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408A -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408A
KR20200030408A KR1020180109244A KR20180109244A KR20200030408A KR 20200030408 A KR20200030408 A KR 20200030408A KR 1020180109244 A KR1020180109244 A KR 1020180109244A KR 20180109244 A KR20180109244 A KR 20180109244A KR 20200030408 A KR20200030408 A KR 20200030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rack
management roo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975B1 (ko
Inventor
장성호
김동욱
윤권철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975B1/ko
Priority to US16/567,268 priority patent/US11313070B2/en
Priority to EP19860399.5A priority patent/EP3824131B1/en
Priority to PCT/KR2019/011800 priority patent/WO2020055145A1/en
Publication of KR2020003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Abstract

랙을 지지하도록 개선된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관리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및 랙을 지지하도록, 관리실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랙을 지지하도록 개선된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관리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의류 등의 구김 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납하는 관리실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교환장치 등이 배치되는 기계실은 관리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과 기계실은 분리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는 기계실에 구비된 열교환장치에 의하여 관리실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교환장치에 의해 제습되어 다시 관리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에 의류를 수납하는 방법으로, 옷걸이를 이용하여 거는 방법과, 랙에 얹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면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의류는 옷걸이를 이용하여 수납될 수 있고, 니트류와 같이 신축성이 강한 의류는 랙에 얹혀 수납될 수 있다.
랙은 관리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니트류 등의 의류가 수납될 때 관리실의 내부에 랙이 장착될 수 있고, 면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의류가 수납될 때는 관리실의 내부에서 랙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랙을 지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개선된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리실 내부의 공기가 관리실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관리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바디 및 상기 홀더가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에 마련되는 샤프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실은 상기 홀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홀더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홈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유닛이 결합된 상기 관리실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더유닛을 상기 결합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홀더유닛을 상기 결합부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향해 단차지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는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랙지지부 및 상기 랙지지부와 대향되고 상기 하우징과 간섭되어 상기 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관리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를 향하는 제1랙바디 및 상기 제1랙바디와 대향되는 제2랙바디가 대칭으로 구성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피봇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제1랙바디가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홀더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랙바디가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놓여지고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놓여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도록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관리기는 외부캐비닛,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내부캐비닛, 상기 내부캐비닛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캐비닛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캐비닛과 상기 외부캐비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랙을 지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랙을 취급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개선된 홀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홀더유닛을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실 내부의 공기가 관리실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홀더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의류관리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관리실로부터 분리된 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랙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결합부로부터 분리된 홀더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도 7의 A-A′에서 바라본 결합부에 결합된 홀더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제2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회전하는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우징홀을 커버하는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캐비닛(11), 및 외부캐비닛(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a)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20)는 힌지, 또는 링크 등을 통해 개구(10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관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관리실(30)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관리실(30)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랙(33)을 포함할 수 있다. 랙(33)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관리실(30)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거치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장치(60) 등의 베이스모듈(41)이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내부캐비닛(12)에 마련되는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은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3,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관리실(30) 및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부재(50)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50)는 관리실(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재(5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재(5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재(5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거치부재(5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51)은 거치부재(5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51)을 통해서 공기가 의류의 내 외측에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홀(51)은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1유입구(31a) 및 제2유입구(32a)와, 제1배출구(31b) 및 제2배출구(32b), 그리고 증기유입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31a)는 관리실(30)의 하면(12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유입구(33)는 관리실(30)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유입구(33)는 제1유입구(3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는 관리실(30)의 상면(12a)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구(32b)는 관리실(30)의 후면(12e)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와 제2배출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a)는 거치부재(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홀(51)을 통해 거치부재(50)로 전달되어 거치부재(5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61)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61)과 급수통(71)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61)은 열교환장치(6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은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61)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41)이 설치되는 기계실(40)은 내부캐비닛(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41)은 열교환장치(60), 스팀발생장치(70), 또는 각종 호스(68)를 포함할 수 있다. 