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234A -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234A
KR20150099234A KR1020140020833A KR20140020833A KR20150099234A KR 20150099234 A KR20150099234 A KR 20150099234A KR 1020140020833 A KR1020140020833 A KR 1020140020833A KR 20140020833 A KR20140020833 A KR 20140020833A KR 20150099234 A KR20150099234 A KR 2015009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s
push message
push
tim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854B1 (ko
Inventor
이기원
박재현
박혜영
임기영
장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54B1/ko
Priority to US14/466,051 priority patent/US9713121B2/en
Priority to PCT/KR2014/012481 priority patent/WO2015126050A1/en
Publication of KR2015009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simulcast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푸시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푸시 서버에 접속 시 그 푸시 서버로 전자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시 서버에서는 네트워크 정보별로 전자 장치들을 분류해놓을 수 있다. 이후, 푸시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푸시 서버는 네트워크 정보별로 분류된 전자 장치들을 일정 크기 단위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확인하여,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시간 보정을 위한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된 타이밍으로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무선 네트워크 상황에 최적화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USH MESSAG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서버가 푸시 메시지를 전자 장치로 제공함에 있어 상기 푸시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태블릿 등 전자 장치가 널리 보편화 되면서, 다양한 목적으로 푸시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푸시 서비스란, 전자 장치에 특정 메시지나 알림 등을 전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용의 네트워크 연결(connectivity)을 하나만 유지하는 동시에 모바일 플랫폼 차원에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각 어플리케이션에게 메시지나 알림 등을 전달한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의 활용 예로, 위치 기반 마케팅 서비스,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등이 있으며 위치 기반의 브로드캐스트 푸시 서비스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의 경우 메시지나 알림 등의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전자 장치와 푸시 서버는 논리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도 1은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일정 반경(r) 이내의 전자 장치들(20)과 그 전자 장치들(20)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 및 상기 전자 장치들(20)과 푸시 서버(10) 간을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망(30)을 포함한다.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는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20)로 무선 네트워크망(30)을 통해 집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반경 내에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다 집중되고, 이로 인해 무선 네트워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특정 지역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어느 한 시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망 상황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들이 속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크기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버에서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동작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을 선택하는 동작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동작과,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에 따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푸시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 장치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 전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별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하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고,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한 후,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에 따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지역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어느 한 시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망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어,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지역의 어느 한 시점에 푸시 메시지가 집중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점을 개선할 수 있어, 푸시 서비스 제공 서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버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푸시 서버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및/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 가운데 “제 1,”“제2,”“첫째,”“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가전 제품(hom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등),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액자,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1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1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130),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4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기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4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기 통신 모듈(160)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110),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131)은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이 상기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134)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110),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13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이 상기 커널(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132)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버스(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60)은 다른 전자 장치(104)와 상기 전자 장치(100)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60)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162)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4)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예: 같은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 (예: 다른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푸시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에서 푸시 서버에 접속 시 그 푸시 서버로 전자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 서버에서는 네트워크 정보별로 전자 장치들을 분류해놓을 수 있다. 이후, 푸시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푸시 서버는 네트워크 정보별로 분류된 전자 장치들을 일정 크기 단위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확인하여,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시간 보정을 위한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된 타이밍으로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무선 네트워크 상황에 최적화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의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메시지 제공자(MessageProvider)(330), 푸시 서버(300), 무선 네트워크망(340, 350, 360) 및 복수의 전자 장치(37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푸시 서버(300)가 도시되어 있지만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버는 복수개일 수 있다.
메시지 제공자(330)는 브로드캐스트할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시지 제공자(330)는 푸시 서비스 제공 업체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제공자(330)는 긴급 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푸시 서비스의 예로서, 긴급 재난 상황(예컨대, 태풍, 쓰나미, 지진 등)이 발생할 경우, 긴급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CBS(Cell Broadcast message Service) 서버, ETWS(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ervice) 서버 등에서 제공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마케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의 예로는, 특정 점포의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모든 전자 장치들로 제공하는 할인 쿠폰,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하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전자 장치(370)는 무선 네트워크망(340, 350, 360)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전자 장치(370)는 무선 네트워크망(340, 350, 360)으로부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모바일 국가코드(MCC:Mobile Country Code)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Mobile Network Code)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는 네트워크 사업자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통신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37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상기 푸시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70)는 푸시 서버(3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푸시 서버(300)에 등록을 해야 한다. 이러한 등록 과정에서 전자 장치(370)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며, 인증이 성공적일 경우에 전자 장치(370)는 푸시 서버(300)로 접속하여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70)는 푸시 서버(300)에 접속 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푸시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푸시 서버(300)에 전자 장치(370) 인증을 위한 등록 시에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제공될 시 전자 장치(370)의 식별 정보도 함께 푸시 서버(3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푸시 서버(30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푸시 서버들 중 전자 장치(370)가 위치한 영역의 푸시 서버가 할당될 수 있다.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370)는 항상 푸시 서버(30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370)는 자체적으로 푸시 서버(300)와의 세션 연결을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푸시 서버(300)는 메시지 수신 서버(message receiver server)(310) 및 장치 연결 서버(device connection server)(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 서버(310) 및 장치 연결 서버(320)는 각각 RQM 및 CM(Connection Manager)로도 칭할 수 있으며, 푸시 서버(300)를 구성하는 구성부로 장치 또는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서버(310)는 메시지 제공자(330)로부터 브로드캐스트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달할 수 있다.
