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06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063A
KR20200028063A KR1020180105953A KR20180105953A KR20200028063A KR 20200028063 A KR20200028063 A KR 20200028063A KR 1020180105953 A KR1020180105953 A KR 1020180105953A KR 20180105953 A KR20180105953 A KR 20180105953A KR 20200028063 A KR20200028063 A KR 2020002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isposed
base
absorbing member
ligh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401B1 (ko
Inventor
신재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401B1/ko
Priority to US16/453,860 priority patent/US11163337B2/en
Priority to EP19193592.3A priority patent/EP3657296B1/en
Priority to TW108132094A priority patent/TWI822851B/zh
Priority to CN201910836054.4A priority patent/CN110880277B/zh
Priority to JP2019162170A priority patent/JP7440230B2/ja
Publication of KR2020002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063A/ko
Priority to US17/516,341 priority patent/US11481004B2/en
Priority to US18/049,275 priority patent/US119473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51/0097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각각은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광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딩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표시품질을 제공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표시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리지드 표시장치와 달리,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폴딩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폴딩축에 대응하는 부분은 폴딩축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부분과 구조적 특징이 달라서, 상기 폴딩축에 대응하는 부분에 시인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딩축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 외의 부분이 균일한 표시품질을 갖는 폴딩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모듈 및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인접하는 제2 표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1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2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의 색상은 검정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 각각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에 코팅되고, 상기 제2 광흡수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에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 각각은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상부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및 대응하는 상기 하부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트부재를 포함하는 세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트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세트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3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트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세트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4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세트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4 광흡수 부재 각각의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1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세트부재 각각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모듈 및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소정의 벤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소정의 벤딩축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제1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제2 광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폴딩축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 외의 부분이 균일한 표시품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폴딩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화소에 인가되는 발광제어신호 및 스캔신호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도 2a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 각각은 도 9a의 AA부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 각각은 도 12의 BB부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폴더블 표시장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과 시계창을 도시하였다.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하우징(HS)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표시장치(DD)의 외곽에 배치되며,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를 폴딩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인-폴딩 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아웃-폴딩 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끝 부분부터 안쪽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끝 부분부터 바깥쪽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대각선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서 표시장치(DD)의 폴딩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표시모듈(DM, DM-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복수의 기능층들(FC1~FC3), 베이스 필름(BF), 충격흡수부재(CSH), 지지부재(PT), 및 복수의 접착부재들(AD1~AD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재들(AD1~AD6) 각각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은 표시모듈(DM)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능층(FC1)은 제1 접착부재(AD1)에 의해 표시모듈(DM)과 접착될 수 있다. 제2 기능층(FC2)은 제2 접착부재(AD2)에 의해 제1 기능층(FC1)과 접착될 수 있다. 제3 기능층(FC3)은 제3 접착부재(AD3)에 의해 제2 기능층(FC2)과 접착될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 각각은 고분자 문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 각각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 각각의 모듈러스는 2Gpa 이상 100Gpa 이하 일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 각각의 두께는 35㎛ 이상 60㎛ 이하 일 수 있다. 기능층들(FC1~FC3) 각각의 두께가 35㎛보다 작으면 본래 목적했던 기능의 수행능력이 저하되고, 60㎛보다 크면 표시장치(DD)의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능층(FC1)은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편광 기능층 일 수 있다. 제2 기능층(FC2)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기능층 일 수 있다. 제3 기능층(FC3)은 표시장치(DD)의 외면을 구성하는 윈도우 기능층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기능층들(FC1~FC3)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 충격흡수부재(CSH), 및 지지부재(PT)는 표시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된다.
베이스 필름(BF)은 제4 접착부재(AD4)에 의해 표시모듈(DM)과 접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CSH)는 제5 접착부재(AD5)에 의해 베이스 필름(BF)에 접착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CSH)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CSH)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 일 수 있다.
