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386A -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386A
KR20200027386A KR1020180105632A KR20180105632A KR20200027386A KR 20200027386 A KR20200027386 A KR 20200027386A KR 1020180105632 A KR1020180105632 A KR 1020180105632A KR 20180105632 A KR20180105632 A KR 20180105632A KR 20200027386 A KR20200027386 A KR 2020002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tor
player
game
specific
mobil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주)원더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더피플 filed Critical (주)원더피플
Priority to KR102018010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386A/ko
Publication of KR2020002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상기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되, (a)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상기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가 획득되면,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상기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을 관전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이 선택되면, (i)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관전 버튼을 예약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관전자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OBA 장르의 장점인 캐릭터의 조합과 전략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모바일 게임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편리성 및 스마트 기기의 휴대성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와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RESERVATION FUNCTION FOR TOURNAMENT PLAY OF MOBILE GAME THAT INCLUDES ATTRIBUTES OF MOBA GENRE AND ATTRIBUTES OF RTS GENRE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상기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되, (a)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상기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가 획득되면,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상기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을 관전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이 선택되면, (i)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관전 버튼을 예약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관전자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말 게임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게임 대회를 중계하는 케이블 방송이 시작되었고, 프로 게임 리그가 출범하면서 e-스포츠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e-스포츠 대회는 게임 플랫폼과는 별도로 전자 장비, 네트워크 장비 및 방송 장비 등의 시설을 갖춘 장소에서 진행되며, 대회 중계를 관전하기 위해서는 티켓을 예매하여 직접 경기를 보거나, 중계 방송을 통해 시청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기기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게임이 출시되면서 모바일 게임 분야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최근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도 e-스포츠 대회가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게임 분야의 e-스포츠 대회도 기존의 게임 대회와 같이 별도의 장소에서 진행되는 바, 무선 네트워크의 편리성 및 스마트 기기의 휴대성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경기의 관전 역시 기존의 방식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기존의 온라인 게임 중 MOBA(Multiplayers Online Battle Arena) 장르의 게임들은 플레이어마다 하나의 캐릭터를 컨트롤하며 팀 대 팀으로 대전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캐릭터가 가진 스킬과 특성이 다르므로, 팀의 조합, 즉, 캐릭터의 궁합 및 캐릭터를 컨트롤하는 플레이어들의 실력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이러한 MOBA 장르를 모바일 게임 분야로 옮겨오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스마트 기기의 작은 화면에서 간소화된 UI로는 복잡한 컨트롤을 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MOBA 장르의 강점인 컨트롤을 통해 느끼는 재미를 모바일 게임에서는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팀의 조합이 중요한 장르이기 때문에, 랜덤으로 결정되는 플레이어와 대전하며 일시성이 강한 모바일 게임에서는 원하는 조합의 팀을 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게임 관련 토너먼트 대회가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기에 사용자들의 흥미를 끌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MOBA 장르의 장점을 살린 모바일 게임을 구현하고, 모바일 게임 분야의 장점을 활용한 토너먼트 대회와,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OBA 장르의 장점인 캐릭터의 조합과 전략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모바일 게임을 구현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의 편리성 및 스마트 기기의 휴대성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와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상기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되, (a)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상기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가 획득되면,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상기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을 관전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이 선택되면, (i)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관전 버튼을 예약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관전자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상기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되,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상기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상기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전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며, 상기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이 선택되면, (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관전 버튼을 예약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관전자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OBA 장르의 장점인 캐릭터의 조합과 전략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모바일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의 편리성 및 스마트 기기의 휴대성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와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UI의 예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UI의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게임 서버(100), 플레이어 단말(200) 및 관전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플레이어 단말(200)과 관전자 단말(300)이 구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토너먼트에 플레이어로서 참가하는지 여부, 토너먼트에 참가하지 않고 관전자로서 관전만 하는지 여부에 따라 플레이어 단말(200) 및 관전자 단말(300)의 기능이 혼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이 운영되도록 지원하며, 플레이어들에게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를 제공하고, 관전자들에게 각각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레이어 단말(200)은 플레이어들이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 신청을 하고 토너먼트 경기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모바일 게임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는 대진에 따라 플레이어들이 경기를 치르며 각 경기의 우승자가 진출하는 방식으로 토너먼트가 진행된다.