장치 연결 서버(320)는 상기 메시지 수신 서버(310)로부터 전달되는 푸시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망(340, 350, 360)을 통해 일정 크기의 그룹 단위의 전자 장치들(370)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망(340, 350, 360) 각각은 푸시 서버(300)와 전자 장치(370)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는 통신망으로, 예컨대 네트워크 사업자별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장치 연결 서버(320)는 전자 장치(370)로부터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전달되면, 전자 장치(370)에 대한 연결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370)에 대한 연결 정보와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할 때, 네트워크 식별 정보별로 전자 장치(370)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국가코드와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동일한 전자 장치들끼리 하나의 테이블(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국가코드가 'MCC1'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MNC1'인 전자 장치들이 하나의 테이블(321)을 형성하고, 모바일 국가코드가 'MCC2'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MNC2'인 전자 장치들이 다른 하나의 테이블(322)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국가코드가 'MCCn'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MNCn'인 전자 장치들이 또 다른 하나의 테이블(3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321, 322, 323) 각각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각각의 테이블(321, 322, 323)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은 일정 수 단위로 그룹화될 수 있다. 이때, 그룹의 크기 즉, 그룹 내의 전자 장치의 수는 푸시 메시지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그룹화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함께 전자 장치의 연결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될 때 이루어져 저장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푸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시점에 그룹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연결 서버(320)는 각각의 테이블(321, 322, 323)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때, 각각의 테이블(321, 322, 323)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 내에서 전자 장치들을 일정 수만큼씩 묶어서 동시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장치 연결 서버(320)는 푸시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이 돌아오기까지 걸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만일 응답이 돌아오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또는 초과) 또는 상기 기준 시간 이하(또는 미만)인지에 따라 다음 그룹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시간 보정을 위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조절은 푸시 메시지 전달 시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절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그룹 단위로 동시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푸시 서버(300)에서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푸시 서버(400)는 메시지 송수신부(400),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410) 및 타이밍 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400)는 전자 장치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푸시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부(400)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410)는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무선 네트워크망의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410)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 메시지로부터 이러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무선 네트워크망의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모바일 국가코드와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예컨대,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와 같이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 및 네트워크 사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4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접속 요청 시 그 접속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마다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다르므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410)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별로 전자 장치들을 분류하여 테이블 형태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별로 분류되는 데이터베이스(430, 440, 450)에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 각각에 대해 전자 장치의 연결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연결 정보는 푸시 서버(400)와의 세션 연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연결 정보는 푸시 서버(400)에서 푸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대상을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이므로, 세션 연결 정보 이외에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의 고유 ID, 모델명 등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이터베이스(43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는 "대한민국" 지역의 "SKT"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이라고 가정할 경우, 제1데이터베이스(430)에는 모바일 국가코드가 '450'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04'인 전자 장치들이 그 전자 장치들의 연결 정보와 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데이터베이스(440)에는 모바일 국가코드가 '450'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06'인 전자 장치들이 그 전자 장치들의 연결 정보와 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n데이터베이스(450)에는 모바일 국가코드가 '450'이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08'인 전자 장치들이 그 전자 장치들의 연결 정보와 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제1데이터베이스(430)에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는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은 복수의 그룹(430, 431, 4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데이터베이스(440)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도 복수의 그룹(441, 442, 44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n데이터베이스(450)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도 복수의 그룹(451, 452, 45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일정 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동작은 푸시 메시지 전달 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하고자 하는 푸시 메시지가 긴급 재난 메시지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의 푸시 메시지일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지역 내에 위치한 모든 전자 장치들로 전달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룹의 크기를 최대로 하며,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간격은 최소로 할수록 빠르게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받을 그룹 크기 및 그 푸시 메시지의 전송 간격은 푸시 메시지의 성격, 종류 등 푸시 메시지의 QoS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20)는 각 데이터베이스(430, 440, 450)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일정 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밍 제어부(4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데이터베이스(430, 440, 450)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어, 타이밍 제어부(420)는 예컨대, 각 데이터베이스(430, 440, 450) 내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그룹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푸시 메시지를 메시지 송수신부(400)를 통해 동시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어, 타이밍 제어부(420)는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430, 440, 450)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이밍 제어부(420)는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그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420)는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는 조절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 이후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420)는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420)는 선택된 그룹에 대한 푸시 메시지 전달에 대응하여 응답(Ack)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응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제어부(420)는 