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36A -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36A
KR20200028836A KR1020190101065A KR20190101065A KR20200028836A KR 20200028836 A KR20200028836 A KR 20200028836A KR 1020190101065 A KR1020190101065 A KR 1020190101065A KR 20190101065 A KR20190101065 A KR 20190101065A KR 20200028836 A KR20200028836 A KR 2020002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lug
protection device
section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슈미드
Original Assignee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2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plug protection device)(1)에 관한 것이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내부 표면 벽(inner surface wall)(3)을 가지는 환형 유지 섹션(annular holding section)(2) ─ 내부 표면 벽은 환형 유지 섹션(2)의 관통-개구(4)의 범위를 정하고 그리고, 이의 형상에 관하여,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환형 유지 섹션(2)이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7)의 숄더(shoulder)(6) 상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sensor)(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5)에 적응됨 ─, 및 환형 유지 섹션(2)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protection lug)(9.1, 9.2, 9.3)를 가지며, 보호 러그는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 이 면측은,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의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9.1, 9.2, 9.3)가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함 ─, 이에 따라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 내(11)로 또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1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에 의해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일측 상에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를 갖는 센서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PLUG PROTECTION DEVICE AND SENSOR ARRANGEMENT WITH SUCH A PLUG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plug protection device)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sensor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3 200 775 A1로부터, 라운드 플러그(round plug)를 위한 플러그 연결부를 갖는 근접 스위치(proximity switch)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근접 스위치들의 가장 빈번한 구조적 형상은 메트릭 수나사(metric external thread)를 갖는 원통형이다. 전기 연결은 케이블 및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발생하며, 이 플러그는 근접 스위치의 플러그 연결부 내로 삽입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들 및 상대적으로 큰 공간 요건에도 불구하고, 센서들, 특히 플러그 연결부들을 갖는 근접 스위치들은 널리 알려져 있다.
EP 2 905 798 A1은, 예를 들어, 센서의 대표적인 예로서 근접 스위치를 개시하지만, 근접 스위치에서, 전기 라인은 센서의 리시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즉 근접 스위치는 연결 소켓 없이 형성되지만, 핸들링 섹션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센서들에 플러깅되는 전기 플러그들은 작은 구조적 노력으로 그리고 간단한 장착 제공들에 의해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문제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되며, 이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내부 표면 벽(inner surface wall)을 가지는 환형 유지 섹션(annular holding section) ─ 이 내부 표면 벽은 환형 유지 섹션의 관통-개구의 범위를 정하고 그리고,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환형 유지 섹션이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의 숄더(shoulder) 상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의 형상에 관하여, 센서(sensor)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의 외부 표면 벽에 적응됨 ─, 및 환형 유지 섹션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protection lug)를 가지며, 이 보호 러그는 환형 유지 섹션의 면측(face side)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 이 면측은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가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의 접촉 수용을 위해 형성되는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을 향함 ─, 이에 따라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는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 내로 또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에 의해 전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측 상에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센서들의 기계적인 보호의 역할을 한다. 센서들은 근접 스위치들일 수 있다. 이러한 근접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 기계들 및/또는 장비 상의 가동 컴포넌트의 포지션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밸브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근접 스위치들은 스위치 포지션 또는 밸브 포지션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근접 스위치는, 예를 들어, 온 포지션(on position) 및/또는 오프 포지션(off position)을 검출할 수 있고, 전기, 특히 디지탈(digital) 신호로서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근접 스위치는 제1의 발광체, 특히 제1 LED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발광체는, 근접 스위치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때, 즉 전기 연결될 때 조명한다. 근접 스위치는 제2 발광체, 특히 제2 LED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발광체는, 온 포지션을 검출할 때 조명하고, 근접 스위치가 오프 포지션을 검출할 때 조명하지 않는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센서의 공간적인 근접시에 정지 본체를 형성해서, 충돌의 상황시에, 충돌 본체는 센서에 직접적으로 부딪히지 않으며, 오히려 단지 보호 러그에 부딪힌다. 