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139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139A
KR20200031139A KR1020207004640A KR20207004640A KR20200031139A KR 20200031139 A KR20200031139 A KR 20200031139A KR 1020207004640 A KR1020207004640 A KR 1020207004640A KR 20207004640 A KR20207004640 A KR 20207004640A KR 20200031139 A KR20200031139 A KR 2020003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lloon
temperature
se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198B1 (ko
Inventor
다쿠야 마스다
아키 호시다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15By temperature mapping of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61B2018/00488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61B2018/00797Temperature measured by multiple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3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linear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50Temperature

Abstract

식도 등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감시해야 할 부위(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신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테터는, 유체의 유통 루멘(11)을 포함하는 멀티루멘 구조의 카테터 샤프트(10)와, 카테터 샤프트(10)의 기단측에 접속된 핸들(20)과,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접속되며, 유통 루멘(11)을 유통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고, 확장 시에 있어서 편평한 벌룬(30)과, 벌룬(30)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4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발명은 식도 등의 체내 중공 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심방 세포를 치료하기 위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에 있어서, 좌방의 근처에 위치하는 식도가 과열되어 식도루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시술자의 식도의 내부에 경비적 어프로치에 의해 온도 측정용 카테터를 삽입하여, 식도 내부(내벽)의 온도를 감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식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카테터로서,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부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온도 측정용 전극)과, 이들 링형 전극의 각각의 내주면에 스폿 용접됨으로써 당해 링형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온도 센서(구체적으로는 열전대의 측온 접점)와, 이들 온도 센서의 각각의 리드선(구체적으로는, 열전대를 구성하는 이종의 금속선)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카테터(식도 카테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식도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부의 관벽에는, 링형 전극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측부 구멍(관통 구멍)이 배열 형성되어 있고, 링형 전극의 내주면에 스폿 용접된 온도 센서에 접속된 리드선은, 카테터 샤프트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루멘에 진입하고, 당해 루멘 및 제어 핸들의 내부로 연장되어 커넥터에 접속된다.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식도 카테터의 어느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식도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43℃)에 도달하면, 어블레이션 카테터로의 통전이 차단되고, 이에 의해, 식도가 과열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식도는, 통상, 편평한 타원관형이며,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의 식도의 내부 온도는 식도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그 폭 방향으로도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극 카테터를 식도의 내부에 유치 한 경우, 복수의 링형 전극(온도 측정용 전극)이 식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게 되므로, 식도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전극(1)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부분(3)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5)로부터 식도 E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작에 의한 식도 E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체내의 조직 또는 기관의 표면의 온도를 감시하기 위한 온도 프로브로서, 사행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선단 부분, 즉, 동일 평면 상에서 사행하는 형상이 기억된 변형 가능 구간을 갖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선단 부분에 장착된 복수의 온도 센서(링형 전극)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온도 프로브에 의해서도 식도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없다.