선택된 그룹에 속한 모든 전자 장치들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모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평균 응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타이밍 제어부(420)는 산출 결과에 따라 설정된 대기 시간(waiting time)을 조절한 후 다음 차례의 그룹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대기 시간은 푸시 메시지의 QoS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푸시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의 성격이 어떠한 지에 따라 설정된 대기 시간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재난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긴급 상황을 알리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설정된 대기 시간 즉, 초기 대기 시간은 매우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쇼핑 알림과 같은 메시지의 경우에는 긴급 상황에서의 푸시 메시지에 비해 비교적 초기 대기 시간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420)는 메시지 송수신부(400)를 통해 제1데이터베이스(430)의 제1그룹(430), 제2데이터베이스(440)의 제1그룹(441) 및 제n데이터베이스(450)의 제1그룹(451)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응답 시간의 비교를 위해 최초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푸시 메시지를 다시 한번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전 응답 시간과 이번 응답 시간 간의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전 응답 시간이 이번 응답 시간보다 클 경우 무선 네트워크 상황이 이전 상황보다 좋아진 것이므로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감소 폭은 푸시 메시지의 종류, 무선 네트워크 상황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반면, 이번 응답 시간이 이전 응답 시간보다 클 경우 무선 네트워크 상황이 이전 상황보다 나빠진 것이므로 설정된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서는 최초 푸시 메시지를 보낼 때 비교할 응답 시간을 구하기 위해 2차례 연이어 보내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최초 푸시 메시지를 보낸 후 설정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 이후에 다음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시간을 산출하여 응답 시간을 반영하여 설정된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420)는 산출된 응답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조절된 대기 시간만큼 기다린 후 제1데이터베이스(430)의 제1그룹(431), 제2데이터베이스(440)의 제1그룹(442) 및 제n데이터베이스(450)의 제1그룹(453)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어, 타이밍 제어부(420)는 다시 푸시 메시지 전달에 대한 응답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응답 시간이 이전 응답 시간보다 길어지면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이 감소되도록 푸시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420)는 산출된 응답 시간이 이전 응답 시간보다 짧아지면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이 증가되도록 푸시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420)에서의 타이밍 조절은 푸시 메시지 전달 시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절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그룹 단위로 동시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동작은 크게 접속 구간(500)과 서비스 구간(501)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푸시 서버(300)와 전자 장치(370)는 세션 성립을 위한 인증 과정 등을 마친 상태일 수 있다. 도 5에서 전자 장치(370)는 복수의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접속 구간(500)은 전자 장치(370)가 푸시 서버(300) 내의 장치 연결 서버(320)와의 연결 요청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써, 전자 장치(370)가 푸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푸시 서버(300)에 최초 접속하거나, 상기 푸시 서버(300)와의 접속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 재접속하는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370)는 푸시 서버(300)와의 접속을 위해 505단계에서 연결 요청을 장치 연결 서버(320)로 보낼 수 있다. 연결 요청은 전자 장치(370)에 대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연결 서버(510)는 전자 장치별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515단계에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들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370)와 푸시 서버(300)가 세션 연결되면 푸시 서버(300)는 할당된 세션 연결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분류된 전자 장치들 각각에 대한 연결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구간(501)은 메시지 제공자(330)로부터 520단계에서 푸시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시작되면, 메시지 수신 서버(310)는 525단계에서 푸시 메시지를 장치 연결 서버(320)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 연결 서버(320)는 530단계에서 각 분류된 전자 장치들을 일정 크기 단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장치 연결 서버(320)는 푸시 메시지의 성격, 종류 등을 기반으로 그룹의 크기와 푸시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푸시 메시지의 전송 간격은 설정된 대기 시간일 수 있다. 이어, 장치 연결 서버(320)는 535단계에서 각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 후, 540단계에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545단계에서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시간을 확인한 결과에 따라 550단계에서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시간 보정을 위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타이밍 조절은 푸시 메시지 전달 시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절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그룹 단위로 동시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연결 서버(320)는 다음 그룹으로의 푸시 메시지를 조절된 타이밍만큼 대기한 후 다음 그룹에 대해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서버(300)에서 조절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를 보내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푸시 서버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푸시 서버는 600단계에서 푸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605단계에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전자 장치들 내에서 일정 크기의 그룹 단위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610단계에서 그룹 단위의 전자 장치들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푸시 서버는 그룹 단위의 전자 장치들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모두 수신되면, 615단계에서 모든 응답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걸린 응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응답 시간의 비교를 위해 최초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푸시 메시지를 다시 한번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전 응답 시간과 이번 응답 시간 간의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이어, 푸시 서버는 620단계에서 응답 시간을 기반으로 푸시 메시지 전송 시간 보정을 위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간을 기반으로 한 타이밍 조절은 이전 응답 시간과 이번 응답 시간과의 비교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서버는 625단계에서 조절된 타이밍에 따라 일정 시간 대기 후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630단계에서 모든 전자 장치들에 대한 푸시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여, 그 푸시 메시지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610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하드웨어(7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하드웨어(7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드웨어(7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714), 메모리(720), 통신 모듈(730), 센서 모듈(740), 사용자 입력 모듈(750), 디스플레이 모듈(760), 인터페이스((770)), 오디오 코덱(780), 카메라 모듈(791), 전력관리 모듈(795), 배터리(796), 인디케이터(797) 또는 모터(7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10)(예: 상기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711)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AP(711) 및 상기 CP(713)가 프로세서(7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AP(711) 와 상기 CP(7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AP(711) 및 상기 CP(7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P(711)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7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71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7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713)는 상기 