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50A -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50A
KR20200028650A KR1020180106996A KR20180106996A KR20200028650A KR 20200028650 A KR20200028650 A KR 20200028650A KR 1020180106996 A KR1020180106996 A KR 1020180106996A KR 20180106996 A KR20180106996 A KR 20180106996A KR 20200028650 A KR20200028650 A KR 2020002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ard key
card
management system
facil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049B1 (ko
Inventor
김기삼
김용민
Original Assignee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Abstract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시설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시설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와;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록과; 숙소 내에 설치되며, 대응되는 카드키가 꽂히는 적어도 하나의 키홀더와, 키홀더 내에 설치되며 키홀더 내에 카드키의 꽂는 동작 및/또는 빼는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한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와;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키홀더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카드키의 삽입 또는 해제 여부에 따라 숙소 내의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ACILITY USING WIRELESS KINETIC CARD KEY}
본 발명은 시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동에너지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으로 통신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기숙사 및 연수원 등의 숙박 시설은 입실 관리, 객실 내의 전원 관리 및 보안 등을 필요로 한다. 특히 기숙사의 경우 방마다 도어록을 설치하고, 개인별 카드키를 사용하여 출입함으로써 입실관리 및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공실 상태에서 전등이나 전열기구 등이 껴져 있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소모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점을 감안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2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식별정보인 고유 ID를 광신호로 송신하는 휴대단말기와, 출입문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로부터 광송신되는 고유 ID를 수신하는 출입통제용 광수신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출입통제용 광수신기로부터 수신된 고유 ID를 통제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비교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특허문헌 1은 휴대단말기를 신원확인수단으로 사용하여, 출입통제기관마다 각각의 ID 카드를 발급받을 필요 없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보안관리체계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출입보안에 대해 개시되어 있을 뿐, 인증과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2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관리 서버는 송수신기로부터 입력된 고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가 기숙사 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방에 위치 시 전력 공급 정보 및 냉난방 가동 정보를 포함하는 활성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고유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필요하므로, 이 사용자 단말기가 방전 등의 이유로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동작이 안될 수 있으며, 출입문 개폐를 위한 별도의 구성(예, 열쇠나 카드키)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83527호 (2002.11.0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21054호 (2014.10.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키홀더 내에 카드키를 삽입 및 분리 시 자가발전으로 생성되는 전력으로 통신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와; 상기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록과;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대응되는 카드키가 꽂히는 적어도 하나의 키홀더와, 상기 키홀더 내에 설치되며 상기 키홀더 내에 상기 카드키의 꽂는 동작 및/또는 빼는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한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와; 상기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상기 키홀더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카드키의 삽입 또는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숙소 내의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유니트는 상기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실내 전기기구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실내 전기구 및 상기 센서 유니트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록은 상기 통신부 통신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리컴퓨터에 등록된 카드키에 의해 잠김 또는 풀림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소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키홀더는 사용자 각각의 카드키가 꽂히는 복수의 키홀더를 포함하며, 상호 매칭되는 상기 카드키와 상기 키홀더 각각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키홀더 각각에 매칭되는 카드키만이 꽂힐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보이스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발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키홀더 내에 상기 카드키의 꽂는 동작 및/또는 빼는 동작시 작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작용 하에 상기 코일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코일이 상기 자로 시스템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키홀더 내에 카드키를 삽입 및 분리 시 자가발전으로 생성되는 전력으로 통신 및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숙소가 비어있는 경우 실내 전기기구를 오프(OFF) 시킬 수 있어서 전력 관리를 보다 효율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카드키와 키홀더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자가발전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시설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숙소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10)와, 각 숙소 별로 설치되는 도어록(20),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30), 통신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숙박시설은 실내 전기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50)에 제공하는 센서 유니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컴퓨터(10)는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컴퓨터(10)는 복수의 숙소 각각에 마련된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숙소 내에 사용자의 입출입 관리 및 신규 사용자 지정 및 지정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숙소의 예로는 기숙사가 있으며, 이 기숙사는 2인실 이상으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컴퓨터(10)를 통하여 관리시스템에 접속한다(S10). 