즉, 사행 형상의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식도에 유치하였을 때, 복수의 온도 센서는 평면적으로 배치되기는 하지만(대략 이차원 배열로 흩어지지만), 온도 센서의 배치 간격은 넓고, 또한, 인접하는 온도 센서는, 식도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식도의 길이 방향으로도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선단 부분(4)에 장착된 링형 전극(2)을,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6)에 접근하여 위치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소작에 의한 식도 E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온도 프로브에 따라서는, 식도의 내부에 유치한 샤프트의 선단 부분이 사행 형상으로 변형(복원)될 때, 이 선단 부분이 식도를 확장하여 좌방 후벽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결과, 식도가 과열될 리스크가 높아지고, 이에 의해 합병증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도 이루어지고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링형 전극의 내주면에 온도 센서가 스폿 용접되어 있는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에 있어서는, 링형 전극의 내주면 온도를 식도 내부의 온도로 간주하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하고 있지만, 링형 전극의 내주면이 승온될 때까지는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의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소작측에 면하고 있는 전극 부분과, 소작측과는 반대측의 전극 부분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기 때문에, 소작측과는 반대측의 전극 부분의 내주면에 온도 센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식도 내부의 온도가 통전을 차단해야 할 온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소작측에 면하고 있는 전극 부분이 차단해야 할 온도에 도달하여, 식도가 과열 상태로 되어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식도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10-505592호 공보(청구항 5) 일본 특허 공표 제2011-517417호 공보
Jounal of Cardiovascular Electropfysiology Vol.24, No.9, September 2013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신규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식도가 확장되는 일이 없는 온도 측정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와 비교하여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카테터는,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카테터이며,
유체의 유통 루멘을 포함하는 멀티루멘 구조의 카테터 샤프트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기단측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되며, 상기 유통 루멘을 유통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고, 확장 시에 있어서 편평한 벌룬과,
상기 벌룬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중공 기관의 내부에 있어서 벌룬을 확장(인플레이션)시켜, 편평한 벌룬의 일면측에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중공 기관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에 의해,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의 내부에 있어서 벌룬을 확장시켜, 편평한 벌룬의 일면측에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식도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식도의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 및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에 의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온도를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이 확장 시에 있어서 편평하기 때문에, 확장되어 있는 벌룬의 일면에 의해 식도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을 수축(디플레이션)시킴으로써, 당해 벌룬의 일면에 의해 식도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완전히 피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을 수축(디플레이션)시킴으로써, 당해 벌룬에 의해 식도가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도 완전히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카테터를 구성하는 온도 센서는 벌룬의 일면측에 배치되며, 온도를 측정해야 할 부위와 당해 온도 센서 사이에, 소작열을 흡수·방출하여 승온·강온하는 링형 전극(온도 측정용 전극)이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와 비교하여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카테터에 있어서는, 상기 벌룬의 일면측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길이 방향(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군이, 상기 벌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각각의 온도 센서군에 속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해, 중공 기관의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온도 센서군에 속하고, 또한, 벌룬의 길이 방향 위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해, 중공 기관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중공 기관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와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가 부분적으로 융착됨으로써,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시트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융착 부분에 의해 칸막이된,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비융착 부분에 있어서, 유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제1 시트에 매설함으로써 이들 온도 센서를, 벌룬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평탄한 시트이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와 융착되지 않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볼록부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복수의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벌룬의 일면측을 평탄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높은 정밀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5) 상기 (4)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는,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으로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의 일방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실과,
상기 제1 실의 타방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실과,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2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3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부분은, 상기 제1 실에 삽입 또는 삽입 관통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상기 유통 루멘에 있어서의 유체를 상기 제1 실에 공급하기 위한 선단 개구 또는 측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개구 또는 측부 구멍으로부터 벌룬의 제1 실 내에 유체가 공급되고, 제1 실 내에 공급된 유체는, 연통로를 유통하여 제2 실 내 및 제3 실 내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벌룬이 확장된다.
여기에, 유체의 수용 공간인 제1 실, 제2 실 및 제3 실은,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제1 실과 제2 실 사이에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융착 부분이 형성되고, 제1 실과 제3 실 사이에도,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융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의 평탄성(특히,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벌룬의 평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6) 상기 (5)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2 실 및 상기 제3 실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실로부터 양측(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통로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제1 실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통로가,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의 평탄성(특히, 종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벌룬의 평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7) 상기 (6)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통로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의하면, 유체의 수용 공간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융착 부분이 평면적으로 배열되므로,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의 평탄성이 특히 우수함과 함께, X선 화상 상에서 시인되는 연통로를,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본 발명의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에 가요 부분을 갖고, 선단 편향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9) 본 발명의 카테터는,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에 있어서의 식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카테터에 의하면,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에 의하면,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편평한 타원관형의 식도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에 의하면,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가, 온도 센서의 장착부인 벌룬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벌룬의 일면에 의해 식도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에 의하면,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와 비교하여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정면도(도 1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VA-VA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VB-VB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2의 VC-VC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c의 VI부 확대도(카테터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도(카테터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벌룬에 있어서의 온도 센서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온도 측정용 카테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의 응답성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공지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식도에 유치하였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 공지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식도에 유치하였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카테터(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는,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의 식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카테터이다.