하드웨어(7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상기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713)는,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P(7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713)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71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713)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713)는 상기 통신 모듈(73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CP(713), 상기 전력관리 모듈(795) 또는 상기 메모리(720)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711)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711)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상기 CP(71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711) 또는 상기 CP(7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711) 또는 상기 CP(7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71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현한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71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20)는 내장 메모리(722) 또는 외장 메모리(7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2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메모리(130)일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72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722)는 Solid State Drive (SSD)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72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730)은 무선 통신 모듈(731) 또는 RF 모듈(7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730)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160)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731)은, 예를 들면, WiFi(733), BT(bluetooth)(735), GPS(737)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73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731)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731)은 상기 하드웨어(7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734)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734)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734)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7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740A), 자이로 센서(740B), 기압 센서(740C), 마그네틱 센서(740D), 가속도 센서(740E), 그립 센서(740F), 근접 센서(740G), RGB(red, green, blue) 센서(740H), 생체 센서(740I), 온/습도 센서(740J), 조도 센서(7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7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7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7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7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7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7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754), 키(key)(7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7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750)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 모듈(140)일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7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752)은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 인식도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7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7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7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756)로서,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터치 키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입력 장치(7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펜을 통해, 전자 장치에서 마이크(예: 마이크(7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웨어(700)는 상기 통신 모듈(73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60)은 패널(762) 또는 홀로그램(7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60)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일 수 있다. 상기 패널(7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7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62)은 상기 터치 패널(7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7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60)은 상기 패널(762) 또는 상기 홀로그램(76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7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772), USB(universal serial bus)(774), 프로젝터(776) 또는 D-sub(D-subminiature)(7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770)는,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미도시)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780)은 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780)은, 예를 들면, 스피커(782), 리시버(784), 이어폰(786) 또는 마이크(7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791)은 화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렌즈 또는 후면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LED(flash LED,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 모듈(795)은 상기 하드웨어(7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관리 모듈(7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게이지(battery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7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796)는 전기를 생성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797)는 상기 하드웨어(700)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71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7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MCU(299)은, 상기 센서 모듈(7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드웨어(7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드웨어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드웨어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푸시 서버에서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동작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을 선택하는 동작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동작과,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에 따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은,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이 수신되기까지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과,
    상기 산출된 응답 시간에 따라 설정된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대기 시간 및 상기 그룹의 사이즈는,
    상기 푸시 메시지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정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연결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맵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이 상기 푸시 서버로 접속 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연결 정보는,
    상기 푸시 서버와의 세션 연결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모바일 국가코드(MCC:Mobile Country Code)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Mobile Network Cod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동작 및 상기 전송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설정된 수의 그룹들에 대하여 반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11.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를 위한 푸시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 장치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 전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복수의 전자 장치들과 연관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별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하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고,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한 후, 상기 조절된 대기 시간에 따라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다음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모바일 국가코드(MCC:Mobile Country Code)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Mobile Network Cod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이 수신되기까지의 응답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응답 시간에 따라 설정된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대기 시간 및 상기 그룹의 사이즈는,
