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424A - Cooler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Cooler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424A
KR20200027424A KR1020190105339A KR20190105339A KR20200027424A KR 20200027424 A KR20200027424 A KR 20200027424A KR 1020190105339 A KR1020190105339 A KR 1020190105339A KR 20190105339 A KR20190105339 A KR 20190105339A KR 20200027424 A KR20200027424 A KR 2020002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pipe
pipes
reinforcement
pipe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르크 마티니
조셉 랩시크
그레거스-꼴라르 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4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4Assemblies of fins having different features, e.g. with different fin dens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4Reinforcing means f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6Reinforcing means fo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0/00Spa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diator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has a plurality of pipes between two pipe bottoms, wherein a reinforcement portion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s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two adjacent pipes. The radiator for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has increased durability.

Description

차량용 냉각기{COOLER FOR A VEHICLE}Vehicle cooler {COOL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차량 냉각 시스템의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이와 같은 냉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승용차에서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이와 같은 냉각 시스템은 버스 또는 트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Such air conditioning systems or such cooling systems are used, for example, in passenger cars. In addition, such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or such cooling systems can also be used in buses or trucks.

통상적으로,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냉각기는, 2개의 파이프 바닥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파이프 바닥들 중 하나 내부로 냉각재의 도입이 이루어지는 냉각기가 공지되어 있는 한편, 액체의 배출은 각각 다른 파이프 바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열 교환은 냉각재가 파이프를 관류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Typically, a cool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extending between two pipe bottoms. In this regard, coolers are known in which the introduction of coolant into one of the pipe bottoms is known, while the discharge of the liquid is through a different pipe bottom. Heat exchange takes place while the coolant flows through the pipe.

또한, 파이프 바닥들 중 하나가 2개 섹션으로의 분리에 의해 세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파이프 바닥의 섹션들 중 하나 내에서 냉각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응하는 파이프 바닥의 또 다른 섹션 내에서는 냉각재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냉각기도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각기 실시예의 또 다른 파이프 바닥은 냉각재의 방향 전환을 위해서 이용된다.In addition, one of the pipe bottoms is subdivided by separation into two sections, resulting in supply of coolant in one of the sections of the pipe bottom, while cooling of the coolant in another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bottom. Coolers with discharge are also known. Another pipe bottom in this cooler embodiment is used to redirect the coolant.

상기와 같은 냉각기들에서는 특정 운전 상태, 날씨 상태 또는 결함이 있는 경우, 공급 라인의 밸브가 가열된 냉각재를 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재가 냉각기에 도달하지 않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냉각기의 파이프가 냉각된다.In such coolers, when there is a specific operating condition, weather condition, or defect, a valve in the supply line may block the heated coolant, resulting in a situation where the coolant does not reach the cooler. Therefor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 the pipe of the cooler is cooled.

그 다음에 밸브가 신속하게 개방되면, 가열된 냉각재가 주변 조건에 의해 상황에 따라 강하게 냉각된 냉각기 내부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는 파이프들 중 몇몇이 가열된 냉각재로 채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파이프들은 열에 의해서 팽창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증가된 온도 기울기로 인해 특히 파이프와 파이프 바닥 사이에 있는 연결 지점의 영역에서 증가된 열적 응력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재료 피로 현상 및 이와 더불어 재료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결국에 파이프와 파이프 바닥의 연결 지점의 영역에서 누설을 야기하게 된다.Then, when the valve is quickly opened, the heated coolant flows into the strongly cooled cool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by ambient conditions. In this case, some of the pipes are filled with heated coolant, which causes the pipes to expand by heat. This situation results in increased thermal stress, especially in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bottom, resulting in increased thermal stress, which can lead to material fatigue and material failure. This situation will eventually lead to leakage in the region of the pipe to the bottom of the pipe.

본 발명은, 수명이 증가된,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차량 냉각 시스템용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with an increased life.

청구항 1의 대상은 상응하는 냉각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고/기재되어 있거나 이하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The subject of claim 1 provides a corresponding cooler. Still other preferred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and / or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section below.

특히, 2개의 파이프 바닥 사이에 복수의 파이프를 갖는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차량 냉각 시스템의 냉각기가 제공되어 있다. 냉각기는, 2개 이상의 이웃하는 파이프 사이에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보강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a coo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ipes between two pipe bottoms is provided. The cool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ortion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is provided between two or more adjacent pipes.

