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82A -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 Google Patents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82A
KR20200028882A KR1020197032779A KR20197032779A KR20200028882A KR 20200028882 A KR20200028882 A KR 20200028882A KR 1020197032779 A KR1020197032779 A KR 1020197032779A KR 20197032779 A KR20197032779 A KR 20197032779A KR 20200028882 A KR20200028882 A KR 20200028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asurement
measurement result
configur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지엔화 료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을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Description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에 관한 것이다.
4세대 이동 통신 기술(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단말은 유휴 상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RS)에 기반하여 측정을 진행하므로, 측정 정확도가 높다.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는 단말에 대해 전환, 서브 서비스 노드 추가, 서브 서비스 노드 삭제, 서브 서비스 노드 수정 등 동작을 진행한다. 단말이 비 연결 상태(예를 들어, 유휴(IDLE) 또는 비활성(INACTIVE))에 있을 경우, 네트워크 신호에 대한 단말의 측정 정밀도는 높지 않으며, 셀 선택 및 재선택의 근거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전환 및 서브 서비스 노드의 추가, 삭제, 수정 등 동작의 근거로는 사용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피드백 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개수를 결정하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기키 위한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이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 설계에서 단말의 행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로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이 상기 방법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다. 더 나아가, 단말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트랜스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은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단말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 설계에서 네트워크 기기의 행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로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방법 중 대응되는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트랜스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네트워크 기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른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트랜시버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른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설명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설명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작동되어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설명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작동되어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의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설명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아래에,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서술에 필요한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구성 측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다른 구성 측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다른 구성 측정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단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단말의 기능 유닛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 유닛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다른 단말의 구조 모식도이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일부 개념과 일반적인 동작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th-Generation, 5G) 뉴 라디오(New Radio, NR)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단체에서 새로 제안된 주제이다. 차세대 5G 기술의 논의가 점차 심화됨에 따라, 한편으로, 통신 시스템은 하위 호환되기 때문에, 나중에 개발된 새로운 기술은 호환되기 전에 이미 표준화된 기술과 호환되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4G LTE 시스템은 이미 많은 기존 설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호환을 위해, 5G의 많은 유연성을 희생시하므로 성능은 저하된다. 따라서, 현재 3GPP 단체에서 두 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는 기술 토론 단체를 5G NR라고 부른다.
현재, 5G NR 시스템의 연구 과정에서, 3GPP 단체는 기존 LTE 시스템이 지원하는 유휴(IDLE) 상태 및 연결된(CONNECTED) 상태 외에, 새로운 상태 즉 비활성(INACTIVE) 상태를 추가로 도입하였다. 상기 상태의 주요 기능은 단말에 데이터 전송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의 측정 전력 소비 및 전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단말에 데이터 전송이 존재할 경우 최대한 빨리 링크를 회복하는 것이다. 단말이 INACTIVE 상태에 있을 경우, 이동성의 처리 방식은 IDLE 상태일 때와 유사하며, 즉 셀 재선택 기준을 사용하여 이동한다. 단말이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단말은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유휴 상태 참조 신호(RS)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RS)에 기반하여 측정을 진행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이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단말에 대해 전환, 서브 서비스 노드 추가, 서브 서비스 노드 삭제, 서브 서비스 노드 수정 등 동작을 진행한다.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 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동작 방식으로 단말을 추가한다. 1. 네트워크 기기(단말의 마스터 서비스 노드)는 어떠한 측정 정보도 획득하지 못하면,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단말에 적합한 서비스 노드(Service Node, Sn)를 추정한다. 2.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구성을 측정하면, 측정 결과가 다시 추가될 때까지 기다리며, 이 때 추가되는 프로세스 시그널링 오버 헤드는 비교적 크다.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이다.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5G NR 시스템 및 다른 이러한 종류의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을 포함하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공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될 경우,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 사이는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며, 상기 통신 연결 방식은 단일 연결 방식 또는이중 연결 방식 또는 다중 연결 방식일 수 있으며, 통신 연결 방식이 단일 연결 방식일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기지국 또는 NR 기지국(지노드비(generation Node B, gNB) 기지국라고도 지칭함)일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이 이중 연결 방식일 경우, 구체적으로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이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및 2차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일 수 있으며, 기지국 사이는 백홀 링크(backhaul)를 통해 데이터 백홀을 진행하며, 마스터 셀 그룹은 LTE 기지국일 수 있고, 2차 셀 그룹은 LTE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는, 마스터 셀 그룹은 NR 기지국일 수 있고, 2차 셀 그룹은 LTE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는, 마스터 셀 그룹은 NR 기지국일 수 있고, 2차 셀 그룹은 NR 기지국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자주 번갈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 헬드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기기(terminal device)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언급된 기기들을 총칭하여 단말이라고 부른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성 측정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단말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기설정된 구성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어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단계 202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측정을 진행하여 획득한 것이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의 측정 결과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상기 단말의 서브 캐리어로 추가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의 측정 결과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를 상기 단말의 서브 SN으로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른 서비스 노드는 상기 단말의 마스터 서비스 노드 이외의 서비스 노드이며,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측정 결과가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고,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 후, 상기 방법은,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단말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는, 예를 들어, 인접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큰 것을 측정하였거나, 인접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이 현재 연결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보다 하나의 오프셋(Offset)만큼 큰 것을 측정한 것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서술된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은, 신호 강도, 신호 품질,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등 신호 강약과 품질을 표시하는 임의의 값을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되는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예에서, 단말은 전환된 후 바로 측정을 시작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어, 지연 처리가 