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023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023A
KR20170030023A KR1020160069254A KR20160069254A KR20170030023A KR 20170030023 A KR20170030023 A KR 20170030023A KR 1020160069254 A KR1020160069254 A KR 1020160069254A KR 20160069254 A KR20160069254 A KR 20160069254A KR 20170030023 A KR20170030023 A KR 2017003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tate
mobile terminal
elastic laye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림
한종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50,3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9978B2/en
Priority to CN201610809329.1A priority patent/CN106502319B/zh
Priority to EP16187645.3A priority patent/EP3163846B1/en
Priority to EP18182911.0A priority patent/EP3407581B1/en
Publication of KR2017003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023A/ko
Priority to US16/737,847 priority patent/US110165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 1,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2바디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폴드(fold)된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바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2 바디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1,2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탄성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플랫영역과, 상기 제 2 상태에서 적어도 일회 밴딩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이어는, 상기 플랫영역에 대응되는 리지트 파트와 상기 밴딩영역에 대응되는 플랙서블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밴딩되는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연구되고 있다. 디스플레이가 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밴딩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상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2바디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폴드(fold)된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바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2 바디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1,2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탄성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플랫영역과, 상기 제 2 상태에서 적어도 일회 밴딩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이어는, 상기 플랫영역에 대응되는 리지트 파트와 상기 밴딩영역에 대응되는 플랙서블 파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플랙서블 파트는, 상기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상기 리지드 파트는, 스테인레스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탄성레이어 사이에 위치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접착층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버퍼층, 본체, 제2 버퍼츰을 포함하는 유연성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버퍼층은 상기 본체보다 탄성력이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층은 상기 본체보다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레이어의 모듈러스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듈러스 값과 다를 수 있다.
상기 탄성레이어의 모듈러스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듈러의 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2 바디와 상기 제 1,2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회로패턴이 인쇄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레이어 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폭 방향인 제 2 방향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방향의 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2 방향의 거리가 더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배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라인이 중첩되어 상기 터치센서의 밴딩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지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스트레인게이지 인쇄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태변화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접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BD)가 접히는 (foldable)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BD)의 일 끝단과 타 끝단이 근접 및/또는 상호 접촉하는 형태로 접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BD)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D)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바디(BD)의 적어도 일면의 실질적으로 전면(全面)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종래의 폴더폰과는 다를 수 있다. 즉, 일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존재하던 종래의 폴더폰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BD)의 일 끝단과 타 끝단까지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D)는, 플랙서블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바디(BD)가 접히면,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D)도 접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와 다른 특징일 수 있다. 플랙서블한 디스플레이(D)는, 바디(BD)의 적어도 어느 일면의 실질적으로 전(全)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Z 방향으로 T 만큼의 두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는, 바디(BD)와 디스플레이(D) 등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 구성물의 Z 방향 합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100)는, 제1 상태(S1) 또는 제1 상태(S2)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S1)는, 바디(BD)가 펴져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BD)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다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바디(BD)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가 제1 상태(S1)일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스틱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제2 상태(S2)는, 바디(BD)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바디(BD)의 어느 한 영역이 다른 영역에 폴드(fold)된 상태가 제2 상태(S2)일 수 있다. 