상기와 같은 실시예가 갖는 장점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공된 보강부에 의해서 열적인 팽창이 저지된다는 것이다. 이로써, 특히 파이프와 파이프 바닥 사이에 있는 연결 지점의 영역에서 재료 피로 현상이 저지될 수 있고, 그 결과 냉각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An advantage of the above embodiment is that thermal expansion is prevented by the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above manner. Thereby, material fatigue can be prevented, especially in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bottom, and as a result, the life of the cooler can be extended.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는, 파이프들이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파이프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치는 비교적 비용 효율적인 냉각기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In the above relationship, when obser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reinforcements are arranged outside the pipe. Such measures enable the production of coolers that are relatively cost effective.

또한, 보강부가 특히 천공되는 보강 격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도 제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안에 의해서는, 목적에 부합하고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다.It may also be proposed that the reinforcing part is formed by a reinforcing grid, which is particularly perforated. With this proposal, a solution that is fit for purpose and cost-effective can be provided.

파이프들이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파이프의 돌출부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는 상기와 같은 냉각기의 깊이를 줄여 주고, 특히 수명이 긴 구조를 제공한다.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one or more reinforcemen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jections of the pipe. This arrangement reduces the depth of the cooler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tructure with a particularly long life.

일 실시예의 범주 안에서는, 보강부가 개방 기공 형태의 금속 폼(metal foam)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 폼은 파이프의 조립 후에 냉각기의 파이프들 사이에 있는 파이프 바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금속 폼이 파이프 및 파이프 바닥의 조립 후에 파이프들 사이에 있는 영역 내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폼에 의해서는 증가된 강성이 의도한 바대로 제공될 수 있다고 드러났다.Within the scope of one embodiment, it can be proposed that the reinforcement is formed at least in section fashion by means of an open-pore metal foam. Such a metal foam can b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pipe between the pipes of the cooler after assembly of the pipe, in which case it is preferred that the metal foam is injected into the area between the pipes after the assembly of the pipe and the pipe bottom. It has been found that with metal foams increased stiffness can be provided as intended.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이웃하는 파이프들 사이에 제공된 리브(rib) 또는 핀(fin)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리브 또는 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조치는, 냉각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립 시퀀스에 특히 바람직하게 통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has been proposed that one or more reinforcements are formed by ribs or fins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ribs or fins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pipes. This ac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y incorporated into the assembly sequence for manufacturing the cooler.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는 오로지 일 파이프 바닥의 파이프 입구에만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하게 동일 파이프 바닥으로의 파이프 출구에 대한 제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자원 절약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구조가 구현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may be provided only at the pipe inlet of one pipe bottom, and in some cases, preferably as a restriction on the pipe outlet to the same pipe bottom. In this way, a resource-saving and purpose-oriented structure is realized.

일 실시예에서는, 이웃하는 보강부들이 축 방향 연장부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하다는 내용이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보강부들 중 하나는 냉각기의 이웃하는 파이프들의 축 방향으로 다른 보강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축 방향 연장부가 동일하거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제공될 수 있거나, 모든 보강부가 자체 길이에 있어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has been introduced that neighboring reinforceme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xial extension. For example, one of the reinforcements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reinforc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neighboring pipes of the cooler. In the case of three or more reinforcements, one or more reinforcements of the same axial extension or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may be provided, or all reinforcements may differ from one another in their length.

보강부가 일체형으로 납땜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보강부는 상응하게 냉각기의 일 파이프에 또는 복수의 파이프에 고정된다.As the reinforcement can be soldered integrally, as a result the reinforcement is correspondingly secured to one pipe of the cooler or to a plurality of pipes.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알루미늄으로 구현됨으로써, 중량 최적화된 해결책이 가능해진다는 내용이 소개되었다.In another embodiment, it has been introduced that one or more reinforcements are made of aluminum, thereby enabling a weight-optimized 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를 차량, 특히 승용차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nded to use a coo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vehicle, particularly a passenger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개략도를 참조해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개략도를 참조해서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라 복수의 보강부를 갖는 냉각기의 개략도, 및 파이프들 사이에 제공된 일 보강부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라 이웃하는 파이프들 사이에 있는 일 보강부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갖는 냉각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schematic diagram.
2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schematic diagram.
3A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oler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ements according to a first variant of the invention, and a detail view of one reinforcement provided between the pipes.
3B shows a detailed view of one reinforcement between neighboring pipes according to a second variant of the invention.
4 shows a detailed view of a cooler having a reinforce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이 기술된다. 기술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각각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술된 각각의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을 갖는 추가의 변형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이 순전히 예시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함에도, 실시예들 또는 변형예들의 개별 특징들은 본 발명을 특징짓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dditional variations with each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can also be used to form fur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to be understood purely by way of example, individual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r variations can be used to characterize the invention.