지지부재(PT)는 제6 접착부재(AD6)에 의해 충격흡수부재(CSH)에 접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PT)는 표시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PT)는 표시모듈(DM)을 접거나 휘기 위한 힌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PT)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회로(ISC)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회로(ISC)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및/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감지회로(ISC)는 표시패널(DP)의 박막봉지층(미도시)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적으로 배치란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입력감지회로(ISC)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모듈(DM-1)은 표시패널(DP), 입력감지회로(ISC), 및 제7 접착부재(AD7)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과 입력감지회로(ISC)은 제7 접착부재(AD7)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블록도이다.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DP-NDA)은 표시영역(DP-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P-DA) 및 비표시영역(DP-NDA)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주사 구동부(100), 데이터 구동부(200), 복수 개의 스캔 라인들(SL), 복수 개의 발광제어 라인들(ECL),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복수 개의 전원 라인들(P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 이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영역(DP-DA)에 배치된다. 화소들(PX)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도 6 참조)와 그에 연결된 화소회로(CC,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주사 구동부(100)는 스캔 구동부 및 발광제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발광제어 구동부는 발광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발광제어 신호들을 발광제어 라인들(ECL)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100) 내에서 스캔 구동부 및 발광제어 구동부가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00)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들은 영상 데이터들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200)는 인쇄회로기판(FPCB)에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FPCB)이 데이터 라인들(DL)의 일단에 배치된 패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구동부(200)는 표시패널(DP)에 직접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스캔 라인들(S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에 교차하는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 과 제1 방향(DR1)은 직교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제어 라인들(EC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즉, 발광제어 라인들(ECL) 각각은 스캔 라인들(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L)은 데이터 신호들을 대응하는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라인들(P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전원 라인들(PL)은 제1 전원(ELVDD)을 대응하는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은 스캔 라인들(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 발광제어 라인들(ECL) 중 대응하는 발광제어 라인,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 및 전원 라인들(PL) 중 대응하는 전원 라인에 접속된다.
표시패널(DP)의 비표시영역(DP-NDA)은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이 벤딩영역(BA)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경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비표시영역(DP-NDA)의 면적이 작아져서 베젤이 얇은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비표시영역(DD-NDA)의 면적이 작은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화소(PX)에 인가되는 발광제어신호(Ei), 스캔신호들(Si-1, Si, Si+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는 i번째 스캔 라인(SLi) 및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에 연결된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는 유기발광소자(OLED) 및 화소회로(C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CC)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1~T7) 및 커패시터(CP)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CC)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CC)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의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원(ELVDD)의 레벨은 제2 전원(ELVSS)의 레벨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1~T7)은 각각 입력전극(또는, 소스 전극), 출력전극(또는, 드레인 전극) 및 제어전극(또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편의상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으로 지칭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본 명세서 내에서 드라이빙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어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에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i번째 스캔 라인(SLi)으로 i번째 스캔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스캔 라인(SLi)으로 i번째 스캔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노드(ND)와 초기화 전원생성부(미도시)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어전극은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i-1번째 스캔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노드(ND)로 초기화전압(Vint)을 제공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전원 라인(P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어전극은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에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어전극은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에 접속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생성부(미도시)와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은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7 트랜지스터(T7)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i+1번째 스캔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전압(Vint)을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으로 제공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화소(PX)의 블랙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유기발광소자(OLED)의 기생 커패시터(미도시)가 방전된다. 그러면, 블랙 휘도 구현시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의 누설전류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OLED)가 발광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블랙 표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에서는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이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 또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PMOS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NMOS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NMOS와 PMOS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CP)는 전원 라인(PL)과 노드(ND) 사이에 배치된다. 커패시터(CP)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한다.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압에 따라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 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에 흐르는 전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소(PX)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유기발광소자(O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제어신호(Ei)는 하이레벨(E-HIGH) 또는 로우레벨(E-LOW)을 가질 수 있다. 스캔 신호들(SLi-1, SLi, SLi+1)은 각각 하이레벨(S-HIGH) 또는 로우레벨(S-LOW)을 가질 수 있다.
