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379A -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 Google Patents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379A
KR20210027379A KR1020217001771A KR20217001771A KR20210027379A KR 20210027379 A KR20210027379 A KR 20210027379A KR 1020217001771 A KR1020217001771 A KR 1020217001771A KR 20217001771 A KR20217001771 A KR 20217001771A KR 20210027379 A KR20210027379 A KR 2021002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sert
protective cap
bolt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201B1 (ko
Inventor
알렉산더 세바스찬 다흐
디에터 줄링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 패스너스 유럽 - 캠록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 패스너스 유럽 - 캠록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 패스너스 유럽 - 캠록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2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4Sealing;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연결부를 벽(10)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인서트는: 제1 연결 수단(5)을 갖는 샤프트(4)를 가진 핀(1); 및 핀(1)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6)를 갖는 도전성 링(2)을 가지며, 수용된 핀(1)의 샤프트(4)는 링(2)의 접촉면(11) 밖으로 돌출된다. 작업 중, 예를 들어 도색 중의 보호를 목적으로, 인서트는 보호 캡(20, 20')을 포함하며, 보호 캡은: 핀(1)의 제1 연결 수단(5)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수단(26)을 포함하는 유지 섹션(21,21'); 및 보호 캡(20, 20')이 연결될 때 링(2)의 접촉면(11)에 대해 안착하는 플랜지 섹션(22, 22')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본 발명은, 연결 수단이 구비된 샤프트를 갖는 볼트 및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도전성 링을 사용해 벽, 예를 들어 얇은 금속 시트에 전기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수용된 볼트는 이의 샤프트와 링의 접촉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인서트용 보호 캡에 관한 것이다.
변형 가능한 슬리브 또는 링을 사용하여 금속판에 볼트(접지 볼트(ground bolt 또는 grounding bolt))를 고정하는 것은 케이블과 금속 시트 사이에서 도전성을 확립하는 알려진 방법이다. 이를 위해, 링은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면을 갖고, 케이블 체결용 볼트는 나사산과 같은 연결 수단을 그의 샤프트 상에 갖는다. 이러한 샤프트는, 케이블이 연결 수단과 체결될 때 후자가 접촉면 상으로 가압되도록 링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링과 벽 사이의 연결부는, 예를 들어 케이블 러그가 나사 볼트 상에 체결될 때 너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인장력(tensile force)과 토크(torque)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금속 시트의 면적을 방사상으로 확장시키고 표면 압력을 증가시켜 달성된다. 추가로, 슬리브가 금속 시트를 지나 확장되어 인장력을 높일 수 있다. 전류의 전달은 금속 시트의 보어(bore)의 벽 상에서 이루어진다. 슬리브의 설치 및 변형은 이러한 영역에서 가능한 한 낮은 접촉 저항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볼트와 링을 포함하는 전술한 유형의 인서트가 EP 0 880 199 B1에서 공지되어 있다. 볼트는 제1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헤드,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이 구비된 샤프트를 포함한다.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링에는 제2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볼트의 헤드는, 헤드가 링 내로 당겨질 때 링의 원통형 통로를 확장하는 절단된 원추형으로서 대략 구성된다.
