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593A -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593A
KR20130001593A KR1020110062450A KR20110062450A KR20130001593A KR 20130001593 A KR20130001593 A KR 20130001593A KR 1020110062450 A KR1020110062450 A KR 1020110062450A KR 20110062450 A KR20110062450 A KR 20110062450A KR 20130001593 A KR20130001593 A KR 2013000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positioning signal
signal generator
user termi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995B1 (ko
Inventor
장한식
Original Assignee
(주)한스뮤츄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뮤츄얼 filed Critical (주)한스뮤츄얼
Priority to KR102011006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9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정 공간 내에서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람의 현재 위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예로,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통해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사용자 단말기간 거리를 파악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점차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GPS 신호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의 현재 위치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다. 물론, 사람이 실외에 있는 경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실내에 있거나, 건물에 의해 가려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그리고 이것은 곧 어플리케이션의 오작동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정 공간 내에서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람의 현재 위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통해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사용자 단말기간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구동되는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측위 신호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기설정된 주기내에서 시간을 분할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순차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무작위 순서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위치한 영역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연동되는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내장된 디바이스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위치에서 상기 기준값 이하의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가 내장된 디바이스를 구동하고, 상기 기준값 이하의 위치에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는 IEEE 802.15.4, IEEE 802.11 a/b/g, Bluetooth, NFC, RFID의 무선 근거리 통신기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는 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기설정된 영역 내에 다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한 주기 동안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며, 수신된 신호 세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위치한 영역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연동되는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디바이스 내에 제어부와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시간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시간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c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다수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구동 순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구동 순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및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가 정해진 시기에 네트워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에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부(110)에 보고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의 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 및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가 마트 내에 설치되어 있고, 카트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마트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별도의 위치 서비스 서버(미도시)에 보고하고, 위치 서비스 서버는 다시 컨텐츠 서버(미도시)로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Access Point, AP, 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네트워크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는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공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가 제 1 공유기 내지 제 6 공유기(121 내지 126)의 6개의 공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공유기의 개수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공유기(121 내지 126)는 이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영역(ar1 내지 ar6)을 형성한다. 상기 네트워크 영역(ar1 내지 ar6)은 각 공유기(121 내지 126)에 의해 발생된 네트워크 신호가 일종 세기 이상으로 도달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공유기(121 내지 126)들은 네트워크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고, 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공유기 내지 제 6 공유기(121 내지 126)가 네트워크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시간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이상적인 조건 즉,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일정 영역 내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의 거리(d) 및 시간(t)에 따른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서의 수신 전력(Pr)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신 전력(Pr)은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 거리(d)가 0인 지점에서 송신 전력(Pt)과 같은 값을 갖고,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 거리(d)가 멀어짐에 따라 감소되는 값을 갖는다. 이 경우, 다른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상기 수신 전력(Pr)은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의 거리(d)에 반비례하는 값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송신 전력(Pt)와 수신 전력(Pr)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t는 송신 전력, Pr은 수신 전력, Gt는 송신 안테나의 게인, Gr은 수신 안테나의 게인, L은 손실을 의미하며, 위의 수식에서 단위는 [dB]이다.
또한, 상기 손실 L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a,b,c는 상수이며, d는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의 거리, f는 신호의 주파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지고,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손실(L) 역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영역(ar1 내지 ar6)는 상기 수신 전력(Pr)이 기준값 이상을 갖는 일정 범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a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시간에 따른 수신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실제 조건에서는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하나만 있더라도, 페이딩(fading)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의 거리가 제 1 거리(d1)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해당되는 제 1 수신 전력(P1)이 기준 수신 전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와 반대의 경우, 제 1 수신 전력(P1)가 기준 수신 전력보다 크게 되는 영역 역시 발생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c는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다수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실제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다수개인 경우, 각 네트워크 신호간 간섭까지 발생하여, 페이딩이 더욱 심화된다. 즉,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까지의 거리(d)에 대해 수신 전력(Pr)이 점차 감소하는 기본 형태에 간섭에 따른 삼각파 등의 간섭 신호가 중첩된다. 이것은 각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네트워크 영역이 중복됨에 따른 것으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거리가 멀더라도 네트워크 신호가 다른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네트워크 영역 내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네트워크 영역의 겹침에 따라서, 페이딩이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감지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구동 순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도 1의 개략도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한 주기 내에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제 1 공유기(121, AP1)로부터 제 6 공유기(126, AP6)까지 개별적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제 1 시간(t1) 동안 상기 제 1 공유기(121)를 먼저 구동하고, 이후 제 2 시간(t2) 동안 제 2 공유기(122)를 구동하며, 이러한 순서로 제 6 시간(t6) 동안 제 6 공유기(126)까지 구동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6 공유기(126)의 이후에는 제 7 시간(t7)동안 다시 제 1 공유기(121)로부터 구동을 시작하여 각 공유기(121 내지 126)가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부(110)가 한 주기를 세분하여, 특정 시간에 하나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만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주기 동안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의 네트워크 수신 전력들을 비교하고, 그 중에서 가장 큰 수신 전력를 갖는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의 