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349A -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349A
KR20200030349A KR1020180109112A KR20180109112A KR20200030349A KR 20200030349 A KR20200030349 A KR 20200030349A KR 1020180109112 A KR1020180109112 A KR 1020180109112A KR 20180109112 A KR20180109112 A KR 20180109112A KR 20200030349 A KR20200030349 A KR 2020003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rver
user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508B1 (ko
Inventor
정성욱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08B1/ko
Priority to PCT/KR2019/011634 priority patent/WO2020055062A1/en
Priority to US16/564,561 priority patent/US10631158B2/en
Priority to EP19858780.0A priority patent/EP3808055A4/en
Priority to CN201980059656.1A priority patent/CN112689983A/zh
Publication of KR2020003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04L61/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버가 개시된다. 본 서버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RECTRONIC APPARATUS, AND CONTR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건물 내의 사용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백화점, 영화관 등의 대규모 건물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고, 다수의 사용자는 건물 내의 대피 경로를 인지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은 증대된다.
이와 같은 긴급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관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일 관제 시스템은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에 설치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일 관제 시스템은 건물 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전화 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미리 수집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문자 등의 알림 메시지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였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전화 번호 등 사용자 정보가 유출되어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필요 없이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를 변경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서버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를 변경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기저장된 IP 주소별로 매칭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웹 서버와는 상이한 상기 서버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URL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필요 없이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따라 변경된 대피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에 긴급 모드를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IoT 허브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전자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블릿 PC, 노트북, 캠코더 등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기어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5G(5G Networks)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서버(30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AP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자 장치(200)는 IoT 허브, 라우터, 브릿지, 리피터, 펨토셀(Femtocell)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서버(30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20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자 장치(200)는 이동 통신, 근거리 통신(LAN), 광역 통신(WAN) 등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200)는 건물 내 각 층별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각 층의 각 공간, 예를 들어 로비, 사무실, 화장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서버(300)는 건물 내에서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 주변에 위치함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건물 내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대피 경로에 따라 신속하게 안전 지대로 대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가 제공하는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및 프로세서(32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는 일반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 등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에 액세스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긴급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인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되도록,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IP 주소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도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10)는 Wifi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119 관제 서버, 국가 재난 관제 서버 등과 같이 긴급 상황을 관리, 통제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에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에는 서버(300)가 관제하는 건물 내 어느 위치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관제하는 건물 내 2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에는 서버(300)가 관제하는 건물 내 2층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는 서버(3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IP 123.123.100.…인 제1 전자 장치는 Location 1이 매칭되어 있고, IP 123.123.200.…인 제2 전자 장치는 Location 2이 매칭되어 있고, IP 123.123.300.…인 제3 전자 장치는 Location 3이 매칭되어 있고, IP 123.123.400.…인 제4 전자 장치는 Location 4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Location 1 내지 Location 4는 각각 서버(300)가 관제하는 건물의 1층 내지 4층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층의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4 구역이 될 수 있다. 또한, Location 1 내지 Location 4는 서로 다른 층의 서로 다른 구역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Location 1 내지 Location 4는 서로 다른 건물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320)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부터 Location 1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320)는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Location 1에 매칭된 제1 전자 장치를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는 일 실시 예일 뿐, 프로세서(32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320)는 해당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특정 Location에 위치하는 사이렌 센서, 열 감지 센서, 웹 캠 등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200)를 판단하고, 해당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IoT 디바이스 별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20)는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 간의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강도 이상이면, 전자 장치(20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간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기저장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기저장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200)를 식별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긴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접속을 시도하도록 요청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포털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경우,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해당 사이트를 관리하는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해당 웹 서버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IP 주소는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할당한 IP 주소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가 통신 링크를 설정할 때,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할당한 IP 주소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IP 주소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할당함에 있어서, 소정의 인증 절차 단계를 거친 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에 설정된 패스워드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가 개방형 네트워크를 제공할 경우,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인증 절차 단계를 생략하고,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서버(300)의 URL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0)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된 경우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IP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하고, 전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수신한 IP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가 건물 내 2층에 있는 전자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건물의 2층 지도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관제 대상이 되는 건물 내에서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 별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비상구가 위치하는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또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완강기가 위치하는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등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다양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건물 내 2층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건물 내 2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비상구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은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된 지점으로써, 외부 서버에 의해 수신될 수 있음은 물론,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부터 화재가 건물 내 2층의 화장실에서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320)는 화재가 건물 내 2층의 화장실에서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은 불(fire) 모양의 아이콘과 같은 다양한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대피 경로를 변경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제1 위치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1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대피 경로를 제외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에서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 프로세서(320)는 제1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비상구는 제외하고, 그 외 비상구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다른 장치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0)가 