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51B1 -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51B1
KR101715251B1 KR1020150123592A KR20150123592A KR101715251B1 KR 101715251 B1 KR101715251 B1 KR 101715251B1 KR 1020150123592 A KR1020150123592 A KR 1020150123592A KR 20150123592 A KR20150123592 A KR 20150123592A KR 101715251 B1 KR101715251 B1 KR 10171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098A (ko
Inventor
임현석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to KR102015012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04W4/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행동 또는 정보를 최소한으로 요구하면서도, 무선 접속 단말기(AP)에 접속한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개시한다.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가 AP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AP 설치 위치, 설치 장소, 접속 시간, 접속 순서, 선택된 SSID 등과 같은 접속 정보가 발생한다.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접합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SERVER FOR PROVIDING A ACCESS INFOMATION OF THIRD SERVER HAVING A CONTENTS ACCODING TO A USER'S CHARACTERISTICS TO TERMINAL CONNETED TO AN AP}
본 명세서는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접속 단말기(AP)에 접속한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특정 장소(쇼핑몰, 영화관등)에 설치되어 있는 Access Point(AP)를 통해서 단말로 무선 통신 접속 환경을 제공하고 해당 장소에 관련된 정보나 쿠폰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술은 소비자를 증가시키려는 목적으로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5911호에는 무선 랜을 사용하는 대가로 SNS에 로그인 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 정보의 노출을 꺼리는 사용자에게 특히, SNS 계정을 노출시키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용자에게는 효율적이지 못한 방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행동 또는 정보를 최소한으로 요구하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59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행동 또는 정보를 최소한으로 요구하면서도, 무선 접속 단말기(AP)에 접속한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의 서버를 판별하고,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지리적 위치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상기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장소 특성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한 장소 특성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을 상기 장소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접속 순서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순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설정된 2이상의 SSID 중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서 선택된 SSID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SSID 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창을 가진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선택창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진 제2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선택창이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창을 가진 제1 컨텐츠; 및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진 제2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또는 확인 신호 수신하였을 때,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인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와 재 연결 설정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 연결 설정된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연결 정보는,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제3의 서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특정 SNS 페이지에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컨텐츠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연결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재 연결 설정 후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광고 같은 컨텐츠의 경우, 지리적 위치 및 장소의 특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접속한 시간 및 순서, SSID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타켓팅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요구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접속 정보만으로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신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날씨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무선 접속 단말기가 장소의 특성에 따라 광고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무선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시간에 따른 뉴스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무선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순서에 따라 이벤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SSID에 따라 야구팀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입력한 언어 선택창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1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2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재난 정보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신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의 왼쪽에는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Wi-Fi 접속이 가능한 Access Point(AP)이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Wi-Fi를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 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는 제3의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30)는 다양한 속성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속성을 가진 컨텐츠를 직접 저장하거나, 컨텐츠를 직접 저장하지는 않지만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근거 자료가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접속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의 서버(400)를 판별하고, 상기 제3의 서버(4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의 서버(400)를 판별하고, 상기 제3의 서버(4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예: 링크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무선 AP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컨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제3의 서버에게 제공받아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거나,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3의 서버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각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지리적 위치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날씨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접속 정보로서 각 무선 접속 단말기(200-1 ~ 200-3)로부터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1 ~ 300-3)에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상기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단말기 1(200-1)은 서울 선능역 근처에 설치된 무선 접속 단말기(AP 1)이다. 따라서 무선 접속 단말기 1(200-1)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어부(120)는 무선 접속 단말기(200-1)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1)가 선능역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 즉, 선능역의 날씨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날씨 관련 컨텐츠를 제3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제3의 서버로부터 날씨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날씨 관련 컨텐츠를 제작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날씨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 특성을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각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한 장소 특성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장소 특성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 4는 무선 접속 단말기가 장소의 특성에 따라 광고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접속 정보로서 각 무선 접속 단말기(200-4 ~ 200-6)로부터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4 ~ 300-6)에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을 상기 장소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단말기 4(200-4)는 A 대형마트에 설치된 무선 접속 단말기(AP 4)이다. 