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20A -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20A
KR20200028720A KR1020180107187A KR20180107187A KR20200028720A KR 20200028720 A KR20200028720 A KR 20200028720A KR 1020180107187 A KR1020180107187 A KR 1020180107187A KR 20180107187 A KR20180107187 A KR 20180107187A KR 20200028720 A KR20200028720 A KR 2020002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power
electric vehicle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0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720A/ko
Publication of KR2020002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접속되어 온보드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충전부를 통해 온보드 충전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 측정부;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입력부;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제1 통신부; 모드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충전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제1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충전 제어부; 및 충전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POWER CHARGING VALIDATION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 검증장치에서 검증을 위해 측정한 전력량과 비교하여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측정한 전력량을 검증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모터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기존의 자동차의 비해 최대운행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차량의 무게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잦은 충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하다.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크게 충전방식, 연결방식, 통신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충전방식은 접촉식(Conductive) 충전방식, 유도식(Inductive) 충전방식 그리고 배터리 교환방식(Battery Swapping)으로 구분가능하다. 전기적 연결 장치는 주유기에 해당하는 커넥터(Connector), 및 주유구에 대응되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인렛(Inlet)을 포함하며, 사용 전원의 유형에 따라 단상 및 삼상 교류용, 직류 전용 및 교류와 직류가 함께 있는 콤보(Combo)형으로 구분된다. 충전설비와 전기자동차간의 통신방식은 크게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방식과 선호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이 있다.
전기자동차의 충전방식 중 접촉식은 전기적 접속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교류 충전스탠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직류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이 있다. 교류 충전스탠드는 충전을 위하여 교류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 장치에 해당하며, 실제 충전은 전기자동차 내부의 온보드 충전기(On Board Charger)가 담당한다. 이러한 교류 충전스탠드의 입력 및 출력은 모두 상용주파수의 교류 전원이다.
교류 충전스탠드에는 크게 자립형 충전 스탠드와 휴대 가능한 인-케이블 제어 장치(In-cable-Control Box: 이하 'ICCB'라 함)가 있다. 자립형 충전 스탠드는 ICCB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충전 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되며, 가정에서는 주로 ICCB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ICCB는 교류 충전스탠드의 일종으로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이 아니라 전원 공급 장치에 해당하므로, ICCB 자체적으로 충전을 수행하지 않고 온보드 충전기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ICCB는 전기자동차 내부의 온보드 충전기의 상태에 따른 PWM 신호를 입력받은 후, PWM 레벨에 근거하여 충전 케이블의 전류용량, 충전 준비 상태, 전류 누설 상태 등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3046호(2011. 05. 19. 공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출력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측정한 전력량을 입력받아 검증을 위해 측정한 전력량과 비교하여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측정한 전력량을 검증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접속되어 온보드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충전부를 통해 온보드 충전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 측정부;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입력부;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제1 통신부; 모드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충전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제1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충전 제어부; 및 충전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모드입력부는.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통신부는, LED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 사이에서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제2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2 전력 측정부;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전력량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제2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2 전력량과 제2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제1 전력량을 비교하여 제1 전력량을 검증하는 검증 제어부; 및 검증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검증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 사이에 매개되어 제2 전력 측정부와 연결되는 아답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 통신부는, LED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 검증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충전 제어부가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충전 제어부가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검증모드인 경우, 충전부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충전 제어부가 제1 전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및 충전 제어부가 제1 통신부를 통해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통신부를 통해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단계는, 충전 제어부가 설정된 전력량마다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제어부가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충전모드인 경우, 충전부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충전 제어부가 제1 표시부를 통해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은, 검증 제어부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검증을 위해 초기화하는 단계; 검증 제어부가 제2 전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제2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검증 제어부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검증 제어부가 제1 전력량과 제2 전력량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제어부가 제2 표시부를 통해 검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초기화하는 단계는, 검증 제어부가 키입력부로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 검증장치에서 검증을 위해 측정한 전력량과 비교하여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측정한 전력량을 검증할 수 있어, 인-케이블 제어장치를 통해 정확한 전력량을 측정하고 정확한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충전 검증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충전 검증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충전부(130), 제1 전력 측정부(110), 모드입력부(120), 제1 통신부(150), 충전 제어부(140) 및 제1 표시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부(130)는 전기 자동차(300)의 인렛(320)에 접속되어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100)는 인-케이블 제어장치로써, 가정의 콘센트(10)에 접속하여 상용 전원을 기반으로 충전시키는 완속 충전장치이다.