이 때 토너먼트는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개인전) 또는 복수의 플레이어로 구성되는 팀 대 팀(팀전)이 대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으나, 본 설명에서는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가 대전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관전자 단말(300)은 관전자들이 토너먼트의 경기를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관전자들은 관전자 단말(30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경기에 대한 관전을 예약하거나 실시간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기를 관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UI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210-1)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210-2)이 투입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캐릭터 군(210)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모바일 게임의 플레이 또는 토너먼트 경기의 플레이에 앞서, 플레이어는 자신이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 중에서 게임 플레이를 위한 캐릭터 군(210)을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어 단말(200)에는 플레이어가 보유한 캐릭터의 전체 목록이 제공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캐릭터를 선별하기 용이하도록 보유 캐릭터에 대한 정보가 캐릭터의 특성에 따라 방어 캐릭터 목록, 공격 캐릭터 목록, 마법 캐릭터 목록 및 지원 캐릭터 목록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은, MOBA(Multiplayers Online Battle Arena) 장르의 게임을 기초로 하여 운영되되, 한 명의 플레이어 당 복수의 캐릭터를 가지고 조작하는 RTS(Real-Time Strategy) 장르의 게임 속성이 결합되어 운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은, MOBA 장르의 특징인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플레이하는 속성과, 무빙(moving) 조작과 스킬 사용을 통한 재미를 제공하는 속성, RTS 장르의 특징인 한 명의 플레이어가 복수의 캐릭터들을 조작하여 전략적인 플레이를 하는 속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RTS 장르의 캐릭터는 군대와 같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 구성원들의 집단적 성격이 강하므로, 독립적인 영웅의 성격이 강한 MOBA 장르의 캐릭터와는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은, 한 명의 플레이어가 독립적인 영웅의 성격이 강한 MOBA 장르의 복수의 캐릭터들을 조작하여 RTS 장르와 같이 전략적인 플레이를 하는 속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속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는 각각 복수의 고유한 스킬을 가지되,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플레이어가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 시, 플레이어로 하여금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가 화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는 동작, 특정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동작, 특정 캐릭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킬 중 특정 스킬을 발동시키는 동작, 및 특정 스킬이 원거리 스킬인 경우 특정 스킬을 원거리의 소정 영역에 발동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플레이어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에서 특정 캐릭터(214)를 화면 상에서 선택하여 직접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이동시키는 특정 캐릭터(214)의 주변에는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 효과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플레이어 단말(200)의 화면 상에 전체 이동 버튼(220)을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가 게임 상에 투입된 모든 캐릭터들(211, 212, 213)을 한번에 이동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전체 이동 버튼(220)의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이동 버튼(220)이 활성화되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이동 버튼(220)이 비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종래의 대전 형식의 모바일 게임들은,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투입 위치만 지정하도록 하고 투입된 캐릭터가 자동으로 적에게 이동하도록 하거나, 캐릭터의 투입 위치 지정과 이동은 자동으로 수행되고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스킬만 발동시키도록 하는 것에서 벗어나, 본 발명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복수의 캐릭터를 모두 이동시키거나 특정 캐릭터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화면 상에서도 MOBA 장르의 특징인 무빙 조작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특정 캐릭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킬 중 특정 스킬을 발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플레이어는 도 2b에 도시된 캐릭터 211이 보유한 스킬 211a 및 211b중 211b를 선택하여 발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해당 스킬이 원거리 스킬인 경우, 이를 원거리의 소정 영역에 발동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어로 하여금 원거리의 특정 지점이나 특정 범위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그래픽 객체가 제공되어, 해당 지점 또는 해당 범위에 원거리 스킬을 발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 시, 제1 캐릭터 군(210-1)에 포함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 일부인 제1 선발 캐릭터들과 제2 캐릭터 군(210-2)에 포함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 일부인 제2 선발 캐릭터들이 투입된 상태에서 게임이 시작되며, 제1 선발 캐릭터들 중 특정 캐릭터가 제2 선발 캐릭터들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킬(kill)을 