발광제어신호(Ei)가 하이레벨(E-HIGH)을 가질 때,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오프된다. 제5 트랜지스터(T5)가 턴-오프되면 전원 라인(P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오프되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이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으로 하이레벨(E-HIGH)을 가지는 발광 제어신호(Ei)가 제공되는 기간 동안 유기발광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이후,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제공되는 i-1번째 스캔신호(Si)가 로우레벨(S-LOW)을 가지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압(Vint)이 노드(ND)로 제공된다.
i번째 스캔 라인(SLi)으로 제공되는 i번째 스캔신호(Si)가 로우레벨(S-LOW)을 가지면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된다.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면 데이터 신호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제공된다. 이 때, 노드(ND)가 초기화전압(Vint)으로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된다.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면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이 노드(ND)로 제공된다. 이때, 커패시터(CP)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한다.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제공되는 i+1번째 스캔신호(Si+1)가 로우레벨(S-LOW)을 가지면 제7 트랜지스터(T7) 가 턴-온된다.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압(Vint)이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으로 제공되어 유기발광소자(OLED)의 기생 커패시터가 방전된다.
발광제어 라인(ECLi)으로 제공되는 발광제어신호(Ei)가 로우레벨(E-LOW)를 가지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된다. 제5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면 제1 전원(ELVDD)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에 제공된다.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면, 유기발광소자(OLED)는 제공받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광을 생성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 도 6 참조)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ED2)이 화소(PX)의 애노드전극(AE)에 직접 컨택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면상의 형상이어서 이와 같이 도시된 것이며, 실제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화소(PX)의 애노드전극(AE)과 연결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ED2)은 화소(PX)의 애노드전극(AE)과 직접 컨택할 수 있다.
표시패널(DP, 도 5 참조)은 베이스층(BL), 버퍼층(BFL), 게이트 절연층들(GI1, GI2), 층간 절연층(ILD), 회로절연층(VIA), 및 화소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의 일면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된다.
버퍼층(BFL)은 제조공정 중에 있어서 베이스층(BL)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화소(PX)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불순물이 화소(PX)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T1, T2)의 액티브부들(ACL)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불순물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베이스층(BL)이 열분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불순물은 베이스층(BL)으로부터 배출된 가스 또는 나트륨일 수 있다. 또한, 버퍼층(BFL)은 외부로부터 화소(PX)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한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들(T1, T2) 각각을 구성하는 액티브부들(ACL)이 배치된다. 액티브부들(ACL) 각각은 폴리 실리콘 또는 아몰포스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액티브부들(ACL)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부들(ACL)은 전자 또는 정공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는 채널영역, 채널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이온도핑영역 및 제2 이온도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액티브부들(ACL)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GI1)이 배치된다. 제1 게이트 절연층(GI1)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절연층(GI1)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GI1) 상에 트랜지스터들(T1, T2) 각각을 구성하는 제어전극들(GE1)이 배치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전극(GE1)은 커패시터(CP)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GI1) 상에 스캔 라인들(SL, 도 5 참조) 및 발광제어 라인들(ECL, 도 5 참조)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GI1) 상에 제어전극들(GE1)을 커버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GI2)이 배치된다. 제2 게이트 절연층(GI2)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GI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GI2) 상에 커패시터(CP, 도 6 참조)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들 중 다른 하나의 전극(GE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절연층(GI1) 상에 배치된 전극(GE1)과 제2 게이트 절연층(GI2) 상에 배치된 전극(GE2)이 중첩하여 도 6에 도시된 커패시터(CP)를 형성할 수 있다. 단, 커패시터(CP)를 구성하는 전극들이 배치되는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게이트 절연층(GI2) 상에 전극(GE2)을 커버하는 층간 절연층(ILD)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층(ILD)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층간 절연층(ILD)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 상에 데이터 라인(DL, 도 5 참조) 및 전원 라인(PL, 도 5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 상에 트랜지스터들(T1, T2) 각각의 제1 전극들(ED1) 및 제2 전극들(E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들(ED1) 및 제2 전극들(ED2)은 각각 게이트 절연층들(GI1, GI2) 및 층간 절연층(ILD)을 관통하는 관통홀들을 통해 대응하는 액티브부들(ACL)과 연결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 상에 제1 전극들(ED1) 및 제2 전극들(ED2)을 커버하는 회로절연층(VIA)이 배치된다. 회로절연층(VIA)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회로절연층(VIA)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절연층(VIA) 상에 화소정의막(PDL) 및 유기발광소자(OLED, 도 6 참조)가 배치된다. 도 8에서는 편의상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AE)만을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발광소자(OLED)는 애노드전극(AE)외에 정공수송영역, 발광층, 전자수송영역, 및 캐소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소자(OLED)를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도 2a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9b는 도 9a의 표시장치(DD)가 폴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표시영역(DA)은 벤딩축(BX, 도 2a 참조)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표시영역(DA1) 및 제2 표시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PT)는 제1 지지부재(PT1) 및 제2 지지부재(P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PT1)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제1 표시영역(DA1)에 중첩하고, 제2 지지부재(PT2)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제2 표시영역(DA2)에 중첩한다.