충돌 힘들은 이러한 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에 의해 적어도 크게 또는 완전히 수용되고, 센서에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대개 센서 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단일 보호 러그, 2개의 보호 러그들, 3개의 보호 러그들 또는 수개의 보호 러그들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특히 환형 유지 섹션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특히 섬유-보강된, 특히 유리 섬유-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환형 유지 섹션은 관통-개구를 규정하며, 이 관통 개구를 통해, 보호될 센서의 하우징이 돌출한다. 이러한 점에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센서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센서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에 의해, 복잡한 체결 섹션들, 보어들, 스터드 볼트들, 플랜지 플레이트들 등은 센서와 끼워맞춤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 기계들 및/또는 장비의 하우징들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체결의 방식은, 각각의 디바이스, 각각의 기계 및/또는 각각의 장비의 유형 및 형상과 무관하고, 단지 센서에 정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센서 배열체와 같은 센서와 함께 제공되고, 분배되고, 그리고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의 삽입 방향은 단지 삽입 움직임의 배향만을 규정하고, 플러그를 센서의 연결 소켓 내로 삽입하기 위한 방향 및 또한 플러그를 센서의 연결 소켓으로부터 밖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반대 방향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가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 내로 또한 삽입됨 ─ 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센서의 연결 소켓을 등지는 전기 플러그의 단부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환형 유지 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그의 실질적인 또는 전체적인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플러그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가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 내로 또한 삽입됨 ─ 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센서의 연결 소켓을 등지는 전기 플러그의 단부에 접하는 변형 완화 슬리브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이 변형 완화 슬리브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환형 유지 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변형 완화 슬리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는 그의 실질적인 또는 전체적인 길이 방향 범위에 걸쳐 플러그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환형 유지 섹션과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보호 러그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보호 러그들은 환형 유지 섹션의 면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 이 면측은,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들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을 향함 ─ , 이에 따라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는 또한,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 내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는 2개의 보호 러그들에 의해 전기 플러그의 적어도 2개의, 특히 대향 측면들 상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대향 보호 러그들은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직선형 스트립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호 러그들은 단면이 아치형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채널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보호 러그들의 오목한 측벽은 플러그를 향한다.
러그들은, 보호 러그들이 2개의 대향 갭들의 범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어서,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장착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배열체에서, 전기 앵글 플러그(electric angle plug)는 센서의 연결 소켓 내로 제1 배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 이 제1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의 각진 단부 섹션은 하나의 갭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또는 특히 제1 배향에 대해 120도 또는 180도를 통해 회전되는 제2 배향으로, 센서의 연결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제2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의 각진 단부 섹션은 다른 갭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2개, 3개, 또는 예를 들어, 또한 4개의 보호 러그들은 각각, 쌍들에서의 갭의 범위를 정할 수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갭 또는 각각 2개 또는 예를 들어 또한 3개의 갭들이 형성되며, 여기서 갭들은, 앵글 플러그가 그 후 갭들 중 하나 각각을 통해 다양한 회전 포지션들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지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표면 벽은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내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내경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가 센서 하우징 상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센서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장착된 배열체에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가 센서 하우징의 나사 섹션(thread section) 상의 원-원통형 표면 벽과 높이가 같은 방식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나사 섹션의 외경에 적응된다.
환형 유지 섹션은 스커트 섹션(skirt section)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스커트 섹션은,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장착된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배열체에서, 센서 하우징의 스크류 외형부(screw contour)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스크류 외형부는, 센서를 센서를 가지는 장비의 장비 하우징 내로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센서를 장비 하우징으로부터 밖으로 나사결합해제하기 위한 나사결합 공구의 적용을 위해 구성된다.