각종 호스(68)는 열교환장치(60) 또는 스팀발생장치(70)에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60)는 필요에 따라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41)은 열교환장치(60), 제1팬(62), 및 스팀발생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장치(60)는 관리실(3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6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63), 응축기(64), 및 압축기(6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60)의 증발기(6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65)를 거쳐, 응축기(6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증발기(63)와 응축기(6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제1팬(6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63)와 응축기(6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장치(60)는 증발기(63), 응축기(64), 및 제1팬(62)을 연결하는 제1덕트(6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덕트(66)는 관리실(30)에 연결되어 관리실(30)과 제1덕트(66) 사이를 순환하는 제1유로(67)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덕트(66)는 관리실(30)의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66)의 일단은 제1유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1배출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공기는 제1배출구(31b)를 통해 제1덕트(66)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유입구(31a)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유입구(31a)는 관리실(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유입구(31a) 및 제1배출구(31b)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덕트(66)는 제1배출구(3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유입구(31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62)은 제1덕트(66) 상에 마련되어 관리실(30)의 공기를 제1덕트(66)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41)은 급수통(7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기계실(4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부(72), 및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부(72)의 내부에는 히터(미 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제2덕트(8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덕트(81)의 내부에는 제2팬(8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관리실(30)과 제2덕트(81)를 순환하는 제2유로(8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팬(82)은 제2유로(8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후면(12e)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필터(9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0)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91)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관리실(30)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84), 및 모터(84)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팬(8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84)는 그 축이 양 측방으로 돌출되며, 축의 양단에는 각각 제2팬(8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모터(84)로 한 쌍의 제2팬(8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2팬(8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팬(82)은 팬케이스(85)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케이스(85)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브래킷(86)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브래킷(86)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홀(86a)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홀(86a)에 각각 제2팬(82)이 결합되어 제2덕트(81)의 공기를 제2유입구(32a)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a)와 제2배출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81)의 일단은 제2유입구(32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는 거치부재(50)에 연결되어 제2덕트(81)의 공기가 거치부재(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덕트(81)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82)은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2배출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유입구(32a)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후면(12e)에는 필터(9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설치부(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배출구(32b)는 필터설치부(9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81)로 유입 시 제2배출구(32b)의 필터(9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제2덕트(8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9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9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송풍장치(80)를 통해 거치부재(5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9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 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 관리 시, 거치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1유로(67)와 제2유로(83)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관리실로부터 분리된 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랙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 도 1 참조)는 관리실(3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랙(33)은 하나로 도시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랙(33)은 복수로 층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랙(33)을 지지하도록 관리실(30)에 마련되는 홀더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도 4 참조) 및 우측면(12d)에 각각 마련되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관리기(1)는 랙(33)을 지지하도록 관리실(30)에 마련되는 지지부재(3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9)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39)는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각각 마련되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랙(33)은 지지부재(39) 및 홀더유닛(100)에 지지되어 관리실(3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랙(33)은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각각 마련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38)와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각각 마련되는 두 개의 홀더유닛(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랙(33)은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되는 홀더유닛(100)에 네 개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지지부재(39)와 이격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지지부재(39)와 도어(20, 도 2 참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과 도어(20)와의 거리는 지지부재(39)와 도어(20)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지지부재(39)보다 관리실(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39)와 달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유닛(100)을 도어(20)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홀더유닛(10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관리실(3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피봇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랙(33)을 사용하지 않을 때, 홀더(120)를 하우징(110)에 수용함으로써, 관리실(30)의 넓은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랙(33)은 랙(33)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홀더(12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홈(3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37)은 랙(33)의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3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37)은 랙(33)의 일측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랙(33)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홈(37)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지지홈(37)은 홀더(120) 및 지지부재(3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서 지지홈(37)은 랙(33)의 일측에 두 개씩 모두 네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홈(37)은 홀더유닛(100) 및 지지부재(39)의 수에 대응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랙(33)은 랙(33)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홀더(120)에 놓여질 수 있다. 