도 1은, 제1 파이프 바닥(14) 및 제2 파이프 바닥(16)을 포함하는 냉각기(10)를 보여준다. 제1 파이프 바닥(14)에는, 냉각재가 냉각기(10) 내부에 도달하기 위해서 통과하는 입구(14a)가 존재한다. 제2 파이프 바닥(16)은 냉각재가 냉각기(10)로부터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16a)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 바닥(14)과 제2 파이프 바닥(16) 사이에서는 복수의 파이프(12)가 연장되며, 이들 파이프를 통과해서 냉각 유체가 제1 파이프 바닥(14)으로부터 제2 파이프 바닥(16)으로 흐를 수 있다. 파이프(12)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파이프(12) 사이에는, 주변과의 열 교환을 개선하기 위해 냉각 리브(13)가 배열되어 있다.1 shows a cooler 10 comprising a first pipe bottom 14 and a second pipe bottom 16. In the first pipe bottom 14, there is an inlet 14a through which the coolant passes in order to reach the inside of the cooler 10. The second pipe bottom 16 includes an outlet 16a through which coolant passes when exiting the cooler 10. A plurality of pipes 12 extend between the first pipe bottom 14 and the second pipe bottom 16,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from the first pipe bottom 14 to the second pipe bottom 16. Can flow. The pipes 12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pipes 12, cooling ribs 13 are arranged to improve heat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s.

도 1에 도시된 냉각기(10)의 실시예에서는, 입구(14a)가 제1 파이프 바닥(14)의 단부 섹션에 존재하는 한편, 출구(16a)는 반대 방향으로 제공된 제2 파이프 바닥(16)의 일 단부 섹션에 배열되어 있는, 소위 I-냉각기가 다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I-냉각기에서는, 냉각재가 출구(16a)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재가 파이프들 중 하나를 통과해서 그리고 파이프 바닥들 중 하나의 추가의 일 섹션을 통과해서 흐르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cooler 10 shown in FIG. 1, the inlet 14a is present in the end section of the first pipe bottom 14, while the outlet 16a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pipe bottom 16 Arranged in one end section of the so-called I-cooler is covered. Thus, in such an I-cooler, the coolant flows through one of the pipes and through one additional section of one of the pipe bottoms, before the coolant reaches the outlet 16a.

입구(14a) 가까이에 존재하는 파이프(12) 사이에는, 제1 파이프 바닥(14)에 이웃하여 제1 보강부(18a) 및 제2 보강부(18b)가 냉각 리브 대신에 제공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보강부들이 또한 냉각 리브(13)에 추가로 개별 파이프(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18a, 18b)는, 파이프들이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파이프(12)의 돌출부 내부에 존재한다.Between the pipes 12 present near the inlet 14a, a first reinforcement 18a and a second reinforcement 18b are provided instead of the cooling ribs adjacent to the first pipe bottom 14. Alternatively, reinforcements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ipes 12 in addition to the cooling ribs 13. The reinforcing parts 18a and 18b exist inside the protrusions of the pipe 12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2 보강부(18b)는 이웃하는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제1 보강부(18a)보다 제2 파이프 바닥(16)의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2 보강부(18b)는 제1 보강부(18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second reinforcement 18b extends fur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bottom 16 than the first reinforcement 18a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pipe 12. In other words,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8b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8a.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라, 다만 제1 보강부(18a)만 2개의 파이프(12)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도 제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t may also be proposed that only the first reinforcement 18a is arranged between the two pipes 12.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라, 제1 보강부(18a)는 제2 보강부(18b)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18a may have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18b.

도 1에 도시된 냉각기(10)의 제3 변형예에 따라, 제1 파이프 바닥(14)의 축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입구(14a)는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 바닥(16)의 축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출구(16a)도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variant of the cooler 10 shown in FIG. 1, when obser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bottom 14, the inlet 14a can be arranged centrally. Further, when obser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bottom 16, the outlet 16a can also be arranged centrally.