이 경우 관리컴퓨터(10)에는 숙소/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된다(S20). 즉 관리컴퓨터(10)에는 관리 대상 숙소에 대한 정보와, 숙소를 사용할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어서 숙소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30). 숙소 선택을 하면 대상 사용자에 대해 숙소를 할당함과 아울러 출입문 여닫이와 재실여부 관리 및 입실과 퇴실 시 전원을 관리하는 카드키(31)를 제공한다(S40). 여기서 다인실 숙소용인 경우는 각 숙소에 사용자 별 복수의 키홀더(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정된 키홀더(33)에 맞는 카드키(31)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퇴실 등의 사유로 사용자 지정을 해제 하고자 하는 경우(S50)는 사용자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해당 숙소에 대한 카드키(31)의 할당을 취소한다(S60). 이어서 사용자 할당 및 지정 해제 과정을 반복할 것인지를 판단(S70)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단계 S20 이후 과정을 반복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컴퓨터(10)와 상기 제어부(50)는 유선 통신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와 상기 통신부(40)도 유선 통신선에 의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관리컴퓨터(10), 통신부(40) 및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컴퓨터(10)는 통신부(40)와 제어부(50) 에 IP 네트워크 즉,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광역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 제어부(50), 실내 전기기구(60) 및 센서 유니트(70)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는 경우, 원격으로 숙박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전기기구 각각에 인터넷 프로토콜(IP)을 부여함과 아울러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실내 전기기구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에 의해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유니트(70)는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71)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 유니트(70)에서 감지한 실내 온도 및 사람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5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센서 유니트(70)에서 얻은 정보 값을 기초로,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인체감지센서(73)에 의해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 시, 키홀더(33) 내에 카드키(31)가 꽂혀 있는지 관계없이 상기 실내 전기기구(6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실내 전기기구(60)는 온/오프 제어 또는 밝기 조절 제어되는 전등(61)와, 난방 등에 이용되는 전열기(63) 및 전기에 의해 여닫히는 전동커튼(6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전기기구(60)는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 등을 감시하는 카메라(67)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록(20)은 각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부여된 카드키(31)에 의해 잠기거나 풀릴 수 있다. 즉 도어록(20)은 통신부(40)와 통신 가능하며, 관리컴퓨터(10)에 등록된 카드키(31)에 의해 작동된다. 여기서 도어록(20)과 통신부(40) 사이에는 무선으로 다채널 양방향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47MHz 대역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30)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키(31)와, 대응되는 카드키(31)가 꽂히는 적어도 하나의 키홀더(33) 및 자가발전기(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숙소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2인실 이상의 숙소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에 자가발전기(35)가 각각 내장된 복수의 키홀더(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키홀더(33)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키홀더(33)를 구분하기 위하여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30)는 각 키홀더(33)를 식별하는 이름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키홀더(33)에는 지정된 카드키(31)는 꽂히고 이외의 카드키는 꽂히지 않도록 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카드키(31)와 키홀더(35) 사이의 결합관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카드키와 키홀더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홀더는 사용자 각각의 카드키(31)가 꽂히는 복수의 키홀더(33)를 포함한다. 키홀더(33) 내에는 상기 카드키(31)가 착탈되는 수용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호 매칭되는 상기 카드키(31)와 상기 키홀더(33) 각각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31a)(33b)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호 대응되는 결합부로서, 상기 카드키(31)의 하단부 소정 위치에 소정 깊이로 인입된 결합홈(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31a)은 카드키(31) 별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홀더(33)의 수용부(33a) 내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결합 돌출부(33b)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돌출부(33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홀더(33) 별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키홀더(33) 내에 카드키(31)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호 매칭되는 키홀더(33)에만 카드키(31)가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카드키(31)를 다른 키홀더(33)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드키(31)의 결합홈(31a)가 키홀더(33)의 결합 돌출부(33b)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는 키홀더(33) 내에 카드키(31)가 꽂히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가발전기(35)는 키홀더(33)에 내장되며, 키홀더(33)의 수용부(33a)에 삽입되는 카드키(31)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를 생성한다. 즉 키홀더(33) 내에 카드키(31)의 꽂는 동작 및/또는 카드키(31)를 빼는 동작시, 작동부(355)가 회동 운동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이 자가발전기(35)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자가발전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가발전기(35)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351)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磁路) 시스템(353) 및 키홀더(33)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드키(31)의 꽂거나 빼는 동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작동부(355)를 포함한다. 즉 자가발전기(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55)가 위치된 상태에서 카드키(도 6의 31)를 삽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회전 위치된다. 따라서 자가발전기(35)는 작동부(355)의 작용 하에 코일(351)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코일(351)이 자로 시스템(353)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되면서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또한 카드키(31)를 빼는 경우는 작동부(355)가 도 8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변경되면서 전기가 생성된다.
