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51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51A
KR20150105151A KR1020140027442A KR20140027442A KR20150105151A KR 20150105151 A KR20150105151 A KR 20150105151A KR 1020140027442 A KR1020140027442 A KR 1020140027442A KR 20140027442 A KR20140027442 A KR 20140027442A KR 20150105151 A KR20150105151 A KR 2015010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um
main body
unit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68B1 (ko
Inventor
조성준
소진우
이윤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68B1/ko
Priority to US14/638,293 priority patent/US9885144B2/en
Publication of KR2015010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51A/ko
Priority to US15/850,511 priority patent/US2018011234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가진 필터유닛과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 드럼과 건조유닛의 사이에 위치하고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유닛, 일 측이 본체에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필터유닛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필터유닛과 필터커버로 인해 필터유닛의 미조립시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가진 필터유닛과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는 세탁되어 젖어 있는 빨래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써 건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동력원에 따라 가스식 건조기와 전기식 건조기로 분류되며, 건조대상물로부터 흡수한 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길게 연장된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열교환 장치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다시 드럼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공기의 흐름이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 어렵고 전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지비용이 많이 들지만, 공기가 드럼 내의 건조 대상물과 열교환 장치 사이를 순환하므로 배기덕트가 필요 없어서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공기를 배기하지 않는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필터의 장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응측식건조기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필터유닛은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유닛을 분리한 후 이를 재조립하지 않고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필터유닛이 조립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없어 의류건조기의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필터유닛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유닛과 필터커버가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여 필터유닛이 조립되지 않는 경우 필터커버가 조립되지 않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유닛, 일 측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필터유닛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커버는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대응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의 연결에 따라 상기 필터커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드럼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전면패널을 포함하고,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전면패널과 함께 상기 본체의 전면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 및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도어의 하부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필터유닛의 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크부재는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건조유닛은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이 연통되어 공기가 순환하도록,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선(先)필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필터유닛은 상기 드럼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건조유닛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 상기 드럼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 1필터, 상기 제 1필터를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건조유닛과 상기 제 1필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필터,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필터와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필터커버는 회동하며 상기 필터개구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와 상기 제 2필터는 서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가 여과되는 필터유닛,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고,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커버는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유닛은 서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필터유닛과 필터커버로 인해 필터유닛의 미조립시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다.
필터커버는 일 측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필터유닛과 결합하지 않는 경우 본체에서 회동하여 사용자에게 필터유닛의 미조립사실을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건조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건조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응축식건조기의 공기흐름 및 냉매사이클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1)는 응축식건조기로 도시하였다.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1)는 다양한 건조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은 실선으로 도시하고, 냉매의 흐름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우선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자면, 냉매는 일반적인 냉매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냉매사이클은 압축기(3), 응축기(40), 팽창밸브(5), 증발기(30)로 이루어져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할 수 있다. 응축기(40)와 증발기(30)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3)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40)로 유입된다. 응축기(40)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팽창밸브(5)는 응축기(40)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30)는 팽창밸브(5)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3)로 복귀시킨다. 증발기(30)는 냉매액을 냉매가스로 변화시키는 증발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빼앗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관한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의류건조기(1) 내부의 공기흐름은 후술한다. 응축식건조기의 경우 공기의 배출이나 흡입이 없이 순환하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20)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30)를 관통할 수 있다. 증발기(30)를 통과하며 열을 빼앗긴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고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적어진다. 즉, 드럼(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30)를 지나면서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드럼(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30)에서 냉각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증발기(30) 하부로 떨어지고, 증발기(30) 하부에 마련되는 물받이통(60, 도 4)에 의해 수집된다. 물받이통(60)에 수집된 응축수는 회수용 물통(50, 도 2)으로 이동하거나, 본체(10)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30)를 지나 저온 건조해진 공기는 응축기(40)를 관통할 수 있다. 저온건조한 공기는 응축기(40)를 통과하며 온도가 높아진다. 