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856A -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856A
KR20120067856A KR1020100129477A KR20100129477A KR20120067856A KR 20120067856 A KR20120067856 A KR 20120067856A KR 1020100129477 A KR1020100129477 A KR 1020100129477A KR 20100129477 A KR20100129477 A KR 20100129477A KR 20120067856 A KR20120067856 A KR 2012006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lity
radio link
terminal device
status repor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평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856A/ko
Priority to US13/328,584 priority patent/US8649816B2/en
Publication of KR2012006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상태 보고(Status Report) 주기와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를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간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을 취한다. 이때,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 경우에는 SR 주기 및 DRX 주기를 길게 설정하며, 무선링크의 품질이 불량할 경우에는 SR 주기 및 DRX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추가적으로 무선링크의 품질이 장기간 동안 양호한 경우에는 단말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 전원을 다시 켜는 것에 의해서 전력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DRX 주기와 상태 정보 보고 주기를 전파 환경의 품질 레벨에 따라 가변 제어하여 디바이스 전력의 이용 방법 및 상태 정보의 전송 횟수를 개선시킴으로써 디바이스의 소요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low power consuming terminal oper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무선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의 적응적인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무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 무선통신을 포함한 스마트 그리드 같은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에서는 머쉰, 센서 계열의 단말 장치가 신뢰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인프라가 필수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On-line 상태로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서버에서 언제라도 접속가능한지 (reach-ability), 밧데리 잔여 상태가 양호한지 등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전화와 같은 별도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알려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디바이스 동작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이를 예견하고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차원의 상태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디바이스는 자신이 수집한 데이터 정보 이외에도 각종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에 전송해야 한다. 이러한 상태 정보의 전송이나 네트워크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 장치는 항상 켜져 있을 필요는 없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주기적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였다가 필요시에만 최대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전력 절감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절감 체계의 경우에는 단순히 주기성을 가지는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에 의존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고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의 상태 보고(Status Report) 주기와 더 나아가, 단말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X) 주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단말 장치의 소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의 상태 보고 주기와 더 나아가, 단말의 불연속 수신 주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단말 장치의 소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링크 측정부,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파워 트리거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 및 상태 보고(SR; Status Report)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제어 커맨드 수신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발신하는 상태 보고 발신부 및 상기 상태 보고 발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포함된 DRX 주기 및 SR 주기를 토대로 단말 장치의 DRX 및 SR 동작의 주기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상기 파워 트리거부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품질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 상기 파워 트리거부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 트리거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오프시키는 것과 함께 소정의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시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 및 무선링크 단절 상태 중 하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현재 SR 및 DRX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새로운 SR 및 DRX 주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SR 및 DRX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수준이상을 유지하면 파워-오프 사실을 통지하는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무선링크 단절 상태이면, 인접한 단말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는 것과 함께 소정의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시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워-오프 조건 충족 상태는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품질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상태 보고 수신부, 상기 상태 보고 수신부가 수신한 상태 보고에 포함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 및 상태 보고(SR; Status Report) 주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커맨드 발신부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수록 상기 DRX 또는 SR 주기를 길게 결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상기 DRX 또는 SR 주기를 짧게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태 보고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추가적인 상태 보고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태 보고를 통지 받으면 상기 단말 장치의 현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상기 제어 커맨드 발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소정 횟수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단말 장치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신 보고하는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 장치의 DRX 주기와 SR 주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주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 보고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DRX 주기와 상태 정보 보고 주기를 전파 환경의 품질 레벨에 따라 가변 제어하여 디바이스 전력의 이용 방법 및 상태 정보의 전송 횟수를 개선시킴으로써 디바이스의 소요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 천이에 따른 세부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활성화(Active) 상태에서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DRX 주기의 시간대별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링크 측정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DRX 주기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의 매핑 개념을 설명하는 매핑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활성화 상태에서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SR 주기의 시간대별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SR 주기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의 매핑 개념을 설명하는 매핑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relay) 및 펨토셀(femto-cell) 등을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0; 혹은 디바이스, 이하 '디바이스', '단말' 혼용)과 네트워크 장치(20)로 구성된다.