스크류 외형부는, 예를 들어, 정사각형 프로파일, 육각형 프로파일 또는 (너트와 유사한) 팔각형 프로파일일 수 있다. 개방-단부 스패너는, 예를 들어, 이러한 손 공구 및 센서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수나사 피치(external thread pitch)에 의해 센서를 디바이스, 기계, 그리고/또는 장비의 나사형성된(threaded) 보어 내로 나사결합할 수 있기 위해, 스크류 외형부에 또는 이러한 에지 프로파일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류 외형부는 또한, 예를 들어 너클링(knurling)과 같은 오직 수동식 구동 표면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센서는 디바이스, 기계 및/또는 장비의 나사형성된 보어 내로 수동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문제가 센서 배열체에 의해 또한 해결되며, 이 센서 배열체는 리시버(receiver) 및 센서 하우징을 갖는 센서 ─ 이 센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에 접하는 핸들링 섹션, 및 외부 표면 벽을 갖고 직경이 감소된, 핸들 섹션에 접하는, 직경이 단차식으로 형성된 외부 표면을 갖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여기서 연결 섹션은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이 배열되는 면측을 가짐 ─, 및 하나 이상의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센서와 함께 간단한 방식으로 수송되고, 분배되고, 그리고/또는 장착될 수 있다. 결함이 있거나 손상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교환될 수 있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환형 유지 섹션의 내부 표면 벽은,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의 외부 표면 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다시 말해,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환형 유지 섹션의 내부 표면 벽과 센서의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의 외부 표면 벽 사이에, 단지 작은 환형 갭이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센서 배열체는, 하나의 라인 단부에 전기 플러그를 가지는 전기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은 전기 플러그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며, 그리고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 내로 전기 플러그의 삽입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의 적어도 2개의 벽 섹션들 사이에 배열됨 ─ 에서, 리시버는 전기 라인에 연결된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환형 유지 섹션의 내부 표면 벽은, 나사 섹션으로서 구성되는, 센서 하우징의 연결 섹션의 외부 표면 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내부 표면 벽은, 다시 말해, 센서 하우징의 연결 섹션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환형 유지 섹션의 내부 표면 벽과 센서 하우징의 연결 섹션의 외부 표면 벽 사이에, 단지 작은 환형 갭이 헐거운 끼워맞춤의 방식으로 형성되어서, 실질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장착에도 불구하고,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센서 상에 있으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센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은 스크류 외형부를 가지고, 특히 외부 육각형 외형부를 가지며, 그리고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환형 유지 섹션은 여기서 스커트 섹션을 가질 수 있으며, 스커트 섹션은, 센서의 센서 하우징의 숄더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센서 하우징의 스크류 외형부, 특히 외부 외형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식적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에서, 예로써, 더 상세히 설명된다. 실제적인 내용에서, 이 특징들이 언급된 것과 관계없이, 이러한 예시적인 예 실시예들의 실제적인 특징들은, 적용가능하다면,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될 수 있거나, 다른 조합들로 본 발명의 일반적은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예로써, 절연 상태의 2개의 보호 러그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센서 상에 장착되는 직선형 플러그를 갖는, 센서 상에 장착되는 배열체에서의 도 1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센서 상에 장착되는 앵글 플러그를 갖는, 센서 상에 장착되는 배열체에서의 도 1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예로써, 센서, 도 1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앵글 플러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배열체와 끼워맞춤되는 장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센서 상에 장착되는 앵글 플러그를 갖는 센서 상에 장착된 배열체에서의 3개의 보호 러그들을 갖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센서 상에 장착되는 앵글 플러그를 갖는 센서 상에 장착된 배열체에서의 단지 단일의 보호 러그를 갖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는 환형 유지 섹션(2)을 가지며, 이 환형 유지 섹션은 환형 유지 섹션(2)의 관통-개구(4)의 범위를 정하는 내부 표면 벽(3)을 갖는다.
도 2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표면 벽(3)은,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환형 유지 섹션(2)이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형상-끼워맞춤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5)에 그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 적응된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는, 환형 유지 섹션(2)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 본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정확히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을 가지며, 이 보호 러그들은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2a)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이 면측은,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센서(8)의 연결 소켓(11)을 향한다.