즉, 증발기(30)에서 배출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40)를 지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다시 드럼(20)으로 투입되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대상물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공기는 다시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일련의 과정을 순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필터유닛(100) 등 드럼(20)의 하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베이스(9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1)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상부를 덮는 탑커버(11)와, 프레임(12)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는 베이스(90)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90)에는 냉매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3), 응축기(40), 증발기(30) 등이 안착될 수 있고, 그 외에 순환팬(43), 구동모터(3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90)의 상부에는 증발기(30) 및 응축기(40) 등을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드럼(20)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4)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을 드럼(2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3)에는 투입구(16)가 형성되고, 투입구(16)의 전방에는 도어(14)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14)는 투입구(16)의 일 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패널(13)의 상부에는 회수용 물통(50)이 마련될 수 있다. 회수용 물통(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받이통(60)에서 이동한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다. 물받이통(60)은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홀(62, 64)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65)에 의해 물받이통(60)의 응축수는 배수홀(62, 64)로 배출되어 회수용물통(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받이통(60)은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용 물통(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52)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수용 물통(50)의 전면에는 표시창(51)이 위치할 수 있다. 회수용 물통(50) 내측에 모인 응축수의 양을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창(51)은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창(51)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회수용 물통(50)을 인출하여 회수용 물통(50)에 수용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3)에는 의류건조기(1)의 제어를 위한 회전스위치(17)와 디스플레이부(15)가 위치할 수 있다. 회전스위치(17)는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며 의류건조기(1)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의류건조기(1)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조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은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20)의 내부에는 드럼(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터(21)가 배치된다. 리프터(21)는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시켜 건조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드럼(20)은 드럼(20)의 외측에 결합된 벨트(3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드럼의 일 측에는 구동모터(31)가 위치하고, 구동모터(31)에는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32)가 마련된다. 벨트(33)는 풀리(32)와 드럼(20)을 연결하여 구동모터(31)의 동력을 드럼(20)에 전달할 수 있다.
드럼(20)은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유입구(22) 및 배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2)는 드럼(20)의 후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배출구(23)는 드럼(2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22)를 통해 후방에서 흡입된 공기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고 배출구(23)를 통해 전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의류건조기(1)는 드럼(20)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유닛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 3에서는 드럼(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다. 건조유닛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30) 및 응축기(40)와 같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그외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의류건조기(1)는 드럼(20)과 건조유닛이 연통되어 공기가 순환하도록,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순환팬(43)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43)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고, 드럼(20)의 후면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팬(4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공기는 덕트(24, 2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순환팬(43)은 드럼(2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도 있다.
드럼(2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마련된 덕트를 유입덕트(24)라 하고, 드럼(20)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마련된 덕트를 배출덕트(25)라 한다. 유입덕트(24)는 드럼(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드럼(20)에 형성된 유입구(22)를 통해 드럼(2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배출덕트(25)는 드럼(20)의 전방에 배치되어 드럼(20)의 내부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의류건조기(1)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자면, 공기는 배출구(23)를 통해 드럼(20) 내부에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배출덕트(25)를 따라 건조유닛(30, 40)으로 유입된다. 건조유닛(30, 40)을 통과한 후 건조해진 공기는 가이드덕트(45)를 따라 유입덕트(24)로 가이드 된다. 유입덕트(24)를 따라 이동하여 유입구(22)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며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공기가 건조대상물을 통과하는 동안 린트(lint)와 같은 이물질이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기는 배출되지 않고 의류건조기(1) 내부를 순환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의류건조기(1)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70, 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드럼(20)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필터(70)와, 제 1필터(70)를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필터(70)는 드럼(20)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 2필터(100)는 건조유닛(30, 40)과 제 1필터(7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공기는 드럼(20)에서 빠져나와 제 1필터(70)와 제 2필터(100), 건조유닛(30, 40)을 차례로 통과하며 순환할 수 있다.
이하, 제 2필터(100)를 필터유닛이라 하고 이에 대해 자세히 후술한다. 제 1필터(70)는 필터유닛(100)의 앞에 설치되는 필터로 선필터유닛이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필터유닛(100)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필터유닛(10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필터유닛(100) 및 필터커버(200)의 도시를 위해 의류건조기(1)의 전면 일측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커버(200)는 전면패널(13)과 함께 본체(10)의 전면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필터유닛(200)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개구(160)를 포함하고, 필터커버(200)는 필터개구(160)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필터커버(200)는 전면패널(1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필터커버(200)와 필터유닛(100)은 도어(14)의 하부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유닛(100)은 드럼(20)과 건조유닛(30, 40)의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100)은 필터개구(160)를 통해 본체(10)에 설치되거나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개구(160)의 전면에는 필터커버(200)가 위치하고, 필터개구(160)의 후방부에는 건조유닛(30, 4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필터유닛(100)의 전면에는 필터커버(200)가 위치하고, 필터유닛(100)의 후면에는 건조유닛(30, 40)이 위치한다.