이러한 인서트가 벽에 체결될 때, 볼트는 보호되지 않고 노출된 방식으로 벽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벽에 대한 후속 작업 과정에서, 볼트, 예를 들어 볼트의 나사산에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특히, 시트형 금속 구성요소와 같은 벽은 볼트를 삽입한 후에 반드시 도색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가령 페인트가 볼트의 나사산에 우발적으로 도포되는 경우, 적어도 상당한 노력이 없으면 볼트가 케이블에 더 이상 연결되지 못할 수 있다. 페인트와 광택제(varnish)는 일반적으로 절연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링의 접촉면에 페인트가 우발적으로 도포되면, 케이블과 벽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전류가 높은 경우, 인서트와 벽이 과열될 수 있고, 이는 벽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 영역에 따라, 이는 상당한 화재 위험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이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작업 도중에, 특히 도색이나 광택 작업 도중에 보호되는, 개선된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청구항1의 특징을 갖는 인서트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는 제1 연결 수단을 갖는 샤프트를 가진 볼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나사, 베이오넷 락(bayonet lock), 클레비스 핀(clevis pin) 또는 다른 체결 요소가 연결 수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도전성 링을 추가로 포함하되, 수용된 볼트는 그의 샤프트와 함께 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따라서 그 표면은 링과 접촉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는 보호 캡을 추가로 포함하여, 보호 캡은: 볼트의 제1 연결 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수단이 구비된 유지 섹션; 및 보호 캡이 연결될 때 링의 접촉면에 접경하는(adjoining) 플랜지 섹션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보호 캡은 샤프트 및 링의 접촉면을 완전히 덮는다. 따라서, 인서트의 관련 영역은 손상 및/또는 페인트의 우발적인 도포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연결 수단 및 제2 연결 수단은, 제2 연결 수단에 대한 제1 연결 수단의 연결에 의해 보호 캡의 플랜지 섹션이 링의 접촉면에 대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접촉 압력은 보호 캡의 긴밀하게 실링된 연결을 보장함으로써, 페인트나 광택제와 같은 액체가 보호 캡과 인서트 사이로 유입되어 보호 캡에도 불구하고 접촉면이나 샤프트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플랜지 섹션은 본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이며, 유지 섹션과 마주하는 상단면 및 유지 섹션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바닥면을 가지되, 바닥면은 보호 캡이 볼트에 연결될 때 링의 접촉면과 접경한다. 유지 섹션이 샤프트에 직접 연결되고 플랜지 섹션이 접촉면과 편평하게 접경하므로, 보호 캡에 의해 보호되는 인서트가 차지하는 공간은 매우 적다. 따라서, 본 구현예는 좁은 공간에 특히 적합하다. 특히, 유지 섹션 내의 제2 연결 수단은 클램핑 실린더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 내경은 샤프트의 외경에 상응한다. 따라서, 유지 섹션과 보호 캡은 마찰력에 의해서만 볼트에 연결된다. 유지 섹션은 본질적으로 보호 캡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기 때문에, 보호 캡이 샤프트 상에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보호 캡을 볼트에 특히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보호 캡을 볼트 상으로 단지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디스크 형상의 플랜지 섹션은 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추가 클램핑 링을 갖는다. 클램핑 링의 내경은, 클램핑 링이 마찰력에 의해 샤프트 상에 유지되도록, 샤프트의 외경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클램핑 링의 외경은, 클램핑 링이 통로 상에 유지되도록, 통로의 내경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 링은 보호 캡을 연결하는 추가 수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플랜지 섹션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유지 섹션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전면, 특히 환형 전면이 링과 접경한다. 보호 캡을 볼트에 연결하기 위해서 원통형 플랜지 섹션이 특히 잘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보호 캡은 접경하는 단부면에 의해, 접촉면 상에 특히 잘 실링된다(well-sealed). 유지 섹션 내의 제2 연결 수단은, 특히 유지 섹션 내의 암나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유 섹션과 그 내부에 배열된 나사산은 보호 캡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 캡은 사출 성형에 의해 특히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길이만큼이 아니라 유지 섹션 내에 배열된 나사산의 길이만큼 보호 캡을 볼트에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보호 캡은 플랜지 섹션 상에서, 보호 캡의 내측면 상에, 구체적으로는 유지 섹션에서 먼쪽을 향하는 전면 상에 모따기면(chamfer)을 갖는다. 따라서, 모따기면은 원통형 플랜지 섹션의 전면과 내측면 사이의 에지에 배열된다. 모따기면에 의해, 접촉면 상의 플랜지 섹션의 접경면이 추가로 감소되어, 연결 수단에 의해 동일한 힘이 가해질 때 더 높은 접촉 압력이 생성된다. 이는 특히 긴밀하게 실링된 연결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링의 측부면(lateral surface)을 둘러싸는 커버 링이 플랜지 섹션 상에 배열된다. 한 편, 커버 링은 플랜지 섹션이 접촉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랜지 섹션이 접촉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외부 횡력의 작용으로 인해 이동되지 않게 한다. 또한, 링의 측부면도 이러한 방식으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링은 그의 측부면 상에 홈을 갖고, 커버 링은 홈 위로 완전히 돌출된다. 홈은 예를 들어 인서트에 대한 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도구(tool)로 링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홈이 손상되거나, 우발적으로 페인트나 광택제로 메워지는 경우, 공구가 더 이상 인서트에 맞물릴 수 없게 된다. 커버 링에 의해, 홈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광택제 및/또는 페인트의 우발적인 도포에 대해서도 보호된다. 