실시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고, 단말에 구성되는 네트워크 정보의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업 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 링크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필요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불필요한 상황 하에서 측정에 의한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피하고, 단말의 전력 소비 관리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휴 상태 참조 신호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셀 참조 신호(Cell Reference Signal, CRS) 또는 5G NR 시스템에서의 동기 신호(Sync Signal, SS) 또는 동기 블록(SS Block)(SS Block은 적어도 SS를 포함함)일 수 있으며; 연결 상태 참조 신호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5G 시스템에서의 CSI-RS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현재 영역이 측정 유효 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및 현재 시간이 유효 측정 시간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경우, 상기 구성 정보를 릴리즈(releas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측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검출한 후 구성 정보와 관련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제때에 해제하며, 단말의 무선 전송 자원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주파수는 측정된 스펙트럼 주파수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유효 시간은 상기 측정 구성이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얼마나 오래 유효 한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측정 유효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영역(RAN Area)을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는 단말이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어,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며, 이 밖에도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구성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성 측정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30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이후 보고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측정하여 획득한 것이다.
단계 30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상기 단말의 서브 캐리어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측정 결과가 기설정 임계값보다 큰 것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상기 단말의 서브 캐리어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다른 서비스 노드는 상기 단말의 마스터 서비스 노드 이외의 서비스 노드이며,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측정 결과가 기설정 임계값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하여 보고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보고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된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구성 측정 방법이며, 상기 예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402에 있어서, 단말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403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경우 측정하여 획득한 것이다.
단계 40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405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단계 406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이후 보고된 것이다.
단계 407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의 측정 결과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상기 단말의 서브 캐리어로 추가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의 측정 결과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른 서비스 노드를 상기 단말의 서브 SN으로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른 서비스 노드는 상기 단말의 마스터 서비스 노드 이외의 서비스 노드이며,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측정 결과가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고,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단말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는, 예를 들어, 인접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큰 것을 측정하였거나, 인접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이 현재 연결된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보다 하나의 오프셋(Offset)만큼 큰 것을 측정한 것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서술된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은, 신호 강도, 신호 품질, 신호 대 잡음비 등 신호 강약과 품질을 표시하는 임의의 값을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하여 보고된 것이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보고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되는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 단말은 전환된 후 바로 측정을 시작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어, 지연 처리가 실시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고, 단말에 구성되는 네트워크 정보의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업 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 링크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필요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측정을 진행하며, 불필요한 상황에서, 측정에 의한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피하고, 단말의 소비 전력 관리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휴 상태 참조 신호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셀 참조 신호(Cell Reference Signal, CRS) 또는 5G NR 시스템에서의 동기 신호(SS)일 수 있으며; 연결 상태 참조 신호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5G 시스템에서의 CSI-RS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일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현재 영역이 측정 유효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 및 현재 시간이 유효 측정 시간에 속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경우, 상기 구성 정보를 릴리즈(releas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측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검출한 후 구성 정보와 관련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제때에 해제하며, 단말의 무선 전송 자원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주파수는 측정된 스펙트럼 주파수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유효 시간은 상기 측정 구성이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얼마나 오래 유효 한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측정 유효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영역(RAN Area)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에 측정을 진행하도록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어, 네트워크 구성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며, 이 밖에도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구성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와 일치하는 것은,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단말의 구조 모식도이며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업 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 링크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 후, 연결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되는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현재 영역이 측정 유효 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및 현재 시간이 유효 측정 시간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일 경우, 상기 구성 정보를 릴리즈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와 일치하는 것은, 도 6를 참조하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단말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먼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음,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비 연결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기설정된 구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즉, 구성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이후 보고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어 보고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단말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단말에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보고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된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는 주로 각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교호적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안을 설명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기능을 수행하는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조 및 소프트웨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이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 결합하여,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어느 한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의 예에 따라,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기능 유닛의 분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기능에 대응하여 각 기능 유닛을 분할할 수 있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분할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될 경우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도 있다.