단말 장치(10)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20)와의 무선링크(30)의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링크 측정부(11),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파워 트리거부(12),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 및 상태 보고(SR; Status Report)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제어 커맨드 수신부(13),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발신하는 상태 보고 발신부(14) 및 상기 상태 보고 발신부(14)를 통하여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11)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20)로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 수신부(13)가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포함된 DRX 주기 및 SR 주기를 토대로 단말 장치의 DRX 및 SR 동작의 주기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11)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상기 파워 트리거부(12)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는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들에 대해서 무선링크를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 장치들을 제어하는 기지국(base-station)을 의미하지만, 후술되는 기능적 구성요소들이 분산되어 배치될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지국 이상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장치(2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무선링크(30)을 통하여 상태 보고(SR)를 수신하는 상태 보고 수신부(21), 상기 상태 보고 수신부(21)로부터 수신된 상태 보고를 참조로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간의 무선링크(30)의 품질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의 DRX 및 SR 주기를 변경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부(23),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의해 제어 커맨드를 단말 장치(10)로 무선링크를 통하여 발송하는 제어 커맨드 발신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는 크게 파워가 오프된 널(Null) 상태(201), 통상적인 아이들(idle) 상태(202) 및 일반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액티브(활성화(Active))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통상적으로 아이들 상태(202)를 거쳐 특정조건이 성립되면 전원이 자동 꺼지는 Null 상태 (201)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 상태는 유저가 강제 전원을 끄는 상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단말 장치의 활성화(Active) 상태(203)는 일반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이며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DRX 주기 혹은 SR 주기가 거의 실시간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들 3가지 상태는 상호 연계 동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태 천이에 따른 세부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가 액티브 상태, 아이들 상태, 널 상태로 순차적으로 상태 천이되는 상황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즉, 도 3의 Y축은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의미하며, X측 시간의 순서를 표현한 것이다. 이하, 시점(S301~S306)의 순서로 단말 장치의 세부 동작을 설명한다.
기간(S301~S302): 활성화(Active) 상태에 있는 단말 장치에서는 DRX 주기 혹은 SR 주기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 기반으로 가변 제어된다. DRX 주기는 액티브 기간(On Duration)과 슬리핑 기간(Opportunity DRX)으로 나뉘어 반복 동작되며, 액티브 기간에만 시그널을 수신하고 송신하다. 이 경우 단말 장치의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는 업링크 시그널(UL: Uplink signal)을 통하여 상태 보고 발신부(14)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되고, 네트워크의 시그널(예컨대, 제어 커맨드)은 다운링크 시그널(DL: Downlink signal)을 통하여 제어 커맨드 수신부(13)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Active) 상태의 단말 장치의 DRX 주기 혹은 SR 주기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 기반으로 가변 제어되는 개념은 후술된다.
기간(S303~S305): 활성화(Active) 상태에 있는 단말 장치의 통신단계가 완료되면 단말 장치는 아이들 상태(S303)에 머물게 되며 이 단계에서 페이징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활성화(Active)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에 응답을 하게 된다. 이때, 무선링크 품질측정치가 일정시간(TH (time_off))이상 동안 일정 임계치(TH (pwr_off)) 이상의 레벨을 지속하면, 단말 장치는 아이들 상태에서 널 상태로 천이된다(S305). 즉, 무선링크 품질이 긴 시간 동안 양호한 경우(양호할 것으로 예측될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전원을 끄는 절차이다. 이 절차는 DRX 주기 또는 SR 주기가 매우 긴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사용되는 파라미터 (TH(time_off)), TH(pwr_off)는 운용자의 무선통신시스템 운용자의 통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기간(S306~S307): Null 상태의 디바이스(S306)는 타이머 Power-Off (T-OFF)가 만료되면, 활성화(Active) 상태로 자동 천이(S307)되어 상기한 활성화(active) 상태의 단계(S301)로 재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활성화(Active) 상태에서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DRX 주기의 시간대별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링크 품질 측정레벨이 높을수록 DRX 주기는 길어지고, 무선링크 품질 측정레벨이 낮을수록 DRX 주기는 짧아진다. 이러한 DRX 주기의 조절 개념은 무선링크 상태가 좋을수록 디바이스는 안정적으로 동작하므로 DRX 주기 을 길게 함을 의미하며, 무선환경이 나쁠수록 DRX 주기 을 짧게 하여 각종의 상태 정보(Status Reporting) 확인을 잦은 주기로 수행하게 함을 의미한다.