따라서, 인서트가 공구와 맞물릴 수 있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커버 링은 그 외측면 상에,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섹션에서 먼쪽을 향하는 전면 상에 모따기면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 링의 전면과 외측면 사이에 있는 에지가 모따기된다.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벽을 종종 도색하거나 도색 후 코팅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완전히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커버 링의 외측면 상의 모따기면에 의해 링의 측부면과 벽 사이의 에지까지 접근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보호 캡은 그의 외측면 상에서, 유지 섹션 및/또는 플랜지 섹션 상에 플루팅(fluting)을 갖는다. 이는 보호 캡이 쉽게 조작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여, 보호 캡이 더 쉽고 확실하게 볼트에 연결될 수 있게(예를 들어 나사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링을 갖는 보호 캡은 긴밀하게 실링된 체적을 한정하며, 여기서 볼트의 샤프트 및 링의 접촉면은 체적 내에서 배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충격(blow)이 가해지는 경우, 보호 캡은 충격으로 인한 힘을 흡수하기 위해 인서트에 대한 손상 없이 체적 내로 약간 내향 편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보호 캡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쉽게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인서트를 보호하는 데 탁월한 재료이다. 또한, 플라스틱은 가벼우며 경제적으로 생산된다. 이 재료는 전기화학 공정에 의한 도색과 코팅의 관점에서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보호 캡이 도전성인 경우, 이 또한 이러한 공정 도중에 균일하게 코팅될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는, 플라스틱의 경우, 플라스틱이 도전성이 아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코팅될 부분만 도색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전술한 인서트용 보호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 캡은: 인서트의 볼트의 상응하는 연결 수단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단을 갖는 유지 섹션; 및 인서트의 접촉면을 덮기 위한 넓어진 플랜지 섹션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은 특히, 전술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장점 및 가능한 적용예는 하기 예시적인 구현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이루어진다.
도면은 다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보호 캡이 없이 장착된 인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캡의 측면도.
도 3은 보호 캡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측면도.
도 4는 보호 캡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위로부터의 사시도.
도 5는 보호 캡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보호 캡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보호 캡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제2 구현예의 단면도.
도 1은 헤드(3) 및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4)를 갖는 볼트(1)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도시한다. 샤프트(4)의 외측면 상에는, 샤프트(4)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예를 들어 케이블 러그(cable lug)에 의해, 도전체(electrical conductor)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숫나사(5)가 제공된다. 이어서, 케이블 러그는 링(2)의 접촉면(11) 상에 가압되는데, 링의 표면은 도전성이므로, 링(2)을 경유해 벽(10)까지의 전기적 연결이 확립된다. 링(2)은 벽(10)의 개구에 삽입되고, 볼트(1)가 그의 헤드(3)와 함께 가압되는 통로(6)를 갖는다. 따라서, 통로(6)는 볼트(1)의 헤드(3)의 외경보다 약간 더 작다. 그 결과, 헤드(3)가 안쪽으로 가압됨에 따라 링이 넓어지고, 따라서 벽(10)에 단단히 연결된다. 링(2)은 슬리브 섹션(7)을 갖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며 벽(10)의 개구에 삽입된다. 링(2)의 다른 원통형 영역은 더 큰 외경을 가지며, 벽(10)의 외측면과 접경하는 레지(8)로서 구성된다. 또한, 홈(9)이 레지(8)의 외부 윤곽에 배열되는데, 홈은 링(2)을 중심으로 완전히 이어지고, 도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서트의 샤프트(4)는 벽(10)으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돌출되므로, 손상되기 쉽다.
도 2는 유지 섹션(21) 및 플랜지 섹션(22)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보호 캡(20)을 도시한다. 유지 섹션(21)과 플랜지 섹션(22) 둘 다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연결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다. 유지 섹션(21)은 플랜지 섹션(22)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여기서 연결 영역은 오목하고 플랜지 섹션(22)의 큰 직경으로부터 유지 섹션(21)의 작은 직경으로 가늘어진다. 제2 연결 수단으로서 암나사(26)가 유지 섹션(21)의 내측 상에 배열된다. 플랜지 섹션(22)은 유지 섹션(21)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플랜지 섹션(22)의 바닥면 상에 커버 링(23)을 갖는다. 커버 링(23)은 플랜지 섹션의 바닥면과 측부면 사이에 배열되고, 모따기면(24)이 마련된다. 보호 캡(20)을 벽과 링(2)에 삽입된 볼트(1)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보호 캡(20)을 볼트(1) 위에 위치시키고 보호 캡의 암나사(26)를 볼트(1)의 수나사(5)에 나사 결합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인서트를 도시하며, 여기서 보호 캡(20)은 볼트(1) 및 링(2) 상에 나사 결합된다. 링(2)의 접촉면(11)과 숫나사(5)가 구비된 샤프트(4)를 갖는 볼트(1)는 보호 캡(20)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따라서, 커버 링(23)은 링(2)의 측부면을 둘러싸고, 커버 링의 축방향 연장부는, 링(2)의 측부면 내의 홈(9)도 커버 링(23)에 의해 덮이도록 선택된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예시는, 보호 캡(20) 및 특히 그의 유지 섹션(21)이 상단에서 폐쇄되어 보호 캡(20)과 링(2)에 의해 실링된 체적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체적, 링(2)의 접촉면(11) 및 볼트(1)는 이들이 외부에서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도록 배열된다.