따라서 무선 접속 단말기 4(200-4)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어부(120)는 무선 접속 단말기(200-4)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4)가 A 대형마트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컨텐츠 즉, A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광고 및 할인 쿠폰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4)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광고 관련 컨텐츠를 제3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제3의 서버로부터 광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관련 컨텐츠를 제작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광고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무선 접속을 시도한 시간을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는 시간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5는 무선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시간에 따른 뉴스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일한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서로 다른 시간에 접속 시도를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7 ~ 300-9)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뉴스를 제공할 경우, 아침는 어제 밤 사이에 발생한 뉴스, 점심시간에는 오전 중에 발생한 뉴스, 저녁에는 하루 종일 발생한 일 중 가장 핵심적인 뉴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인 컨텐츠 제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순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뉴스 관련 컨텐츠를 제3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제3의 서버로부터 뉴스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뉴스 관련 컨텐츠를 제작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뉴스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무선 접속을 시도한 순서를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는 접속 순서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무선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순서에 따라 이벤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왼쪽에 다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들을 접속 순서에 따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예시는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 중 1000번 째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할일 쿠폰을 제공하는 이벤트의 예시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순서에 대응하는 컨텐츠, 예를 들어 접속 순서가 표시된 순번표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은행이나 식당 같은 곳의 대기 순번표가 기재된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는 하나의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하여 이벤트를 진행하는 예시를 도시하였지만, 다수의 무선 접속 단말기(200)를 접속을 시도하는 모든 무선 통신 단말기(300)를 대상으로 접속 순서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무선 접속을 시도할 때 선택한 SSID를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설정된 2이상의 SSID 중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의해서 선택된 SSID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SSID에 따라 야구팀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접속 단말기(200)의 왼쪽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화면에 SSID 목록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야구장에 설치된 장치로서, 당일 열리는 야구 경기의 참가 팀과 관련 SSID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무선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SSID 목록을 보고 자신이 관심을 가진 팀 명을 가진 SSID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선택한 SSID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SSID 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예를 들어, A팀을 선택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A)에는 A팀 선수 정보를 가진 컨텐츠를, B팀을 선택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B)에는 B팀 선수 정보를 가진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A 야구팀 관련 컨텐츠는 A팀 서버(400-A)부터 제공받고, B 야구팀 관련 컨텐츠는 B팀 서버(400-B)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각 야구팀 서버로부터 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팀 관련 컨텐츠를 제작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팀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특성은 컨텐츠에 포함된 선택창을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창을 가진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선택창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진 제2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입력한 언어 선택창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화면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왼쪽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컨텐츠를 예를 들어, 언어 선택창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표시된 언어 선택창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선택창이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예를 들어, 중국어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제2 컨텐츠를 예를 들어, 중국어로 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는 선택창과 대응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명칭에 불과하면, 상기 제2 컨텐츠도 선택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는 또 다른 컨텐츠에게 제1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선택창 외에 사용자가 직접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다만, 상기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한 각 실시예는 서로 독립된 상황을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2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다양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쇼핑몰 및 시장에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는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고, 보건소 및 의료시설에서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는 보건정보를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고, 주민자치센터에서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는 지자체 광고를 제공하는 예시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예시는 무선 접속 단말기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설치된 장소의 특성, 접속 시간, 접속 순서, 선택된 SSID, 선택창, 입력창 등 적어도 2이상의 접속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가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를 제어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 제어부 및 유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란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을 비롯하여,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부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부는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연결에 있어서, 일부 구간에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 제어부 및 유선 통신부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Access Point(AP)라고 불리는 와이-파이 접속 단말기가 있고, 다수의 AP를 제어하는 Access Control(AC)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 제어부 및 유선 통신부가 모두 AP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AP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 및 유선 통신부는 AC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P 및 AC 모두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그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될 뿐이며 무선 접속을 위한 단말기라는 점에서 본 명세서에 의한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왼쪽에는 무선 통신 단말기(300), 오른쪽에는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설정 과정은 IEEE 802.11 표준 기술에 따른 과정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 과정은 IEEE 802.11 표준 기술에 따른 과정으로서 상세한 기술적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만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비콘(Beacon)을 전송한다(1단계). 상기 비콘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콘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한다(2단계). 상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한다(3단계). 상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허가 요청(Authentication Request)을 전송한다(4단계). 상기 허가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허가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을 전송한다(5단계). 상기 허가 응답을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한다(6단계).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무선 접속 단말기(100)는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전송한다(7단계). 상기 과정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는 무선 통신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의 연결 설정 후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이른바 리다이렉팅(redirecting)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9단계, 10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10단계, 11단계).
