 상기 커넥터(6)를 유지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3) 또는 상기 커넥터(6)가 상기 분무기(1)에 연결된 후에, 상기 유지 장치(21)가 상기 커넥터(6)를 해제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6)의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유체 연결부(5)는 가요성 튜브(5A)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가요성 튜브(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부(5), 바람직하게는, 그의 가요성 튜브(5A), 특히 그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부(5)는 커버(5B)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5B)는 알루미늄 및/또는 상기 탱크 또는 백(4)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부(5)의 커버(5B)와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상기 하우징 부분(7)에 대해 이동할 수 없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6)는 상기 탱크 또는 백(5) 및/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7)에 대해 특히 축방향으로 특히 왕복운동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기 유체(2)를 용량으로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유체(2)를 바람직하게는, 일시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펌프 장치(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39)는 공기 펌프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을 수용하는 상기 저장소(3)의 공간(28) 및/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7) 내의 공기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탱크 또는 백(4)에 수용된 상기 유체(2)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39)는 특히 상기 탱크 또는 백(4)으로부터 상기 유체(2)를 용량으로 인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피스톤/실린더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6)가 상기 펌프 장치(39)의 피스톤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7)이 상기 펌프 장치(39)의 실린더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39)는 벨로우즈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그 안에 포함된 상기 유체(2)를 가압하기 위해 압축성 챔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 또는 백(4) 내의 상기 유체(2)를 특히 일정하게 및/또는 상기 커넥터(6)의 이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50), 바람직하게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50)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에 대해, 특히 편평한 측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기 저장소(3)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또는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상기 저장소(3)의 제 1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29)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가 상기 저장소(3)의 제 2 축방향 단부 및/또는 상부로부터 작동되고/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저장소(3)의 제 2 축방향 단부 및/또는 상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6)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상기 저장소(3)의 상기 하우징 부분(7)에 직접 및/또는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바람직하게는, 링형 인디케이터 요소(55) 및 상기 인디케이터 요소(55)를 인덱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왕복 가능한 작동 요소(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변속기(57)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요소(56)는 상기 변속기(57)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요소(55)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작동 요소(56)의 선형 이동은 상기 변속기(57)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요소(55)의 회전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1. 제 24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를 구동하기 위한, 특히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의 작동 요소(5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특히 상기 유지 장치(21)는 상기 커넥터(6), 특히 상기 구동부(60)에 대한 바람직한 편심 선형 안내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 부분(7), 특히 상기 유지 장치(21)의 길이방향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저장소(3), 특히 하우징 부분(7) 내에 편심 배치 및/또는 안내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6)의 중심축은 상기 저장소(3)의 중심축(R), 특히 그 하우징 부분(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소.
  35.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상기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수용하는 저장소(3), 및
    상기 저장소(3)로부터 상기 유체(2)의 용량을 인출하고 분무를 위해 각각의 용량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펌프(8)를 포함하는, 상기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6.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상기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수용하는 저장소(3)로서,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상기 저장소(3), 및