통합된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도 7은 상기 실시예에서 업급된 단말의 가능한 기능 유닛 구성 블록도이다. 단말(700)은 처리 유닛(702) 및 통신 유닛(703)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802)은 단말의 동작에 대해 제어 관리를 진행하고, 예를 들어, 처리 유닛(802)은 단말이 도 2의 단계 202 - 단계 203, 도 4의 단계 402 - 단계 405 및 본 출원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유닛(703)은 단말과 다른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저장 유닛(701)을 더 포함하며, 저장 유닛(701)은 단말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처리 유닛(7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General Purpose Processor, GP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구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개시 내용과 결합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계산 기능의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조합, DSP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 등이다. 통신 유닛(703)은 트랜시버,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으며, 저장 유닛(7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업 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 링크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또한, 연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되는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또한, 현재 영역이 측정 유효 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및 현재 시간이 유효 측정 시간에 속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일 경우, 상기 구성 정보를 릴리즈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7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7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저장 유닛(701)이 메모리일 경우, 본 발명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단말일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도 8은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네트워크 기기의 가능한 기능 유닛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다 . 네트워크 기기(800)는 처리 유닛(802) 및 통신 유닛(803)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802)은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에 대해 제어 관리를 진행하고, 예를 들어, 처리 유닛(802)은 네트워크 기기가 도 3의 단계 301 - 단계 303, 도 4의 단계 401, 단계 406, 단계 407 및 본 출원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유닛(803)은 네트워크 기기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단말 사이의 통신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80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처리 유닛(8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으며, 통신 유닛(803)은 트랜시버, 송수신 회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칩 등일 수 있으며, 저장 유닛(8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구성 정보를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이후 보고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어 보고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상기 단말에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된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또한,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8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8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저장 유닛(801)이 메모리일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네트워크 기기는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단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부분만 예시하였고, 기술되지 않은 구체적인 기술적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부분을 참조하길 바란다. 상기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포스 단말기(Point of Sales, POS), 차량용 컴퓨터 등 임의의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을 휴대폰으로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과 관련된 휴대폰의 부분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폰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910), 메모리(920), 입력 유닛(930), 디스플레이 유닛(940), 센서(950), 음성 회로(960),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970), 프로세서(980) 및 전원(990) 등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도 9에 도시된 휴대폰의 구조가 휴대폰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도시 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 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 요소 배열을 조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아래에 도 9를 결합하여 휴대폰의 각 구성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 회로(910)는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회로(910)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coupl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듀플렉서(duplexer)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RF회로(910)는 무선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이메일, 단문 메시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9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980)는 메모리(920)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래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9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구축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9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시크 기억 장치, 플래시 메모리 소자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휴대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930)은 지문 인식 모듈(931) 및 다른 입력 기기(9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931)은 지문 인식 모듈에 있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지문 인식 모듈(931) 외에도 다른 입력 기기(9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기기(932)는 터치 스크린, 물리 키보드(physical keyboard),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track ball), 마우스, 조이스틱 등 중 하나 또는 여러 가지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휴대폰의 각종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스크린(9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 가능하게,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스크린(941)을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서 지문 인식 모듈(93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은 두 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서 휴대폰의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통합시켜 휴대폰의 입력 기능 및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휴대폰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9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주변광 센서는 주변 광선의 명암에 따라 스크린(94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휴대폰을 귀가에 이동할 경우 스크린(941) 및 백라이트 중 어느 하나를 끌 수 있다. 하나의 운동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임)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할 경우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휴대폰 자세를 식별하는 응용(예를 들어 가로 세로 화면의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탭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폰은 자이로스코프(gyroscope),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선세 등 다른 센서를 더 구성할 수 있지만,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오디오 회로(960), 스피커(961), 마이크로폰(microphone)(962)은 사용자와 휴대폰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9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된 전기 신호를 스피커(961)에 전송하고, 스피커(961)에 의해 사운드 신호로 전환되어 재생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마이크로폰(962)은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회로(960)에 의해 수신한 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다시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980)로 재생하여 처리한 후, RF 회로(910)를 통해 다른 휴대폰에 전송하거나, 추가 처리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920)로 재생한다.