제1 지지부재(PT1)는 제2 지지부재(PT2)와 소정의 거리(이하, 이격거리, DT)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벤딩축(BX, 도 2a 참조)은 제1 지지부재(PT1)와 제2 지지부재(PT2)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벤딩축(BX, 도 2a 참조)은 제1 지지부재(PT1)와 제2 지지부재(PT2) 사이의 경계선과 제3 방향(DR3) 상에서 중첩하는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PT1) 중 벤딩축(BX, 도 2a 참조)에 인접한 일부분 및 제2 지지부재(PT2) 중 벤딩축(BX, 도 2a 참조)에 인접한 일부분은 제6 접착부재(AD6)에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DD)가 벤딩축(BX, 도 2a 참조)을 기준으로 폴딩 될 때, 제1 지지부재(PT1) 및 제2 지지부재(PT2) 각각이 갖는 리지드(rigid)한 성질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PT, PT-1, PT1-2)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PT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각각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각각은 리지드(rigid)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각각은 상부면(S-T), 상부면(S-T)에 대향하는 하부면(S-B), 및 상부면(S-T)과 하부면(S-B)을 연결하는 측면(S-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 및 제2 광흡수 부재(BC2)는 광의 투과 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정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흡수 부재(BC1) 및 제2 광흡수 부재(BC2) 각각은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각각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 하부면(S-B), 및 측면(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 하부면(S-B), 및 측면(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PT1-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1)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 및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1)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 및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 도 10b에 대한 다른 설명들은 도 10a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PT1-2)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2)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에 배치되고, 하부면(S-B) 및 측면(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에 배치되고, 하부면(S-B) 및 측면(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흡수 부재(BC1,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 BC2-1, BC2-2)는 상부면(S-T) 전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 중 제1 광흡수 부재(BC1, BC1-1, BC1-2) 또는 제2 광흡수 부재(BC2, BC2-1, BC2-2)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은 다른 부분과 표시품질이 달라지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PT1) 및 제2 지지부재(PT2) 사이의 이격거리(DT)에 의해 표시영역(DA) 중 벤딩축(BX)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시품질이 다른 부분의 표시품질과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광흡수 부재(BC1,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 BC2-1, BC2-2)를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하는 경우, 제1 광흡수 부재(BC1,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 BC2-1, BC2-2)가 광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표시영역(DA)의 표시품질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 각각은 도 9a의 AA부분의 변형실시예(AA-1, AA-2, AA-3)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1)는 제1 몸체부(BP1a) 및 제1 몸체부(BP1a)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BP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1)는 제2 몸체부(BP2a) 및 제2 몸체부(BP2a)에서 연장되는 제2 돌출부(BP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2)는 제1 몸체부(BP1a) 및 제1 몸체부(BP1a)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BP1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2)는 제2 몸체부(BP2a) 및 제2 몸체부(BP2a)에서 연장되는 제2 돌출부(BP2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3)는 제1 몸체부(BP1a) 및 제1 몸체부(BP1a)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BP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3)는 제2 몸체부(BP2a) 및 제2 몸체부(BP2a)에서 연장되는 제2 돌출부(BP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BP1b, BP1b-1, BP1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제1 몸체부(BP1a)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보다 작다. 제2 돌출부(BP2b, BP2b-1, BP2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제2 몸체부(BP2a)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보다 작다.