랙(33)은 랙(33)이 홀더(120)에 놓여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홀더(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관리실(30) 내부에 배치되는 랙(33)은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과 간섭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랙(33)은 홀더(120) 및 지지부재(39)와 간섭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지지홈(39)의 크기는 홀더(120) 또는 지지부재(39)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므로, 랙(33)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지지홈(39)과 홀더(120) 또는 지지부재(39)와의 크기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지지홈(39)이 홀더(120) 또는 지지부재(39)와 간섭되어 랙(33)은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20) 및 지지부재(39)에 지지되는 랙(33)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홀더(120) 및 지지부재(39)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측 방향으로만 홀더(120) 및 지지부재(39)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는 랙(33)의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랙(33)을 관리실(30) 내부에 거치하거나 제거할 때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랙(33)은 도어(20)를 향하는 제1랙바디(35) 및 제1랙바디(35)와 반대되고 대칭되는 제2랙바디(36)로 구성되는 랙바디(34)를 포함할 수 있다, 랙(33)은 제1랙바디(35)가 도어(20)와 인접하도록 홀더(120)에 배치되거나 제2랙바디(36)가 도어(20)와 인접하도록 홀더(1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는 랙(33)의 전후 방향과 무관하게 랙(33)을 홀더유닛(100) 및 지지부재(39)를 통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실(30)의 내부에 랙(33)을 거치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결합부로부터 분리된 홀더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도 7의 A-A′에서 바라본 결합부에 결합된 홀더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제2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회전하는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유닛(100)은 관리실(3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는 랙(33)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바디(121) 및 홀더(120)가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바디(121)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22)는 홀더바디(121)의 양측으로부터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홀더(120)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4)를 가지는 하우징바디(111) 및 샤프트(122)가 결합되도록 하우징바디(111)에 마련되는 샤프트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4)는 홀더(120)가 하우징(110)에 수용됨으로써 홀더(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샤프트홀(112)은 샤프트(122)와 대응되도록 하우징바디(111)의 양측으로부터 대칭으로 두 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122) 및 샤프트홀(112)은 홀더바디(121) 및 하우징바디(111)로부터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20)는 하측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자중에 의해 홀더(12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홀더(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줄일 수 있다.
홀더바디(121)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랙(33)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랙지지부(125) 및 랙지지부(125)와 대향되고 하우징(110)과 간섭되어 홀더(1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방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랙지지부(125)는 랙(33, 도 6 참조)의 지지홈(37, 도 6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6)는 수용부(114)를 구성하는 하우징바디(111)의 하부와 간섭됨으로써, 홀더(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랙지지부(125)는 랙(33)을 지지할 수 있고, 하우징바디(111)의 하부는 회전방지부(126)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20)가 상측으로 회전 하는 경우 회전으로 돌출된 홀더(120)를 지지할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가 필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120)는 하측으로 회전되어 홀더(120)가 수용되는 하우징(120)의 하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홀더(12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도 4 참조) 및 우측면(12d)은 홀더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마련되는 결합부(38)는 서로 대칭되므로, 이하 편의상 관리실(30)의 우측면(12d)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38)는 하우징바디(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홀(38a)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결합부(38)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결합부(3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결합부(38)에 강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 도 2 참조)을 구성하는 우측면(12d)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홀더유닛(100)을 강제로 결합부(38)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바디(111)는 결합홀(38a)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관리실(30)의 내부에서 외부로 결합부(3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바디(111)의 일부는 결합홀(38a)을 관통할 수 있다. 하우징바디(111)의 일부는 내부캐비닛(12)의 결합부(38)에 결합되고, 외부캐비닛(11, 도 1 참조)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이 결합부(3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5)는 하우징바디(111)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5)는 결합홀(38a)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탈방지부(115)는 결합부(38)와 간섭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이탈방지부(115)가 결합부(38)와 간섭됨으로써, 홀더유닛(100)이 관리실(30)의 내부에서 외부로 결합홀(38a)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이 결합부(38)에 고정되도록 하우징바디(111)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6)는 하우징바디(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바디(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16)에 의해 고정부(116)가 마련된 홀더유닛(100)의 부분은 결합홀(38a)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캐비닛(12)을 구성하는 우측면(12d)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고정부(116)가 마련된 홀더유닛(100)의 부분이 결합홀(38a)의 면적보다 크더라도 홀더유닛(100)을 강제로 결합홀(38a)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16)는 결합부(38)와 간섭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고정부(116)가 결합부(38)와 간섭됨으로써, 홀더유닛(100)이 관리실(30)의 외부에서 내부로 결합홀(38a)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16)는 홀더유닛(100)을 결합부(38)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117) 및 홀더유닛(100)을 결합부(38)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제2고정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은 이탈방지부(115) 및 고정부(116)를 통해 결합부(38)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유닛(100)이 결합된 관리실(30)의 결합부(38)는 고정부(116) 및 이탈방지부(1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5)의 결합부(38)를 향하는 일측면은 결합부(38)와 밀착할 수 있다. 