    상기 푸시 메시지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정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전송한 후,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응답이 수신되기까지의 제1응답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어느 한 그룹의 전자 장치들로 재전송하여 상기 재전송한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기까지의 제2응답 시간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응답 시간과 상기 제2응답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응답 시간이 상기 제2응답 시간보다 클 경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응답 시간이 상기 제2응답 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연결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맵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연결 정보는,
    상기 푸시 서버와의 세션 연결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동작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KR1020140020833A 2014-02-21 2014-02-21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4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833A KR102141854B1 (ko) 2014-02-21 2014-02-21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466,051 US9713121B2 (en) 2014-02-21 2014-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ush messages
PCT/KR2014/012481 WO2015126050A1 (en) 2014-02-21 2014-12-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ush mess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833A KR102141854B1 (ko) 2014-02-21 2014-02-21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234A true KR20150099234A (ko) 2015-08-31
KR102141854B1 KR102141854B1 (ko) 2020-08-06

Family

ID=5387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833A KR102141854B1 (ko) 2014-02-21 2014-02-21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13121B2 (ko)
KR (1) KR102141854B1 (ko)
WO (1) WO20151260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055B1 (ko) * 2021-08-12 2021-12-13 김민혁 메시지 수신자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52910A1 (zh) * 2020-09-11 2022-03-17 深圳十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bs的可穿戴智能设备p2p信息传播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4171B2 (ja) 2015-07-02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230670B (zh) * 2016-12-22 2021-07-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预测在给定时间段给定地点出现的移动体数的方法和装置
CN107682433A (zh) * 2017-09-30 2018-02-09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7861389B (zh) * 2017-10-09 2020-1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设备显示处理方法
US20190238605A1 (en) * 2018-01-31 2019-08-01 Salesforce.Com, Inc. Verification of streaming message seque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7887A1 (en) * 2009-08-24 2012-06-14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push message
US20130039208A1 (en) * 2010-04-26 2013-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tting and Adjusting a Parameter Dependent on a Round Trip Ti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9586B2 (en) 2004-12-30 2006-11-2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broadcasting
US8195240B2 (en) 2007-04-18 2012-06-05 Cisco Technology, Inc. Hybrid time-spatial multiplexing for wireless broadcast messages through antenna radiation beam synthesis
US8811335B2 (en) * 2007-04-20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djustment of uplink transmission time
CN101867877B (zh) 2009-04-15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推送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0133035A1 (zh) 2009-05-21 2010-11-25 华为终端有限公司 点到多点推送消息处理方法、系统及服务器
CN102647667B (zh) 2011-02-21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的管理方法及push服务器
US20120295617A1 (en) * 2011-05-18 2012-11-2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extending a waiting period before an originating user equipment fails a call based on network information of one or more target user equipments
KR101287556B1 (ko) 2011-09-29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EP2926584A4 (en) * 2012-10-29 2016-09-28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TIME SHARING OF FREQUENCY SPECTRUM BETWEEN OPERATORS
US8885466B1 (en) * 2013-06-17 2014-11-11 Seven Networks, Inc. Systems for selective activation of network management policies of mobile devices in a mobile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7887A1 (en) * 2009-08-24 2012-06-14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push message
US20130039208A1 (en) * 2010-04-26 2013-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tting and Adjusting a Parameter Dependent on a Round Trip Ti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2910A1 (zh) * 2020-09-11 2022-03-17 深圳十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bs的可穿戴智能设备p2p信息传播方法及系统
KR102339055B1 (ko) * 2021-08-12 2021-12-13 김민혁 메시지 수신자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18002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플레어랩스 메시지 수신자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5313A1 (en) 2015-08-27
WO2015126050A1 (en) 2015-08-27
US9713121B2 (en) 2017-07-18
KR102141854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9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KR102141854B1 (ko)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32607B2 (en) Method of processing beacon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762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1702445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smart home device in smart home system
US201502448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based on location
US9516489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device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160017954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전송 제어 방법
EP2963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EP31516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ame
US93984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call in electronic device
KR20150065410A (ko) 전자 장치의 억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412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작업 연계 방법
US9905050B2 (en)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729815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 integrity using numerical data
US202002675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exchange in electronic device
KR20150057309A (ko)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84614B2 (en)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104697A (ko) 정보 무늬 코드를 이용한 개인 전자장치의 그룹핑 방법 및 장치
KR20160000355A (ko) Ap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를 채팅방에 초대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76640B1 (ko)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44589A (ko) 음성 호 연결 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4324B1 (ko) 배터리 충전 중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9913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KR20150026762A (ko)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