도 5 및 도 6의 확대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링(2)의 슬리브 섹션(7)은 벽(10)의 개구에 삽입되고, 헤드(3)를 링(2)의 슬리브 섹션(7) 내로 가압함으로써, 링 및 벽(10)과 함께 가압된다. 보호 캡(20)은 암나사(26)가 구비된 유지 섹션(21)을 이용해 샤프트(4)의 숫나사(5)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유지 섹션(21)은 본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상단은 폐쇄되고 이의 바닥은 플랜지 섹션(22)에 연결된다. 플랜지 섹션(22)은 이의 전면(27)을 통해 링(2)의 접촉면(11)의 외측 에지와 접경한다. 보호 캡(20)의 길이, 암나사(26)의 배열, 및 숫나사(5)가 구비된 샤프트(4)의 길이는, 보호 캡(20)이 암나사(26)를 통해 볼트(1)의 숫나사(5) 상에 아직 완전히 나사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면(27)이 접촉면(11)과 미리 접경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추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전면(27)은 접촉면(11) 상에 힘을 가하게 되어, 보호 캡(20)은 단단히 실링된 방식으로 링(2)에 연결된다. 전면(27)은 플랜지 섹션(22)의 내측과의 에지에서 모따기면(28)를 갖기 때문에, 단부면(27)과 접촉면(11) 간의 정합면이 감소되어, 접촉 압력이 증가한다. 단부면(27)과 접촉면(11) 사이의 환형 정합면은 특히, 플랜지 섹션(22)의 벽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이는 보호 캡이 링에 긴밀하게 실링된 상태로 연결되게 한다. 플랜지 섹션(22)의 단부면(27)은 커버 링(23) 내로 횡방향으로 이어지는데, 커버 링은 링(2)의 측부면을 둘러싸고 측부면 내의 홈(9)을 덮는다. 커버 링은 커버 링(23)의 바닥면과 그의 외측면 사이의 에지에서 모따기면(24)을 갖는다. 이는 도색 작업 도중에 벽(10)과 링(2) 사이의 코너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유시지켜, 도색될 수 있게 한다.
보호 캡(20')의 대안적인 구현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 구현예는 유지 섹션(21')을 갖지만, 대안적으로 유지 섹션은 본질적으로, 볼트(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촉면(11)까지 연장된다. 플랜지 섹션(22')으로서, 디스크 형상의 부재가 간단히 제공되어 있는데, 이의 전체 바닥면이 링(2)의 접촉면(11)에 대해 가압된다. 링(2)의 측부면을 둘러싸고, 모따기면(24')을 갖는 커버 링(23')도 디스크 형상의 플랜지 섹션의 외측 에지 상에 배열된다. 또한, 클램핑 링(29)이 플랜지 섹션(22')의 바닥면에 배열되어 있는데, 그 내경은 볼트(1)의 외경에 맞게 조정된다. 또한, 클램핑 링(29)의 외경은 링(2)의 통로(6)의 내경에 맞게 조정된다. 보호 캡은 또한 이러한 수단에 의해 링(2) 상에 유지된다. 제2 연결 부재로서, 클램핑 실린더가 보호 캡의 유지 섹션(21') 내에 간단히 제공되어 있다. 이는 유지 섹션(21')의 내경이 볼트(1)의 외측면에 접경하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호 캡은 볼트1의 나사산과 고정 섹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볼트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호 캡을 볼트(1) 상으로 밀 수 있다.