제1 전력 측정부(110)는 충전부(130)를 통해 온보드 충전기(3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충전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모드입력부(120)는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선택하여 충전 제어부(140)의 동작을 선택한다.
여기서 모드입력부(120)는 비접촉 방식인 RFID 방식이나 QR 코드를 스캔하여 RFID나 QR코드에 포함된 코드를 통해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외부에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거나 터치버튼(미도시)을 구비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50)는 제1 전력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무선을 출력하여 충전 검증장치(200)에서 충전장치(100)를 검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150)는 LED 통신을 기반으로 LED 램프를 점멸시켜 제1 전력량을 전송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1 전력량을 전송할 수도 있다.
충전 제어부(140)는 모드입력부(120)의 선택에 따라 충전부(13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1 전력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제1 통신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60)는 충전 제어부(140)의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충전장치의 작동상태 및 충전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제어부(140)는 제1 표시부(160)를 통해 충전모드인지 검증모드인지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고, 제1 전력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을 표시하여 충전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충전 제어부(140)가 모드입력부(120)의 입력상태를 판단한다(S10).
즉, 충전 제어부(140)가 모드입력부(120)로부터 검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충전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검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여 검증모드가 선택된 경우, 충전 제어부(140)는 충전을 위해 충전부(130)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300)의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을 공급한다(S20).
S20 단계에서 충전 제어부(140)는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제1 전력 측정부(110)로부터 온보드 충전기(3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다(S30).
S30 단계에서 제1 전력량을 입력받은 충전 제어부(140)는 제1 통신부(150)를 통해 제1 전력량을 충전 검증장치(200)로 출력한다(S40).
여기서, 충전 제어부(140)는 제1 통신부(150)를 통해 제1 전력량을 출력할 때 실시간으로 제1 전력량을 출력할 수도 있고, 설정된 전력량 마다 펄스신호를 통해 제1 전력량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이 시작된 시점부터 측정된 제1 전력량이 10W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펄스신호도 설정 단위로 증가시켜 제1 전력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S10 단계에서 검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여 충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충전 제어부(140)는 충전을 위해 충전부(130)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300)의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을 공급한다(S50).
S50 단계에서 충전 제어부(140)는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제1 표시부(160)를 통해 충전 제어부(140)의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60).
예를 들어, 충전 제어부(140)는 충전시간, 정격전류, 충전상태, 오류상태, 제1 전력량, 충전모드, 검증모드 등을 제1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전 검증장치를 통해 간편하게 전력량의 측정 오차를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는, 제2 전력 측정부(210), 제2 통신부(220), 검증 제어부(240) 및 제2 표시부(250)를 비롯하여 아답터(260) 및 키입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력 측정부(210)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100)와 전기 자동차(300)의 인렛(320) 사이에서 전기 자동차(300)로 공급되는 제2 전력량을 측정하여 검증 제어부(240)에 제공함으로써 검증을 위한 기준 전력량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충전 검증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와 전기 자동차(300)의 인렛(320) 사이에 아답터(260)를 통해 접속하여 제2 전력 측정부(210)를 통해 충전장치(100)에서 충전되는 제2 전력량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충전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전력량을 수신하여 검증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부(220)는 충전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100)의 제1 통신부(150)와 같이 LED 통신을 기반으로LED 램프의 점멸상태를 분석하여 제1 전력량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1 전력량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증 제어부(240)는 제2 전력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제2 전력량과 제2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된 제1 전력량을 비교하여 제1 전력량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제2 전력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제2 전력량을 기준으로 충전장치(100)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검출하여 검증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50)는 검증 제어부(240)의 작동상태와 검증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230)는 충전 검증장치(200)를 초기화하여 작동시켜 충전장치(100)의 검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검증 제어부(240)가 키입력부(230)의 작동상태에 따라 검증 충전장치(200)를 초기화시킨다(S100).
S100 단계에서 검증 충전장치(200)를 초기화시킨 후 충전장치(100)로부터 충전이 개시되어 온보드 충전기(310)에 전력이 공급되면, 검증 제어부(240)가 제2 전력 측정부(210)를 통해 측정한 제2 전력량을 입력받는다(S110).
S110 단계에서 제2 전력량를 입력받고, 또한 검증 제어부(240)는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100)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다(S120).