제2 상태(S2)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는 약 절반으로 보여질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구부러지는 과정에서, 바디(BD)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길이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길이차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T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즉, 두께 T로 인하여, 바디(BD)의 내측면까지의 반경인 제1 반경(R1)과 바디(BD)의 외측면까지의 반경인 제2 반경(R2)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2 반경(R1, R2)의 차이로 인하여, 바디(BD)가 접혀진 제2 상태에서 바디(BD) 내측면의 길이보다 바디(BD) 외측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될 수 있다. 바디(BD) 내측면의 길이보다 바디(BD) 외측면의 길이가 길어지면, 바디(BD)를 접는 경우에 바디(BD) 내측면의 디스플레이(D)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상태(S2)에서, 바디(BD) 내측면의 제1 반경(R1)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바디(BD) 내측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D)가 납작하게 접혀지는 경우에 디스플레이(D)가 손상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상태에서 바디 내측면의 제1 반경(R1)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 및/또는 제1,2 상태의 중간의 어느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230)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제1,2 바디(210, 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하나가 연속적으로 제1,2 바디(210, 220) 상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제1,2 상태의 중간 상태에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1,2 바디(210, 220)는 일정 각도 구부러진 제3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변화 및/또는 제3 상태로의 고정은, 제1,2 바디(210, 220)를 연결하는 힌지어셈블리(L)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제2 상태에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어셈블리(L)를 중심으로 회전한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1,2 바디(210, 220)는, 상호 중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D)는 제1,2 바디(210, 22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힌지어셈블리(L)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L)는, 제 1,2 바디(210, 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는, 기판(P)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기판(P)은, 제 1,2 바디(210, 2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P)은 제 1 바디(210) 상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는, 배터리(B)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B)는 제 1,2 바디(210, 220)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배터리(B)는 기판(P)과 다른 바디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B)는 제 2 바디(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음향 출력부(O1, O2) 및/또는 복수의 마이크(M1, M2)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2 바디(210, 220)의 일 측 끝단 영역과 타측 끝단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는 힌지 어셈블리(L)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 1,2 바디(210, 220)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 1,2 바디(210, 220)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L)는 양 측면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SP)를 통해 제 1,2 바디(210, 2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는 제 1 상태에서 중심부는 힌지어셈블리(L) 상에 위치하며, 양 측은 제 1,2 바디(210, 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제 1 상태에서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D)는 굴곡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힌지어셈블리(L)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SP)의 상부면이 힌지어셈블리(L) 및 제 1,2 바디(210, 220)의 상부면과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평한 디스플레이(D)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D)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영역(recess area, RA)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함몰영역(RA)은 지지플레이트(SP)가 바디(23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D)의 적어도 일부는 일정 곡률(DR)을 가지며 함몰 영역(R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230) 내측면과 외측면의 길이변화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면서 지지 플레이트(SP)가 바디(23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SP)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D)는 지지플레이트(SP)와 함께 바디(230) 내측으로 일정 반경(DR)을 가지며 함몰될 수 있다.
함몰영역(RA) 중 힌지어셈블리(L)의 중심부는 디스플레이(D)와 부착될 수 있다. 즉, 함몰영역(RA) 중 제 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D)가 밴딩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D)와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힌지어셈블리(L)의 중심부가 디스플레이(D)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D)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면서 일정 반경(DR)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의 중심부가 디스플레이(D)와 부착되지 않는다면 반경을 가지지 않고 랜덤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에서 디스플레이(D)가 꼬여 엉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D)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영역(RA)을 제외한 영역은 디스플레이(D)가 제 2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영역(RA)을 제외한 영역은 바디(230)와 디스플레이(D)가 부착될 수 있다.