제1 실시예 및 전술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들은, 2개 이상의 이웃하는 파이프들 사이에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보강부(18a, 18b)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높은 온도 기울기에 의해 야기되는 개별 파이프 단부 섹션들의 열적인 팽창이 줄어들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파이프(12)와 제1 파이프 바닥(14) 사이의 천이 영역에서 작용하는 기계적인 응력도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입구에 이웃하는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다.Vari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ement parts 18a, 18b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12 are provided between two or more neighboring pipes. In this way, the thermal expansion of individual pipe end sections caused by a high temperature gradient can be reduced, resulting in a machine acting in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pipe 12 and the first pipe bottom 14. The stress can also be reduced. This can occur particularly in areas adjacent to the entrance.

도 2는, 냉각기(10')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냉각기(10')는, 제1 파이프 바닥(14')과 제2 파이프 바닥(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파이프(12')를 포함한다.2 show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ler 10 '. The cooler 10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12'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e bottom 14 'and the second pipe bottom 16'.

제1 실시예의 냉각기(10)와 달리, 제1 파이프 바닥(14')의 영역에는 입구(14a')뿐만 아니라 출구(14b')도 존재한다. 출구(14b')는 제1 파이프 바닥(14')에서 입구(14a') 반대쪽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이프 바닥(14')은 제한부(20)에 의해서 입구 측 섹션(21) 및 출구 측 섹션(22)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로써, 입구(14a')를 통과해서 유입되는 냉각재는 파이프(12')를 통과해서 흐르고, 제2 파이프 바닥(16')의 영역에서 방향 전환되며, 제1 파이프 바닥(14')의 출구 측 섹션(22) 내부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바닥(14')의 영역에 출구(14b')가 존재한다.Unlike the cooler 10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inlet 14a 'as well as an outlet 14b' in the region of the first pipe bottom 14 '. The outlet 14b 'is provided at the end opposite the inlet 14a' at the first pipe bottom 14 '. Further, the first pipe bottom 14 'is subdivided into an inlet-side section 21 and an outlet-side section 22 by restricting portions 20. Thereby,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inlet 14a 'flows through the pipe 12', is diverted in the region of the second pipe bottom 16 ', and exits from the first pipe bottom 14'. Section 22 is reached inside, and an exit 14b 'is present in the area of the first pipe bottom 14'.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파이프(12') 사이에는 냉각 리브(13')가 제공되어 있다.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cooling rib 13 'is provided between the pipes 12'.

측면도에서 관찰했을 때 제1 파이프 바닥(14')의 제한부(20)에 이웃하여 제공되어 있는 파이프(12')의 영역에는,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부(18c, 18d, 18e)가 배열되어 있다. 이들 보강부(18c, 18d, 18e)는 냉각 리브(13')를 대신해서 전술된 파이프(12')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보강부(18c, 18d, 18e)가 또한 냉각 리브(13')에 추가로 파이프(12')에 설치될 수도 있다.When viewed from the side view, a region of the pipe 12 'provided adjacent to the limiting portion 20 of the first pipe bottom 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ortions 18c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12 , 18d, 18e). These reinforcement parts 18c, 18d, 18e are arranged between the pipes 12 'described above in place of the cooling ribs 13'. Alternatively, the reinforcements 18c, 18d, 18e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pipe 12 'in addition to the cooling ribs 13'.