고정부(116)의 결합부(38)를 향하는 일측면은 결합부(38)와 밀착할 수 있다. 결합부(38)의 양측면은 각각 이탈방지부(115) 및 고정부(116)와 밀착할 수 있다. 고정부(116)는 내부캐비닛(12)과 외부캐비닛(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16)는 하우징(110)이 결합부(38)에 밀착되도록 결합부(38)를 향해 단차지는 단차(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118)는 하우징(110)이 결합부(38)에 밀착되도록 결합부(38)를 향해 단차지는 단차(11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38)와 밀착되는 고정부(116)가 단차(119)를 포함함으로써, 결합부(38)와 고정부(116) 사이의 실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70, 도 3 참조)로부터 관리실(30) 내부로 분사되는 스팀이 결합홀(38a)을 통해 관리실(3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어, 의류관리기(1, 도 1 참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단차(119)는 계단식, 주름, 또는 산과 골 등 고정부(116)와 결합부(38) 사이의 실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117)는 하우징바디(111)의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118)는 하우징바디(111)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고정부(118)가 제1고정부(117)와 달리 소정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홀더유닛(100)을 결합부(38)에 오 조립하는 경우 등 홀더유닛(100)을 결합부(38)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2고정부(118)에 소정의 힘을 가해 홀더유닛(100)을 결합부(38)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홀더(120, 도 10 참조)가 수용부(114)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13)는 수용부(114)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13)는 수용부(114)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113)는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홀더(120)는 걸림부(113)에 의해 홀더(1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123, 도 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123)은 걸림부(113)와 대응되도록 홀더바디(12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13)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걸림홈(123)은 걸림부(113)가 간섭되도록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120)는 걸림홈(123)이 걸림부(113)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수용부(114)에 수용되거나 수용부(11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방지부(126, 도 7 참조)를 가압하여 걸림홈(123)과 걸림부(113)의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홀더(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부(113)의 탄성보다 큰 힘을 회전방지부(126)에 가함으로써, 홀더(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홀더(120)의 샤프트(122, 도 7 참조) 및 하우징(110)의 샤프트홀(112)은 홀더유닛(100)의 하측에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회전방지부(126)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홀더(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홀더(120)는 걸림부(113)가 걸림홈(123)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걸림부(113)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124,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24)는 홀더바디(12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123)은 경사부(124)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0)의 샤프트(122) 및 하우징(110)의 샤프트홀(112)은 홀더유닛(100)의 하측에 마련되므로, 경사부(124)는 홀더(120)의 회전 반경의 단부에 해당하는 홀더바디(1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124)는 홀더(120)와 수용부(114)의 상부 간의 충돌 또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우징홀을 커버하는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하우징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홀(111a)은 하우징바디(11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홀(111a)은 하우징(110)의 사출의 용이성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유닛(100)은 하우징홀(111a)을 통해 스팀발생장치(70, 도 3 참조)로부터 관리실(30) 내부로 분사되는 스팀이 관리실(3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홀(111a)을 커버하는 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30)은 하우징홀(111a)을 커버하도록 하우징바디(111)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캡(130)은 하우징홀(111a)이 마련되는 하우징바디(111)의 상측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130)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홀(111a)을 실링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캡(130)은 다양한 재질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캡(130)이 하우징홀(111a)을 커버하여 실링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70)로부터 관리실(30) 내부로 분사되는 스팀이 관리실(3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의류관리기(1, 도 1 참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의류관리기 10: 본체
10a: 개구 11: 외부캐비닛
12: 내부캐비닛 12c: 좌측면
12d: 우측면 20: 도어
30: 관리실 33: 랙
34: 랙바디 35: 제1랙바디
36: 제2랙바디 37: 지지홈
38: 결합부 39: 지지부재
40: 기계실 100: 홀더유닛
110: 하우징 111: 하우징바디
111a: 하우징홀 112: 샤프트홀
113: 걸림부 114: 수용부
115: 이탈방지부 116: 고정부
117: 제1고정부 118: 제2고정부
119: 단차 120: 홀더
121: 홀더바디 122: 샤프트
123: 걸림홈 124: 경사부
125: 랙지지부 126: 회전방지부
130: 캡

Claims (20)

  1.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관리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바디 및 상기 홀더가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에 마련되는 샤프트홀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은 상기 홀더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의류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홀더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홈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이 결합된 상기 관리실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관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더유닛을 상기 결합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홀더유닛을 상기 결합부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향해 단차지는 단차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관리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바디는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랙지지부 및 상기 랙지지부와 대향되고 상기 하우징과 간섭되어 상기 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6.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관리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를 향하는 제1랙바디 및 상기 제1랙바디와 대향되는 제2랙바디가 대칭으로 구성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피봇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제1랙바디가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홀더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랙바디가 상기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의류관리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놓여지고 상기 랙이 상기 홀더에 놓여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도록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9. 외부캐비닛;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내부캐비닛;
    상기 내부캐비닛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캐비닛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가지는 홀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캐비닛과 상기 외부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관리기.