건물 내 2층의 사무실인 경우,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 2층의 사무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는 동일 층의 다른 사무실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층의 다른 사무실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긴급 상황의 경우 건물 내 있는 모든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도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에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제1 및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제1 및 제2 전자 장치 각각에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거리는 20m, 40m 등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거리는 기설정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거리가 20m로 설정될 수 있고, 폭발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거리가 50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0)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가 일반 모드에서 소정의 인증 절차 단계를 거친 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폐쇄형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긴급 모드에서 전자 장치(200)의 인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되도록,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때 개방형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등의 소정의 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기만 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등의 소정의 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320)는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상술한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게 알리고,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3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는 119 관제 서버, 국가 재난 관제 서버 등과 같이 긴급 상황을 관리, 통제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음은 물론, 사이렌 센서, 열 감지 센서 등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에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에는 서버(300)가 관제하는 건물 내 어느 위치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를 판단하고, 해당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S410)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에 액세스하고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긴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S420)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4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http://samsung.com 에 대응되는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http://www.119.gov/emergency..)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IP 주소는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할당한 IP 주소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때,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할당한 IP 주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192.168.4.1인 경우, 응답 신호에는 ip-192.168.4.1 과 같은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S44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서버(300)의 URL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450)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300)는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 및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S510)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상술한 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신호에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 및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긴급 모드로 동작하고,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폐쇄형 네트워크를 개방형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등의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주변의 전자 장치를 스캔(S520)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증 절차 없이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S530)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S540)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550)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S560)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570)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일반 모드에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브로드 캐스트(Broadcast)하는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일반 모드에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자 장치(2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 주변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전자 장치(100)의 SSID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300)는 화재, 폭발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S6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해당 전자 장치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300)는 전자 장치의 SSID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전자 장치의 SSID 정보 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긴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여,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 외, 긴급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 캐스트(S620)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브로드 캐스트 된 비콘 프레임에 긴급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S6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저장된 긴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콘 프레임에 긴급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비콘 프레임에 긴급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긴급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로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S640)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SSID 정보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SSID 정보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 장치(200)의 SS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650)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S610)하는 서버 및 지도 정보를 전송(S650)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는 복수의 건물을 관제하는 서버가 될 수 있고, 지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는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건물을 관제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도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710)가 영화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A건물 내 2층에 위치하는 경우, 지도 정보는 A건물 내 2층으로부터 대피하기 위해 비상구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811)가 A건물 내 2층의 제1관에 위치하는 경우, 지도 정보는 A건물 내 2층의 제1관으로부터 대피하기 위해 비상구로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복수의 전자 장치(811, 812, 813, 814)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811)가 위치하는 공간으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경로를 지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제1관으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이동 경로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지도 정보는 제2 내지 제4관 각각으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81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를 나머지 대피 경로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81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를 나머지 대피 경로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굵기의 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또한, 지도 정보에는 어떠한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정보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은 화재, 침수, 폭발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된 지점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을 불(fire) 모양의 아이콘과 같은 다양한 UI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20)는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영화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A건물의 2층 내 제4관에서 발생된 경우, 제4관에 불 모양의 아이콘(910)을 표시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인지를 인지하고, 위험 지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따라 변경된 대피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대피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기존의 대피 경로를 다른 대피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영화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A건물의 2층 내 제4관에서 발생된 경우, 프로세서(3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비상구(1040)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다른 비상구 (1020,1030)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안전한 대피 경로를 통해 위험 지역을 벗어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에 긴급 모드를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2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0-1)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200-2)를 판단하고,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200-2)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200-1)를 제1 전자 장치라 하고, 상술한 다른 전자 장치(200-2)를 제2 전자 장치라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전자 장치(200-1)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제2 전자 장치(200-2)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거리는 30m, 50m 등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0)는 제2 전자 장치(200-2)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장치(200-2)도 제1 전자 장치(200-1)와 마찬가지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320)는 제2 전자 장치(200-2)에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4, 100-5, 100-6)로부터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IP 주소에 매칭된 제2 전자 장치(200-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200-2)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4, 100-5, 100-6)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지도 정보와 함께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특정 위치에서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4, 100-5, 