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113A -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113A
KR20170027113A KR1020150123611A KR20150123611A KR20170027113A KR 20170027113 A KR20170027113 A KR 20170027113A KR 1020150123611 A KR1020150123611 A KR 1020150123611A KR 20150123611 A KR20150123611 A KR 20150123611A KR 20170027113 A KR20170027113 A KR 2017002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wireless access
data
information providing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근
임현석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to KR102015012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113A/ko
Publication of KR2017002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는 재난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무선 접속 연결 상태를 강제로 해제하고 재 연결을 위한 과정 중에 재난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인터넷을 사용중이였던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재 접속 과정에서 반드시 재난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Description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 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TRANSFERRING EMERGENCY INFORMATION SERVER, WIRELESS ACCESSTERMINAL AND SYSTEM HAVING THE SERVER AND THE TERMINAL}
본 명세서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접속 단말기에 접속된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 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얻기를 원하며 광고와 같이 무차별적인 정보의 수신을 거부한다.
한편, 기상, 환경, 재난 정보와 같이 사람의 생명 또는 건강과 직결되는 정보는 광고와 달리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2549호(2012.06.14)에는 DMB 방송을 통해서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서 다수의 스마트 폰 사용자가 DMB 시청보다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공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다.
따라서, 무선 접속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정보를 필요한 시기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2549호(2012.06.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접속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재난 정보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연결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재 연결 설정 후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무선 접속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서, 상기 제어부는 재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3의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와 재 연결 설정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의 서버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재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 중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과 관련된 속성을 가진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재난 발생 위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특정 장소에 유효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의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재난 발생 및 유효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난 정보를 원하는 시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새로운 물리적 장치의 부가 없이, 기존 장치의 프로그램을 부가, 변경하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사람들에게 재난 정보를 제공하여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이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4는 재난 정보가 표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선택적으로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유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란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을 비롯하여,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부(130)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연결에 있어서, 일부 구간에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 및 상기 유선 통신부(130)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유선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재 연결 설정을 위한 과정에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한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유선 통신부(13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Access Point(AP)라고 불리는 와이-파이 접속 단말기가 있고, 다수의 AP를 제어하는 Access Control(AC)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유선 통신부(130)가 모두 AP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AP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120) 및 유선 통신부(130)는 AC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P 및 AC 모두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그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될 뿐이며 무선 접속을 위한 단말기라는 점에서 본 명세서에 의한 무선 접속 단말기(100)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본 명세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허가'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2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왼쪽에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이 도시되어 있으면, 오른쪽에는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100)로서 AP(Access Point)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설정 과정은 IEEE 802.11 표준 기술에 따른 과정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 과정은 IEEE 802.11 표준 기술에 따른 과정으로서 상세한 기술적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120)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만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비콘(Beacon)을 전송한다(1단계). 상기 비콘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콘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한다(2단계). 상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한다(3단계). 상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허가 요청(Authentication Request)을 전송한다(4단계). 상기 허가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허가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을 전송한다(5단계). 상기 허가 응답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한다(6단계).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전송한다(7단계). 상기 과정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는 무선 통신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 등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즉, 단말기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를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허가'라고 명명하겠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이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 및 재난 정보 제공 서버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도 2에서 살펴보았던 방식에 의해 접속 상태가 유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재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3의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에게 '연결 상태 해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TEP 1). 상기 '연결 상태 해제 요청'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에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신호이다.
한편,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란, 지진, 해일, 태풍, 홍수와 같은 대형 재난뿐만 아니라, 소나기, 황사, 미세먼지, 산성비, 폭염 등과 같이 시민의 건강과 연결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접속 상태가 강제로 해제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에게 다시 프로브 요청(2단계)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재 연결 설정을 위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과정을 다시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재 연결 설정 후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이른바 리다이렉팅(redirecting)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9단계, 10단계). 그리고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10단계, 11단계).
이후,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주체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직접 생산된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제3의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각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100)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제3의 서버에서 생산된 데이터로서 통신사가 운영하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생산 주체 및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주체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와 연결된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 중 일부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전송을 위해서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100)에 대한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 중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과 관련된 속성을 가진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 정보 및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 정보 및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 중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를 가진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 정보는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특정 시간에 유효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가 일기 예보와 같이, 특정 시간에만 유효한 정보인 경우, 특정 시간에만 동작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 정보는, 설치된 장소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특정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만 유효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이 특정 음식의 식중독 위험 등과 같은 정보인 경우, 시장 또는 마트와 같은 장소에 설치된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선택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5는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선택적으로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상기 상단에 도시된 위치에만 황사 먼지의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고 가정하겠다. 따라서,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상단에 도시된 지역에만 황사 관련 재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황사 데이터의 지역 속성과 무선 접속 단말기(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지역에만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상기 구성들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무선 접속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유선 통신부
200 : 재난 정보 제공 서버

Claims (9)

  1.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재난 정보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연결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재 연결 설정 후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
  3. 무선 접속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서,
    상기 제어부는, 재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3의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와 재 연결 설정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서버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재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제공 서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재난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 중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과 관련된 속성을 가진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재난 발생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특정 장소에 유효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의 속성은, 각 무선 접속 단말기의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속성은, 재난 발생 및 유효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50123611A 2015-09-01 2015-09-01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27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11A KR20170027113A (ko) 2015-09-01 2015-09-01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11A KR20170027113A (ko) 2015-09-01 2015-09-01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13A true KR20170027113A (ko) 2017-03-09

Family

ID=5840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611A KR20170027113A (ko) 2015-09-01 2015-09-01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403A (ko) 2018-04-26 2019-11-0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속성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0349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549A (ko) 2010-12-06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채널변환을 이용한 재난 정보의 방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549A (ko) 2010-12-06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채널변환을 이용한 재난 정보의 방송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403A (ko) 2018-04-26 2019-11-0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속성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0349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57802B (zh) 使用Wi-Fi网络通信的方法和设备
KR1022749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52964B2 (en) No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6413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s for performing functions
EP2759892B1 (en) Synchronization of alarms between devices
KR101634306B1 (ko)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4785A (ko) 화상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652944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reconnection of a terminal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via another wireless network
US20140302832A1 (en) Phone connection method, electronic terminal and system
CN106793157B (zh) 一种终端间通信的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223956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KR20170027113A (ko)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00098005A1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CN113326012A (zh) 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5245438B (zh) 一种内容共享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71020A (ko)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
CN103365613B (zh) 组合电子设备的屏幕的方法及电子设备
JP6491892B2 (ja) 携帯端末
KR101523145B1 (ko) 멀티 링크 무선 단말을 위한 트래픽 분산 방법
JP5862586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US20150081919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s
KR101717040B1 (ko)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TWI452855B (zh) Near fiel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KR101715251B1 (ko)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JP6576654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2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27

Effective date: 2019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