제1 돌출부(BP1b, BP1b-1, BP1b-2) 및 제2 돌출부(BP2b, BP2b-1, BP2b-2)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서로 중첩한다. 제1 돌출부(BP1b, BP1b-1, BP1b-2) 및 제2 돌출부(BP2b, BP2b-1, BP2b-2)가 서로 중첩하므로, 제3 방향(DR3) 상에서 빛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BP1b-1, BP1b-2) 및 제2 돌출부(BP2b-1, BP2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점점 짧아지거나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돌출부(BP1b-1) 및 제2 돌출부(BP2b-1)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다리꼴 일 수 있다. 또는 제1 돌출부(BP1b-2) 및 제2 돌출부(BP2b-2)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 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형상에서 세트부재(ST)가 추가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세트부재(ST)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HS)의 일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제6 접착부재(AD6) 및 지지부재(PT)는 생략될 수 있다.
세트부재(ST)는 제1 세트부재(ST1) 및 제2 세트부재(S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트부재(ST1)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제1 표시영역(DA1)에 중첩하고, 제2 세트부재(ST2)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제2 표시영역(DA2)에 중첩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트부재(ST, ST-1, ST1-2)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세트부재(ST1)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부재(ST2)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각각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각각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각각은 리지드(rigid)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각각은 상부면(SS-T), 상부면(SS-T)에 대향하는 하부면(SS-B), 및 상부면(SS-T)과 하부면(SS-B)을 연결하는 측면(SS-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0) 및 제2 광흡수 부재(BC20)는 광의 투과 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정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흡수 부재(BC10) 및 제2 광흡수 부재(BC20) 각각은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각각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0)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상부면(SS-T), 하부면(SS-B), 및 측면(S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0)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상부면(SS-T), 하부면(SS-B), 및 측면(S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세트부재(ST1-1)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부재(ST2-1)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1)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상부면(SS-T) 및 측면(S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1)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상부면(SS-T) 및 측면(S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 도 13b에 대한 다른 설명들은 도 13a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세트부재(ST1-2)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 및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광흡수 부재(BC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부재(ST2-2)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광흡수 부재(BC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부재(BC12)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상부면(SS-T)에 배치되고, 하부면(SS-B) 및 측면(S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광흡수 부재(BC22)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상부면(SS-T)에 배치되고, 하부면(SS-B) 및 측면(S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흡수 부재(BC10,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0, BC21, BC22)는 상부면(SS-T) 전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의 상부면(SS-T) 및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의 상부면(SS-T) 중 제1 광흡수 부재(BC10, BC11, BC12) 또는 제2 광흡수 부재(BC20, BC21, BC22)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은 다른 부분과 표시품질이 달라지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13a 내지 도 13c에서 설명한 제1 광흡수 부재(BC10,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0, BC21, BC22)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는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제1 광흡수 부재(BC1, BC1-1, BC1-2) 및 제2 광흡수 부재(BC2, BC2-1, BC2-2)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 각각은 도 12의 BB부분의 변형실시예(BB-1, BB-2, BB-3)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1)는 제1 세트 몸체부(BS1a) 및 제1 세트 몸체부(BS1a)에서 연장되는 제1 세트 돌출부(BS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1)는 제2 세트 몸체부(BS2a) 및 제2 세트 몸체부(BS2a)에서 연장되는 제2 세트 돌출부(BS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2)는 제1 세트 몸체부(BS1a) 및 제1 세트 몸체부(BS1a)에서 연장되는 제1 세트 돌출부(BS1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2)는 제2 세트 몸체부(BS2a) 및 제2 세트 몸체부(BS2a)에서 연장되는 제2 세트 돌출부(BS2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세트부재(BS1-3)는 제1 세트 몸체부(BS1a) 및 제1 세트 몸체부(BS1a)에서 연장되는 제1 세트 돌출부(BS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세트부재(BS2-3)는 제2 세트 몸체부(BS2a) 및 제2 세트 몸체부(BS2a)에서 연장되는 제2 세트 돌출부(BS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트 돌출부(BS1b, BS1b-1, BS1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제1 세트 몸체부(BS1a)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보다 작다. 제2 세트 돌출부(BS2b, BS2b-1, BS2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제2 세트 몸체부(BS2a)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보다 작다.