이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는, 선단 가요 부분(10A)을 갖는 카테터 샤프트(10)와, 카테터 샤프트(10)의 기단측에 접속된 제어 핸들(20)과,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접속된 벌룬(30)과, 벌룬(30)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와, 온도 센서(40)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50)과,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가요 부분(10A)을 제1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61)와,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가요 부분(10A)을 제2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62)와, 유체 주입관(7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81은 선단 칩, 82는 심장을 페이싱하기 위한 전극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10)에는, 벌룬(30)을 확장시키는 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통 루멘(소위 확장 루멘)(11)과, 온도 센서(40)의 리드선(50) 및 전극(82)의 리드선(85)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리드 삽입 관통 루멘(12)과, 제1 조작용 와이어(61)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와이어 삽입 관통 루멘(13)과, 제2 조작용 와이어(62)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와이어 삽입 관통 루멘(14)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루멘(11)을 유통하는 유체는, 유체 주입관(70)으로부터 제어 핸들(20)의 내부를 경유하여 당해 유통 루멘(11)에 공급되고,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선단 가요 부분(10A))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측부 구멍(16)으로부터 벌룬(30)의 내부(후술하는 제1 실(31))에 유입된다.
여기에, 유체로서는 생리 식염수를 예시할 수 있다.
카테터 샤프트(10)의 외경은, 통상 1.0 내지 4.0㎜로 된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0)의 길이는, 통상 300 내지 1500㎜로 된다.
카테터 샤프트(10)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블록 아미드(PEBAX)(등록 상표) 및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PEBAX가 바람직하다.
카테터 샤프트(10)의 기단측에는 제어 핸들(20)이 접속되어 있다.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제어 핸들(20)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가 마련되고, 커넥터의 단자에는, 온도 센서(40)의 리드선(50)의 기단, 및 전극(82)의 리드선(85)의 기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핸들(20)에는,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을 구부리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25)가 장착되어 있다.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는 벌룬(30)이 접속되어 있다.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벌룬(30)은, 카테터 샤프트(10)의 유통 루멘(11)을 유통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고,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벌룬(30)은, 그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301)와,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302)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이루어진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트(301)는 평탄한 시트이며, 제2 시트(302)는 제1 시트(301)와 융착되지 않는 볼록부를 갖고 있다.
제1 시트(301)와 제2 시트(302)의 볼록부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 샤프트(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실(31)과, 제1 실(31)의 일방측에 이격되어 제1 실(3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실(32)과, 제1 실(31)의 타방측에 이격되어 제1 실(3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실(33)과, 제1 실(31)과 제2 실(32)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4(342)]와, 제1 실(31)과 제3 실(33)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4(3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3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통로(34)(연통로(342) 및 연통로(343))는, 카테터 샤프트(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벌룬(30)의 길이(도 2에 도시한 L30)로서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60㎜이다.
벌룬(30)의 폭(도 5b에 도시한 W30)은,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의 폭(당해 타원관의 내경(긴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폭(W30)으로서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0㎜이다.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30)의 두께(도 5b에 도시한 H30)는, 상기 타원관의 내경(짧은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두께(H30)로서는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이다.
벌룬(30)을 구성하는 제1 시트(301) 및 제2 시트(302)의 두께로서는, 각각 5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80㎛이다.
벌룬(30)의 구성 재료로서는, 카테터 샤프트(10)의 구성 재료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벌룬(30)은,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하며, 그 폭에 대한 두께의 비(H30/W30)로서는 0.1 내지 0.17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0.1(2㎜/20㎜)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선단 가요 부분(10A))은, 제1 실(31)에 삽입 관통되며, 제1 실(31)의 액밀성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제1 실(31)(벌룬(30))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측부 구멍(16)으로부터 제1 실(31)에 유입되는 유체는, 연통로[34(342 및 (343)]를 유통하여 제2 실(32) 및 제3 실(33)에 유입되어, 모든 수용 공간(제1 실(31), 제2 실(32), 제3 실(33) 및 연통로(34))에 유체가 충전되고, 이에 의해, 벌룬(30)이 확장된다.