보호 러그들(9.1, 9.2)은, 또한 전기 플러그(10)가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2) 내로 삽입되는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가, 전기 플러그(10)의 2개의 대향 측면들 상의 본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에 의해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일측 상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는,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가 센서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1)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을 등지는 전기 플러그(10)의 단부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환형 유지 섹션(2)으로부터 진행하여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는, 도 3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가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을 등지는 전기 플러그(10)의 단부에 접하는 변형 완화 슬리브(12)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돌출하는 정도로, 환형 유지 섹션(2)으로부터 진행하여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는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2a)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환형 유지 섹션(2)에 연결되는 정확히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을 가지며, 이 보호 러그들은,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들(9.1, 9.2)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형성되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장착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10)는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에 의해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2개, 특히 대향 측면들 상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플러그(10)는 특히 직선형 플러그(10a)(도 3)로서 또는 앵글 플러그(10b)(도 4)로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은, 여기서, 보호 러그들(9.1, 9.2)이 2개의 대향 갭들(13.1, 13.2)의 범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전기 앵글 플러그(10b)는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제1 배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 제1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하나의 갭(13.1)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또는 특히 제1 배향에 대해 120도 또는 180도를 통해 회전되는 제2 배향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 제2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다른 갭(13.2)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도 6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는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2a)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환형 유지 섹션(2)에 연결되는 정확히 3개의 보호 러그들(9.1, 9.2, 9.3)을 가지며, 이 보호 러그들은,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들(9.1, 9.2, 9.3)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의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10)는 3개의 보호 러그들(9.1, 9.2, 9.3)에 의해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3개의 측면들 상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3개의 보호 러그들(9.1, 9.2, 9.3)은, 여기서, 보호 러그들(9.1, 9.2, 9.3)이 3개의 갭들(13.1, 13.2, 13.3)의 범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전기 앵글 플러그(10b)는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제1 배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 제1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하나의 갭(13.1)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또는 제1 배향에 대해 120도로 회전되는 제2 배향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 제2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제2 갭(13.2)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또는 특히 제1 배향에 대해 120도를 통해 회전되는 제3 배향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 제3 배향에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제3 갭(13.3)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도 7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는 환형 유지 섹션(2)과 연결되는 단지 단일의 보호 러그(9.1)를 가지며, 이 보호 러그는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2a)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이 보호 러그는,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보호 러그(9.1)가 그의 길이를 따라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플러그(10) 주위에 여기서 원호 형상으로 90도 내지 270도의, 특히 180도의 아치형 각도로 끼워맞춤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의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는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전기 플러그(10)는 단일의, 아치-형상 보호 러그(9.1)에 의해 전기 플러그(10)의 부분적인 원주에 걸쳐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단일의 보호 러그(9.1)는, 보호 러그(9.1)가 갭(13.1)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여기서 플러그로부터 작은 거리를 두고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해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전기 앵글 플러그(10b)는 독점적으로 이러한 하나의 배향으로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이러한 단일의 갭(13.1)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특히,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표면 벽(3)은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센서 하우징(7) 상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방식으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의 장착된 배열체(도 2)에서의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센서 하우징(7)의 나사 섹션(14) 상의 원-원통형 표면 벽과 같은 높이로 놓이지만 센서 하우징(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나사 섹션(14)의 외경에 적응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환형 유지 섹션(2)은 스커트 섹션(15)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스커트 섹션은,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도 2), 센서 하우징(7)의 스크류 외형부(16)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이 스크류 외형부는 센서(8)를, 센서(8)를 가지는 장비(18)의 장비 하우징(17) 내로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센서(8)를 장비 하우징(17)으로부터 밖으로 나사결합해제하기 위한 나사결합 공구의 적용을 위해 구성된다(도 5).
따라서, 도 3 내지 도 5는, 센서 배열체를 도시하며, 이 센서 배열체는 리시버(receiver)(20) 및 센서 하우징(7)을 갖는 센서(8) ─ 이 센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21),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21)에 접하는 핸들링 섹션(22), 및 외부 표면 벽을 갖고 직경이 감소된, 핸들 섹션(22)에 접하는 연결 섹션(23)을 포함하며, 여기서 연결 섹션(23)은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이 배열되는 면측을 가짐 ─, 및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를 갖는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은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고, 그리고 다시 말해,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의 방식의 단지 작은 환형 갭(19)이 이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과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내경을 갖는다.