1: 볼트 2: 링
3: 헤드 4: 샤프트
5: 숫나사 6: 통로
7: 슬리브 섹션 8: 레지
9: 홈 10: 벽
11: 접촉면 20, 20': 보호 캡
21, 21': 유지 섹션 22, 22': 플랜지 섹션
23, 23': 커버 링 24, 24': 모따기면, 커버 링
25, 25': 플루팅 26: 제2 연결 수단
27: 전면 28: 모따기면, 전면
29: 클램핑 링

Claims (14)

  1. 전기 연결부를 벽(10)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로서, 인서트는: 제1 연결 수단(5)를 갖는 샤프트(4)를 가진 볼트(1); 및 볼트(1)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6)를 가진 도전성 링(2)을 포함하되, 수용된 볼트(1)는 이의 샤프트(4)가 링(2)의 접촉면(11)로부터 돌출되고, 인서트는 보호 캡(20, 20')을 포함하고, 보호 캡은: 볼트(1)의 제1 연결 수단(5)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수단(26)을 포함하는 유지 섹션(21, 21'); 및 보호 캡(20, 20')이 연결될 때 링(2)의 접촉면(11)에 접경하는 플랜지 섹션(22, 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캡(20, 20')은 샤프트(4), 및 링(2)의 접촉면(11)을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연결 수단(5) 및 제2 연결 수단(26)은, 보호 캡(20, 20')의 플랜지 섹션(22, 22')이 제1 연결 수단(5)과 제2 연결 수단(26)의 연결에 의해 링(2)의 접촉면(11)에 대해 가압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 섹션(22')은 본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이고, 유지 섹션(21')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이의 바닥면이 접촉면(11)에 접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5. 제4항에 있어서, 디스크 형상의 플랜지 섹션(22')은 플랜지 섹션(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추가의 클램핑 링(29)을 포함하되, 특히 클램핑 링의 내경은 샤프트의 외경에 맞게 조정되고/되거나 클램핑 링의 외경은 링의 통로의 내경에 맞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 섹션(22)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유지 섹션(21)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이의 전면(27)이 링(2)의 접촉면(11)에 접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7. 제6항에 있어서, 플랜지 섹션(22) 상에서의 보호 캡(20)은, 유지 섹션(21)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전면(27) 및 보호 캡(20)의 내측면 상에 모따기면(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2)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커버 링(23, 23')이 플랜지 섹션(22, 22')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9. 제8항에 있어서, 링(2)은 그의 측부면 상에 홈(9)을 갖고, 커버 링(23, 23')은 홈(9) 위로 완전히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커버 링(23, 23')은 플랜지 섹션(22, 22')에서 먼쪽을 마주하는 그의 단부면 및 그의 외측면 상에 모따기면(24, 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캡(20, 20')은 그의 외측면 상에 플루팅(25, 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캡(20, 20')은 링(2)과 함께 긴밀하게 실링된 체적을 한정하되, 볼트(1)의 샤프트(4)와 링(2)의 접촉면(11)은 체적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캡(20, 20')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에 따른 인서트용 보호 캡으로서, 보호 캡은: 인서트의 볼트(1)의 상응하는 연결 수단(5)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수단(26)을 갖는 유지 섹션(21, 21'); 및 인서트의 접촉면(11)을 덮기 위한 넓은 플랜지 섹션(22, 22')을 갖는, 보호 캡.
KR1020217001771A 2018-08-03 2019-03-22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KR102635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4479.6 2018-08-03
DE202018104479.6U DE202018104479U1 (de) 2018-08-03 2018-08-03 Einsatz zur Verbindung eines elektrischen Anschlusses mit einer Wand sowie Schutzkappe für einen Einsatz
PCT/EP2019/057293 WO2020025177A1 (de) 2018-08-03 2019-03-22 Einsatz zur verbindung eines elektrischen anschlusses mit einer wand sowie schutzkappe für einen einsa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79A true KR20210027379A (ko) 2021-03-10
KR102635201B1 KR102635201B1 (ko) 2024-02-07

Family

ID=6345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71A KR102635201B1 (ko) 2018-08-03 2019-03-22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36063B2 (ko)
EP (1) EP3830433A1 (ko)
JP (1) JP7026290B2 (ko)
KR (1) KR102635201B1 (ko)
AU (1) AU2019314862B2 (ko)
CA (1) CA3106577C (ko)
DE (1) DE202018104479U1 (ko)
WO (1) WO202002517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992A (en) * 1995-03-08 1997-01-0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over for a bolt and nut
KR19990024759U (ko) * 1997-12-13 1999-07-05 양재신 도장용 스터드 볼트 캡
KR200400249Y1 (ko) * 2005-08-18 2005-11-03 오달석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JP2009513916A (ja) * 2005-11-01 2009-04-02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接合ボルト、接合要素及び導電性結合装置