도 10에는 컨텐츠를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허가'라고 명명하겠다.
도 11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300), 무선 접속 단말기(200) 및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도 10에서 살펴보았던 방식에 의해 접속 상태가 유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재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3의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게 '연결 상태 해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TEP 1). 상기 '연결 상태 해제 요청'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신호이다.
한편,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란, 지진, 해일, 태풍, 홍수와 같은 대형 재난뿐만 아니라, 소나기, 황사, 미세먼지, 산성비, 폭염 등과 같이 시민의 건강과 연결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접속 상태가 강제로 해제된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게 다시 프로브 요청(2단계)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재 연결 설정을 위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과정을 다시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와의 재 연결 설정 후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이른바 리다이렉팅(redirecting)을 통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9단계, 10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재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도 1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10단계, 11단계).
도 11에는 컨텐츠를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가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는 상기 재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수신 또는 확인 신호를 수신했을 때, 허가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4-2단계). 즉,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난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다는 확인 후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했다는 절차를 거친 후에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5단계 내지 7단계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접속 단말기(200)에 접속하여 무료 인터넷을 사용하는 대가로 SNS에 로그인 후 특정 페이지에 대해 특정 행위를 요구하거나 특정 내용을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는 상기 SNS 페이지를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NS 페이지의 운영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계 데이터에는 어느 사용자가 어디 위치에서 몇 시에 어떠한 접속 과정을 거쳐 졉속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연결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특정 SNS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하고, 보다 정확한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구성들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연결 정보 제공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200 : 무선 접속 단말기
300 : 무선 통신 단말기
400 : 제3의 서버

Claims (17)

  1.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제3의 서버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무선 접속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3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의 서버를 판별하고,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창을 가진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선택창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진 제2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상기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선택창이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선택창은 언어 선택창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언어로 표시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지리적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를 상기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가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재난 정보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게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 상태 유지 중에 상기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 해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 상태를 강제 해제한 후, 다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와의 재 연결 설정을 위한 단계를 수행하여 재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면 리다이렉팅을 통해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고,
    상기 연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제3의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 정보 데이터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리다이렉팅을 통해 접속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장소 특성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한 장소 특성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한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을 상기 장소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접속 순서에 따른 속성 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가 수신된 순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설정된 2이상의 SSID 중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서 선택된 SSID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SSID 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 제3의 서버의 연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SNS 페이지에 접속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정보 제공 서버.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123592A 2015-09-01 2015-09-01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KR10171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92A KR101715251B1 (ko) 2015-09-01 2015-09-01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92A KR101715251B1 (ko) 2015-09-01 2015-09-01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98A KR20170027098A (ko) 2017-03-09
KR101715251B1 true KR101715251B1 (ko) 2017-03-13

Family

ID=584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592A KR101715251B1 (ko) 2015-09-01 2015-09-01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626A (ko) * 2011-05-31 2012-12-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장소기반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43713B1 (ko) 2011-07-08 2013-03-13 이광민 무선랜 접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07476B1 (ko) * 2011-11-07 2013-09-11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4293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대피 정보 제공방법, 및 재난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98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51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166651B1 (ko)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US1167014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evices using virtual buttons
JP5657038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108037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evices using virtual buttons
KR20120089100A (ko) 앱스토어와 무선 ap를 활용한 모바일 기기용 기업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US20070149210A1 (en) Location-base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JP2012234175A (ja) マップサービスにおけるマーカー表示方法
KR20120051285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400365A1 (en) Ad hoc file and link sharing for nearby mobile devices
WO2016076075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
KR101543425B1 (ko) 채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812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messaging and communications from mobile enabled networked devices directed to proximate organizations based on geolocated parameters
EP22220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request tracking
US20140172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sending audio, video, still pictures, and text from a specified location
KR101715251B1 (ko)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한 제3 서버의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KR101717040B1 (ko) Ap 접속 단말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CN104581888B (zh) 基于无线接入点的上网引导系统及方法
US9516468B2 (en) Mobile terminal, content panel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gram
KR20210007940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JP5735560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70027113A (ko)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JP589309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6050419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4110438A (ja) 測位方法決定装置及び測位方法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