즉, 도 4에서는 시점(Ta, Tb, Tc)에서 무선링크의 품질 측정 레벨이 각 단계별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에 DRX 주기가 변경되는 상황이 예시된다. 한편, 시점(Tc)에서 시점(Tf)까지의 시간 동안 무선링크 품질측정치가 일정시간(TH (time_off))이상 동안 일정 임계치(TH (pwr_off)) 이상의 레벨을 지속하면, 디바이스는 Power-OFF 상태(Null상태)로 자동 천이된다. 이러한 동작은 앞서 도 3을 통하여 설명된 기간(303~305)의 동작에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인 DRX 주기의 제어를 위해서는 도 1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의 무선링크 측정부(11)에서 정확한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를 산출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링크 측정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링크 측정부(11)는 무선링크 품질 측정 및 필터링부(11-1)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 보고부(11-2)로 세분화될 수 있다.
무선링크 측정부는 무선링크상의 라디오 프레임 시퀀스(radio frame sequence)를 수신하고 이 시퀀스에 묻어있는 잡음을 필터링한 후 일정기간 동안 (예; 수십~수백 ms) 평균을 낸 평균치를 무선링크 측정치로 제공하면 네트워크 장치에서 내려 저장되어 있는 측정보고 기준치와 비교하여 이를 만족하면 무선링크 품질 보고(Radio Link Quality Report)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15)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링크 품질 보고에 기초하여 상태 보고(SR)를 생성하여 상태 보고 발신부(14)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20)로 상태 보고를 전송하게 된다.
무선링크 품질 보고(Radio Link Quality Report)는 무선링크 측정 유형(measure_id), 무선링크 측정치 (RLqual), 리포팅 시각 (report_time), 리포팅 주기 (report_cycle), 전력 잔여분(power-ro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링크 측정치 (RLqual)는 일례로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혹은 이들 측정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선링크 측정부는 이들 측정치의 일부와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무선링크 품질 보고(RL Quality Report)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DRX 주기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의 매핑 개념을 설명하는 매핑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 품질(RLqual)이 미리 결정된 몇 개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판별하고, 측정된 무선링크 품질이 속한 구간에 따라 각 구간별로 대응되는 DRX 주기가 매핑되는 관계가 설명된다. 다만,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와 DRX 주기의 매핑은 반드시 이와 같은 매핑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와 DRX 주기의 관계를 이용한 소정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활성화 상태에서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SR 주기의 시간대별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링크 품질 측정 레벨이 높을수록 상태 보고 주기는 길어지고, 무선링크 품질 측정 레벨이 낮을수록 상태보고 주기는 짧아진다.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태 보고 발신부(14)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장치(20)에 전달된다. 기본적인 동작원리는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DRX 주기의 변경 개념과 유사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SR 주기와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의 매핑 개념을 설명하는 매핑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 품질(RLqual)이 미리 결정된 몇 개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판별하고, 측정된 무선링크 품질이 속한 구간에 따라 각 구간별로 대응되는 SR 주기가 매핑되는 관계가 설명된다. 다만,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와 SR 주기의 매핑은 반드시 이와 같은 매핑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무선링크 품질 측정치와 SR 주기의 관계를 이용한 소정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가 활성화(active) 상태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되었다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널(null) 상태로 천이되고, 다시 활성화(active)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들과 네트워크의 내부 구성 요소들 간의 연계 절차로서 설명하고 있다.