함몰영역(RA)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D)의 부분을 밴딩영역(BA)이라고 하며, 함몰영역(RA) 외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D)의 부분을 플랫영역(FA)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태 변화에 따라 함몰 또는 밴딩되는 디스플레이(D)의 부분을 밴딩영역(BA)이라고 하며, 상태 변화와 상관 없이 함몰 또는 밴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D)의 부분을 플랫영역(FA)라고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탄성레이어(TS)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와 제 1,2 바디(210, 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가 복수회 밴딩될 때 크랙이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D)가 복수회 밴딩될 때 디스플레이(D) 의 외측에 형성되는 인장응력을 탄성레이어(TS)의 복원력으로 상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탄성레이어(TS)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가 평탄한 제1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D)에 압력이 가해져도 디스플레이(D)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및/또는 제2 상태로 변형될 때 디스플레이(D)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와 부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D)와 함께 바디(23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에 의한 디스플레이(D)의 이동에 따라, 탄성레이어(TS)는 인장과 수축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와 이격되지 않도록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가 함몰 또는 밴딩될 때 디스플레이(D) 상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붙잡아줄 수 있다. 즉,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가 수축 또는 이완을 반복하면서 형성되는 크랙이나 주름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D)의 적어도 일면 상에 탄성레이어(TS)가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230)가 제 2 상태 또는 제 3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D)가 더 유연하게 움직이고,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의 적어도 일 면 상의 적어도 일부에 스트레인게이지(SG)가 위치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레이어(TS) 상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는 다른 스트레인게이지(SG)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 소재(TS)의 일 단으로부터 타 단으로까지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SG)는 전도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SG)는 전도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의 양 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지게이지(SG)의 저항 변화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한 스트레인게이지(SG)의 저항 변화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영역(FA)에 위치하는 탄성레이어(TS)는 실리콘 내부에 스테인레스 플레이트(314)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플레이트(314)는 실리콘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스테인레스 플레이트는 실리콘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테인레스 플레이트(314)는 상측에 부착될 얇은 디스플레이(D)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밴딩영역(BA)에는 스트레인게이지(SG)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스트레인게이지(SG)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적어도 일 면 상의 적어도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즉,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밴딩영역(BA) 상에만 위치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D)의 밴딩영역(BA)만이 함몰 또는 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레이어(TS)가 밴딩영역(BA) 상에만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D) 상에 파손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0과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가 준비될 수 있다(S10). 디스플레이(D)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폼(Foam, 137), TFT 기판(135), 터치 기판(133), 및 편광판(13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적층된 층 사이에는 접착층(350)이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131)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여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으로 진동하는 빛으로 바꿔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야외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터치기판(133)은 편광판(13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기판(133)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터치기판(133)은 투명 ITO(Indium Tin Oxide)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기판(133)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센싱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기판(133)은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터치기판(133)은 저항성 터치 기판 또는 정전용량성 터치기판일 수 있다.
TFT 기판(135)은 터치기판(13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TFT 기판(135)은 디스플레이(D) 상에 표시될 화면을 조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FT 기판(135)은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 TFT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의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폼(137)은 TFT 기판(135)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폼(137)은 다공성 구조 또는 스펀지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폼(137)은 접착층(350)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350)이 과다공급됐을 때, 폼(137)은 접합층(350)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폼(137)은 다공성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일정 비율로 압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FT 기판(135)에 더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폼(137)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350)은 상술한 각 층 사이에 위치하며 각 층이 서로 결합되도록 도울 수 있다. 접착층(35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OCR, 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350)은 적절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체상태로 경화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D)는 복수의 층을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의 일 면 상에 유연성필름(FP)이 부착될 수 있다(S20). 상세하게, 디스플레이(D)의 편광판(131) 상측에 유연성필름(FP)이 접착층(35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유연성필름(FP)은 디스플레이(D)를 외부의 충격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또한, 유연성필름(FP)은 디스플레이(D)가 밴딩을 반복하여도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유연성필름(FP)이 본체(M) 및 제 1,2 버퍼층(RS1, R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M)의 양 면에 제 1,2 버퍼층(RS1, RS2)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버퍼층(RS1)과 제 2 버퍼층(RS2)은 본체(M)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본체(M)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M)는 두께가 0.1mm 이상 0.4mm 이하일 수 있다. 본체(M)는 실리콘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제 1,2 버퍼층(RS1, RS2)은 본체(M)와 모듈러스(modulus)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버퍼층(RS1)은 본체(M)보다 모듈러스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며, 제 2 버퍼층(RS2)은 본체(M)보다 모듈러스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서 본체(M)를 향할수록 탄성력이 순차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
제 1,2 버퍼층(RS1, RS2)의 존재로 인하여 디스플레이(D)와 본체(M) 사이의 탄성력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 버퍼층(RS1, RS2)은 본체(M)와 디스플레이(D)의 경계에서 파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D)와 유연성필름(FP)를 부착하는 접착층(35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OCR)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유연성 필름(FP)이 본체(M)와 제 2 버퍼층(RS2)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350)은 디스플레이(D)의 전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접착층(350)이 디스플레이(D)의 전면 및 측면을 함께 실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접착층(350)은 광학용 투명 레진(OCR)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350)은 실리콘 광학용 투명 레진(OCR)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광학용 투명 레진(OCR)은 모듈러스가 8000Pa 이상 10000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광학용 투명 레진(OCR)은 탄성부가 80%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 광학용 투명 레진(OCR)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유연성 필름(FP)과 디스플레이(D)의 길이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흡수하며,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더 빠르게 변화하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광학용 투명 레진(OCR)은 디스플레이(D)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감싸주기 때문에 공기층(Air Gap)이 사라져 난반사를 막아줄 수 있다.