WiFi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며, 휴대폰은 WiFi 모듈(97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인터넷 웹서핑 및 스트리밍 미디어(streaming media) 방문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위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비록 도 9에서 WiFi 모듈(970)을 도시하였으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이는 휴대폰의 필수 구성에 속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충분히 생략 될 수 있다.
프로세서(980)는 휴대폰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휴대폰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9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92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해,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휴대폰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8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프로세서(98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8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휴대폰은 각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90)(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전원은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80)와 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소비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폰은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계의 방법에서 단말 측의 프로세스는 상기 휴대폰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유닛 기능은 상기 휴대폰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서술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술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서술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서술된 부분 또는 전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 명령을 수행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Random Access Memory,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시크, 시디 롬(CD-ROM) 또는 본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기타 형식의 기억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되어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SIC은 네트워크 접속 기기, 목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 목표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측 기기에서 개별 부품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예에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로딩 및 수행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기능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서 다른 검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용 가능한 매체 통합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시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발명의 효과에 대해 추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상술한 내용은 다만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기초에서 진행한 임의의 수정, 동등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6)

  1. 구성 측정 방법으로서,
    단말이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업 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 링크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상기 참조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되는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현재 영역이 측정 유효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 및 현재 시간이 유효 측정 시간에 속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였을 경우, 상기 구성 정보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1. 구성 측정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유휴 상태 참조 신호 및 연결 상태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후 보고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고 판단되어 보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측정 결과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보고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의해 반송된 업 링크 시그널링은 연결 구축 요청, 연결 회복 요청, 연결 구축 완료 시그널링 및 연결 회복 완료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반송된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릴리즈 시그널링 또는 RRC 재구성 시그널링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측정 주파수, 측정 모드, 측정 유효 시간 및 측정 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연결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해 기설정된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 - 상기 기설정된 구성은 서브 캐리어 및 서브 서비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1. 단말로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네트워크 기기로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비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측정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 연결 상태는 유휴(IDLE) 상태 및 비활성(INACTIV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3. 단말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트랜시버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32779A 2017-07-20 2017-07-20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KR20200028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3672 WO2019014892A1 (zh) 2017-07-20 2017-07-20 测量配置方法及相关产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82A true KR20200028882A (ko) 2020-03-17

Family

ID=6501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779A KR20200028882A (ko) 2017-07-20 2017-07-20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350321B2 (ko)
EP (1) EP3627878B1 (ko)
JP (2) JP2020532149A (ko)
KR (1) KR20200028882A (ko)
CN (1) CN110402593A (ko)
AU (1) AU2017423688B2 (ko)
BR (1) BR112019026419A2 (ko)
CA (1) CA3063224C (ko)
MX (1) MX2019013237A (ko)
RU (1) RU2741626C1 (ko)
SG (1) SG11201911943PA (ko)
WO (1) WO2019014892A1 (ko)
ZA (1) ZA2019082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5947B1 (en) * 2017-08-11 2021-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sion of instructions related to measurements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n a signal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9803280B (zh) * 2017-11-16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接态用户侧设备的测量方法、装置及用户侧设备
EP3745765A4 (en) * 2018-02-13 2021-01-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769439B (zh) * 2018-07-27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10392651A1 (en) 2018-10-26 2021-12-16 Nec Corporation Radio terminal, radio access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for
AU2019425547B2 (en) 2019-01-28 2022-1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3518399B (zh) * 2019-09-16 2023-03-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小区的方法和装置
CN112788681A (zh) * 2019-11-08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12243591B (zh) * 2020-09-16 2022-05-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通知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256741A1 (en) * 2020-12-01 2023-10-11 Sony Group Corporation Assistance in transition of wireless terminal to connected state
CN116897566A (zh) * 2021-01-12 2023-10-1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空闲模式或非活动状态用户设备的参考信号配置