단계(S910; S911~S914): 활성화(Active)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품질이 아주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일반적인 경우(604)의 “DRX 주기 혹은 SR 주기”을 가변하는 제어 단계이다. 무선링크 측정부(11)가 디바이스의 무선링크 품질 (RL Quality Report)을 측정(S911)하여 제어부(15)에 보내면 제어부(15)는 그 측정 결과를 상태 보고에 포함시켜 상태 보고 발신부(14)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20)로 전송한다(S912).
네트워크 장치(20)는 상태 보고 수신부(21)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 보고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보고는 제어부(23)에서 포함된 무선링크 품질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DRX 주기 및 SR 주기를 결정하고(S913), 결정된 DRX/SR 주기를 제어 커맨드에 포함시켜 제어 커맨드 발신부(22)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단말의 장치의 제어부(15)는 제어 커맨드 수신부(13)을 통하여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포함된 DRX/SR 주기를 현재의 DRX/SR 주기로 설정한다(S914).
단계(S920):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는 새로 설정된 주기 값(DRX 주기 및 SR 주기)를 이용하여 DRX 동작 및 상태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930; S931~S935): 활성화(active) 상태의 단말 장치가 통신절차를 마치고 아이들 상태에 머물러 있다가, 무선링크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전원을 끄는 절차이다. 이 절차는 DRX 주기 또는 SR 주기가 매우 긴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아이들 상태에서 무선링크 품질 측정은 본 발명의 목적에 알맞게 특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기존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업링크 채널이 가용하지 않을 경우, 디바이스는 인근의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근거리 통신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을 이용, 보내고자 하는 자신의 상태 보고 시그널을 네트워크에 대신 전달하도록 시그널 포워딩(signal forwarding)을 요청할 수도 있다.
무선링크 측정부(11)가 측정(S931)하여 보낸(S932) 무선링크 측정치가 일정시간(TH (time_off)이상 동안 일정 임계치(TH (pwr_off) 이상의 레벨을 지속하는 조건이면(S933), 제어부(15)는 상태 보고 발신부(14)를 통하여 상태 보고를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S934)하여 자신이 Power-OFF 상태로 천이할 것임을 알리고, Power-OFF 타이머 (T-OFF 타이머) 개시와 동시에 Power-OFF 상태(615)로 들어간다(S935).
단계(S940; S941~S944): 상기 Power-OFF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935)와 동시에 이때 Power-OFF 타이머 (T-OFF 타이머)는 파워 트리거부(12)가 카운트 개시(S941)하고, 타이머 (T-OFF)가 만료되면(S942), 단말 장치를 강제 Power-ON하여 초기화와 함께 상태 보고 시그널을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한 세션 설정(S943)에 들어간다. 단말 장치는 디바이스 초기화(initialization)와 세션 설정을 수행하고 방금 Power-OFF 상태에서 깨어났음을 상태 보고(Wake-up NOW)를 통해 네트워크에 보고한다(S944).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단말 장치가 Power-OFF 상태에 있는 동안 단말 장치 파손 등의 경우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는 Stratus Report (Wake-up NOW, 619)를 수신 직후 단말 장치의 현 상태보고를 명령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예컨대, 3회) 반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가 이러한 반복적인 제어 커맨드에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가 Power-OFF 상태에 있는 동안 단말 장치에 파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 확인을 위한 현장 파견 등의 유지보수 행위를 수행하여야 한다. 단말 장치의 응답이 오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정상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간주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S1010),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 및 무선링크 단절 상태 중 하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0),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현재 SR 및 DRX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새로운 SR 및 DRX 주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SR 및 DRX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S1031~S1035),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수준이상을 유지하면 파워-오프 사실을 통지하는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 시키는 단계(S1041~S1044) 및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무선링크 단절 상태이면, 인접한 단말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1051~S10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1010)은 도 5를 통하여 설명된 무선 링크 측정부(11)에서 무선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이때 무선링크의 품질 지표로는 다양한 측정치 및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음은 상술되었다.