    상기 저장소(3)로부터 상기 유체(2)의 용량을 인출하고 분무를 위해 각각의 용량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펌프(8)를 포함하는, 상기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또는 그의 탱크 또는 백(4)은 상기 유체 펌프(8)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분무기(1)의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상기 유체 펌프(8) 또는 그의 펌프 또는 압력 챔버(11)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펌프(8)는 왕복 운반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소(3), 특히 그의 탱크 또는 백(4)은 분무기(1)에 의해서 왕복운동하지 않게 유지되고 바람직한 가요성 유체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운반 요소(9)와 유체 연결되거나 또는 유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다중 격실들(4A, 4B, 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들(4A, 4B, 4C)은 서로를 향해 각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0.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백(4), 특히 격실들(4A, 4B, 4C)은 상기 유체 펌프(8) 또는 그 펌프 또는 압력 챔버(11) 주위에 및/또는 상기 분무기(1)의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 및/또는 상기 탱크 또는 백(4)이 상기 저장소(3) 및/또는 상기 유체 펌프(8)의 중심축(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U 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1. 제 36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의 중심축(R)은 상기 분무기(1) 또는 상기 유체 펌프(8)의 중심축(N)으로부터 이격되고, 및/또는 상기 유체 펌프(8) 및/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는 상기 저장소(3) 내에 편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2.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상기 유체(2)의 다중 용량들을 수용하는 저장소(3)로서,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상기 저장소(3) 및
    상기 저장소(3)로부터 상기 유체(2)의 용량을 인출하고 분무를 위해 각각의 용량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펌프(8)를 포함하는, 상기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 펌프(8)는 왕복 운반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소(3)는 상기 분무기(1)에 의해 왕복운동하지 않게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유체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운반 요소(9)와 유체 연결되거나 또는 유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또는 그의 상기 탱크 또는 백(4)은 상기 분무기(1)의 중심축(N) 주위에, 상기 유체 펌프(8) 또는 그의 펌프 또는 압력 챔버(11) 주위에 및/또는 상기 유체 펌프(8)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분무기(1)의 에너지 저장부 또는 구동부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4.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기 유체(2)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백(5), 상기 탱크 또는 백(5)을 상기 운반 요소(9)에 유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 및 탱크 또는 백(5)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6)는 상기 탱크 또는 백(4) 및/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7)에 대해, 특히 상기 운반 요소(9)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7)은 상기 분무기(1), 특히 그의 내부 부분(17)에 왕복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6)는 상기 분무기(1), 특히 그 홀더(14)에 의해 왕복운동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커넥터(6)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홀더(14)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14)는 상기 커넥터(6) 및/또는 상기 운반 요소(9)와 함께 회전가능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7. 제 35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기 저장소(3)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여전히 가능한 사용 횟수를 계수 또는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는 상기 분무기(1) 또는 상기 저장소(3)의 축방향 단부 및/또는 바닥부(29)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6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 요소(9)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의 커넥터(6) 또는 홀더(14)는 상기 구동부(60)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1. 제 35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는 상이한 유체들(2A, 2B)을 갖는 다중 격실들 또는 백들(4A, 4B, 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2. 제 35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상기 분무기(1) 또는 상기 유체 펌프(8)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직전에 상이한 유체들(2A, 2B, 2C)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3. 제 35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3), 특히 그의 하우징 부분(7) 및/또는 분무기(1), 특히 그 내부 부분(18)은 상기 저장소(3)가 강제 끼워맞춤, 형태 끼워맞춤 및/또는 스냅에 의해 상기 분무기(1)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보유 요소(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KR1020207001833A 2017-07-21 2018-07-23 분무기 및 저장소 KR102643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020315 2017-07-21
EP17020315.2 2017-07-21
EPPCT/EP2018/069848 2018-07-20
EP2018069848 2018-07-20
PCT/EP2018/069927 WO2019016408A1 (en) 2017-07-21 2018-07-23 NEBULIZER AND RESERVO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619A true KR20200031619A (ko) 2020-03-24
KR102643199B1 KR102643199B1 (ko) 2024-03-07

Family

ID=6310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833A KR102643199B1 (ko) 2017-07-21 2018-07-23 분무기 및 저장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229754B2 (ko)
EP (2) EP4039300A1 (ko)
JP (2) JP7242630B2 (ko)
KR (1) KR102643199B1 (ko)
CN (2) CN115646681A (ko)
AU (1) AU2018303253B2 (ko)
CA (1) CA3069792A1 (ko)
CL (1) CL2020000103A1 (ko)
IL (1) IL271866A (ko)
PH (1) PH12020500130A1 (ko)
WO (1) WO2019016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9598A1 (en) 2020-05-14 2023-03-22 Eli Lilly and Company Nasal delivery device
CN113967299A (zh) * 2020-07-22 2022-01-25 苏州天健云康信息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以及用于雾化装置的计数模块
CN112370642B (zh) * 2020-11-16 2021-06-15 健康元海滨药业有限公司 一种基于医疗网络平台的哮喘药剂喷雾瓶