필터커버(20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필터개구(160)를 개방할 수 있다. 필터커버(200)는 필터개구(160)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필터커버(200)는 본체(10)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여 필터개구(160)를 폐쇄한 상태이고, 도 5 및 도 6은 본체(10)로부터 회동하여 필터개구(160)를 개방한 상태이다.
도 5와 같이 필터커버(200)가 본체(10)에서 회동되면 필터유닛(100)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6과 같이 사용자는 필터유닛(100)의 전면에 위치한 손잡이부(116)를 파지하여 필터유닛(100)을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유닛(100)을 세탁한 후 다시 필터유닛(100)을 본체(10)에 결합하고, 필터커버(200)를 회동시켜 필터개구(160)를 폐쇄한 후 의류건조기(1)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터유닛(100)을 본체(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의류건조기(1)를 작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에 따라, 공기 중의 이물질이 충분히 여과되지 못하고, 필터개구(160)의 후방부에 위치한 건조유닛(30, 40)이 노출되어 열손실 및 응축수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럼(20)을 빠져나온 습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며 주변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유닛(100)과 필터커버(200)는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한다. 필터유닛(100)이 본체(10)에 조립되지 않는 경우, 필터커버(200) 또한 본체(10)에 고정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다. 즉, 필터커버(200)는 일 측이 본체(10)에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필터유닛(10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필터유닛(100)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의 필터커버(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커버(200)는 제 1결합부재(210)를 포함하고, 필터유닛(100)은 제 1결합부재(210)와 대응하는 제 2결합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210)는 필터커버(200)의 후면에 위치하고, 제 2연결부재(112)는 필터유닛(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112)가 연결되며 필터커버(200)가 필터유닛(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112)는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커버(200)는 본체(10)에 결합하는 회동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재(230)는 필터커버(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외관상 필터커버(200)의 후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동부재(230)는 본체(10)의 일 측에 끼워지는 결합부(232)를 포함하고, 결합부(232)의 양 측에는 결합돌기(23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233)는 결합부(232)의 양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필터커버(200)는 본체(10)에 좌우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커버(200)의 하부는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필터커버(200)의 상부는 회동하며 필터개구(16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제 1결합부재(210)와 회동부재(230)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100)이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부가 고정되지 않은 필터커버(200)는 본체(1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즉, 필터유닛(100)이 본체(1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필터커버(200)는 회동되며 필터개구(160)가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커버(200)가 회동되어 필터개구(160)가 노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터유닛(100)이 장착되지 않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필터유닛(10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필터커버(200)는 하부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제 1결합부재(210)가 제 2결합부재(112)에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커버(200)는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여 필터개구(160)를 폐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필터유닛(100)이 본체(10)에서 분리되어 있는 경우, 필터커버(200)의 상부가 고정되지 않고 하부에 위치한 회동부재(230)가 회전함에 따라 필터커버(200)는 필터개구(16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필터유닛(100)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유닛(100)은 본체(10)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100)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전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114)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며 필터유닛(100)을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필터유닛(100)의 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필터커버(200)는 고정부재(114)에 대응하는 체크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재(114)는 필터유닛(100)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필터유닛(100)은 고정부재(114)가 회전할 수 있는 함몰된 설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부재(220)는 고정부재(114)가 잠금상태로 놓여진 경우, 비어있는 설치부(1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부재(114)는 필터유닛(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체크부재(220)는 필터커버(2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설치부(115)는 필터유닛(100)의 전면에 함몰된 상태로 마련되고, 체크부재(220)는 설치부(115)까지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4)가 회전하며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 고정부재(114)와 체크부재(220)가 간섭하여 필터커버(200)가 필터유닛(100)에 고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필터유닛(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필터유닛(100)은 앞서 설명한 제 2결합부재(112), 고정부재(114), 손잡이부(116)가 마련된 전면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10)의 후방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케이싱(120, 140)이 마련되고, 케이싱(120, 140)은 전방에 마련된 제 1케이싱(120)과 후방에 마련된 제 2케이싱(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20)과 제 2케이싱(140)은 제 1연결부(122)와 제 2연결부(142)를 각각 포함하여, 제 1연결부(122)와 제 2연결부(142)가 연결되며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20)의 전면에는 손잡이(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케이싱(120)은 프레임(146)의 형태로 마련되고, 프레임(146)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144)에는 메시망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20, 140)에는 열교환기(30, 40)의 열손실 및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케이싱(140)의 후면에는 후방필터(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케이싱(120)은 후방필터(150)를 향해 돌출된 돌기(148)를 포함하고, 후방필터(150)는 그에 대응하는 홀(152)을 포함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의류건조기 10 : 본체