단계(S1020)에서는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 및 무선링크 단절 상태 중 하나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정상조건 충족 상태는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적(normal)인 상태를 의미하며, 파워-오프 조건 충족 상태는 상기 정상조건 충적 상태에 비해서 무선링크의 품질이 더 양호하고 변동 없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아주 긴 DRX 주기 및 SR 주기와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 단말 장치의 전원 자체를 파워-오프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선링크 단절 상태는 무선 링크 실패(RLF; Radio Link Failure) 상태로서,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계(S1031~S1035)는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단말 장치는 무선링크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S1031)하다가, SR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판단하여(S1032), SR 전송 주기에 이르면 무선링크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S1033), 상기 무선링크 품질에 대응되어 SR 주기 및 DRX 주기를 네트워크 장치가 결정하여 제어 커맨드로 발신하여 이를 수신하여(S1034), SR 주기 및 DRX 주기를 설정한다(S1036).
단계(S1041~S1044)는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단말 장치는 무선링크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S1041)하다가, 파워-오프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42). 이때, 파워-오프 조건은 소정 기간 동안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의 수준이상을 유지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R 전송 주기에 이르면 단말 장치는 파워-오프 상태로 진입할 것임을 네트워크 장치에 통보하고(S1043),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고 Power-off 타이머(T_OFF 타이머)를 개시한다(S1044).
한편, 단계(S1045~S1047)은 상기 파워-오프된 단말 장치가 다시 파워-온 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S1044) 이후에 단말 장치는 널(null)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이후에 단계(S1045)에서 설정된 T_OFF 타이머가 만료(expire)되면 단말 장치는 자동적으로 파워-온된다(파워 트리거부의 동작에 의해서임). 단말 장치는 디바이스 초기화 및 세션 설정의 동작을 진행하고(S1046),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서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를 발송한다(S1047).
단계(S1051~S1054)는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무선링크 단절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단말 장치는 무선링크 단절 상태임을 알리는 이벤트 아이디를 설정하고(S1051), 인접한 단말 장치가 대신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단(S1052)하여, 가능한 경우 인접한 단말 장치를 통하여 현재 상태를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한다(S1053). 그리고, 유지보수를 기다리는 단계(S1054)로 진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저전력 운용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S1110),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신 보고하는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1120),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 장치의 DRX 주기와 SR 주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주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1131, S1132) 및 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 보고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 발송하는 단계(S1151~S1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1110)에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보고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서 세가지 경우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예컨대, 도 9의 S912 경우)이거나,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신 보고하는 상태 보고(예컨대, 도 10의 S1053의 경우)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예컨대, 도 9의 S944의 경우)의 세가지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1120)에서는 수신된 상태 보고가 상기 세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의 상태 보고인지를 판별한다.
단계(S1131~1132)는 수신된 상태 보고가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상태 보고에 포함된 무선링크의 품질을 토대로 DRX와 SR 주기를 결정(S1131)하고 결정된 DRX 주기와 SR 주기를 제어 커맨드에 포함시켜 단말 장치로 전송(S1132)한다.
단계(S1151~1153)는 수신된 상태 보고가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가 파워-온된 상태임을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에 현재 상태의 보고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 연속적으로 발송하여 응답을 기다리게 된다(S1151). 단말 장치로부터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S1152)하여 응답이 있을 경우는 정상적으로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S1110)로 재진행하지만, 응답이 없을 경우는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1153).