당하면, 제1 캐릭터 군(210-1) 중에서 제1 선발 캐릭터들을 제외한 캐릭터들 중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되는 소정 캐릭터가 게임 상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도 2a와 같이 캐릭터 군(210)에 6개의 캐릭터(211, 212, 213, 214, 215, 216)를 포함시키도록 지원하되,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각각이 보유한 제1 캐릭터 군(210-1) 또는 제2 캐릭터 군(210-2)에 포함되는 캐릭터들의 순번을 지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도 2a의 도면부호 210에 나열된 캐릭터들(211, 212, 213, 214, 215, 216)의 순서가 캐릭터 각각의 순번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2b를 제1 플레이어의 단말인 것으로 상정하면, 제1 캐릭터 군(210-1)에 포함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 일부인 제1 선발 캐릭터들(211, 212, 213)과 제2 캐릭터 군(210-2)에 포함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 일부인 제2 선발 캐릭터들이 투입된 상태에서 게임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제1 선발 캐릭터인 211, 212, 213 중 212가 제2 캐릭터 군(210-2)에 포함되는 제2 선발 캐릭터들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킬(kill)을 당하면, 도 2a에 도시된 제1 플레이어의 캐릭터 군(210) 중에서 211, 212, 213을 제외한 캐릭터들 중 다음 순번의 캐릭터 214가 도 2c와 같이 게임 상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c 상에 투입되어 있는 캐릭터 211, 213, 214 중 특정 캐릭터가 킬(kill)을 당하면, 다음 순번인 캐릭터 215, 216이 게임 상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캐릭터들을 조합하고 캐릭터들의 투입 순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가 캐릭터들의 궁합 및 투입 순서를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순번과 상관 없이, 제1 캐릭터 군(210-1)에 포함된 캐릭터들(211, 212, 213, 214, 215, 216) 중에서 랜덤으로 선발 캐릭터가 결정되고, 랜덤으로 결정된 캐릭터들이 투입되어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선발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가 제2 캐릭터 군(210-2)에 포함되는 제2 선발 캐릭터들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킬(kill)을 당하면, 선발 캐릭터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들 중 랜덤 캐릭터가 게임 상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제1 캐릭터 군(210-1)에 포함된 캐릭터들(211, 212, 213, 214, 215, 216) 중 랜덤으로 212, 215, 216이 선발 캐릭터로 결정되어 게임이 진행되고 있던 중, 캐릭터 215가 제2 선발 캐릭터들 중 일부에 의해 킬을 당하면, 나머지 캐릭터들인 211, 213, 214 중 랜덤으로 캐릭터 213이 게임 상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캐릭터의 투입 순서를 지정함으로 인해 나올 수 있는 획일화된 게임 플레이 패턴 대신, 6개 캐릭터들의 궁합과 랜덤 투입 특성이 고려된 조금 더 다채로운 전략이 수립될 수 있으며, 캐릭터들의 조합 및 컨트롤 실력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승패가 좌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플레이어들과 팀을 구성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이 1명의 플레이어가 캐릭터들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적인 모바일 환경 내에서 플레이어들이 캐릭터들의 궁합을 고려하여 게임의 전략을 수립하는 MOBA 장르의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맵 상의 소정의 HP(Hit Point) 수치를 가지는 타워(230)에 대해 HP 수치를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감소시킨 특정 플레이어의 캐릭터 군(210) 또는 특정 캐릭터에게 강화 효과를 제공하며,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각각 맵의 양 끝단에서부터 자신이 보유한 캐릭터 군(210)을 출발시켜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수정이라고 명명되는 타워(230)가 맵 상에 제공된 상태에서, 타워(230)의 HP 수치를 0으로 감소시키면, 감소시킨 특정 캐릭터(213) 또는 해당 캐릭터 군(210-1)에게 버프(buff)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HP 수치를 30% 이하로 감소시켰을 때 1차 버프가 제공되고 0으로 감소시켰을 때 2차 버프가 제공되거나, HP 수치를 감소시킨 퍼센티지와는 상관 없이 HP 수치가 0이 되도록 마지막 타격을 입힌 특정 캐릭터 또는 해당 캐릭터 군에게 버프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맵 상에는 캐릭터들이 지나가지 못하는 강, 나무, 짐 등의 장애물이 배치되어, 플레이어들이 장애물을 이용한 전략을 수립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로 하여 모바일 게임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과, 본 발명에 따른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UI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모바일 게임 서버(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플레이어 단말(200) 및 관전자 단말(300)과 통신하며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310)을 통신부(110)를 통해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a) 단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310)이 선택되면, (i) 특정 관전 버튼(310)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관전자가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특정 관전 버튼(310)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관전자가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전 버튼(310)을 예약 활성화 상태(320)로 변경하여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b) 단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관전자가 실시간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기에 대한 관전 버튼(310)을 선택한 경우, 관전자가 해당 경기에 입장하여 플레이어들이 