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380B1 -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380B1
KR102156380B1 KR1020190175385A KR20190175385A KR102156380B1 KR 102156380 B1 KR102156380 B1 KR 102156380B1 KR 1020190175385 A KR1020190175385 A KR 1020190175385A KR 20190175385 A KR20190175385 A KR 20190175385A KR 102156380 B1 KR102156380 B1 KR 10215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voice
terminal device
serve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Priority to KR102019017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은 음성 안내 장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와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하고,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의 이상을 판단하며, 통신부의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MANAGEMENT SYSTEM FOR SOUND SIG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DO THEREOF}
본 개시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의 음성 안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관리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사회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사회적 약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음성 안내 장치는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설치된 장치로서 시각장애인이 위치 또는 시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일정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음성 안내 장치의 대표적인 예는 음성유도기와 음향신호기가 있다. 음성 안내 장치는 주요 시설 또는 건물 내외부의 특정 지점이나 특정 시설물에 부착되어, 음향, 음성, 멜로디 등의 소리를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대중 교통시설, 건물 내부의 특정 지점이나 특정 시설물의 위치나 소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음향 신호기는 횡단보도의 신호등에 설치된 장치로, 시각 장애인들에게 횡단보도의 위치 및 횡단의 가부를 안내한다. 따라서, 음성 안내 장치의 고장 유무 등을 포함한 상태를 파악하고 고장난 음성 안내 장치를 신속하게 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음성 안내 장치는 매우 많은 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모든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고장을 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음성 안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포함한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음성 안내 장치를 용이하게 관리하고, 고장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하고,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의 이상을 판단하며, 상기 통신부의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의 검색 과정 및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비교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출력 지연 시간 또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에 기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기존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 각각을 상기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출력 오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의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비교하는 단계는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가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출력 지연 시간 또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에 기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기존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 각각을 상기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출력 오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고장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의 파악 및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잇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발명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라고 기재한 것은 A와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 것으로 나열된 요소 이외에 추가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도 포괄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수행되는 정보(데이터) 전송 과정은 필요에 따라서 암호화/복호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보(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표현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모두 암호화/복호화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로부터 B로 전송(전달)" 또는 "A가 B로부터 수신"과 같은 형태의 표현은 중간에 다른 매개체가 포함되어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도 포함하며, 반드시 A로부터 B까지 직접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만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언급되는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는 비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한편, 각 실시 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지만, 각 실시 예는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0)은 단말 장치(100), 음성 안내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음성 안내 장치(200)로 전송하여 음성 안내 장치(200)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장치(200)는 음성유도기(200a) 및 음향신호기(20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300) 내에 저장된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음성 안내 장치(200)의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0)은 음성 안내 장치(20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적외선 통신, 지그비, NFC 등의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본 개시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말 장치(100)는 일정한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예, 시각장애인)의 단말 장치일 수 있고, 관리자의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범위는 근거리 통신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극장, 역사 등 공간적인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일정한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200)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발신하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가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의 위치 정보,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위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는 일정 범위 내의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일정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200) 모두가 정상적으로 통신 신호를 발신한다면, 단말 장치(100)는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반면에, 특정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경우,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200)는 통신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특정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특정한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를 비교함으로써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특정한 음성 안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특정한 음성 안내 장치(200)를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200)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안내 장치(200)는 통신 모듈에 이상이 없더라도 일시적으로 통신 신호를 발신하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통신 신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의 검색 과정 및 수신된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비교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통신 모듈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통신 모듈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통신 모듈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0)은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0)은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음성 안내 장치(20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가 출력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관리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 중에서 특정 음성 안내 장치(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구성부에 대한 이상 유무 정보, 위치 정보, 식별 정보, 음성 안내 장치(200)로 입력된 신호의 종류 및 횟수 등의 정보, 출력 오디오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특정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특정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최신 정보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0)은 음성 안내 장치(200)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하고,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관리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 중에서 특정 음성 안내 장치(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미리 단말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데이터는 음성, 멜로디 등과 같은 출력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프로세서 동작을 위한 최신 소프트웨어 데이터, 바이너리 파일 또는 실행 파일일 수도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 장치(100)의 블록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음성 안내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적외선 통신, 지그비, NFC 등의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모듈은 CDMA, GSM, WCDMA, LTE, LTE-A, 