CN115256970A (zh) * 2022-08-31 2022-11-01 深圳市鑫霖美科技有限公司 自动化雾化模组制作机构及自动化雾化模组制作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2018A1 (en) * 2007-04-02 2008-10-09 Abbott Respiratory Llc Breath actuated nasal pump
JP2017515566A (ja) * 2014-05-07 2017-06-15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122A (en) * 1990-09-26 1995-07-04 Zanen; Pieter Inhaler devices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everal doses of medium for inhaling, transporting device, whirl chamber
US5392768A (en) * 1991-03-05 1995-02-28 Aradig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a controlled amount of aerosol medication over a selectable time interval
US5435282A (en) * 1994-05-19 1995-07-25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Nebulizer
GB2291135B (en) * 1994-07-06 1998-02-25 Boehringer Ingelheim Kg Device for dispensing fluid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DE19533979A1 (de) * 1995-09-14 1997-03-20 Alfred Von Schuckmann Gerät zur dosierten, luftgetragenen Ausgabe von Substanzen
GB9722285D0 (en) * 1997-10-23 1997-12-17 Rhone Poulenc Rorer Ltd Inhalation device
DE19940713A1 (de) 1999-02-23 2001-03-01 Boehringer Ingelheim Int Kartusche für eine Flüssigkeit
FR2813593B1 (fr) * 2000-09-07 2002-12-06 Valoi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 type multidose
US8479732B2 (en) * 2006-04-21 2013-07-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se counter
DE102006043637A1 (de) 2006-05-18 2007-11-2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EP2044967A1 (de) 2007-10-01 2009-04-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DE102008030623A1 (de) * 2008-01-03 2009-07-09 Umsonst-Kübler, Petra Vorrichtung zum Durchmischen einer Masse
AU2009226643A1 (en) * 2008-03-17 2009-09-2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Reservoir and nebulizer
DE102008044770A1 (de) 2008-08-28 2010-03-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ntriebseinheit für Dosiszähler
WO2010094305A1 (en) 2009-02-18 2010-08-2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Device, cartridg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GB0904059D0 (en) 2009-03-10 2009-04-22 Euro Celtique Sa Counter
US8408429B2 (en) * 2009-11-11 2013-04-02 The Clorox Company Bottle with integral dip tube
EP2504051B1 (en) * 2009-11-25 2019-09-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2161685A1 (en) * 2011-05-23 2012-1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10080853B2 (en) * 2011-05-23 2018-09-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614848B1 (de) 2012-01-13 2020-07-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ator und Kapsel für einen Inhalator
GB201117518D0 (en) 2011-10-11 2011-11-23 Consort Medical Plc Fluid delivery device
US8881956B2 (en) * 2012-02-29 2014-11-11 Universidad De Sevilla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for emitting atomized spray
US11052202B2 (en) * 2012-11-07 2021-07-06 Chiesi Farmaceutici S.P.A. Drug deli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GB201223008D0 (en) 2012-12-20 2013-01-30 Euro Celtique Sa Counter
US10751154B2 (en) 2014-03-31 2020-08-25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Inhaler
CN106232166B (zh) * 2014-05-07 2020-04-14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喷雾器
WO2016180753A1 (en) * 2015-05-08 2016-11-17 Iconovo Ab Dry powder inhaler
JP6942057B2 (ja) * 2015-05-08 2021-09-29 イコノヴォ アーベー ロック機構、投薬表示部、釣り合いおもり機構、またはそれらの組合せを備える乾燥粉末吸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2018A1 (en) * 2007-04-02 2008-10-09 Abbott Respiratory Llc Breath actuated nasal pump
JP2017515566A (ja) * 2014-05-07 2017-06-15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9754B2 (en) 2022-01-25
JP2023076472A (ja) 2023-06-01
AU2018303253B2 (en) 2023-09-21
EP3655076B1 (en) 2023-09-27
US20200261666A1 (en) 2020-08-20
PH12020500130A1 (en) 2021-02-08
KR102643199B1 (ko) 2024-03-07
EP3655076A1 (en) 2020-05-27
CL2020000103A1 (es) 2020-06-12
CA3069792A1 (en) 2019-01-24
US11771848B2 (en) 2023-10-03
AU2018303253A1 (en) 2019-12-12
CN115646681A (zh) 2023-01-31
CN110944699A (zh) 2020-03-31
WO2019016408A1 (en) 2019-01-24
EP4039300A1 (en) 2022-08-10
JP7242630B2 (ja) 2023-03-20
JP2020527986A (ja) 2020-09-17
IL271866A (en) 2020-02-27
CN110944699B (zh) 2022-11-25
JP7419587B2 (ja) 2024-01-22
US20220096759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9587B2 (ja) ネブライザ及びリザーバ
US11207474B2 (en) Drug delivery device
EP2714280B1 (en) Nebulizer
JP7402291B2 (ja) ネブライザ
US10973997B2 (en) Nebulizer
KR20200030588A (ko) 분무기 및 용기
KR20190097220A (ko) 분무기 및 카트리지
JP7183269B2 (ja) ネブライザ及びカートリッジ
JP2014519894A5 (ko)
US20240091058A1 (en) A device for the delivery of a mist of a dose of an ophthalmic liquid, and a pump suitable for devices for the delivery of a mist of an ophthalmic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