그리고, 벌룬(30)에 있어서는, 유체의 수용 공간(제1 실(31), 제2 실(32), 제3 실(33) 및 연통로(34))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시트(301)와 제2 시트(302)의 융착 부분이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당해 벌룬(30)은, 확장 시에 있어서의 평탄성이 특히 우수하다.
이와 같이 평탄성이 우수한 벌룬(30)에 의하면, 그 확장 시 및 수축 후에 있어서, 당해 벌룬(30)의 편평한 형상을, 식도의 편평한 타원관형에 확실하게 합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3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통로(34)(연통로(342) 및 연통로(343))가, 카테터 샤프트(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X선 화상 상에서 시인되는 연통로(34)를,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0)의 일면측에는,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는, 예를 들어 열전대의 측온 접점을 포함하고, 벌룬(30)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301)에 매설되어 있다(또한, 도 4 및 도 8에서는, 제1 시트(301)에 매설되어 있는 온도 센서(4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제1 시트(301)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온도 센서(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를 벌룬(30)의 일면측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센서(40)가 매설되는 제1 시트(301)는 평탄한 시트이므로, 높은 정밀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0)의 일면측에 있어서, 벌룬(30)의 길이 방향(카테터 샤프트(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401 내지 408)]에 의해 제1 온도 센서군(41G)이 구성되고, 동일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409 내지 416)]에 의해 제2 온도 센서군(42G)이 구성되고, 동일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417 내지 424)]에 의해 제3 온도 센서군(43G)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벌룬(30)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온도 센서(40)의 이격 거리(도 8에 도시한 d1)로서는 3.5 내지 11.7㎜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7.0㎜이다.
온도 센서(401 내지 408)에 의한 제1 온도 센서군(41G), 온도 센서(409 내지 416)에 의한 제2 온도 센서군(42G), 온도 센서(417 내지 424)에 의한 제3 온도 센서군(43G)은, 벌룬(3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 벌룬(30)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온도 센서군의 이격 거리(도 8에 도시한 d2)로서는 3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7.5㎜이다.
제1 온도 센서군(41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40(401 내지 408)]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와, 제3 온도 센서군(43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40(417 내지 424)]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한편, 제2 온도 센서군(42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40(409 내지 416)]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는, 제1 온도 센서군(41G) 또는 제3 온도 센서군(43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보다 (d1/2) 기단측으로 시프트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온도 센서(40)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면, 제1 온도 센서군(41G), 제2 온도 센서군(42G) 및 제3 온도 센서군(43G)의 각각에 속하는 온도 센서(40)에 의해, 식도의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온도 센서군에 속하고, 또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는 복수의 온도 센서(40)(일례를 나타내면, 온도 센서(405)와, 온도 센서(412) 및/또는 온도 센서(413)와, 온도 센서(421))에 의해, 식도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식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식도의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 센서군(42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40)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가, 제1 온도 센서군(41G) 또는 제3 온도 센서군(43G)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의 각각에 대한 벌룬(30)의 길이 방향 위치보다 (d1/2) 기단측으로 시프트되어 있음으로써, 식도의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를 보다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에는, 각각 리드선(50)이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50)은, 예를 들어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의 각각을 측온 접점으로 하는 열전대를 구성하는 이종의 금속선을 포함한다.
이들 리드선(50)은, 벌룬(30)을 구성하는 제1 시트(301)에 매설된 상태에서 기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시트(301)의 기단 근방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측부 구멍으로부터 리드 삽입 관통 루멘(12)에 진입하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제1 시트(301)에 매설되어 있는 리드선(50)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리드선(5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리드 삽입 관통 루멘(12)에 진입한 리드선(50)은, 페이싱용 전극(82)의 리드선(85)과 함께, 당해 리드 삽입 관통 루멘(12) 및 제어 핸들(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커넥터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는, 제1 조작용 와이어(61) 및 제2 조작용 와이어(62)를 인장 조작함으로써, 그 선단을 편향시킬 수 있다.
