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699A -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699A
KR20200027699A KR1020180105831A KR20180105831A KR20200027699A KR 20200027699 A KR20200027699 A KR 20200027699A KR 1020180105831 A KR1020180105831 A KR 1020180105831A KR 20180105831 A KR20180105831 A KR 20180105831A KR 20200027699 A KR20200027699 A KR 20200027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student
terminal
information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준
Original Assignee
이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준 filed Critical 이명준
Priority to KR102018010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699A/ko
Publication of KR2020002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치원, 어린이집을 비롯한 학생의 안전한 승하차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ABOUT GETTING ON AND GETTING OFF A CAR}
본 발명은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치원, 어린이집을 비롯한 학생의 안전한 승하차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여름철 차 안에 갇혀 질식사 또는 열사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 내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차량 뒷편에 하차완료 버튼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설비투자가 크게 필요해서 초기 비용이 부담스러운 편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이러한 승하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앱을 활용한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은 비용을 들이면서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학원의 학생의 안전한 승하차를 도와주고, 특히 잠자는 아이를 방지할 수 있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학생의 승하차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관리 서버;에 교사, 인솔교사, 운행기사가 사용하는 교사용 단말기; 학생의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고, 결석을 보고하는 보호자용 단말기; 및 상기 교사용 단말기와 관리 서버와 보호자용 단말기;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제휴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또는 학원(이하 “유치원”이라 통칭함)을 저장하는 유치원DB; 학생(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또는 학원의 학생을 모두 “학생”이라 통칭함)의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DB; 학생의 승하차 정보를 저장하는 승하차DB, 보호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보호자DB; 원장, 교사, 인솔교사, 운행기사(이하 모두 “교사”라 통칭함)의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DB;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승하차 정보 수신부; 학생의 DB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학생정보 입력부; 학생의 부모가 맞는지 확인하는 보호자 여부 확인 처리부; 교사 또는 보호자에게 승하차 정보를 알려주는 승하차 정보 제공부; 보호자로부터 학생의 결석 여부를 수신하는 결석여부 수신부; 승하차 완료가 되면 이상여부를 분석하는 승하차 완료 처리부; QR코드 등 자동화된 개인식별 입력장치가 없을 경우 교사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수기입력부; QR코드 학생증을 생성하고 출력하는 QR코드 학생증 생성/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승하차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다.
둘째, 학생의 안전한 승하차를 확인할 수 있어 잠자는 아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블록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포함하는 학생증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블록 구조도이다.
교사용 단말기(100);와 보호자용 단말기;는 관리 서버(200);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학생 개인식별장치(400);는 교사용 단말기(100); 쪽에서 인식하여 승차, 하차를 인식한다.
관리 서버(200)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유치원DB(201)는 소속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학교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학생DB(202)는 특정 유치원 소속의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학생별 승하차DB(203)는 학생의 특정 일자별 승차 및 하차 여부, 등록시간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보호자DB(203)는 상기 학생DB와 연계되어 특정 학생의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고 출결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있는 자격을 가진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교사DB(204)는 상기 유치원DB와 연계되어 승하차 기록을 입력, 관리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교사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승하차 정보 수신부(206)는 개인식별장치; 또는 교사의 수기로 입력된 승차, 하차 여부, 시간의 정보를 교사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학생, 보호자, 교사 정보 수신부(207)는 학생, 보호자, 교사 정보를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승하차 정보 제공부(208)는 수신된 승하차 정보를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 제공한다.
결석여부 수신부(209)는 보호자용 단말기;로부터 결석 여부를 수신한다.
보호자 여부 확인 처리부(210)는 보호자 단말기;의 정보가 교사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보호자의 정보와 동일한지 확인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승하차 완료 처리부(211)은 학생DB의 전체 인원과 탑승인원의 탑승여부, 결석여부를 종합하여 승차가 완료되었는지 또는 승차 인원의 전원의 하차가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여 이상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수기입력부(212)는 개인식별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이를 대체하여 교사용 단말기;에서 수기로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QR코드 학생증 생성/출력부(213)는 QR코드 학생증을 사용하는 경우 학생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거나, 사전에 생성된 QR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교사용 단말기;에서, 학생관리(S100) 단계에서 버스의 승하차 대상 학생을 입력하고 보호자 연락처, 개인식별용 QR코드 또는 기타 개인식별장치를 저장한다.
교사용 단말기;에서 승차, 하차 선택(S200)을 하여, 승차를 선택한 경우, 승차 시작(S300)을 하여 승차 기록을 위한 상태로 변경하면, QR코드, 바코드 또는 기타 개인식별장치 입력을 통해 학생 개인별 승차 입력(S400)을 한다. 승차 정보는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 승차가 되었다는 정보와 승차시간이 알림 전송(S500)된다. 결석처리 또는 개별이동을 하는 사유가 있는 인원을 제외한 정해진 인원이 모두 탑승하거나, 교사용 단말기에서 승차완료 처리를 하는 경우 승차완료(S600)가 된다.
교사용 단말기;에서 하차를 선택하면, 하차 시작(S700)하여 하차 기록을 위한 상태로 변경되고, QR코드, 바코드, 또는 기타 개인식별장치 입력을 통해 학생 개인별 하차 입력(S800)을 한다. 하차 정보는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 하차가 되었다는 정보와 하차시간이 알림 전송(S900)된다. 승차된 인원이 모두 하차가 되면 전원하차 여부(S1000) 파악 단계에서 하차 완료(S1100) 상태로 변경된다. 만약 하차 시작(S700) 이후 설정된 특정 시간이 지나도록 하차가 완료되지 않으면, 교사용 단말기;와 보호자용 단말기;로 알림 전송(S1200)이 된다. 상기 알림 전송(S1200)은 1회가 아니라 하차 완료가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경고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포함하는 학생증의 예시도이다.
도 4와 같이 QR코드는 교사용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하여 승차, 하차 여부를 자동으로 기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5는 교사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교사용 단말기;에서 등교 시작을 설정하고 QR 코드 또는 개인식별장치를 교사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면 자동으로 승차하였음과 승차시간이 표시된다. 이 경우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 승차여부, 승차시간 정보 메시지가 전송된다.
QR코드 학생증 또는 개인식별장치가 분실 또는 사용불가 상태일 때는 교사가 수기로 승하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승하차 종합 리포트의 예시이다. 전체 학생 명단에 승차, 하차 시간, 승차 또는 하차를 하지 못한 경우 결석 또는 기타 사유를 일자별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보호자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보호자는 본인 관련 학생의 승하차 여부와 승차 시간, 하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유가 있는 경우 결석통보를 교사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의 작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에 전송되는 알림의 예시이다.
승차 대상 인원의 전부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승차 대상에 대한 확인을 하라는 경고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하차 시작 이후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 승차 인원의 전부가 하차하지 않은 경우 하차 여부 확인에 대한 경고를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교사용 단말기
200: 관리 서버
201: 유치원DB
202: 학생DB
203: 학생별 승하차DB
204: 보호자 DB
205: 교사 DB
206: 승하차 정보 수신부
207: 학생, 보호자, 교사 정보 수신부
208: 승하차 정보 제공부
209: 결석여부 수신부
210: 보호자 여부 확인 처리부
211: 승하차 완료 처리부
212: 수기입력부
213: QR코드 학생증 생성/출력부
300: 보호자용 단말기
400: 학생

