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374A - 광학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학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374A
KR20200027374A KR1020180105602A KR20180105602A KR20200027374A KR 20200027374 A KR20200027374 A KR 20200027374A KR 1020180105602 A KR1020180105602 A KR 1020180105602A KR 20180105602 A KR20180105602 A KR 20180105602A KR 20200027374 A KR20200027374 A KR 2020002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ss
optical device
liquid crystal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378B1 (ko
Inventor
김정운
전병건
이범진
문인주
유수영
이성민
이영신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0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378B1/ko
Priority to JP2021508295A priority patent/JP7206523B2/ja
Priority to US17/272,997 priority patent/US11372290B2/en
Priority to EP19857588.8A priority patent/EP3848737A4/en
Priority to PCT/KR2019/011278 priority patent/WO2020050572A1/ko
Priority to CN201980055971.7A priority patent/CN112601991B/zh
Priority to TW108131641A priority patent/TWI710808B/zh
Publication of KR2020002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5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photoconducting or a ferro-electric layer, the properties of which can be optically or electrically varied
    • G02F1/1351Light-absorbing or block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2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flexible and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attenuating light intensity, e.g. comprising rotatable 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guest-host inte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광학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투과율의 가변이 가능한 광학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광학 디바이스는, 선글라스나 AR(Argumented Reality) 또는 VR(Virtual Reality)용 아이웨어(eyewear) 등의 아이웨어류, 건물의 외벽이나 차량용 선루프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디바이스{Optical Device}
본 출원은, 광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가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투과율 가변 필름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물질(host material)과 이색성 염료 게스트(dichroic dye guest)의 혼합물을 적용한 소위 GH셀(Guest host cell)을 사용한 투과율 가변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투과율 가변 필름은 선글라스나 안경 등의 아이웨어(eyewear), 건물 외벽 또는 차량의 선루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투과율 가변 필름의 다양한 용도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투과율 가변 장치 등을 캡슐화한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캡슐화의 방법으로는 유리 기판과 같은 강성 외곽 기판의 사이에 핫멜팅(hot metling) 소재나 기타 접착 소재를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Auto Clave) 방식 등으로 상기 투과율 가변 장치를 캡슐화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통상 100℃ 이상의 고온과 2바(bar) 이상의 고압이 적용되는 고온고압 공정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투과도 가변 필름을 2장의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하게 되면, 투과도 가변 필름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압력은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혹은 저온 조건 등에서 기포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화에 적용되는 핫멜팅(hot melting) 소재나 기타 접착 소재 등은, 저온 조건 등의 조건에서 수축하고, 상기와 같은 수축과 외곽 기판의 복원력 등에 의해서 캡슐화된 투과도 가변 필름에 음압이 발행하여 기포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고온 조건에서는 접착 소재 등의 탄성률이 낮아지면서 유리 기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상온 조건에서는 잔류 응력이 투과도 가변 필름에 전달되어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또 기포가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 기판 등의 강성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된 구조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많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상기 강성 기판으로서 곡면 기판 등을 적용한 경우에 보다 부각된다.
본 출원은, 광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는 적어도 2장의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온도 변화 조건 등을 포함한 다양한 내구 조건에서 기포 또는 외관 변화 등의 불량의 발생이 없는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나, 압력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과 상압에서 측정한 것이다.
용어 상온은 가온하거나 감온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일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온도의 단위는 ℃이다.
용어 상압은 특별히 줄이거나, 높이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일반적으로 대기압과 같은 1기압 정도의 압력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제조되는 광학 디바이스는, 투과율의 조절이 가능한 광학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적어도 투과 모드와 차단 모드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는 광학 디바이스이다.
상기 투과 모드는, 광학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상태이고, 차단 모드는, 광학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율의 상태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투과 모드에서의 투과율이 약 30% 이상, 약 35% 이상, 약 40% 이상,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차단 모드에서의 투과율이 약 20% 이하, 약 15% 이하 또는 약 10% 이하일 수 있다.