제1 조작용 와이어(61) 및 제2 조작용 와이어(62)의 각각의 선단은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벌룬(30)의 기단 위치보다 약간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 조작용 와이어(61) 및 제2 조작용 와이어(62)의 각각의 후단은 제어 핸들(20)의 손잡이(25)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핸들(20)의 손잡이(25)를 도 1의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조작용 와이어(61)를 인장 조작함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선단 가요 부분(10A)을 제1 방향(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제어 핸들(20)의 손잡이(25)를 도 1의 화살표 B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조작용 와이어(62)를 인장 조작함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을 제2 방향(도 1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에 의해, 하기와 같이 하여 식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우선, 경비적 어프로치에 의해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피시술자의 식도 내부에 삽입하고,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장착되어 있는 벌룬(30)을 온도를 감시해야 할 부위에 유치한다. 여기에, 삽입 시에 있어서의 벌룬(30)은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에 감겨 있는(랩핑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에, 유체 주입관(70)으로부터 카테터 샤프트(10)의 유통 루멘(11)에 유체(생리 식염수)를 공급한다. 유통 루멘(11)에 공급된 유체는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측부 구멍(16)으로부터 벌룬(30)의 제1 실(31)에 유입되고, 연통로(34)(연통로(342) 및 연통로(343))를 유통하여 제2 실(32) 및 제3 실(33)에도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31), 제2 실(32), 제3 실(33) 및 연통로(34)에 유체가 수용됨으로써, 랩핑 상태의 벌룬(30)이 전개되어 편평형으로 확장된다.
확장 후에 있어서의 벌룬(30)은, 그 폭 방향이 식도의 폭 방향과 일치하고, 벌룬(30)의 일면측이 좌방측의 식도 내벽에 맞닿거나 또는 대향하도록 유치된다.
여기에, 확장된 벌룬(30)에 의해 식도가 확장되어 있거나, 확장된 벌룬(30)의 일면에 의해 식도의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거나 한 경우에는, 유체의 수용 공간(제1 실(31), 제2 실(32), 제3 실(33) 및 연통로(34))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출하여 벌룬(30)을 수축시킴으로써, 이들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벌룬(30)의 일면측에 배치된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에 의해 식도 내부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어느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식도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43℃)에 도달하였을 때는, 통상법에 따라서, 어블레이션 카테터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소작을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에 의하면,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0)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에 의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온도 센서(40)에 의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온도를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벌룬(30)이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하기 때문에,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확장되어 있는 벌룬(30)의 일면에 의해 식도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0)을 수축시킴으로써, 당해 벌룬(30)의 일면에 의해 식도의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0)을 수축시킴으로써, 당해 벌룬(30)에 의해 식도가 확장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벌룬(30)의 유체의 수용 공간(제1 실(31), 제2 실(32), 제3 실(33) 및 연통로(34))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시트(301)와 제2 시트(302)의 융착 부분이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30)의 평탄성이 특히 우수하다.
또한, 제1 실(3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통로(34)(연통로(342) 및 연통로(343))가, 카테터 샤프트(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X선 화상 상에서 시인되는 연통로(34)를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에 있어서는, 제1 시트(301)에 매설된 상태에서 벌룬(30)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온도 센서[40(401 내지 424)]와, 온도를 측정해야 할 부위 사이에, 링형 전극(온도 측정용 전극)이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와 비교하여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에 의한 온도 변화의 응답성의 실험 결과를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에 의한 온도 변화의 응답성의 실험 결과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6℃의 수중에 침지되어 있는 온도 센서의 장착부를, 37℃의 수중에 침지하여 승온 시의 응답성을 측정하고, 다시, 26℃의 수중에 침지하여 강온 시의 응답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에 있어서, 「Balloon:T1」, 「Balloon:T2」, 「Balloon:T3」, 「Balloon:T4」, 「Balloon:T5」는, 각각, 도 8에 도시한 온도 센서(404), 온도 센서(405), 온도 센서(412), 온도 센서(413), 온도 센서(420)에 의해 측정된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Ring:T6」은, 링형 전극을 구비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에 의해 측정된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에서는, 온도 센서(40)의 장착부인 벌룬(30)을 수축 상태로 실험을 행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온 시 및 강온 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는, 링형 전극을 구비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보다도 온도 변화의 응답성(상승 및 하강)이 우수한 것으로 이해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0의 XII-XII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200)는,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접속된 벌룬(35)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벌룬(30)과 다르다.