제1 보강부(18c)는 제3 보강부(18e)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1 보강부(18c)와 제3 보강부(18e) 사이에 배열된 제2 보강부(18d)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이웃하는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제1 보강부(18c) 및 제3 보강부(18e)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18c has a substantially same length as the third reinforcement portion 18e. The second reinforcement 18d arranged between the first reinforcement 18c and the third reinforcement 18e is the first reinforcement 18c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pipe 1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And the third reinforcing portion 18e.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라, 제1 보강부(18c) 및 제3 보강부(18e)가 생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냉각기(10')는 다만 보강부(18d)만을 구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art 18c and the third reinforcing part 18e may be omitted, and as a result, the cool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s merely a reinforcing part ( 18d) only.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라, 보강부(18c 내지 18e)는 이웃하는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econd varian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s 18c to 18e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pipes 12 '.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라, 냉각재를 위한 입구(14a')가 존재하는, 제1 파이프 바닥의 입구 측 섹션(21)에 이웃하는 영역에서 모든 파이프(12) 사이에 보강부가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d variant of the second embodiment, a reinforcement is provided between all the pipes 12 in the area adjacent to the inlet side section 21 of the bottom of the first pipe, where the inlet 14a 'for the coolant is present have.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전술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그리고 개별 실시예들의 추가의 변형예들에서와 같은 보강부의 변형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In FIGS. 3A and 3B, modifications of the reinforcement can be used, such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n further modifications of the individual embodiments.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보강부들은, 파이프들이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파이프(12")의 돌출부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특히 도 3a에 도시된 보강부(18")로서는 평면도 상으로 관찰했을 때 변위 배열된 리브가 다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영역에서는 파이프(12") 사이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보강부(18")는 파이프(12") 사이에 배열된 냉각 리브(13") 대신에 제공되어 있다.The reinforcements shown in Figs. 3a and 3b are provided inside the projections of the pipe 12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Particularly shown in Fig. 3a. As the reinforcing portion 18 ", the ribs displaced when viewed in plan view are handled, and as a result, the stiffness between the pipes 12" increases in this region.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ortion 18 "is a pipe It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oling ribs 13 "arranged between (12").

보강부(18")가 변위 배열된 상태는 도 3a의 사시 상세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강부의 리브들은 각각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며, 이 경우 일 평면의 리브는 이웃하는 파이프들 중 하나와 교대로 접촉하기 위하여 거의 직각으로 휘어져 있다. 리브의 이웃하는 일 평면의 이웃하는 파이프에 대한 접촉 섹션들은 유사하지만, 상기 파이프에 대해 변위된 상태로 구현되어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ortion 18 "is displaced can be confirmed in the perspective detail view of Fig. 3A. The ribs of the reinforcing portion each form one plane, in which case the rib of one plane alternates with one of the neighboring pipes. The contact sections for neighboring pipes of the neighboring one plane of the rib are similar, but implemented displaced relative to the pipe.

도 3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파이프(12"') 사이에 금속 폼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금속 폼은 자신의 개방 기공형 구조에 의해 상기 영역에서 강성을 증가시킨다. 금속 폼은 예를 들어 이웃하는 파이프(12"') 사이에 분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료를 빼내는 동안에 또는 재료를 빼낸 후에 개방 기공형 구조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이어서 이 개방 기공형 구조가 경화된다. 이 경우, 보강부(18"')는 파이프(12"') 사이에 배열된 냉각 리브(13"')를 대신해서 제공되어 있다.In the variant shown in Fig. 3b, a metal foam is formed between the pipes 12 "', which increases its stiffness in this area by its open pore structure. It can be injected between neighboring pipes 12 "', in which case an open-pore structure is formed during or after the material is withdrawn, and then the open-pore structure is then cured. 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18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oling ribs 13"' arranged between the pipes 12 "'.

도 4는, 천공된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냉각기(10"")의 복수의 파이프(12"")와 연결되어 있는 보강부(18f)를 구비하는 냉각기(10"")의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보강부(18f)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마름모꼴로 형성된 웹을 구비하며, 이 경우 보강부(18f)의 웹들은 측면도 상으로 관찰했을 때 파이프(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정렬되어 있다. 파이프(12"") 사이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18f)가 파이프(12"")에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도 제공되어 있는 냉각 리브(13"")가 연장된다.Fig. 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cooler 10 "" which is formed as a perforated sheet and has a reinforcement 18f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pes 12 "" of the cooler 10 "". Show. The reinforcing portion 18f has a web formed in a rhombic sha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case the webs of the reinforcing portion 18f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ipe 12 "" when viewed from the side view. It is sorted by. Between the pipes 12 "", the cooling ribs 13 "", which are also provided in the region where the reinforcement 18f is installed in the pipes 12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extended.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라, 보강부(18f)의 웹들은 냉각기(10"")의 파이프(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variant of the third embodiment, the webs of the reinforcement 18f can be aligned at least partially vertically or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pipe 12 "" of the cooler 10 "". have.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라, 보강부(18f)는, 납땜 결합에 의해서 냉각기의 복수의 파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알루미늄 격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18f can be embodied as an aluminum grid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ipes of the cooler by soldering.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라, 보강부(18f)는 또한 박판으로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박판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리세스 없이 존재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variant of the third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18f can also be embodied as a thin plate, whereby the thin plate is present without recesses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Claims (10)