여기서, 검증 제어부(240)는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충전장치(100)의 제1 통신부(150)로부터 LED 통신을 기반으로 LED 램프의 점멸상태를 분석하여 제1 전력량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제1 전력량을 수신할 수도 있다.
S120 단계에서 제1 전력량을 입력받은 후, 검증 제어부(240)는 제1 전력량과 제2 전력량을 비교하여 제1 전력량을 검증한다(S130).
S130 단계에서 충전장치(100)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검증한 후 검증 제어부(240)는 제2 표시부(250)를 통해 검증결과를 출력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인 인-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충전하는 전력량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검증을 위해 측정한 전력량을 기반으로 검증함으로써, 외부의 충전 검증장치를 통해 간편하게 충전장치의 전력량을 정확하게 검증할 수 인-케이블 제어장치를 통해 정확한 전력량을 측정하고 정확한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콘센트 100 : 충전장치
110 : 제1 전력 측정부 120 : 모드입력부
130 : 충전부 140 : 충전 제어부
150 : 제1 통신부 160 : 제1 표시부
200 : 충전 검증장치 210 : 제2 전력 측정부
220 : 제2 통신부 230 : 키입력부
240 : 검증 제어부 250 : 제2 표시부
260 : 아답터 300 : 전기 자동차
310 : 온보드 충전기 320 : 인렛

Claims (12)

  1.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접속되어 온보드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온보드 충전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 측정부;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입력부;
    상기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모드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충전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1 전력량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충전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입력부는.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모드와 검증모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LED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4.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 사이에서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제2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2 전력 측정부;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전력량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전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2 전력량과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전력량을 비교하여 제1 전력량을 검증하는 검증 제어부; 및
    상기 검증 제어부의 작동상태와 검증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인렛 사이에 매개되어 상기 제2 전력 측정부와 연결되는 아답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LED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검증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8. 충전 제어부가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검증모드인 경우, 충전부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가 제1 전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가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부가 설정된 전력량마다 측정된 상기 제1 전력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모드입력부의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충전모드인 경우,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온보드 충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가 제1 표시부를 통해 작동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제어방법.
  11. 검증 제어부가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검증을 위해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검증 제어부가 제2 전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한 제2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검증 제어부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검증 제어부가 상기 제1 전력량과 상기 제2 전력량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제어부가 제2 표시부를 통해 검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제어부가 키입력부로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07187A 2018-09-07 2018-09-07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28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7A KR20200028720A (ko) 2018-09-07 2018-09-07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7A KR20200028720A (ko) 2018-09-07 2018-09-07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20A true KR20200028720A (ko) 2020-03-17

Family

ID=7000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87A KR20200028720A (ko) 2018-09-07 2018-09-07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8877A1 (en) * 2019-01-31 2022-04-21 Ange Technologies System for recharging with energy electrical apparatuses, in particular front-wheel drive electric vehicles, and connecting cable usable in such a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8877A1 (en) * 2019-01-31 2022-04-21 Ange Technologies System for recharging with energy electrical apparatuses, in particular front-wheel drive electric vehicles, and connecting cable usable in such a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605B2 (en) Method and recharging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echarging mode
KR101245540B1 (ko)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US9304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rang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hicle diagnostic equipment
US20180272884A1 (en) Vehicle,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N108631385B (zh) 服务器和充电系统
US20140253036A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cheduling method
CN105398345B (zh) 用于电动车辆的直流快速充电测试方法和系统
US9075098B2 (en) Plug-in electric vehicle charger validation and test device
KR20140000455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CN108646105A (zh) 模拟交流充电桩、车载充电机与bms交互实现充电过程测试的设备
CN109562700B (zh) 包括机动车和连接机构的布置结构,机动车和连接机构
WO2012024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scanner module to buffer and bulk send vehicle data responsive to network conditions
JPH07123519A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接続装置
EP3640081A1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KR101972142B1 (ko) 진단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815453A (zh) 一种充电方法、系统、介质及计算机设备
JP2020078183A (ja) 異常解析装置
KR20200028720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검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45551A (zh) 用于检测机动车电池的装置和方法
CN108656974B (zh) 电动汽车充电方法、系统及充电设备
KR101578919B1 (ko)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장치의 정격전류 설정장치 및 그 방법
CN105398346A (zh) 用于检测辅助电池的错误连接的方法
KR102351066B1 (ko)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인터페이스
KR102186878B1 (ko) 충전용 콘센트 장치
KR20230000479U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