센서 배열체는, 하나의 라인 단부에 전기 플러그(10)를 가지는 전기 라인(24)을 포함하며, 여기서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은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며, 그리고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전기 플러그(10)의 삽입되는 배열체 ─ 이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의 적어도 2개의 벽 섹션들 사이에 배열됨 ─ 에서, 리시버(20)는 전기 라인(24)에 연결된다.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은,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의 외부 표면 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내부 표면 벽은 나사 섹션(14)으로서 그리고 다시 말해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과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의 외부 표면 벽 사이에서, 단지 작은 환형 갭(19)이 헐거운 끼워맞춤의 방식으로 형성되어서, 실질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장착에도 불구하고, 센서(8) 상의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D)(삽입 방향(R)에 대응함)을 중심으로 센서(8)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1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2 환형 유지 섹션
2a 면측
3 내부 표면 벽
4 관통 개구
5 외부 표면 벽
6 숄더
7 센서 하우징
8 센서
9.1, 9.2, 9.3 보호 러그들
10 플러그
10a 직선형 플러그
10b 앵글 플러그
11 연결 소켓
12 변형 완화 슬리브
13.1,13.2,13.3 갭들
14 나사 섹션
15 스커트 섹션
16 스크류 외형부
17 장비 하우징
18 장비
19 환형 갭
20 리시버
21 체결- 및 리시버 섹션
22 핸들링 섹션
23 연결 섹션
24 전기 라인
D 회전 축
R 삽입 방향

Claims (12)

  1.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plug protection device)(1)로서,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는, 내부 표면 벽(inner surface wall)(3)을 가지는 환형 유지 섹션(annular holding section)(2) ─ 상기 내부 표면 벽은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관통-개구(4)의 범위를 정하고 그리고, 이의 형상에 관하여,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이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7)의 숄더(shoulder)(6) 상에 형상 끼워맞춤(form fitting)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sensor)(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5)에 적응됨 ─, 및 상기 환형 유지 섹션(2)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protection lug)(9.1, 9.2, 9.3)를 가지며, 상기 보호 러그는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face side)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 상기 면측은,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상기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보호 러그(9.1, 9.2, 9.3)가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함 ─, 이에 따라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상기 배열체에서, 또한 상기 전기 플러그(10)가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상기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에 의해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일측 상에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는 적어도,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상기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가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8)의 연결 소켓(11)을 등지는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단부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으로부터 진행하여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는 적어도,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상기 배열체에서, 또한 전기 플러그(10)가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8)의 연결 소켓(11)을 등지는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단부에 접하는 변형 완화 슬리브(strain relief sleeve)(12) 위를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변형 완화 슬리브 위로 돌출하는 정도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으로부터 진행하여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과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 9.3)을 가지며, 상기 보호 러그들은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면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고 ─ 상기 면측은,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보호 러그들(9.1, 9.2, 9.3)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는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을 향함 ─ , 이에 따라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 ─ 상기 배열체에서, 또한 상기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됨 ─ 에서, 상기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2개의 보호 러그들(9.1, 9.2, 9.3)에 의해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적어도 2개의, 특히 대향 측면들 상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러그들(9.1, 9.2, 9.3)은, 상기 보호 러그들(9.1, 9.2, 9.3)이 2개의 대향 갭들(13.1, 13.2, 13.3)의 범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리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 방향(R)으로 연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전기 앵글 플러그(10b)는, 상기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제1 배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 상기 제1 배향에서, 상기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상기 하나의 갭(13.1, 13.2, 13.3)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함 ─, 또는 특히 상기 제1 배향에 대해 120도 또는 180도를 통해 회전되는 제2 배향으로, 상기 센서(8)의 연결 소켓(1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향에서, 상기 앵글 플러그(10b)의 각진 단부 섹션은 상기 다른 갭(13.1, 13.2, 13.3)을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 벽(3)은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되고, 내경을 가지며, 상기 내경은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상기 센서 하우징(7) 상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장착된 배열체에서의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상기 센서 하우징(7)의 나사 섹션(thread section)(14) 상의 상기 원-원통형 표면 벽과 같은 높이로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나사 섹션(14)의 외경에 적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은 스커트 섹션(skirt section)(15)을 가지며, 상기 스커트 섹션은,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스크류 외형부(screw contour)(16)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외형부는, 상기 센서(8)를, 상기 센서(8)를 가지는 장비(18)의 장비 하우징(17) 내로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기 센서(8)를 상기 장비 하우징(17)으로부터 밖으로 나사결합해제하기 위한 나사결합 공구의 적용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8. 센서 배열체(sensor arrangement)로서,