2개의 파이프 바닥(14, 16) 사이에 복수의 파이프(12)를 갖는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차량 냉각 시스템의 냉각기(10)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이웃하는 파이프(12) 사이에 상기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보강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In the cooler 10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or a vehicle coo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ipes 12 between two pipe bottoms 14, 16,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12 is provided between two or more neighboring pipes (1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12)가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하나 이상의 보강부(18)가 파이프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inforcing portion 18 is arranged outside the pipe when obser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12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특히 천공된 보강 격자(18)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formed by a particularly perforated reinforcement grid (18).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12)가 옆으로 나란히 또는 위·아래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파이프(12)의 돌출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inforcement is provided inside the projection of the pipe 12, when obser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s 12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cked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개방 기공 형태의 금속 폼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at least in a section manner by a metal foam in the form of an open pore.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이웃하는 파이프들 사이에 제공된 리브 또는 핀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리브 또는 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reinforcements are formed by ribs or fins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ribs or fins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pi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오로지 일 파이프 바닥(14)의 파이프(12) 입구에만 제공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하게 동일 파이프 바닥(14)으로의 파이프(12) 출구에 대한 제한부(20)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ement is provided only at the inlet of the pipe 12 of the one pipe bottom 14, and in some cases preferably provided at the restriction 20 for the outlet of the pipe 12 to the same pipe bottom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er 10.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보강부들이 축 방향 연장부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neighboring reinforceme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axial extension.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일체로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inforcement is solder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알루미늄으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10).
According to claim 1,
Cooler 1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inforcement is made of aluminum.
KR1020190105339A 2018-09-03 2019-08-27 Cooler for a vehicle KR202000274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4912.7A DE102018214912A1 (en) 2018-09-03 2018-09-03 Radiator for a vehicle
DE102018214912.7 2018-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424A true KR20200027424A (en) 2020-03-12

Family

ID=6952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39A KR20200027424A (en) 2018-09-03 2019-08-27 Cooler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027424A (en)
DE (1) DE102018214912A1 (en)
WO (1) WO20200505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3483B2 (en) * 2020-05-22 2023-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5337B1 (en) * 1982-04-16 1986-01-31 Chausson Usines Sa METHOD FOR REINFORCING USING PLATES AT LEAST ROWS OF TUBES ENGAGED IN COLLECTOR PLATES TO CONSTITUTE A HEAT EXCHANGER AND EXCHANGER USING THE SAME
JPH0645163Y2 (en) * 1988-12-23 1994-11-16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Plate fin type heat exchanger
JP3324464B2 (en) * 1997-10-01 2002-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Heat exchange equipment for vehicles
JP2005326136A (en) * 2004-04-16 2005-11-24 Daikin Ind Ltd Heat transfer fin for air heat exchanger
KR101062650B1 (en) * 2004-07-26 2011-09-06 한라공조주식회사 heat transmitter
KR20060117579A (en) * 2005-05-11 2006-11-17 한라공조주식회사 Heat exchanger
DE102016214086A1 (en) * 2016-07-29 2018-02-01 Mahle International Gmbh Heat exchanger
DE202017003764U1 (en) * 2017-07-19 2017-07-26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14912A1 (en) 2020-03-05
WO2020050512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0203B2 (en) Heat exchanger
JP5772748B2 (en) Evaporator
US20160138871A1 (en) Duplex heat exchanger
JP2008080995A (en) Cooling system
US9115934B2 (en) Heat exchanger flow limiting baffle
US20070295026A1 (en) Laminated Heat Exchanger
KR101707079B1 (en) Evaporator
US11512903B2 (en) Heat exchanger
JP2004212041A (en)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KR100268098B1 (en) Heat exchanger
KR20200027424A (en) Cooler for a vehicle
JP5071181B2 (en) Heat exchanger
EP3480545B1 (en) Cold storage evaporator
WO2014181687A1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JP560963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5034401B2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JP2017190896A (en) Heat exchanger
JP2010038448A (en) Heat exchanger
KR100779706B1 (en) Heat exchanger for automobi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220974B1 (en) Heat exchanger
JP2005265233A (en) Heat exchanger
KR100457495B1 (en) Heater Cor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JP2015148404A (en) Evaporator with cold storage function
KR20060031261A (en) Lamination-type heat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US10976107B2 (en) Multi-core radiator with intermediat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