경기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전자가 미래의 경기에 대한 관전 버튼을 선택한 경우, 해당 버튼을 도 3a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예약 활성화 상태(320)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예약된 경기의 시작 시간이 임박하면, 예약된 경기로의 입장을 유도하는 팝업 창이 관전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되거나, 관전자 단말(300)의 화면이 자동으로 해당 경기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특정 관전 버튼(310)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관전자들이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하는 관전자들의 인원을 누적한 누적 카운트 및 예약에 투입한 게임용 자산 또는 실생활용 자산의 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한 관전자의 등급을 결정하며, 등급에 따라 관전자가 볼 수 있는 특정 경기의 관전 기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관전자들이 특정 경기에 대한 관전을 예약하는 순서에 따라 관전자의 등급이 결정되는 경우, 선착순 100명의 예약자는 A등급, 101번째 예약자 내지 500번째 예약자는 B등급, 501번째 예약자부터는 C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관전 예약에 투입되는 게임 머니의 수치에 의해 관전자의 등급이 결정되는 경우, 게임 머니의 단위가 골드라면, 100 골드를 투입한 관전자는 A등급, 30 골드를 투입한 관전자는 B등급, 게임 머니를 투입하지 않은 관전자는 C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C등급의 관전자의 수에는 제한을 둘 수도 있고 제한을 두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하고자 하는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310)이 선택되면,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도 3b와 같은 관전 예약 UI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관전 예약 UI는,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의 제1 영역(330)에 위치하는 경기장 그래픽 객체(340), 제1 영역(3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영역(350)에 위치하는 복수의 관중석 그래픽 객체(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중석 그래픽 객체(360)는, 경기장 그래픽 객체(34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위 등급에 대응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경기장 그래픽 객체(34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361이 A등급, 362가 B등급, 363이 C등급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관전을 예약한 관전자의 등급에 대응되는 특정 관중석 그래픽 객체(362a)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관전자의 등급에 대응되는 특정 관중석 그래픽 객체(362a)가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전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특정 관중석 그래픽 객체(362a)를 관전자의 등급의 상위 등급에 대응되는 상위 등급 관중석 그래픽 객체(360)를 향해 드래그하는 제1 동작 또는 상위 등급 관중석 그래픽 객체(360)를 선택하는 제2 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인식되면,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업그레이드 수단을 통해 관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UI를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관전자가 B등급(362)으로 예약되어 있는 경우, 관전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362a에 둔 상태에서 A등급(361)으로 드래그 하는 제1 동작을 취하거나, A등급(361)을 선택하는 제2 동작을 취하면, 관전자의 등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UI(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관전자는 소정의 게임용 자산 또는 실생활용 자산을 소모함으로써 자신의 등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등급에 따라 관전자가 볼 수 있는 특정 경기의 관전 기능을 다르게 설정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상위 등급일수록 (i) 특정 경기가 플레이되는 맵을 다른 각도 또는 다른 거리에서 보거나 회전시키며 보는 기능, (ii) 제1 플레이어 및 제2 플레이어에 의해 캐릭터 및 스킬이 실시간으로 조작되는 현황을 보는 기능, (iii) 특정 경기를 녹화하는 기능, (iv) 특정 경기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기능, 및 (v) 주요 장면을 리플레이하는 기능 중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가장 낮은 등급이 C등급이라고 할 때, C등급의 관전자가 볼 수 있는 관전 기능이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는 맵 상의 캐릭터의 움직임, 발동되는 스킬의 그래픽 효과, 플레이어 각각의 득점 수(킬 수) 등 경기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요소만 포함한다면, B등급의 관전자는 (i) 기능 및 (ii) 기능을 더 이용 가능하고, A등급의 관전자는 (i) 기능 내지 (v) 기능을 모두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게임 전문 BJ(Broadcasting Jockey)와 같은 게임 중계자가 해설하는 실시간 토너먼트 경기를 관전자가 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2b와 같은 각 경기가 플레이되는 맵 상에 해설 듣기 버튼(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관전자가 이를 터치하면 해당 경기에 대한 게임 중계자의 실시간 해설이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도 3a와 같은 대진표 상에 실시간 해설 방송 버튼(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관전자가 이를 터치하면 현재 진행되는 경기 중 게임 중계자가 해설하는 특정 경기의 해설 방송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게임 중계자는 최상위 등급의 관전자에게 제공되는 관전 기능을 이용하여 경기 화면을 적절하게 조작하며 게임 방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게임 중계자가 진행하는 실시간 해설 방송도, 관전자들의 예약에 따라 자격이 있는 관전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관전자가 경기 별 우승 플레이어를 예측하거나 최종 우승 플레이어를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우승자 