Claims (8)

  1. 학생에게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QR 코드를 포함한 학생증 또는 개인식별장치;를 부여하고
    탑승대상 학생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하고, 학생별 QR코드를 포함한 학생증을 생성 및 출력하고, 또는 개인식별장치를 등록/관리하며, 승차 또는 하차시점에 QR 코드 또는 개인식별장치를 인식하여 승하차 여부를 파악하고, QR코드가 없는 분실 또는 사용 불가능할 경우 수기로 승하차 정보를 입력하고, 학생의 신상 또는 승하차 관련 경고사항이 있는 경우 경고를 수신하는 교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교사용 단말기;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정보와 학생, 교사, 보호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승차 또는 하차 정보를 수신 받고, 승차 인원이 하차 시작 이후 특정 시간이 지나도록 전원 하차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경고 알림을 전송하는 관리 서버;
    학생의 승차 및 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결석이 필요한 경우 결석여부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보호자용 단말기; 및
    상기 교사용 단말기 또는 보호자용 단말기와 관리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인식별장치는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포함된 학생증 및 NFC, RFID, 비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인식별장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3. 청구항 1과 2에 있어서,
    개인식별장치는 지문, 홍채, 혈관, 얼굴, 음성의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4. 청구항 1, 2, 3에 있어서,
    개인식별장치가 입력이 불가한 상황에서는 교사용 단말기;에서 교사가 수기로 승차 및 하자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 보호자용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관리 서버;에 저장된 보호자의 개인정보와 보호자용 단말기;의 정보가 일치해야 보호자로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인식별용 QR코드 또는 바코드는 관리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이거나, 외부에서 생성된 QR코드, 바코드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교사용 단말기;는 1대에 국한되지 않고 인솔교사, 기사, 원장 등 동시에 여러 단말기가 동기화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자용 단말기; 1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시에 여러 단말기가 동기화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0105831A 2018-09-05 2018-09-05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7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831A KR20200027699A (ko) 2018-09-05 2018-09-05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831A KR20200027699A (ko) 2018-09-05 2018-09-05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99A true KR20200027699A (ko) 2020-03-13

Family

ID=6993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831A KR20200027699A (ko) 2018-09-05 2018-09-05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6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560A (ko) * 2020-07-16 2022-01-25 유재창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560A (ko) * 2020-07-16 2022-01-25 유재창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81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for delivery of medical or emergency supplies
US20140125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vehicle occupants
US8928483B2 (en) Automated attendance tracking and event notification
CN108597072B (zh) 一种基于双摄像头人脸锁的儿童监护管理方法及系统
US20040066276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reporting system
EP1158467A2 (en) Integrating biometric devices in time and attendance applications
WO2005101261A1 (ja) 出席管理システム
CN108846785A (zh) 一种平安教育应用方法及系统
US20220068066A1 (en) Student life organization, population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42932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校园管理系统
CN108108053B (zh) 应用于校园的智慧交互终端
CN108022191A (zh) 应用于校园的智慧教学管理系统
KR20200027699A (ko) 승하차 확인 방법 및 시스템
JP2003141590A (ja) 出欠確認装置、入室者管理装置、装置、ゲート、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11659069B2 (en) Node/network aggregation gateway device
Duraki et al. A Mobile Application for Wireless Attendance System
US20170330459A1 (en) People Management System
JP2008059395A (ja) 登下校管理システム
KR102410665B1 (ko) 비콘을 활용한 승하차 알림 서비스 시스템
KR10174094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치원생 위치 안내 시스템
KR102179052B1 (ko) 학생 승하차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5256052A (ja) Icカードによる入退管理システム
KR20200032879A (ko) 안면 인식 기술이 적용된 차량 내 방치어린이 예방 안전시스템
KR102664358B1 (ko) 셔틀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
KR102019733B1 (ko) 안심 통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