광학용 투명 레진(OCR)은 OCA에 비하여 탄성이 높기 때문에 디스플레이(D)와 본체(M) 사이에 탄성력을 완충시켜줄 버퍼층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버퍼층(RS2)만이 유연성필름(FP)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우, 접착층(350)으로 광학용 투명 레진(OCR)을 사용하여 난반사 없이 뛰어난 화질로 디스플레이(D)를 감상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D)와 본체(M) 사이에 버퍼층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의 일 면과 대향하는 타 면 상에 탄성부재(TS)가 부착될 수 있다(S30). 상세하게, 폼(137)의 하부에 탄성부재(TS)가 접착층(35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폼(137)에 의해 탄성부재(TS)의 물질이 TFT 기판(135)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탄성부재(TS)를 디스플레이(D)에 부착한 후에, 다시 복수의 층을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하여 경화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TS)의 일 면 상에 프라이머(242)가 도포될 수 있다(S40). 프라이머(242)는 후술할 스트레인게이지가 탄성부재(TS) 상에 원활하게 부착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프라이머(242)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접착 증진제, 실란 커플링제 및 여러 종의 혼합 용제가 홉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242)가 도포된 탄성부재(TS) 상에 스트레인게이지(SG)가 인쇄될 수 있다(S50).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부재(TS) 상에 적어도 하나가 일정 패턴을 가지고 인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는 다른 스트레인게이지(SG)와 이격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SG)는 전도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의 양 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이용하여 스트레인게이지(SG)를 경화시킬 수 있다(S60).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부재(TS) 상에 인쇄된 직후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가 스트레인게이지(SG)를 인쇄하는 기기와 동시에 이동하며 자외선을 인쇄된 스트레인게이지(SG)에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SG)가 탄성부재(TS) 표면에 분산되어 퍼지기 전에 경화가 이루어져 충분한 높이의 스트레인게이지(SG)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TS)의 표면이 스트레인게이지(SG)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스트레인게이지 인쇄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부재(TS) 상의 인쇄위치와 상관없이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부재(TS)의 플랫영역(FA) 상에서는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탄성부재(TS)의 밴딩영역(BA) 상에서는 적어도 일회 밴딩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G)는 탄성부재(TS) 상의 인쇄위치와 상관없이 적어도 일회 밴딩된 형상일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SG)가 밴딩되는 형상에 따라,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탄성 부재(TS) 각 부분의 늘어나는 길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스트레인게이지(SG)가 밴딩되는 형상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SG)가 단선되거나 크랙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스트레인게이지(SG)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공정이 간단해져 제조비용이 줄어들 수 있으며, 스트레인게이지(SG)의 폭 변화가 더 확실하게 나타나 저항의 측정이 더 정확하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트레인게이지(SG)의 밴딩되는 부분과 밴딩되는 형상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탄성부재(TS) 상에 인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의 형상은 이격된 다른 스트레인게이지(SG)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SG)는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다른 스트레인게이지(SG)는 적어도 일 회 밴딩된 형상일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디(230)의 후면에 백커버(BC)가 위치할 수 있따. 백커버(BC)는 바디(230)의 후면과 측면을 차폐할 수 있다. 백커버(BC)는 끝단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하다고 느낄 수 있다.