응원 UI를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우승자 응원 UI를 통해 경기 별 우승 플레이어 또는 최종 우승 플레이어를 예측 시 관전자로 하여금 소정의 게임용 자산 또는 실생활용 자산을 소모하도록 하며, 관전자에 의해 경기 별 우승 플레이어 또는 최종 우승 플레이어로 예측된 특정 플레이어가 실제로 우승하는 경우, 관전자에게 예측 성공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측 성공 보상은 예시적으로 소정의 게임 머니, 강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게임용 자산은 희귀 캐릭터, 희귀 아이템, 강화 아이템, 명예 칭호, 닉네임 장식 그래픽, 캐릭터 코스튬 및 게임 머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생활용 자산은 게임 상품(Goods), 가전 제품, 생활 용품, 상품권 및 현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가 모두 완료된 후, 기설정된 순위 내에 해당되는 순위권 플레이어의 단말(200)의 화면 상에 순위권 플레이어로 하여금 보상으로서 게임용 자산 또는 실생활용 자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상 선택 UI를 제공하되, 순위권 플레이어가 보상을 기설정된 기간 동안 선택하지 않은 경우, 게임용 자산을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1위 플레이어의 보상으로서 희귀 캐릭터 또는 곡면 TV가 제공된다면, 1위 플레이어의 단말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상 선택 UI가 일주일 동안 제공될 수 있으며, 일주일 내에 1위 플레이어가 보상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희귀 캐릭터가 보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가 소정의 기간 주기로 개최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때, 순위권 플레이어로 하여금 보상을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보상 선택 UI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순위권 플레이어가 과거 토너먼트에서 상기 보상(즉, 보상 선택 UI의 보상 선택지)과 동일한 보상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보상과 동일한 등급을 가지는 대체 게임용 자산 또는 대체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보상의 선택지로서 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4위 내지 10위 플레이어에게 기본적으로 캐릭터 코스튬 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제공되는 경우, 현재 토너먼트의 5위 플레이어가 과거 토너먼트에서 10위를 기록하여 보상으로 블루투스 스피커를 선택했던 것으로 확인되면, 5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보상 선택 UI에는 캐릭터 코스튬 및 블루투스 스피커 외에도 블루투스 스피커와 유사한 가격의 헤드폰이 보상 선택지로서 더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310)을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이 참가한 토너먼트의 예선이 진행되어 플레이어들 중 기설정된 인원의 플레이어들이 생존하여 본선 진출자로 결정된 상태에서, 본선 진출자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310)을 관전자의 단말(300)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토너먼트 대회의 규모가 커서 진행해야 하는 경기 수가 너무 많은 경우, 예선과 본선을 구분하여 본선 대회에만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도 3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예선에는 관전 예약 기능 또는 실시간 관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대신, 예선의 순위권 플레이어들을 정렬하여 각각의 플레이어가 치른 경기를 모아볼 수 있는 관전 버튼(310)을 관전자의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20)는, 관전자로 하여금 특정 플레이어를 트래킹 대상으로 지정하고, 트래킹 대상이 토너먼트의 예선에서 치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예선 경기를 관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관전자가 43위의 유저 2를 트래킹 대상으로 지정한 경우, 트래킹 대상인 유저 2의 경기만 관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트래킹 대상과 관련된 표시 영역에만 관전 버튼을 제공하거나, 도 3c와 같이 모든 플레이어의 영역에 관전 버튼(310)을 제공하되 트래킹 대상의 영역에는 예약 활성화 상태(320) 상태의 관전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관전자에 의해 트래킹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플레이어가 토너먼트의 본선에 진출하는 경우, 관전자가 특정 플레이어가 본선에서 치르는 특정 본선 경기의 관전을 예약 시, 특정 본선 경기의 관전에 대한 예약 우선권을 제공하거나, 특정 본선 경기의 관전 기능을 상향시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관전자가 자신이 트래킹 대상으로 지정한 유저 2의 특정 본선 경기의 관전을 예약 시, 해당 경기를 관전할 수 있는 인원이 마감되었더라도 상기 관전자가 관전 예약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자격을 부여하거나, 관전자의 등급에 대응되는 관전 기능보다 더 많은 관전 기능을 관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200 : 플레이어 단말
210 : 캐릭터 군 220 : 전체 이동 버튼
230 : 타워 300 : 관전자 단말
310 : 관전 버튼 320 : 예약 활성화 상태
330 : 제1 영역 340 : 경기장 그래픽 객체
350 : 제2 영역 360 : 관중석 그래픽 객체

Claims (1)

  1.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은,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1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1 캐릭터 군 및 개인전 또는 팀전에 참여하는 제2 플레이어가 보유한 복수의 캐릭터인 제2 캐릭터 군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제1 플레이어 및 상기 제2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이 보유한 상기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도록 하는 게임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토너먼트의 결과에 따라 순위권 플레이어에게 보상으로서 소정의 게임용 자산 및 실생활용 자산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되,