네트워크 영역(ar1 내지 ar6)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의 간섭을 배제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별도의 컨텐츠 서버(미도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정보르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구동 순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의 구성을 동일하게 구비하며, 다만 각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들의 구동 순서에서 차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제어부(110)가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들을 한 주기 내에서 무작위로 구동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들이 복수 주기동안 구동되면,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 상호간의 간섭 효과에 따른 오차를 보다 줄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들이 무작위로 구동되면 동일 조건에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1 내지 126) 구동시 시간 마진을 줄이더라도 상호간 간섭을 줄여서 전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200)은 마트와 같은 실내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 진열대(10)의 내부에 위치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 및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12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마트에서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카트(230)가 이동을 하게 되면, 먼저 제 1 공유기(121)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의 방식은 IEEE 802.15.4, IEEE 802.11 a/b/g, Bluetooth, NFC, RFID의 무선 근거리 통신기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트(230)가 제 1 공유기(121)의 네트워크 영역(ar1) 내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 2 공유기(122)와 카트(230)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트(230)가 상기 제 2 공유기(122)의 네트워크 영역(ar2) 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유기(123) 내지 제 6 공유기(126) 역시 상기 카트(2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 전전력의 세기로서 상기 카트(23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파악한 상기 카트(230)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카트(230) 주변의 제품 구성,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상기 카트(230)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사용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이러한 정보들이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300)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에 구비된 제어부(310) 및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330)은 사용자 단말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320)는 노트북 컴퓨터 내에 마이크로 칩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30)는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에 구비된 유심(USIM, 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320)와 사용자 단말기(330)의 유심(331)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 전력의 신호 세기를 통해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신호 세기가 일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310)가 사용자 단말기(330)에 대해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320)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을 일반 사용 화면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세기가 일정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30)가 주변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을 대기 모드 화면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300)은 상기 제어부(310) 및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320)을 은행에서 금고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은행원의 단말기(330)가 금고에 대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금고의 개폐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금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통해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사용자 단말기간 거리를 파악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구동되는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기설정된 주기내에서 시간을 분할하여 구동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순차 구동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를 무작위 순서로 구동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가 위치한 영역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와 연동되는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내장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위치에서 상기 기준값 이하의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가 내장된 디바이스를 구동하고, 상기 기준값 이하의 위치에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을 정지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는 IEEE 802.15.4, IEEE 802.11 a/b/g, Bluetooth, NFC, RFID의 무선 근거리 통신기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측위 신호 발생기는 무선 공유기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062450A 2011-06-27 2011-06-27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KR10123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50A KR101234995B1 (ko) 2011-06-27 2011-06-27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50A KR101234995B1 (ko) 2011-06-27 2011-06-27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93A true KR20130001593A (ko) 2013-01-04
KR101234995B1 KR101234995B1 (ko) 2013-02-20

Family

ID=4783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450A KR101234995B1 (ko) 2011-06-27 2011-06-27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802A (ko) * 2013-01-15 2015-09-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관찰된 도착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포지셔닝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50122291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137B1 (ko) * 2015-11-19 2018-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1415B2 (ja) 2006-03-20 2011-09-14 Kddi株式会社 位置情報を含むビーコンフレームを送信する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28074A (ko) * 2008-06-10 2009-12-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무선 단말기, 고정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실내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802A (ko) * 2013-01-15 2015-09-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관찰된 도착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포지셔닝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50122291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995B1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2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EP3281276B1 (en)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 chargers in multi-charger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KR101416599B1 (ko) 측위용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KR20200070413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상시 비코닝 기법
Bai et al. A new method for improving Wi-Fi-based indoor positioning accuracy
RU2015139728A (ru) Обнаружение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близости
WO2018017027A3 (en) Multi signal diffusio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US20220353701A9 (en) Mobile device and infrastructure systems
EP2678706B1 (en) Method for localizing the position of a wireless device in an environment comprising a wireless network having at least one access point
KR10123499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CN110221243B (zh) 一种通信网络的定位方法和系统
KR102163339B1 (ko)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11406258B (zh) 对资产进行安全本地访问并利用移动设备进行验证的装置、包括该装置的系统和方法
US201701118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User Equipment, and System
KR20160063761A (ko) 저전력 블루투스 단말기의 측위 측정을 위한 공간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EP2767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US90146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thereb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349518B2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JP6314595B2 (ja) 測位装置、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および測位プログラム
JP2013183165A (ja) 電波環境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波環境管理方法
KR20180122120A (ko) 측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41461B2 (ja) 通信装置
JP2020115629A (ja) 通信中継機器、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im et al. Effective initial channel access in dense loosely coupled wireless charging pad environments
KR20140112321A (ko)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