온도 측정용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벌룬(35)은, 카테터 샤프트(10)의 유통 루멘을 유통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고,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벌룬(35)은, 그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351)와,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352)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이루어지고, 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융착 부분에 의해 칸막이된 비융착 부분)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트(351)는 평탄한 시트이며, 제2 시트(352)는 제1 시트(351)와 융착되지 않는 볼록부를 갖고 있다.
제1 시트(351)와 제2 시트(352)의 볼록부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36)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시트(352)의 볼록부에 의해, 벌룬(35)의 평탄한 타면이 형성된다.
벌룬(35)의 길이(도 10에 도시한 L35)로서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60㎜이다.
벌룬(35)의 폭(도 12에 도시한 W35)은,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의 폭(당해 타원관의 내경(긴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폭(W35)으로서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0㎜이다.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30)의 두께(도 12에 도시한 H35)는, 상기 타원관의 내경(짧은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두께(H35)로서는 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이다.
벌룬(35)을 구성하는 제1 시트(351) 및 제2 시트(352)의 두께로서는, 각각 5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80㎛이다.
벌룬(35)의 구성 재료로서는, 카테터 샤프트(10)의 구성 재료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벌룬(35)은,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하며, 그 폭에 대한 두께의 비(H35/W35)로서는 0.1 내지 0.17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0.1(2㎜/20㎜)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선단 가요 부분(10A))은, 벌룬(35)의 내부(유체의 수용 공간(36))에 삽입 관통되고, 수용 공간(36)의 액밀성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유체의 수용 공간(36)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측부 구멍(16)으로부터 유체가 수용 공간(36)에 유입되고, 이에 의해, 벌룬(35)이 확장된다.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한 벌룬(35)에 의하면, 그 확장 시 및 수축 후에 있어서, 당해 벌룬(35)의 편평한 형상을 식도의 편평한 타원관형과 합치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5)의 일면측에는, 24개의 온도 센서(40)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40)는, 벌룬(35)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351)에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온도 센서(40)를 벌룬(35)의 일면측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센서(40)가 매설되는 제1 시트(351)는 평탄한 시트이므로, 높은 정밀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제1 시트(351)에 매설되어 있는 온도 센서(4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제1 시트(351)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온도 센서(4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는, 리드선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200)에 의하면,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5)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온도 센서(40)에 의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편평한 타원관형인 식도 내부의 온도 분포를 평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온도 센서(40)에 의해, 소작에 의해 승온되어 있는 부위(온도를 감시해야 할 부위)의 온도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용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벌룬(35)이 확장 시에 있어서도 편평하기 때문에,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확장되어 있는 벌룬(35)의 일면에 의해 식도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5)을 수축시킴으로써, 당해 벌룬(35)의 일면에 의해 식도의 내벽이 좌방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 중에 있어서, 벌룬(35)을 수축시킴으로써, 당해 벌룬(35)에 의해 식도가 확장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200)에 있어서는, 제1 시트(351)에 매설된 상태에서 벌룬(35)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온도 센서(40)와, 온도를 측정해야 할 부위 사이에, 링형 전극(온도 측정용 전극)이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링형 전극을 구비한 종래의 온도 측정용 카테터와 비교하여 식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벌룬의 제1 실에 삽입된된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제1 실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돌출시키지 않고, 제1 실 내에 수용한 상태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벌룬의 내부(유체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유체의 수용 공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돌출시키지 않고, 벌룬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과 제2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제1 실과 제3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는, 각각 하나여도 된다.