5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방식에 따라 서버 또는 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와이파이, 무선랜, 와이브로, LTE, LTE-A, 5G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서버 또는 타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무선 인터넷 통신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도 이동 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통신부(110) 및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음성 안내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고,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와 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비교하고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통신 모듈의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의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앱(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관리자 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동시에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표시된 앱 상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앱(또는, 사용자 메뉴)을 표시하고, 표시된 앱 상에서 음성 안내 장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명령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관리자의 단말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관리자 앱(또는, 관리자 메뉴)을 표시하고, 표시된 앱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 명령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음성 안내 장치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또는, 관리자)(1)가 일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의 앱(사용자 앱 또는 관리자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단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일정한 범위(3) 내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이 가능한 거리는 송신 전력에 따라 약 10m 내지 100m 정도이다. 음성 안내 장치가 시각장애인용으로서 오디오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위치 또는 방향을 안내해준다는 점에서 음성 안내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약 10m 내지 20m 정도 통신이 가능한 전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가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일정한 범위도 약 10m 내지 20m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는 일 실시 예이며,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서버가 단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일정하게 구획된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의 통신 출력 전력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음성 안내 장치의 일반적인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단말 장치의 통신 출력을 높임으로써 다소 먼 거리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 장치가 약 10m 내지 20m 정도 통신이 가능한 전력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관리자의 단말 장치는 일시적으로 약 100m 까지 통신이 가능한 전력으로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고, 이 경우, 약 100m 이내의 음성 안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또는, 관리자)의 단말 장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3) 내에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가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일정 범위(3) 내의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를 검색하고, 서버로부터 일정 범위(3)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제1 음성 안내 장치(11)의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제1 음성 안내 장치(11)를 검색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가 검색한 음성 안내 장치는 제2 내지 제4 음성 안내 장치(12, 13, 14)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수신한 리스트와 검색한 음성 안내 장치를 비교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수신한 리스트를 기준으로 제1 음성 안내 장치(11)가 누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제1 음성 안내 장치(11)의 통신 모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제1 음성 안내 장치(11)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제1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제1 음성 안내 장치의 이상 여부를 소리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하고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제2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한 경우, 단말 장치는 제2 음성 안내 장치(12)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서버로 수신한 제2 음성 안내 장치(12)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음성 안내 장치(12)에 대한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특정 음성 안내 장치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하고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제3 음성 안내 장치를 선택한 경우, 단말 장치는 제3 음성 안내 장치(130)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제3 음성 안내 장치(13)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제3 음성 안내 장치(13)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3 음성 안내 장치(13)는 단말 장치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범위 내에는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로 출력 명령을 전송하여 모든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가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정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는 일정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에는 일정한 순서로 지연 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명령 수신 시간을 기준으로 제1 음성 안내 장치(11)는 0초, 제2 음성 안내 장치(12)는 5초, 제3 음성 안내 장치(13)는 10초, 제4 음성 안내 장치(14)는 1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가 단말 장치로부터 오디오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음성 안내 장치(11)는 바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음성 안내 장치(12)는 5초 후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제3 음성 안내 장치(13)는 10초 후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음성 안내 장치(14)는 15초후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전송한 오디오 출력 명령이 제1 내지 제4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에 전달되는 시간은 음성 안내 장치마다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 안내 장치에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은 약 ms 단위이고, 음성 안내 장치의 출력 지연 시간은 사용자에게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약 s 단위이기 때문에 음성 안내 장치에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의 전달 시간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일정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한 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음성 안내 장치로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모든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로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를 전송할 때 각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로 지연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제1 음성 안내 장치(11)로 0초의 지연 정보, 제2 음성 안내 장치(12)로 3초의 지연 정보, 제3 음성 안내 장치(13)로 6초의 지연 정보, 제4 음성 안내 장치(14)로 9초의 지연 정보를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음성 안내 장치(11, 12, 13, 14)는 출력 명령 신호와 함께 지연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음성 안내 장치로 오디오 출력 명령 신호를 전송할 때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관리자가 음성 안내 장치로 오디오 테스트 출력 명령 신호를 전송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일정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로 한 번의 명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음성 안내 장치에 대한 오디오 출력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장치 관리 시스템은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410). 일 실시 예로서, 음성 안내 장치 및 단말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통신 신호를 발신하고, 단말 장치는 발신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고(S420), 단말 장치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와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S430). 단말 장치는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가 이상이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S440).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모든 음성 안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통신 신호를 발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에 이상이 발생한 음성 안내 장치는 통신 신호를 발신하지 못하므로 단말 장치는 통신부에 이상이 발생한 음성 안내 장치는 검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수신된 리스트와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를 비교함으로써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할 수 있고, 누락이 식별된 음성 안내 장치를 통신부에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검색 과정 및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와 리스트 비교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통신부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450). 서버는 통신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음성 안내 장치의 이상 여부에 대해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S510).