US20110045714A1 (en) * 2009-08-18 2011-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EP3293404A1 (de) * 2016-09-12 2018-03-14 Newfrey LLC Kunststoffkappe und anordnung mit einer solchen kunststoffkapp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3714C2 (de) * 1979-09-10 1985-07-04 Fuji Seimitsu Mfg. Co. Ltd., Toyonaka, Osaka Abdeckkappe für eine Mutter
US5315745A (en) 1993-05-13 1994-05-31 Paxton Products Inc. Hub removing tool
DE19640891A1 (de) 1996-10-04 1998-04-09 Alsthom Cge Alcatel Gehäuse mit einer an einer Gehäusewand befestigten Kontaktbuchse
FR2763654B1 (fr) 1997-05-23 1999-07-16 Dubuis Insert pour la fixation d'une cosse de raccordement electrique sur une paroi mince, et ses procedes de montage et de demontage
FR2841690B1 (fr) * 2002-06-27 2004-11-12 Dubuis Et Cie M Systeme de fixation d'une cosse de raccordement electrique sur un element
EP2263826A1 (en) 2009-06-15 2010-12-22 Shinjo Manufacturing Co. Ltd. Nut Supply Apparatus to Bonding Machine
US8922049B2 (en) * 2010-12-02 2014-12-30 Hydrive Vehicles, Incorporated System for extracting electrical power from an electric vehicle
WO2014170672A1 (en) 2013-04-19 2014-10-23 Airbus Operations Limited Injectable cap
DE202018101358U1 (de) 2018-03-12 2018-04-04 Fairchild Fasteners Europe - Camloc Gmbh Einsatz zur Verbindung eines elektrischen Anschlusses mit einer Wand
US10920818B2 (en) * 2018-04-27 2021-02-16 The Boeing Company Anchoring washer for an EME protection cap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992A (en) * 1995-03-08 1997-01-0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over for a bolt and nut
KR19990024759U (ko) * 1997-12-13 1999-07-05 양재신 도장용 스터드 볼트 캡
KR200400249Y1 (ko) * 2005-08-18 2005-11-03 오달석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JP2009513916A (ja) * 2005-11-01 2009-04-02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接合ボルト、接合要素及び導電性結合装置
US20110045714A1 (en) * 2009-08-18 2011-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EP3293404A1 (de) * 2016-09-12 2018-03-14 Newfrey LLC Kunststoffkappe und anordnung mit einer solchen kunststoffka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14862A1 (en) 2021-02-11
US11336063B2 (en) 2022-05-17
KR102635201B1 (ko) 2024-02-07
DE202018104479U1 (de) 2018-08-21
CA3106577C (en) 2023-05-16
AU2019314862B2 (en) 2022-03-03
US20210328392A1 (en) 2021-10-21
WO2020025177A1 (de) 2020-02-06
EP3830433A1 (de) 2021-06-09
CA3106577A1 (en) 2020-02-06
JP2021533312A (ja) 2021-12-02
JP7026290B2 (ja)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9671B1 (en) Clamping Ring, Cable Gland and Method of Fitting a Cable Gland
US4842548A (en) Plastic conduit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8287219B2 (en) Fastening arrangement
JP6322313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US5912431A (en) Snap-in locknut adapter for connectors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EP2644910B1 (en) Connector connecting bol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GB2056194A (en) Jacketed metal clad cable connector
JPH077837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US20200259291A1 (en) Cable Sealing and Arrangement with a Housing
US10553990B2 (en) Overmolded adapter
US10651592B2 (en) Seal for an earthing bond
US20210135436A1 (en) Bushing and cable gland including bushing
US10211616B2 (en) Cable/line insertion
JP2009545109A (ja) 水中ポンプに連結されるケーブル連結部
KR102635201B1 (ko) 전기 연결부를 벽에 연결하기 위한 인서트 및 인서트용 보호 캡
EP2784887B1 (en) Cable gland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EP2493040B1 (en) Cable gland
KR102343021B1 (ko) 전기 장치
US11764557B2 (en) Building having a metallic, electrically conductive tube, electrical line positioned in a tube of this type and metallic, electrically conductive tube for this purpose
US20190335598A1 (en) Plastic Electrical Housing
KR20170098783A (ko) 케이블 그랜드
KR20200028836A (ko)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 및 이러한 플러그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센서 배열체
EP3454424A1 (en) Cable connector and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