또한, 제1 온도 센서군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에 대한 벌룬의 길이 방향 위치와, 제2 온도 센서군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에 대한 벌룬의 길이 방향 위치와, 제3 온도 센서군을 구성하는 온도 센서에 대한 벌룬의 길이 방향 위치가 서로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100: 온도 측정용 카테터
10: 카테터 샤프트
11: 유통 루멘
12: 리드 삽입 관통 루멘
13, 14: 와이어 삽입 관통 루멘
16: 측부 구멍
20: 제어 핸들
25: 손잡이
30: 벌룬
301: 제1 시트
302: 제2 시트
31: 제1 실
32: 제2 실
33: 제3 실
34(342, 343): 연통로
40(401 내지 424): 온도 센서
41G: 제1 온도 센서군
42G: 제2 온도 센서군
43G: 제3 온도 센서군
50: 온도 센서의 리드선
61: 제1 조작용 와이어
62: 제2 조작용 와이어
70: 유체 주입관
81: 선단 칩
82: 전극
85: 전극의 리드선
200: 온도 측정용 카테터
35: 벌룬
351: 제1 시트
352: 제2 시트
36: 유체의 수용 공간

Claims (9)

  1. 체내의 중공 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카테터이며,
    유체의 유통 루멘을 포함하는 멀티루멘 구조의 카테터 샤프트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기단측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되며, 상기 유통 루멘을 유통하는 유체에 의해 확장되고, 확장 시에 있어서 편평한 벌룬과,
    상기 벌룬의 일면측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일면측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군이 상기 벌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와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가 부분적으로 융착됨으로써,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시트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평탄한 시트이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와 융착되지 않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볼록부에 의해,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는, 확장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수용 공간으로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의 일방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실과,
    상기 제1 실의 타방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실과,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2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3 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 부분은, 상기 제1 실에 삽입 또는 삽입 관통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상기 유통 루멘에 있어서의 유체를 상기 제1 실에 공급하기 위한 선단 개구 또는 측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2 실 및 상기 제3 실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실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통로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통로가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에 가요 부분을 갖고, 선단 편향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방 어블레이션 수술에 있어서의 식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207004640A 2017-09-06 2018-07-31 카테터 KR102282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0895 2017-09-06
JP2017170895A JP6755630B2 (ja) 2017-09-06 2017-09-06 カテーテル
PCT/JP2018/028593 WO2019049558A1 (ja) 2017-09-06 2018-07-31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139A true KR20200031139A (ko) 2020-03-23
KR102282198B1 KR102282198B1 (ko) 2021-07-27

Family

ID=6563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640A KR102282198B1 (ko) 2017-09-06 2018-07-31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79976A4 (ko)
JP (1) JP6755630B2 (ko)
KR (1) KR102282198B1 (ko)
CN (1) CN110545878A (ko)
WO (1) WO2019049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215A1 (ja) * 2020-01-23 2021-07-29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1186523A1 (ja) * 2020-03-17 2021-09-23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用器具、カテーテル本体およびカテーテル
JP7119250B2 (ja) * 2020-03-17 2022-08-1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用器具およびカテーテル
CN111529900A (zh) * 2020-05-14 2020-08-14 甘肃省第二人民医院 一种可视可调转向气囊导尿管
JPWO2022176013A1 (ko) * 2021-02-16 2022-08-25
CN113229786B (zh) * 2021-05-17 2023-03-24 河北地质大学 一种术中经内镜自膨胀式硅胶心房食道瘘测温装置
CN113952596A (zh) * 2021-10-28 2022-01-21 武汉威润八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无线导尿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68A (ja) * 1999-08-30 2001-03-13 Hiroshi Terai 動脈瘤治療具