20 : 드럼 30 : 증발기
40 : 응축기 70 : 제 1필터(선필터유닛)
100 : 제 2필터(필터유닛) 112 : 제 2결합부재
114 : 고정부재 200 : 필터커버
210 : 제 1결합부재 220 : 체크부재
230 : 회동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유닛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필터커버;
    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대응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유닛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의 연결에 따라 상기 필터커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드럼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전면패널과 함께 상기 본체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 및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도어의 하부 일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필터유닛의 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크부재는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견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의 일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이 연통되어 공기가 순환하도록,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드럼과 상기 건조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선(先)필터유닛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필터유닛은 상기 드럼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건조유닛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4.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
    상기 드럼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 1필터;
    상기 제 1필터를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건조유닛과 상기 제 1필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필터;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필터와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커버;
    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필터커버는 회동하며 상기 필터개구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와 상기 제 2필터는 서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8.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가 여과되는 필터유닛;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커버는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유닛은 서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유닛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40027442A 2014-03-07 2014-03-07 의류건조기 KR10220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42A KR102201868B1 (ko) 2014-03-07 2014-03-07 의류건조기
US14/638,293 US9885144B2 (en) 2014-03-07 2015-03-04 Clothes dryer
US15/850,511 US20180112348A1 (en) 2014-03-07 2017-12-21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42A KR102201868B1 (ko) 2014-03-07 2014-03-07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51A true KR20150105151A (ko) 2015-09-16
KR102201868B1 KR102201868B1 (ko) 2021-01-12

Family

ID=5401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42A KR102201868B1 (ko) 2014-03-07 2014-03-07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85144B2 (ko)
KR (1) KR102201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544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45752A (ko)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보조히터가 구비된 건조기
KR102381538B1 (ko) * 2020-12-21 2022-04-04 주식회사 위닉스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7177A (zh) * 2016-06-30 2016-09-1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冷凝器和具有其的干衣机
CN110799695A (zh) * 2018-11-14 2020-02-1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闭式热泵干衣机系统
DE102020130204B4 (de) * 2020-11-16 2023-03-02 Miele & Cie. Kg Filteranordnung für eine Wäschebehandlungsmaschine und Wäschebehandlungs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549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12089771A1 (en) * 2010-12-31 2012-07-05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comprising a dismountabl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5707B1 (en) * 2004-03-16 2007-11-14 Arcelik A.S. A washer / dryer
DE102011055090B3 (de) * 2011-11-07 2012-12-27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oder Wäschetrock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549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12089771A1 (en) * 2010-12-31 2012-07-05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comprising a dismountable memb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544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JP2019092900A (ja) * 2017-11-24 2019-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US11441257B2 (en) 2017-11-24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KR20200045752A (ko)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보조히터가 구비된 건조기
KR102381538B1 (ko) * 2020-12-21 2022-04-04 주식회사 위닉스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2348A1 (en) 2018-04-26
US20150252516A1 (en) 2015-09-10
US9885144B2 (en) 2018-02-06
KR102201868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38685B (zh) 衣物烘干机
KR20150105151A (ko) 의류건조기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JP4612563B2 (ja) 衣類乾燥機
KR20100070019A (ko) 건조기
US9217220B2 (en)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US10968560B2 (en) Dryer
KR20100094372A (ko) 세탁건조기
JP2009106566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KR10177942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69779A (ko) 건조기
JP2008212170A (ja) 乾燥機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JP5010626B2 (ja) 洗濯乾燥機
KR20070013449A (ko) 의류건조기기
JP4996636B2 (ja) 洗濯乾燥機
JP2016073534A (ja) 衣類乾燥機
RU2452804C2 (ru) Бытовое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лья
JP4013693B2 (ja) 洗濯乾燥機
JP2007135772A (ja) 洗濯乾燥機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8000232A (ja) 洗濯乾燥機
KR20110123333A (ko) 건조기
JP5656817B2 (ja) 洗濯機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