키홀더(33)는 자가발전기(35)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 의해 상기 통신부(40)와 무선 통신한다. 즉, 키홀더(33)에 카드키(31)를 꽂거나 빼는 경우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무선 통신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에 의해 통신부(40)와 통신한다. 여기서 키홀더(33)와 통신부(40) 사이에 447 MHz로 통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신호는 통신부(40)를 통하여 제어부(50)에 전달되어, 카드키의 삽입 또는 해제 여부에 따라 숙소 내의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실의 경우는 복수의 키홀더(33) 모두에서 카드키(31)가 제거된 경우에 실내 전기기구(60)를 오프(OFF)시키고, 키홀더(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카드키(31)가 꽂히는 경우에 실내 전기기구(60)를 온(ON)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배터리 등의 별도의 전원을 키홀더에 공급하지 않더라도, 자가발전에 의해 전기를 생성된 전기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키홀더 내에 카드키가 꽂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숙소가 비어있는 경우 실내 전기기구(60)를 오프(OFF) 시킬 수 있어서 전력 관리를 보다 효율화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관리컴퓨터 20: 도어록
30: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 31: 카드키
33: 키홀더 35: 자가발전기
351: 코일 353: 자로 시스템
355: 작동부 40: 통신부
50: 제어부 60: 실내 전기기구
70: 센서 유니트

Claims (8)

  1.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와;
    상기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록과;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대응되는 카드키가 꽂히는 적어도 하나의 키홀더와, 상기 키홀더 내에 설치되며 상기 키홀더 내에 상기 카드키의 꽂는 동작 및/또는 빼는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한 키네틱 카드키 유니트와;
    상기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상기 키홀더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숙소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카드키의 삽입 또는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숙소 내의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는,
    상기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실내 전기기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실내 전기구 및 상기 센서 유니트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통신부 통신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리컴퓨터에 등록된 카드키에 의해 잠김 또는 풀림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키홀더는 사용자 각각의 카드키가 꽂히는 복수의 키홀더를 포함하며,
    상호 매칭되는 상기 카드키와 상기 키홀더 각각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키홀더 각각에 매칭되는 카드키만이 꽂힐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이스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키홀더 내에 상기 카드키의 꽂는 동작 및/또는 빼는 동작시 작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작용 하에 상기 코일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코일이 상기 자로 시스템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0180106996A 2018-09-07 2018-09-07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09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96A KR102095049B1 (ko) 2018-09-07 2018-09-07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96A KR102095049B1 (ko) 2018-09-07 2018-09-07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50A true KR20200028650A (ko) 2020-03-17
KR102095049B1 KR102095049B1 (ko) 2020-04-23

Family

ID=7000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96A KR102095049B1 (ko) 2018-09-07 2018-09-07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749B1 (ko) 2020-10-26 2022-11-14 두드림코리아 주식회사 무 전원 방식의 다중 신호 발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객실 상태의 정보를 발신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51B1 (ko) * 2000-02-24 2002-10-19 조성관 숙박시설의 객실관리 시스템
KR20020083527A (ko) 2002-09-30 2002-11-02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
JP2010026643A (ja) * 2008-07-16 2010-02-04 Toppan Forms Co Ltd 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343015B1 (ko) * 2012-06-19 2013-12-18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하이브리드 스마트폰 카드 리더기
JP2014045258A (ja) * 2012-08-24 2014-03-13 Toshiba Corp 遠隔操作装置
KR20140121054A (ko) 2013-04-05 2014-10-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숙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51B1 (ko) * 2000-02-24 2002-10-19 조성관 숙박시설의 객실관리 시스템
KR20020083527A (ko) 2002-09-30 2002-11-02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
JP2010026643A (ja) * 2008-07-16 2010-02-04 Toppan Forms Co Ltd 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343015B1 (ko) * 2012-06-19 2013-12-18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하이브리드 스마트폰 카드 리더기
JP2014045258A (ja) * 2012-08-24 2014-03-13 Toshiba Corp 遠隔操作装置
KR20140121054A (ko) 2013-04-05 2014-10-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숙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049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8113A1 (zh) 室内电源控制方法、装置以及系统
US7463132B2 (en) Door lock and operation mechanism
KR101784990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7667B1 (ko)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MXPA02006905A (es) Metod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acceso a una region segura.
CN107209488A (zh) 用于将可穿戴物品整合于建筑物管理系统的操作中的方法和系统
KR101629845B1 (ko)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US20020030583A1 (en) Door control device based on non-touch non-contact charging method
CN110047254A (zh) 用于检测移动设备被留在房间中的情况的方法和装置
KR102095049B1 (ko)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1944882B1 (ko) 공조, 조명, 설비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공조, 조명 제어 방법
CN106437311A (zh) 一种电器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JP6765070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2322874B1 (ko) 월리더를 이용한 호텔 서비스 관리 시스템
US20120200387A1 (en) Digital access control system
KR101679408B1 (ko) 기숙사 관리 시스템
JP2016189068A (ja) 宿泊施設の部屋の省エネルギー装置
JP2016189068A5 (ko)
JP5785013B2 (ja) ロックシステム
KR102161199B1 (ko)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JP5988189B2 (ja) 電気錠システム
JP2006128824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ホームコントロール方法およびホーム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ム
KR101476259B1 (ko) 휴대용복합카드를 이용한 빌딩 에너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189511A (ja) 施解錠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CN106548424B (zh) 一种灯具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