JP2010004915A (ja) * 2008-06-24 2010-01-14 Toray Ind Inc 嚥下障害治療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10505592A (ja) 2006-10-10 2010-02-25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食道マッピングカテーテル
JP2011517417A (ja) 2008-03-18 2011-06-09 サーカ・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エルエルシー 大表面積温度感知装置
JP2014508547A (ja) * 2010-11-27 2014-04-10 セキュラス メディカル グループ インク アブレーション及び温度測定装置
JP2015173681A (ja) * 2014-03-13 2015-10-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温度センサ付電極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086C1 (de) * 1997-09-06 1999-07-15 Voelker Wolfram Priv Doz Dr Me Ballonkatheter
US20080312644A1 (en) * 2007-06-14 2008-12-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ryogenic balloon ablation instruments and systems
US20090264820A1 (en) * 2008-04-16 2009-10-22 Abio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anting an endoluminal prosthesis such as a prosthetic valve
US9937329B2 (en) * 2009-10-06 2018-04-10 Niazi Licensing Corporation Intra-esophageal balloon system
KR102245697B1 (ko) * 2012-02-27 2021-04-28 프랙틸 래브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직의 치료를 위한 열 절제 시스템,장치 및 방법
US10568686B2 (en) * 2013-11-21 2020-02-25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ulti-electrode balloon catheter with circumferential and point electrodes
EP3280363A4 (en) * 2015-04-06 2018-12-05 C.R. Bard, Inc. Inflatable perfusion balloon with outer mesh and related methods
US9668720B2 (en) * 2015-10-19 2017-06-06 DNP Biomed, LLC Systems, devices, components and methods for displacing and repositioning the esophagus away from the heart during atrial ablation surgical procedures
CN106725838B (zh) * 2016-02-11 2024-03-29 上海魅丽纬叶医疗科技有限公司 兼具球囊扩张和射频消融功能的导管及其消融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68A (ja) * 1999-08-30 2001-03-13 Hiroshi Terai 動脈瘤治療具
JP2010505592A (ja) 2006-10-10 2010-02-25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食道マッピングカテーテル
JP2011517417A (ja) 2008-03-18 2011-06-09 サーカ・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エルエルシー 大表面積温度感知装置
JP2010004915A (ja) * 2008-06-24 2010-01-14 Toray Ind Inc 嚥下障害治療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14508547A (ja) * 2010-11-27 2014-04-10 セキュラス メディカル グループ インク アブレーション及び温度測定装置
JP2015173681A (ja) * 2014-03-13 2015-10-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温度センサ付電極カテーテ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nal of Cardiovascular Electropfysiology Vol.24, No.9, September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9976A1 (en) 2020-07-15
WO2019049558A1 (ja) 2019-03-14
JP6755630B2 (ja) 2020-09-16
EP3679976A4 (en) 2021-06-02
CN110545878A (zh) 2019-12-06
KR102282198B1 (ko) 2021-07-27
JP2019042351A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1139A (ko) 카테터
AU2020203069B2 (en) Irrigated catheter tip with temperature sensor array
EP3206612B1 (en) Tissu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mini-electrodes
JP5853426B2 (ja) バルーン付き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DK2415495T3 (en) Ablation catheter with balloon
JP6563251B2 (ja) 複数の熱電対を有するカテーテル電極
ES2745505T3 (es) Catéter adaptado para contacto directo con el tejido
CN109965973B (zh) 消融导管和消融系统
JP7367118B2 (ja) カテーテル用の潅注システム
TWI598071B (zh) 附有氣球之電燒導管及附有氣球之電燒導管系統
JP6116505B2 (ja) 温度センサ付電極カテーテル
JP7051341B2 (ja) 歪みゲージを備えた切除カテーテル
JP2015112114A (ja) 神経電位測定用カテーテル
JP6894582B2 (ja) バルーン型電極カテーテル
WO2020178888A1 (ja) カテーテル
WO2021149215A1 (ja) カテーテル
WO2022176013A1 (ja) カテーテル
CN110013304A (zh) 位置偏置的热电偶
CN115427100B (zh) 带弯曲检测功能的基部部件、弯曲检测系统、具备带弯曲检测功能的基部部件的设备及球囊导管
US20230066333A1 (en) Cooled b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probe
JP2022124298A (ja) 体組織穿孔用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