    (a)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상기 토너먼트에 참가하고자 하는 복수의 플레이어들의 참가 의사가 획득되면,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들을 매칭하여 대진을 결정하고, 상기 대진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기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관전 버튼을 관전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전자에 의해 특정 관전 버튼이 선택되면, (i)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가,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에 입장하여 관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관전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경기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관전자가 상기 특정 경기의 관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관전 버튼을 예약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관전자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는, 상기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게임 상에 투입된 모든 캐릭터들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전체 이동 버튼을 상기 플레이어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하되,
    상기 전체 이동 버튼의 상기 기능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체 이동 버튼의 UI를 활성화하여 상기 플레이어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이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전체 이동 버튼의 상기 UI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플레이어의 단말의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05632A 2018-09-04 2018-09-04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27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32A KR20200027386A (ko) 2018-09-04 2018-09-04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32A KR20200027386A (ko) 2018-09-04 2018-09-04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86A true KR20200027386A (ko) 2020-03-12

Family

ID=6980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32A KR20200027386A (ko) 2018-09-04 2018-09-04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3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80A1 (ko)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기능 조절용 조성물
CN115297339A (zh) * 2022-08-25 2022-11-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虚拟空间的对象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297339B (zh) * 2022-08-25 2024-06-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虚拟空间的对象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80A1 (ko)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기능 조절용 조성물
CN115297339A (zh) * 2022-08-25 2022-11-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虚拟空间的对象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297339B (zh) * 2022-08-25 2024-06-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虚拟空间的对象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4356B2 (en) Restoring gameplay by replaying past inputs
JP6066245B2 (ja) 弾球遊技機
Wu et al. Fairness mechanism in 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games
JP658337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20200027386A (ko) Moba 장르의 속성과 rts 장르의 속성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919567B1 (ko)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201921721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921721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992028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7145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Farquhar Fighting games and social play
Nalli Effect of esports and future development of esports
KR20200021856A (ko) 플레이어들이 각각 자신이 보유한 캐릭터 군을 조작하여 대전하는 모바일 게임의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전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493149B1 (ko) 댄스 배틀 게임 제공 방법
KR101494150B1 (ko) 온라인 게임의 게임 승패 결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921721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230079509A1 (en)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system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7381898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7351379B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11298618B2 (en) Computer game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placing game entities in a run
Winger Super Smash Bros. Melee: Performance as Community Survival
James MARIO VERSUS THE LICH KING
JP5555446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
KR20230073867A (ko) 게이밍 가상 공간에서 이모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2124619A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