제1 세트 돌출부(BS1b, BS1b-1, BS1b-2) 및 제2 세트 돌출부(BS2b, BS2b-1, BS2b-2)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서로 중첩한다. 제1 세트 돌출부(BS1b, BS1b-1, BS1b-2) 및 제2 세트 돌출부(BS2b, BS2b-1, BS2b-2)가 서로 중첩하므로, 제3 방향(DR3) 상에서 빛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4b 및 도 14c를 참조하면, 제1 세트 돌출부(BS1b-1, BS1b-2) 및 제2 세트 돌출부(BS2b-1, BS2b-2)를 제3 방향(DR3) 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점점 짧아지거나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세트 돌출부(BS1b-1) 및 제2 세트 돌출부(BS2b-1)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다리꼴 일 수 있다. 또는 제1 세트 돌출부(BS1b-2) 및 제2 세트 돌출부(BS2b-2)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 일 수 있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PT-3, PT-4, PT-5)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PT-3)는 제1 지지부재(PT1-3) 및 제2 지지부재(PT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PT1-3)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난반사 부재(R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3)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난반사 부재(R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난반사 부재(RC1) 및 제2 난반사 부재(RC2)는 입사되는 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어느 한쪽으로 집중적으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난반사 부재(RC1) 및 제2 난반사 부재(RC2)는 입사되는 광을 난반사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난반사 부재(RC1) 및 제2 난반사 부재(RC2) 각각은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각각에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에 제1 난반사 부재(RC1) 및 제2 난반사 부재(RC2)를 코팅함으로써,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사이의 경계부분이 시인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 난반사 부재(RC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 하부면(S-B), 및 측면(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난반사 부재(RC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 하부면(S-B), 및 측면(S-S)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PT-4)는 제1 지지부재(PT1-4) 및 제2 지지부재(PT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PT1-4)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난반사 부재(RC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4)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난반사 부재(RC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난반사 부재(RC1-1)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 및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난반사 부재(RC2-1)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 및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고, 하부면(S-B)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 도 15b에 대한 다른 설명들은 도 15a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5c를 참조하면, 지지부재(PT-5)는 제1 지지부재(PT1-5) 및 제2 지지부재(PT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PT1-5)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 및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난반사 부재(RC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PT2-5)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 및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난반사 부재(RC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난반사 부재(RC1-2)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BP1)의 상부면(S-T)에 배치되고, 하부면(S-B) 및 측면(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난반사 부재(RC2-2)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BP2)의 상부면(S-T)에 배치되고, 하부면(S-B) 및 측면(S-S)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 도 15c에 대한 다른 설명들은 도 15a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광흡수 부재가 난반사 부재로 대체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1 내지 도 14c의 광흡수 부재 역시 난반사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M: 표시모듈
DP: 표시패널 ISC: 입력감지회로
PX: 화소 PT: 지지부재
ST: 세트부재

Claims (22)

  1.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인접하는 제2 표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폴딩 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1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2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의 색상은 검정색인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 각각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에 코팅되고, 상기 제2 광흡수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에 코팅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 각각은,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상부면 전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및 대응하는 상기 하부면 전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세트부재를 포함하는 세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1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세트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3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부재는,
    리지드(rigid) 한 성질을 갖는 제2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세트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제4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세트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4 광흡수 부재 각각의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1 베이스 세트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세트부재 각각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소정의 벤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플렉서블 표시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소정의 벤딩축이 정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제1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제2 광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각각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지지부재 각각은,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흡수 부재 및 상기 제2 광흡수 부재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측면 및 대응하는 상기 하부면 전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180105953A 2018-09-05 2018-09-05 표시장치 KR10248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53A KR102488401B1 (ko) 2018-09-05 2018-09-05 표시장치