기판(P)은 백 커버(BC)와 바디(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판(P)이 바디(2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판(P)은 힌지어셈블리(L)를 기준으로 양 측에 제 1,2 기판(P1, P2)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2 기판(P1, P2)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바디(230)의 양 단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바디(230)의 양 단의 높이가 바디(230)의 다른부분의 높이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230)의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에 베이스(372)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베이스(372)는 바디(230)의 양 단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이스(372)는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재(TS)를 향해 돌출된 포고핀(BP)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72)는 포고핀(BP)을 통해 탄성부재(TS)의 하부면에 위치한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확한 기판(P)과 스트레인게이지의 전기적 연결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스트레인게이지(SG)는 일 단에 연결된 포고핀(BP)을 통해 기판(P)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베이스(372) 상에 인쇄된 회로 패턴을 통해 포고핀(BP)과 배선회로(1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선회로(114)는 기판(P) 상에 결합된 커넥터(C)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회로(114)는 바디(230)의 측면을 거쳐 커넥터(C)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베이스(372)가 포고핀(BP)을 통해 스트레인게이지(SG)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클립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의 일 측에 연결된 FPCB(FP)가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디스플레이(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FPCB(FP)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디스플레이(D)에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배선 회로(114)가 스트레인게이지(SG)와 FPCB(FP)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배선회로(114)의 일 단은 스트레인게이지(SG)의 일 단과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배선회로(114)의 타 단은 FPCB(FP)의 회로패턴과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FPCB(FP)에 스트레인게이지(SG)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나 바디의 함몰부가 필요하지 않아 이동 단말기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태변화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일 때, 탄성레이어(TS)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방향으로 제 1 폭(TSW1)을 가지며, 이동 단말기의 제 3 방향으로 제 1 두께(TST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인 y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폭방향인 x방향일 수 있으며, 제 3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두께방향인 z방향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 및/또는 제 3 상태일 때, 탄성레이어(TS)는 구부러지면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레이어(TS)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방향으로 제 2 폭(TSW2)을 가지며, 제 2 폭(TSW2)은 제 1 폭(TSW1)보다 길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레이어(TS)의 늘어나는 길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탄성레이어(TS)는 이동 단말기의 제 3 방향으로 제 2 두께(TST2)를 가지며, 제 2 두께(TST2)는 제 1 두께(TST1)보다 짧을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가지기 때문에,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더라도 제 3 방향의 두께를 줄이며 제 1 방향의 폭을 보상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레이어(TS)는 크랙 또는 파손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탄성레이어(TS)의 제 1 방향의 폭이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레이어(TS) 상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SG) 또한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제 1 방향의 폭이 늘어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일 때, 탄성레이어(TS) 상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SG)는 제 2 방향으로 제 1 게이지폭(SGW1)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 및/또는 제 3 상태일 때, 상술한 것과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G)의 제 1 방향의 폭이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SG)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 2 방향으로 제 2 게이지폭(SGW2)을 가질 수 있다. 제 2 게이지폭(SGW2)은 제 1 게이지폭(SGW1)보다 짧을 수 있다.
저항은 도선의 길이와 비례하며, 굵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스트레인게이지(SG)의 길이가 늘어나며, 제 2 게이지폭(SGW2)이 제 1 게이지폭(SGW1)보다 짧기 때문에 스트레인게이지(SG)의 저항은 커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위치한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물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탄성레이어(TS)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레이어(TS)의 전면(全面) 또는 일부면이 디스플레이(D)에 접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중립면(NL)은, 디스플레이(D)에 존재할 수 있다. 중립면(NL)은, 밴딩시의 기준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립면(NL)은 밴딩시 인장 및/또는 압축량이 없거나 작을 수 있다.