100-6)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320)는 제1 전자 장치(200-1)에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에는 제1 전자 장치(200-1)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2개의 전자 장치(200-1, 200-2) 및 각 전자 장치(200-1, 200-2)에 통신 연결된 3개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전자 장치의 개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로부터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3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장치 각각에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제1 전자 장치(200-1) 및 제2 전자 장치(200-2)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제1 전자 장치(200-1) 및 제2 전자 장치(200-2) 각각에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S1210-1, S1210-2)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거리는 20m, 40m 등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 전자 장치 각각에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등의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주변의 전자 장치를 스캔(S1210-1, S1210-2)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증 절차 없이 제1 및 제2 전자 장치 중 하나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자 장치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각각 전송(S1230-1, S1230-2)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자 장치(200-1)의 응답 신호에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200-2)의 응답 신호에는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전자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각각 전송(S1240-1, S1240-2)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200-1)의 응답 신호에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200-2)의 응답 신호에는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전자 장치(200-1)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로 전송한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가 포함되고, 제2 전자 장치(200-2)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로 전송한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 또는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P 주소가 긴급 모드로 동작 중인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200-1)의 위치 및 제2 전자 장치(200-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간 지점은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을 2등분 하였을 때 정중앙 지점이 될 수 있음은 물론, 정중앙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지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는 상술한 중간 지점으로부터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A 건물 내 2층의 제1 사무실에 위치하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건물 내 2층의 제2 사무실에 위치하는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자 장치(200-1, 200-2)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을 판단하고, 중간 지점으로부터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상술한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함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것인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술한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10초로 설정된 경우, 서버(300)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된 때로부터 10초 내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술한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1 전자 장치(200-1)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지난 후, 가령 2시간이 지난 후 제2 전자 장치(200-2)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전자 장치 사이가 아닌 제2 전자 장치(200-2) 근처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IoT 허브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서버(30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IoT 허브(1300)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IoT 허브(13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1310, 13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IoT 디바이스는 사이렌 센서, 열 감지 센서, 웹 캠 등 IoT 디바이스 주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디바이스는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을 넘어서는 경우 또는 기설정된 컬러, 가령 레드 컬러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포함된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등에, 화재 등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IoT 허브(1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IoT 허브(130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IoT 허브(1300)로부터 화재 등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IoT 허브(13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oT 허브(13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고, IoT 허브(1300)는 IoT 허브(13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웹 서버가 아닌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IoT 허브(1300)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IoT 허브(13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전자 장치(200)가 IoT 허브(1300)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200) 및 IoT 허브(1300)는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특정 Location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허브(1300)를 경유하여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200)를 식별하고, 해당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IoT 디바이스 별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 간의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강도 이상이면, 전자 장치(20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IoT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200)간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기저장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및 기저장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20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메모리(130), 디스플레이(140), 감지부(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3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또는 무선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가지는 듀얼 카메라라고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카메라(120)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140)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잇다. 특히, 디스플레이(14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50)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의 경우,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스피커(160)는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60)는 서버(300)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할 때 위험 상황을 알리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70)는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통신부(110)를 활성화 시키고, 주변의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200)를 스캔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특정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전자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200)가 폐쇄형 네트워크를 제공할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자 장치(200)에 설정된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200)가 개방형 네트워크를 제공할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등의 소정의 인증 절차 없이 해당 전자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특정 포털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사이트를 관리하는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200)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면, 프로세서(170)는 전술한 웹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300)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300)로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300)로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수신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특정 웹 서버로 액세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면, 웹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300)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23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모드를 긴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특정 웹 서버로 액세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웹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300)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서버(300)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응답 신호에는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버(300)는,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S16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화재 등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200)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전자 장치(200)가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자 장치(200)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S1620)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지도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버(300)에 의해 제공된 대피 경로에 기초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위험 지역을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200: 전자 장치
300: 서버
310: 통신부
320: 프로세서

Claims (19)

  1.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를 변경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IP 주소별로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10.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린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인증 절차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를 변경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IP 주소별로 매칭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전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9.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웹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웹 서버와는 상이한 상기 서버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URL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시스템.