한편, 단계(S1120)에서 수신된 상태 보고가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 보고인 경우로 판별한 경우에도 상기 단계(S1151)를 거치게 되는데, 이 경우는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가 아닌 상태 보고를 발송한 단말 장치에게 현재 상태를 대신 전달하게 한 단말 장치에게 현재 상태의 보고를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 연속적으로 발송하여 응답을 기다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단말 장치
11: 무선링크 측정부 12: 파워 트리거부
13: 제어 커맨드 수신부 14: 상태 보고 발신부
15: 제어부
20: 네트워크 장치
21: 상태 보고 수신부 22: 제어 커맨드 발신부
23: 제어부
30: 무선링크

Claims (17)

  1.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링크 측정부;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파워 트리거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 및 상태 보고(SR; Status Report)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제어 커맨드 수신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발신하는 상태 보고 발신부; 및
    상기 상태 보고 발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발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포함된 DRX 주기 및 SR 주기를 토대로 단말 장치의 DRX 및 SR 동작의 주기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상기 파워 트리거부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 측정부가 측정한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품질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 상기 파워 트리거부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트리거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오프시키는 것과 함께 소정의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시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5.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상태 보고 수신부;
    상기 상태 보고 수신부가 수신한 상태 보고에 포함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 및 상태 보고(SR; Status Report) 주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커맨드 발신부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수록 상기 DRX 주기를 길게 결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상기 DRX 주기를 짧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수록 상기 SR 주기를 길게 결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상기 SR 주기를 짧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보고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추가적인 상태 보고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태 보고를 통지 받으면 상기 단말 장치의 현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상기 제어 커맨드 발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소정 횟수 발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10.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으로,
    (a)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b)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 및 무선링크 단절 상태 중 하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정상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현재 SR 및 DRX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 새로운 SR 및 DRX 주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SR 및 DRX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d) 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파워-오프조건 충족 상태이면, 무선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수준이상을 유지하면 파워-오프 사실을 통지하는 상태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는 단계; 및
    (e)상기 측정된 무선링크의 품질이 무선링크 단절 상태이면, 인접한 단말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를 파워-오프시키는 것과 함께 소정의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시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을 파워-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오프 조건 충족 상태는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품질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4.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방법으로,
    (a)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신 보고하는 상태 보고인지,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c)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 자신의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 장치의 DRX 주기와 SR 주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주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커맨드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d)상기 상태 보고가 상기 단말 장치가 아닌 다른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 보고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가 파워-온 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소정 횟수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은 기준신호 수신 전력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신호 수신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세기 (RSSI: Receive Signal Received Strength, 일차 동기 채널(PSC: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이차 동기 채널(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수록 상기 단말 장치의 DRX 주기를 길게 결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상기 단말 장치의 DRX 주기를 짧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양호할수록 상기 단말 장치의 SR 주기를 길게 결정하고, 상기 무선링크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상기 단말 장치의 SR 주기를 짧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129477A 2010-12-16 2010-12-16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20067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77A KR20120067856A (ko) 2010-12-16 2010-12-16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3/328,584 US8649816B2 (en) 2010-12-16 2011-12-16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low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77A KR20120067856A (ko) 2010-12-16 2010-12-16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856A true KR20120067856A (ko) 2012-06-26

Family

ID=4623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477A KR20120067856A (ko) 2010-12-16 2010-12-16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9816B2 (ko)
KR (1) KR201200678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020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871608A (zh) * 2012-10-29 2015-08-26 阿尔卡特朗讯公司 分组移动系统中网络信令负载和/或用户设备功率消耗的优化
KR20150104152A (ko) * 2013-02-05 2015-09-14 애플 인크. 접속 모드 불연속 수신의 소비전력 감소