WO2024031283A1 (en) * 2022-08-08 2024-02-15 Nokia Shanghai Bell Co., Ltd. Qoe measurement collection in non-connected stat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0123B2 (ja) 2004-07-21 2010-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方法、基地局、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913206B2 (en) * 2008-03-21 2018-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closed subscriber group cells
EP2720497B1 (en) * 2008-06-19 2016-04-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timized serving dual cell change
CN101932045B (zh) * 2009-06-2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中测量结果的上报方法及用户设备
KR101674222B1 (ko) * 2010-02-09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BR112012020272B1 (pt) * 2010-02-12 2021-09-08 Nokia Technologies Oy Método e aparelho para relatório de dados de medição
CN102209343B (zh) * 2010-03-29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邻区上报的方法及系统
KR20150070432A (ko) * 2010-04-29 2015-06-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 테스트를 위한 개인 무선 장치의 이용
CN102281568B (zh) 2010-06-13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测测量记录控制方法、路测系统及路测终端
KR101759584B1 (ko) * 2010-08-16 2017-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dt 정보 보고 포맷 및 시간 스탬프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2039440A1 (ja) * 2010-09-21 2012-03-2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測定収集方法及び無線端末
JP4913899B1 (ja) 2010-11-30 2012-04-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加入者管理サーバ及び移動管理ノード
KR20120067856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02355692A (zh) * 2011-07-22 2012-02-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业务质量测量及业务质量测量上报方法和设备
JPWO2013047833A1 (ja) 2011-09-30 2015-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局、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WO2013111997A1 (ko) * 2012-01-26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4756589A (zh) * 2012-08-03 2015-07-01 美国博通公司 用于测量报告的方法与设备
JPWO2014021463A1 (ja) * 2012-08-03 2016-07-21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プロセッサ、及び方法
WO2014031989A1 (en) * 2012-08-23 2014-0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rating with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system
US9491651B2 (en) * 2012-10-01 2016-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justing measurement requirements for parallel uplink wireless signal measurements
US9432158B2 (en) * 2012-10-26 2016-08-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type-2 carrier
US9125114B2 (en) * 2012-11-16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IRAT) measurement
EP2959741B1 (en) * 2013-02-25 2019-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ellular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00194B1 (ko) * 2013-03-15 2020-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객체의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92512B2 (en) * 2013-07-11 2016-07-12 Apple Inc. Multiple cell measurement and data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432809B2 (en) * 2013-07-12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OTDOA PRS assistance data
WO2015012653A1 (en) 2013-07-25 2015-0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WO2015023067A1 (ko) * 2013-08-12 2015-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기지국 연결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105964A1 (en) * 2014-02-12 2016-12-21 Nokia Technologies OY Special handling of low priority cells
EP3122116B1 (en) * 2014-03-20 2021-05-05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EP3282760B1 (en) * 2015-04-10 2020-06-03 Kyocer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procedure and base station
KR102278519B1 (ko) * 2015-04-22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GB2541392A (en) * 2015-08-14 2017-02-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22933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7052343A1 (en) * 2015-09-25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CN109526252B (zh) * 2016-08-10 2021-09-17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接入网节点、无线终端、核心网节点及其方法
AR110078A1 (es) * 2016-11-14 2019-02-20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ón de señales de medición de movilidad en modo activo
EP3549388A4 (en) * 2016-12-05 2019-1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REDUCED SIGNALING OVERHEAD
US10728952B2 (en) * 2017-01-09 2020-07-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session management
US10292081B2 (en) * 2017-02-03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rtial handover for continuous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85667B2 (en) * 2017-03-06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new radio (NR) systems
CN110463260B (zh) 2017-03-23 2022-03-08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新无线电中的下行链路测量设计
CN110268741B (zh) * 2017-03-24 2022-04-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波束跟踪故障恢复的方法和系统
US10433275B2 (en) * 2017-05-26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mobile devices in a fif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4892A1 (zh) 2019-01-24
US20210051536A1 (en) 2021-02-18
AU2017423688A1 (en) 2020-01-16
CN110402593A (zh) 2019-11-01
AU2017423688B2 (en) 2023-02-02
BR112019026419A2 (pt) 2020-07-21
EP3627878A1 (en) 2020-03-25
RU2741626C1 (ru) 2021-01-28
MX2019013237A (es) 2020-01-13
EP3627878B1 (en) 2023-08-30
SG11201911943PA (en) 2020-01-30
CA3063224A1 (en) 2019-12-03
EP3627878A4 (en) 2020-04-08
US11350321B2 (en) 2022-05-31
JP2022095859A (ja) 2022-06-28
CA3063224C (en) 2023-02-14
JP2020532149A (ja) 2020-11-05
ZA201908257B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8882A (ko)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EP4243559A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radio access network element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9716826A (zh) 接入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amf设备
CN110933704B (zh)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00033803A (ko)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관련 장치
CA3048929A1 (en) Signaling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L270633B2 (en) Method to control measurement reporting and related product
KR102339951B1 (ko)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KR20200002904A (ko) 스케줄링 요청 전송 제어 방법 및 관련 제품
KR102365330B1 (ko) 동기 신호 블록의 타이밍 방법 및 관련 제품
CN109644078B (zh) 一种上行数据传输方法、终端、网络侧设备及系统
KR2019010197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565826B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CN109644377B (zh) 一种上行数据传输方法、终端、网络侧设备及系统
KR20200007807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CN110603866A (zh) 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6250268A (zh) 指示处理测量结果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