KR1020180109112A 2018-09-12 2018-09-12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12A KR102612508B1 (ko) 2018-09-12 2018-09-12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1634 WO2020055062A1 (en) 2018-09-12 2019-09-09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564,561 US10631158B2 (en) 2018-09-12 2019-09-09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858780.0A EP3808055A4 (en) 2018-09-12 2019-09-09 SERVER, USER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CN201980059656.1A CN112689983A (zh) 2018-09-12 2019-09-09 服务器、用户终端装置、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12A KR102612508B1 (ko) 2018-09-12 2018-09-12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49A true KR20200030349A (ko) 2020-03-20
KR102612508B1 KR102612508B1 (ko) 2023-12-12

Family

ID=6971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12A KR102612508B1 (ko) 2018-09-12 2018-09-12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31158B2 (ko)
EP (1) EP3808055A4 (ko)
KR (1) KR102612508B1 (ko)
CN (1) CN112689983A (ko)
WO (1) WO2020055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0980B1 (en) * 2019-06-06 2023-11-01 Signify Holding B.V. Emergency radio frequency-based sensing function
US11516304B2 (en) 2019-09-17 2022-11-29 In-Telligent Properties Llc Third-party integration of emergency alert systems
CN111669433A (zh) * 2020-05-08 2020-09-15 快猪侠信息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智慧酒店区域通行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998A (ko) * 2004-02-24 2005-08-31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US20080162667A1 (en) * 2005-03-11 2008-07-03 Dinesh Chandra Verma Method and system for rapid dissemination of public announcements
US20110136463A1 (en) * 2009-12-03 2011-06-09 Recursio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event in a region of interest
US20130331053A1 (en) * 2012-06-06 2013-12-12 Avaya Inc. Special handling of certain types of communications
KR20140094293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대피 정보 제공방법, 및 재난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170027113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크레디프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988B2 (ja) * 2000-12-25 2004-09-29 Necモバイリング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データ処理装置及び緊急通報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緊急通報サービス方法
JP3608740B2 (ja) * 2001-09-04 2005-01-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635534B2 (en) 2006-05-16 2017-04-25 RedSky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rom automated vehicles
US8755767B2 (en) 2006-05-16 2014-06-17 RedSky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ATE535127T1 (de) 2007-12-21 2011-12-15 Koninkl Kpn Nv Notfallsystem und -verfahren
US8594015B2 (en) 2009-07-29 2013-11-26 T-Mobile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in an IP-based wireless network
KR101079343B1 (ko)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US8447014B2 (en) * 2010-12-31 2013-05-21 Paramount Pictures Corporation Voice-over-IP (VoIP)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location information to emergency responders to respond to emergency calls
US20140293865A1 (en) * 2011-11-14 2014-10-02 Thomson Licensing Dynamic evacuation information delivery to mobile devices
US9055350B2 (en) * 2012-11-16 2015-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EP2919213A1 (en) 2014-03-14 2015-09-16 Mobilarm AS Location-based emergency warning system and method
JP2016130899A (ja) * 2015-01-13 2016-07-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582841B2 (en) * 2015-03-24 2017-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cation based emergency management plans
US10045150B2 (en) 2015-03-30 2018-08-07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sensing user location in an IoT system
KR20170059261A (ko)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상황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10142816B2 (en) * 2015-12-16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communication
US9940823B2 (en) 2016-02-29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using smart devices and non-smart devices
KR101848276B1 (ko) 2016-07-29 2018-04-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US10375758B2 (en) * 2017-02-16 2019-08-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Fi communication of wireless emergency aler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998A (ko) * 2004-02-24 2005-08-31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US20080162667A1 (en) * 2005-03-11 2008-07-03 Dinesh Chandra Verma Method and system for rapid dissemination of public announcements
US20110136463A1 (en) * 2009-12-03 2011-06-09 Recursio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event in a region of interest
US20130331053A1 (en) * 2012-06-06 2013-12-12 Avaya Inc. Special handling of certain types of communications
KR20140094293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대피 정보 제공방법, 및 재난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170027113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크레디프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62A1 (en) 2020-03-19
US10631158B2 (en) 2020-04-21
CN112689983A (zh) 2021-04-20
EP3808055A4 (en) 2021-09-01
EP3808055A1 (en) 2021-04-21
KR102612508B1 (ko) 2023-12-12
US20200084608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2530B1 (e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US10321516B2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462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US10631158B2 (en)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77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EP3349537B1 (en) Transition from rrc_inactive state to rrc_connected state
EP2437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KR2018012196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70245314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60113547A (ko) 스마트 디바이스 검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220159695A1 (en) Resource request method, allocation method, and acquisition method
US20180061218A1 (en) Alarm Initiation When Sensor is Intentionally Jammed
US10181261B2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102156380B1 (ko)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704380B2 (ja) 外部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WO2016139920A1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4187595A (ja) 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605625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23185728A1 (zh) 业务处理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117042A (ko) 트래픽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 장치
JP2006304284A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
KR101688896B1 (ko) 지역별 로밍 기능을 구비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등록 방법
WO2017031811A1 (zh) 一种无线展示方法及用户终端
KR20150108444A (ko) 복수 통신망 연결상태에 있는 무선 단말기의 통신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