KR1020180109244A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기 KR102650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44A KR102650975B1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기
US16/567,268 US11313070B2 (en) 2018-09-12 2019-09-11 Clothes care apparatus
EP19860399.5A EP3824131B1 (en) 2018-09-12 2019-09-11 Clothes care apparatus
PCT/KR2019/011800 WO2020055145A1 (en) 2018-09-12 2019-09-11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44A KR102650975B1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408A true KR20200030408A (ko) 2020-03-20
KR102650975B1 KR102650975B1 (ko) 2024-03-26

Family

ID=6972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44A KR102650975B1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3070B2 (ko)
EP (1) EP3824131B1 (ko)
KR (1) KR102650975B1 (ko)
WO (1) WO2020055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2282A (zh) * 2022-09-29 2024-04-05 湖北美的洗衣机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的箱体组件和具有其的衣物护理设备
WO2024065931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130Y1 (ko) * 1988-05-17 1992-02-13 조중현 절첩식 씽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110074893A (ko) * 2008-09-30 2011-07-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체의 작동기구
US9016642B1 (en) * 2012-03-02 2015-04-28 Action Items, Inc. Reconfigurable hanging device with integral retention member
KR20170010876A (ko) * 2017-01-19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354A (en) * 1978-11-22 1980-09-09 Prince Corporation Retractable hook for a vehicle
KR200182199Y1 (ko) 1997-12-30 2000-06-01 윤종용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JP2003079999A (ja) 2001-09-17 2003-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US6663067B2 (en) 2002-01-30 2003-12-16 Trw Inc. Retractable coat hook
EP1454565A1 (en) * 2003-02-12 2004-09-08 Agostino Ferrari S.p.A. A disappearing device for shelf support in furniture
KR100654992B1 (ko) 2005-08-3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KR100658843B1 (ko) 2005-09-16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US20070284983A1 (en) * 2006-06-12 2007-12-13 Wayner Robert C Shelf support pin arrangement
JP5265269B2 (ja) * 2008-04-08 2013-08-14 株式会社ニフコ 回転体を備えた装置
KR20110130091A (ko) 2010-05-27 2011-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20113645A (ko) 2011-04-05 2012-10-15 안진경 세탁물 건조 장치
KR102043197B1 (ko) 2013-0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60131416A1 (en) * 2014-11-10 2016-05-12 Whirlpool Corporation Liner shelf support structures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101834294B1 (ko) 2016-11-21 2018-04-13 고관평 세탁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130Y1 (ko) * 1988-05-17 1992-02-13 조중현 절첩식 씽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110074893A (ko) * 2008-09-30 2011-07-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체의 작동기구
US9016642B1 (en) * 2012-03-02 2015-04-28 Action Items, Inc. Reconfigurable hanging device with integral retention member
KR20170010876A (ko) * 2017-01-19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3070B2 (en) 2022-04-26
US20200080250A1 (en) 2020-03-12
EP3824131A1 (en) 2021-05-26
KR102650975B1 (ko) 2024-03-26
EP3824131B1 (en) 2023-11-01
EP3824131A4 (en) 2021-08-11
WO2020055145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4567B1 (en) Clothes care apparatus
JP7116187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AU2015309202A1 (en) Laundry dryer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EP2990521B1 (en) Laundry dryer
KR20200030408A (ko) 의류관리기
KR20210064655A (ko) 의류관리기
KR20200058772A (ko) 의류관리장치
KR20200021358A (ko) 의류관리기
KR20150105151A (ko) 의류건조기
CN106436229B (zh) 洗衣机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0039527A (ja) 衣類乾燥機
KR20210146198A (ko) 의류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20210049389A (ko) 주름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101944405B1 (ko) 차압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083469A1 (en)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KR20230123798A (ko) 의류관리기
KR102542906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220138194A (ko) 의류처리장치
JP2013132304A (ja) 洗濯機
KR20110123331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