중립면(NL)은, 디스플레이(D) 관련 구성물간의 관계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와 탄성레이어(TS) 간의 모듈러스 관계로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 보다 탄성레이어(TS)의 모듈러스가 크면, 밴딩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레이어(TS)를 중심으로 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와 탄성레이어(TS)의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중립면(NL)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립면(NL)은, 디스플레이(D) 상에 설정되도록 관련 구성물의 모듈러스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밴딩시 디스플레이(D)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적게될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D)의 중립면(NL)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D) 및 탄성레이어(TS)가 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인장에 따른 스트레스가 탄성레이어(TS)에 집중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플레이(D)는 상대적으로 적은 스트레스를 받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레이어(TS)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D)의 중립면(NL)을 중심으로 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D)의 변형량은 최소화되고 상대적으로 변형이 큰 탄성레이어(TS)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다수의 밴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D)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탄성레이어(TS)는, 실리콘 등 물리적 스트레스에 강한 재질이어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TS)는, 리지드 파트(RP1, RP2)와 플랙서블 파트(FP)를 포함할 수 있다. 리지드 파트(RP1, RP2)와 플랙서블 파트(FP)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는 밴딩영역(BA)과 플랫영역(FA1, FA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플랙서블 파트(FP)와 리지드 파트(RP1, RP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레이어(TS) 전 영역이 디스플레이(D)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파트(FP)는, 디스플레이(D)의 밴딩영역(BA)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파트(FP)는 밴딩영역(BA)을 포함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플랙서블 파트(FP)의 너비가 밴딩영역(BA)의 너비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밴딩영역(BA)이 밴딩될 때 플랙서블 파트(FP)가 디스플레이(D)의 변화량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
플랙서블 파트(FP)는, 디스플레이(D)의 밴딩영역(BA)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플랫한 형태의 플랙서블 파트(FP)가 밴딩영역(BA)을 지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D)의 밴딩시 함께 밴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파트(FP)의 배면에는, 전술한 스트레인게이지(SG)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탄성레이어(TS)의 리지드 파트(RP1, RP2)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레이어(TS)을 중심으로 제1 리지드 파트(RP1)와 제2 리지드 파트(RP2)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는, 제1,2 플랫영역(FA1, FA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의 존재에 불구하고 디스플레이(D) 밴딩영역(BA)은 저항없이 밴딩될 수 있다.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는, 디스플레이(D)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바디(210, 220)가 평행한 플랫상태에서 디스플레이(D)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D) 배면에서 디스플레이(D)를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에 대한 터치동작 등이 있을 때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D)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는 플랫한 금속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랙서블 파트(FP)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파트(FP)는, 제1 내지 3 플랙서블 파트(FP1 내지 F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3 플랙서블 파트(FP1 내지 FP3)는, 서로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이격된 제1 내지 3 플랙서블 파트(FP1 내지 FP3)는,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내지 3 플랙서블 파트(FP1 내지 FP3)가 상호 이격된 형태임으로 인하여, 밴딩시의 저항이 더 작아질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랙서블 파트(FP)는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파트(FP)에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파트(FP)가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를 포함한 형태이므로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가 금속재질인 경우에 습기 등에 노출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터치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센서(TC)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디스플레이(D)와 탄성레이어(TS)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디스플레이(D)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의 후면에 터치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센서(TC)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디스플레이(D)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적어도 일부가 플랙서블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플랙서블 파트(TFP)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플랙서블 파트(TFP)는, 디스플레이(D)의 밴딩영역(BA)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D)가 밴딩될 때 터치플럭서블 파트(TFP)도 함께 밴딩될 수 있다.