US9432932B2 (en) 2012-09-27 2016-08-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41230B2 (en) 2014-12-30 2017-05-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t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935B2 (ja) * 2012-02-14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40429B (zh) * 2012-07-05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连续性接收周期设置方法及移动终端
US9578675B2 (en) 2012-07-11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36579B1 (ko) * 2012-11-09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49974B2 (en) 2013-01-16 2017-08-29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ame transmissions
MY184333A (en) * 2013-04-15 2021-04-01 Ericsson Telefon Ab L 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saving during idle to connected mode transitions
GB2513870A (en) 2013-05-07 2014-11-1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9510217B2 (en) * 2013-05-28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pplication signaling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769645B2 (en) 2014-10-16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neighbor aware network
US9763223B2 (en) 2014-10-16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neighbor aware network
US9961668B2 (en) 2014-10-16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neighbor aware network
US9763221B2 (en) 2014-10-16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neighbor aware network
US10735982B2 (en) * 2015-05-15 2020-08-04 Kyocera Corporation Radio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monitoring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EP3364579A1 (en) * 2017-02-21 2018-08-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ceiver, transmitt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KR20200028882A (ko) * 2017-07-20 2020-03-17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구성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US20220141767A1 (en) * 2019-02-06 2022-05-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Network device management
CN114205840A (zh) * 2020-09-18 2022-03-1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非连续接收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612012B1 (en) * 2020-09-18 2023-03-21 T-Mobile Innovations Llc DRX control for wireless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7634B1 (en) * 2006-10-26 2016-02-24 Fujitsu Limite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pilo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and terminal apparatus
US8169957B2 (en) 2007-02-0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K2127419T3 (da) 2007-02-06 2019-09-23 Nokia Technologies Oy Fremgangsmåde og anordning til tilvejebringelse af effektiv diskontinuerlig kommunikation
CN101971688B (zh) * 2008-03-20 2014-03-0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测量报告的调度
US8289891B2 (en) 2008-05-09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sleep mode for advanced wireless systems
JP2009296537A (ja) 2008-06-09 2009-12-17 Fujitsu Ltd 無線リソース割当要求送信周期の制御方法
CN102119563B (zh) * 2008-08-11 2014-09-03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和用户装置中的下行链路的同步判定方法
EP2351408A4 (en) * 2008-11-10 2016-08-24 Unwired Planet Internat Ltd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2239723A (zh) * 2009-04-21 201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切换问题识别的方法
KR101707683B1 (ko) * 2009-06-24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의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US10123345B2 (en) * 2010-12-22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2932B2 (en) 2012-09-27 2016-08-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871608A (zh) * 2012-10-29 2015-08-26 阿尔卡特朗讯公司 分组移动系统中网络信令负载和/或用户设备功率消耗的优化
CN104871608B (zh) * 2012-10-29 2019-08-3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网络信令负载和/或ue功率消耗的优化的方法及装置
KR20150104152A (ko) * 2013-02-05 2015-09-14 애플 인크. 접속 모드 불연속 수신의 소비전력 감소
US9414315B2 (en) 2013-02-05 2016-08-09 Apple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KR20150032020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41464A1 (ko) * 2013-09-17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51573B2 (en) 2013-09-17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terminal
US9641230B2 (en) 2014-12-30 2017-05-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t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7153A1 (en) 2012-06-21
US8649816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856A (ko)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9313702B2 (en) Adaptation of mobility parameters based on user equipment measurement availability
CN111278089B (zh) 一种天线面板控制方法、终端设备及网络侧设备
CN1913471B (zh) 一种用于控制非排程自动省电传送服务周期的方法和设备
US87611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4991942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受信機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構成
US940814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s
US80600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ctive power-saving
CN101601264A (zh) 控制移动设备中的唤醒时间
RU2010151946A (ru) Управление обнаружением в одноранговой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KR201300528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CN101977115A (zh) 一种实现以太网供电控制的方法和装置
EP2839700A1 (en) Energy-efficient detection of network connection requests
CN102833838A (zh) 终端和终端射频发射功率的调整方法
WO2011102280A1 (ja) 移動体通信端末、網側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動作周期変更方法
CN104540239A (zh) 一种drx参数的分配方法及装置
Sehati et al. Online energy management in IoT applications
JP2009118160A (ja) 無線lan端末の無線lan省電力状態表示方法および無線lan端末
CN101507188A (zh) 通信装置
JP2012195971A (ja) 無線通信装置、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9065337A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
CN103299666A (zh) 通信系统、空洞区的检测方法、基站装置和移动站装置
CN104125588A (zh) 一种lte系统上行功率控制的方法及装置
JP4522934B2 (ja) 遠隔監視装置
JP6072744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の品質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