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S520).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단말 장치(100)와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통신 채널이 형성된 음성 안내 장치(200)로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는 자신의 현재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구성부에 대한 이상 유무 정보, 위치 정보, 식별 정보, 음성 안내 장치(200)로 입력된 신호의 종류 및 횟수 등의 정보, 출력 오디오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40). 서버(300)는 수신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이전 상태 정보를 현재 상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550).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음성 안내 장치(200) 각각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10). 한편, 업데이트 데이터는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대신 단말 장치(100)에 기 저장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S620).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200)로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630). 일 실시 예로서,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가 음향 신호기라면 출력 멜로디 데이터일 수 있고, 선택된 음성 안내 장치가 음성유도기라면 출력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음성 안내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업데이트 데이터는 출력 음성 데이터, 출력 멜로디 데이터, 소프트웨어 데이터, 바이너리 파일 또는 실행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이 음성 안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장치(20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710).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장치(200)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하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720). 단말 장치(100)는 일정 범위 내의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30).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에서 수신한 음성 안내 장치(200)의 리스트에는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와 수신된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S740). 단말 장치(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리스트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모든 음성 안내 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일정 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통신 신호를 발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통신 신호를 발신하지 못 하거나 비정상적인 통신 신호를 발신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검색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가 수신된 리스트와 검색된 음성 안내 장치(200)를 비교하고, 수신된 리스트를 기준으로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200)를 식별함으로써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S750).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에 이상이 있는 음성 안내 장치(200)를 판단하기 위해 음성 안내 장치(200)의 검색 과정 및 비교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760). 서버(300)는 통신부 이상으로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200)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이상 여부에 대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한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200)는 일정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서로 다른 지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신호를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200)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음성 안내 장치(200)는 지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200)에는 각각 서로 다른 지연 시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음성 안내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된 지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100: 단말 장치
200: 음성 안내 장치 300: 서버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하고,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의 이상을 판단하며, 상기 통신부의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의 검색 과정 및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비교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출력 지연 시간 또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에 기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방식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기존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 각각을 상기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출력 오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단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스트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리스트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에서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누락된 음성 안내 장치의 통신부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의 이상이 판단된 음성 안내 장치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비교하는 단계는, 복수 회 반복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가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출력 지연 시간 또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에 기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방식인,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의 기존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된 현재 상태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 각각을 상기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출력 오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175385A 2019-12-26 2019-12-26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156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85A KR102156380B1 (ko) 2019-12-26 2019-12-26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85A KR102156380B1 (ko) 2019-12-26 2019-12-26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380B1 true KR102156380B1 (ko) 2020-09-15

Family

ID=7246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85A KR102156380B1 (ko) 2019-12-26 2019-12-26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59B1 (ko) * 2023-06-26 2024-03-08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Uwb 기반의 음성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도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음성안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741A (ko) * 2009-09-21 2011-03-29 임하철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신호 안내 장치
KR20150106110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 서버를 활용한 와이파이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9622A (ko) * 2015-04-30 2016-11-09 장훈 폰-웨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741A (ko) * 2009-09-21 2011-03-29 임하철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신호 안내 장치
KR20150106110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 서버를 활용한 와이파이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9622A (ko) * 2015-04-30 2016-11-09 장훈 폰-웨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59B1 (ko) * 2023-06-26 2024-03-08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Uwb 기반의 음성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도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음성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892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20180286407A1 (en) Communication device
WO2017084427A1 (zh) 终端的定位方法及装置
CN109716866B (zh) 无线灯具配置
US2018006369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272104B1 (en) A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US1066355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1002486A1 (ko) 음성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1874515B1 (ko) Ble를 이용한 실시간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60967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56380B1 (ko) 음성 안내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631158B2 (en)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4207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079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082376B1 (en) Network device discovery method and network device discovery system
US1000934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766248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5787B1 (ko) 원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블루투스 비콘 장비의 원격관리 방법
KR20210111210A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232687B1 (ko) 음성유도장치
KR20130001593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US923256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90238391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30057638A (ko)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