    상기 센서 배열체는, 리시버(receiver)(20) 및 센서 하우징(7)을 갖는 센서(8) ─ 상기 센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cylindrical fastening- and receiver section)(21), 상기 원통형 체결- 및 리시버 섹션(21)에 접하는 핸들링 섹션(handling section)(22), 및 외부 표면 벽을 갖고 직경이 감소된, 상기 핸들 섹션(22)에 접하는 연결 섹션(2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섹션(23)은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이 배열되는 면측을 가짐 ─ , 및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를 가지는,
    센서 배열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3)은,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5)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그리고 다시 말해,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3)과 상기 센서(8)의 센서 하우징(7)의 숄더(6)의 외부 표면 벽(5) 사이에, 단지 작은 환형 갭(19)이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배열체.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배열체는, 하나의 라인 단부에 전기 플러그(an electric plug)(10)를 가지는 전기 라인(electric line)(24)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은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접촉 수용을 위해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센서(8)의 전기 연결 소켓(11) 내로 상기 전기 플러그(10)의 삽입되는 배열체 ─ 상기 배열체에서 전기 플러그(1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러그(9.1, 9.2, 9.3)의 적어도 2개의 벽 섹션들 사이에 배열됨 ─ 에서, 상기 리시버(20)는 상기 전기 라인(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배열체.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3)은, 나사 섹션(thread section)(14)으로서 구성되는,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의 외부 표면 벽(5)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원-원통형 표면 벽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내부 표면 벽(3)은, 다시 말해,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 상에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의 내부 표면 벽(3)과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연결 섹션(23)의 외부 표면 벽(5) 사이에, 단지 작은 환형 갭(19)이 헐거운 끼워맞춤의 방식으로 형성되어서, 실질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장착에도 불구하고,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상기 센서(8) 상에 있으며,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D)을 중심으로 상기 센서(8)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배열체.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7)은 스크류 외형부(screw contour)(16)를 가지고, 특히 외부 육각형 외형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상기 환형 유지 섹션(2)은 스커트 섹션(15)을 가지며, 상기 스커트 섹션(15)은, 상기 센서(8)의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숄더(6) 상에 상기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1)의 장착된 배열체에서, 상기 센서 하우징(7)의 상기 스크류 외형부(16), 특히 외부 육각형 외형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배열체.
KR1020190101065A 2018-09-07 2019-08-19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KR20200028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1850.8A DE102018121850B4 (de) 2018-09-07 2018-09-07 Sensoranordnung mit einer Steckerschutzvorrichtung
DE102018121850.8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36A true KR20200028836A (ko) 2020-03-17

Family

ID=6952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65A KR20200028836A (ko) 2018-09-07 2019-08-19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6744B1 (ko)
KR (1) KR20200028836A (ko)
CN (1) CN110890660A (ko)
DE (1) DE10201812185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6533A1 (de) * 2017-09-19 2019-03-21 Robert Bosch Gmbh Halter für eine Senso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8886C1 (en) * 1991-03-19 1992-03-05 Karl Lumberg Gmbh & Co, 5885 Schalksmuehle, De Sensor e.g. proximity switch, IR transceiver - has line connection terminals of plug contacts designed as limbs of bifurcation
US7563123B2 (en) * 2007-07-16 2009-07-21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nector retainers and methods of securing a connector to a receptacle
DE102007062830B4 (de) * 2007-12-21 2014-11-27 Ifm 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windes sowie Bauteil und Gerät
CN102544910A (zh) * 2010-12-29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保护装置
CN203312156U (zh) 2011-12-28 2013-11-27 通用设备和制造公司 接近开关
DE102013200775B4 (de) * 2013-01-18 2018-09-13 Ifm Electronic Gmbh Näherungsschalter mit Steckeran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0660A (zh) 2020-03-17
DE102018121850B4 (de) 2020-08-20
US20200083650A1 (en) 2020-03-12
US10566744B1 (en) 2020-02-18
DE102018121850A1 (de)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6372B2 (ja) 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20110147081A1 (en) Cable Gland
US6123578A (en) Combination electrical/mechanical mounting connector
WO2019009056A1 (ja) 端子台
US11721958B2 (en) Bushing and cable gland including bushing
KR20200028836A (ko)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US10727624B2 (en) Plug coupling with strain relief for a connecting cable
US5924343A (en) Box spanner with a device for retaining the object to be turned
EP2784887B1 (en) Cable gland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US10701825B2 (en) Plastic electrical housing
KR102343021B1 (ko) 전기 장치
US1067628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motorized rollers
US6156979A (en) Bushing device and bushing assembly including it
US9231340B2 (en) Releaseable electrical contact connection
CN113841291B (zh) 用于将螺母安装到电池装置的螺丝上的安装设备和方法以及电池装置
CA3203543A1 (en) Additively manufactured cable gland
EP2353211B1 (en) Cable joint protector
KR101479476B1 (ko) 절연 연결부재
KR20210027379A (ko)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KR200332734Y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WO2023083495A1 (en) Cable gland with torque sensor
GB2218171A (en) Externally threaded bush for electrical enclosures
CN112260454A (zh) 用于电机的转轴的固定装置及电机
KR20170136737A (ko) 케이블 그랜드용 체결구
ITTO20070292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meccan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