US16/453,860 US11163337B2 (en) 2018-09-05 2019-06-26 Display device
EP19193592.3A EP3657296B1 (en) 2018-09-05 2019-08-26 Display device
TW108132094A TWI822851B (zh) 2018-09-05 2019-09-05 顯示裝置
CN201910836054.4A CN110880277B (zh) 2018-09-05 2019-09-05 显示装置
JP2019162170A JP7440230B2 (ja) 2018-09-05 2019-09-05 表示装置
US17/516,341 US11481004B2 (en) 2018-09-05 2021-11-01 Display device
US18/049,275 US11947397B2 (en) 2018-09-05 2022-10-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53A KR102488401B1 (ko) 2018-09-05 2018-09-05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63A true KR20200028063A (ko) 2020-03-16
KR102488401B1 KR102488401B1 (ko) 2023-01-17

Family

ID=6776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53A KR102488401B1 (ko) 2018-09-05 2018-09-0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163337B2 (ko)
EP (1) EP3657296B1 (ko)
JP (1) JP7440230B2 (ko)
KR (1) KR102488401B1 (ko)
CN (1) CN110880277B (ko)
TW (1) TWI8228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107B2 (en) 2020-06-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blocking layer directly attached to supporting member for improved visi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579A (ko) * 2018-10-15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113073A (ko) * 2019-03-21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57940A (ko) 2020-06-22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9874A1 (en) * 2015-01-19 2016-07-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20180062094A1 (en) * 2014-09-30 2018-03-0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80068594A1 (en) * 2015-05-21 2018-03-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uxiliary apparatus for unfolding and folding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80107250A1 (en) * 2016-10-19 2018-04-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067536B1 (en) * 2017-10-04 201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508B2 (ja) * 1978-05-09 1983-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表示パネル
JP2006227513A (ja) * 2005-02-21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KR102020982B1 (ko) 2013-02-28 2019-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41B1 (ko) *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164592B1 (ko) 2013-10-24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288437B1 (ko) * 2014-11-21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KR102239905B1 (ko) 2014-11-25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차단막, 광차단막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71237B1 (ko) 2015-01-21 202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30023A (ko)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39978B2 (en) 2015-09-08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2534273B1 (ko) *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54824B1 (ko) * 2016-03-25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4018B1 (ko) 2016-07-07 202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9632B1 (ko) 2016-09-13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898264B (zh) 2017-03-06 2019-10-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面板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2094A1 (en) * 2014-09-30 2018-03-0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60209874A1 (en) * 2015-01-19 2016-07-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20180068594A1 (en) * 2015-05-21 2018-03-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uxiliary apparatus for unfolding and folding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80107250A1 (en) * 2016-10-19 2018-04-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067536B1 (en) * 2017-10-04 201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107B2 (en) 2020-06-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blocking layer directly attached to supporting member for improved visi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8482A (zh) 2020-05-16
US20220057837A1 (en) 2022-02-24
CN110880277B (zh) 2023-04-07
US11163337B2 (en) 2021-11-02
US11947397B2 (en) 2024-04-02
US20200073441A1 (en) 2020-03-05
US20230073792A1 (en) 2023-03-09
EP3657296A2 (en) 2020-05-27
KR102488401B1 (ko) 2023-01-17
US11481004B2 (en) 2022-10-25
JP2020038372A (ja) 2020-03-12
EP3657296A3 (en) 2020-08-05
TWI822851B (zh) 2023-11-21
EP3657296B1 (en) 2023-10-04
JP7440230B2 (ja) 2024-02-28
CN110880277A (zh)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401B1 (ko) 표시장치
KR20200042579A (ko) 표시장치
KR20200103240A (ko) 표시장치
KR102645189B1 (ko) 표시장치
KR102533161B1 (ko) 표시장치
KR102612296B1 (ko) 표시패널
KR102547124B1 (ko) 표시장치
KR20200039085A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KR102568726B1 (ko) 표시장치
US11003215B2 (en) Display device
CN111538433B (zh) 输入感测电路
KR20200016419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