터치센서(TC)는, 센서라인(SL)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센서라인(SL)은, 터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센서(TC) 상에 형성된 가로 및/또는 세로의 배선일 수 있다. 센서라인(SL)은, 센서라인커넥터(S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라인(SL)은, 게이지 파트(GP)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는, 터치센서(TC)의 측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TC)의 길이방향으로 양 측 사이드를 따라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이지 파트(GP)는, 센서라인(SL)의 경로상 적어도 일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지 파트(GP)는, 제1 폭방향(W1) 및 제1 길이방향(D1)의 범위 내에서 센서라인(SL)이 복수 회 왕복한 영역일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으로 인하여, 센서라인(SL)의 전체 길이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지 파트(GP)가 없는 경우 센서라인(SL) 전체의 길이를 A 라고 할 때, 게이지 파트(GP)가 있는 경우 센서라인(SL) 전체의 길이는 A+B 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이지 파트(GP)는, 터치플랙서블 파트(TFP)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는, 터치플랙서블 파트(TFP) 영역 내의 양측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플랙서블 파트(TFP)의 사이드에 배치된 게이지 파트(GP)는, 터치센서(TC)의 밴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TC)가 밴딩되면 게이지 파트(GP)에 포함된 센서라인(SL)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인장 및/또는 수축되며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밴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저항값의 변화정도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밴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가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밴딩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는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길이방향(D1)으로 배치된 하나의 센서라인(SL)의 저항값 변화는 작을 수 있지만, 제1 길이방향(D1)으로 제1 폭방향(W1) 영역 내에 복수회 배치된 센서라인(SL)의 저항값 변화의 합은 충분히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이지 파트(GP)는, 스트레인게이지(SG)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TC)에는 게이지 파트(GP)가 위치하고 탄성레이어(TS)에는 스트레인게이지(SG)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게이지 파트(GP)로 인한 센서라인(SL) 저항값의 변화와 스트레인게이지(SG)로 인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보다 정확히 밴딩여부 및/또는 밴딩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는, 스트레인게이지(SG)와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게이지 파트(GP)만 존재하는 경우 스트레인게이지(SG)를 구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의 접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레이어(TS)는, 접착층(AR)을 통해 디스플레이(D)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와 탄성레이어(TS) 상에는 접착층(AR)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접착층(AR)은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일 수 있다. 접착층(AR)을 통해, 탄성레이어(TS)는 디스플레이(D)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AR)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접착층(AR1, AR2)이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접착층(AR1, AR2)는, 탄성레이어(TS)의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탄성레이어(TS) 영역 중에서 밴딩에 따른 영향이 없거나 작은 영역에 제1,2 접착층(AR1, AR2)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와 탄성레이어(TS)는 제1,2 접착층(AR1, AR2)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플레이(D)의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가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D)가 밴딩되면, 플랙서블 파트(FP)는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파트(FP)의 전 영역에 걸친 신장영역(EA)에서 인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파트(FP)가 늘어나면, 신장영역(EA)에서 두께(T)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두께(T)가 전체적으로 얇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AR)은, 제1 내지 3 접착층(AR1 내지 AR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접착층(AR1, AR2)은 제1,2 리지드 파트(RP1, RP2)에 대응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R3)은 플랙서블 파트(FP)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접착층(AR2)은 플랙서블 파트(FP)의 중심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가 밴딩되면 플랙서블 파트(FP)가 밴딩되며 신장될 수 있다. 플랙서블 파트(FP)의 변형시 플랙서블 파트(FP)의 두께 변화가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층(AR2)에 대응된 영역의 두께가 T1으로 될 때, 제2 접착층(AR2) 일측과 타측의 제1,2 신장영역(EA1, EA2)의 두께는 T2, T3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2와 T3는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차이는, 플랙서블 파트(FP)에 결합되어 있는 제3 접착층(AR3) 때문일 수 있다. 제3 접착층(AR3)이 결합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D)가 밴딩되면 플랙서블 파트(FP)도 보다 자연스럽게 밴딩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는 저항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S110). 즉, 제어부는 제 1 상태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이 변화하다 2초이상 멈췄을 때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S120). 스트레인 게이지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수록 상술한 것과 같이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동 단말기의 접힘(folding)이 멈춘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이 멈췄을 때 바로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한다면, 일시적인 오류에 의하여 멈춘 것인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이 2초 이상 멈췄을 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다음으로,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이 멈췄을 때의 저항이 저항이 변화하는 시점의 저항과 동일한지 감지할 수 있다(S130). 즉,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된 저항이 제 1 상태일 때의 저항과 동일한 지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된 저항이 제 1 상태일 때의 저항과 동일할 때, 이동 단말기는 접히지 않고 제 1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된 저항이 제 1 상태일 때의 저항과 다를 때, 제어부는 1초 더 대기한 후,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S140). 이 경우, 1초 대기한 후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을 다시 측정하면, 이동단말기가 계속 접히고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접힌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스트레인게이지가 2초 이상 멈췄을 때의 저항과 1초 대기했을 때의 저항이 동일한지 감지할 수 있다(S150). 스트레인게이지의 1초 대기했을 때의 저항이 2초 멈췄을 때의 저항과 다를 때, 이동 단말기는 계속 접히고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트레인게이지의 1초 대기했을 때의 저항이 2초 멈췄을 때의 저항과 동일할 때, 제어부는 측정한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에 따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접힌 각도에 따라 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접힌 특정 각도에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제 1,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2바디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폴드(fold)된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바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2 바디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1,2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탄성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플랫영역과, 상기 제 2 상태에서 적어도 일회 밴딩되는 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이어는,
    상기 플랫영역에 대응되는 리지트 파트와
    상기 밴딩영역에 대응되는 플랙서블 파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파트는,
    상기 밴딩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 파트는,
    스테인레스 플레이트인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탄성레이어 사이에 위치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버퍼층, 본체, 제2 버퍼츰을 포함하는 유연성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버퍼층은,
    상기 본체보다 탄성력이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층은,
    상기 본체보다 탄성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레이어의 모듈러스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듈러스 값과 다른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레이어의 모듈러스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듈러의 값 보다 큰 이동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바디와 상기 제 1,2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회로패턴이 인쇄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레이어 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폭 방향인 제 2 방향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방향의 거리가 더 길어지는 이동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2 방향의 거리가 더 짧아지는 이동단말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와 서로 이격된 이동 단말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배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라인이 중첩되어 상기 터치센서의 밴딩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지 파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69254A 2015-09-08 2016-06-03 이동 단말기 KR20170030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50,366 US10539978B2 (en) 2015-09-08 2016-08-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CN201610809329.1A CN106502319B (zh) 2015-09-08 2016-09-07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6187645.3A EP3163846B1 (en) 2015-09-08 2016-09-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EP18182911.0A EP3407581B1 (en) 2015-09-08 2016-09-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737,847 US11016537B2 (en) 2015-09-08 2020-01-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5700P 2015-09-08 2015-09-08
US62/215,700 2015-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023A true KR20170030023A (ko) 2017-03-16

Family

ID=5849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54A KR20170030023A (ko) 2015-09-08 2016-06-0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02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5939A (zh) * 2019-04-30 2019-09-10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聚氨酯的感温自组装装置
JPWO2018193945A1 (ja) * 2017-04-17 2020-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78299B2 (en) 2018-07-16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79536B2 (en) 2018-07-18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145525A1 (en) * 2019-01-09 2020-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006372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63337B2 (en) 2018-09-05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0215939B (zh) * 2019-04-30 2024-05-24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聚氨酯的感温自组装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193945A1 (ja) * 2017-04-17 2020-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78299B2 (en) 2018-07-16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79536B2 (en) 2018-07-18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95441B2 (en) 2018-07-18 2021-1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63337B2 (en) 2018-09-05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81004B2 (en) 2018-09-05 2022-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47397B2 (en) 2018-09-05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145525A1 (en) * 2019-01-09 2020-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97380B2 (en) 2019-01-09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215939A (zh) * 2019-04-30 2019-09-10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聚氨酯的感温自组装装置
CN110215939B (zh) * 2019-04-30 2024-05-24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聚氨酯的感温自组装装置
WO2021006372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653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70030023A (ko) 이동 단말기
US9007320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20180138004A (ko) 이동 단말기
JP5618867B2 (ja) 電子機器
US91706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20190014436A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50231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046972B2 (en) Structure for a tactile display
US201302865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20200101224A (ko)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276062A (zh) 显示设备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2964A (ko) 이동 단말기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EP2555092B1 (en) Electronic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20170104837A (ko) 이동 단말기
KR102617226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6006097B2 (ja) 振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643355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1018327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0493B1 (ko) 이동 단말기
JPWO2019073812A1 (ja) 入力装置
JP2004213413A (ja) 入力装置付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014017A (ko) 유연기판이 적용된 언더글래스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