투과 모드에서의 투과율은 수치가 높을수록 유리하고, 차단 모드에서의 투과율은 낮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한과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투과 모드에서의 투과율의 상한은 약 100, 약 95%, 약 90%, 약 85%, 약 80%, 약 75%, 약 70%, 약 65% 또는 약 60%일 수 있다. 상기 차단 모드에서의 투과율의 하한은 약 0%,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또는 약 10%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직진광 투과율일 수 있다. 용어 직진광 투과율은 소정 방향으로 광학 디바이스를 입사한 광 대비 상기 입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광학 디바이스를 투과한 광(직진광)의 비율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투과율은, 상기 광학 디바이스의 표면 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입사한 광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법선광 투과율)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에서 투과율이 조절되는 광은, UV-A 영역의 자외선, 가시광 또는 근적외선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의에 따르면, UV-A 영역의 자외선은 320 nm 내지 380 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가시광은 380 nm 내지 780 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근저외선은 780 nm 내지 2000 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는, 적어도 상기 투과 모드와 차단 모드의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필요한 경우에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투과 및 차단 모드 외에 다른 모드, 예를 들면, 상기 투과 및 차단 모드의 투과율의 사이의 임의의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는 모드 또는 부위별로 투과율이 다른 패턴화된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제 3의 모드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간의 스위칭은 광학 디바이스가 능동 액정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능동 액정 필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광축의 배향 상태,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배향 상태의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는 액정 소자 필름이다. 상기에서 광축은 능동 액정 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액정 화합물이 막대(rod)형인 경우에는 그 장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원반(discotic)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원반 평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능동 액정 필름이 어느 배향 상태에서 서로 광축이 방향이 다른 복수의 액정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능동 액정 필름의 광축은 평균 광축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 경우 평균 광축은 상기 액정 화합물들의 광축의 벡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능동 액정 필름의 배향 상태는 외부 에너지의 인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외부 에너지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일 예시에서는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은 전압의 인가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 상태 중에서 어느 한 배향 상태를 가지고 있다가 전압이 인가되면 다른 배향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 상태 중 어느 한 배향 상태에서 상기 차단 모드가 구현되고, 다른 배향 상태에서 상기 투과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차단 모드가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한다.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액정층은, 소위 게스트 호스트 액정층(guest-host liquid crystal layer)으로서, 액정 화합물과 이방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층일 수 있다. 이러한 액정층은, 소위 게스트 호스트 효과를 이용한 액정층으로서, 상기 액정 화합물(이하, 액정 호스트라 칭할 수 있다)의 배향 방향에 따라 상기 이방성 염료가 정렬되는 액정층이다. 상기 액정 호스트의 배향 방향은 전술한 외부 에너지의 인가 여부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액정층에 사용되는 액정 호스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게스트 호스트 효과의 구현을 위해 적용되는 일반적인 종류의 액정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정 호스트로는, 스멕틱 액정 화합물, 네마틱 액정 화합물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네마틱 액정 화합물은, 액정 분자의 위치에 대한 규칙성은 없지만, 모두 분자축 방향으로 질서를 가지고 배열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을 의미하고, 이러한 액정 화합물은 막대(rod) 형태이거나 원반(discotic)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네마틱 액정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약 40℃ 이상,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90℃ 이상, 약 100℃ 이상 또는 약 110℃ 이상 이상의 등명점(clearing point)를 가지거나, 상기 범위의 상전이점, 즉 네마틱상에서 등방상으로의 상전이점을 가지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등명점 또는 상전이점은 약 160℃ 이하, 약 150℃ 이하 또는 약 1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액정 화합물은, 유전율 이방성이 음수 또는 양수일 수 있다. 상기 유전율 이방성의 절대값은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율 이방성은 3 초과 또는 7 초과이거나, -2 미만 또는 -3 미만일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또한 약 0.01 이상 또는 약 0.04 이상의 광학 이방성(△n)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광학 이방성은 다른 예시에서 약 0.3 이하 또는 약 0.27 이하일 수 있다.
게스트 호스트 액정층의 액정 호스트로 사용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은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들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액정층이 게스트 호스트 액정층인 경우에는 상기 액정 호스트와 함께 이방성 염료를 포함한다. 용어 「염료」는, 가시광 영역, 예를 들면, 380 nm 내지 780 nm 파장 범위 내에서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범위 내의 광을 집중적으로 흡수 및/또는 변형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고, 용어 「이방성 염료」는 상기 가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범위에서 광의 이방성 흡수가 가능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방성 염료로는, 예를 들면, 액정 호스트의 정렬 상태에 따라 정렬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염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방성 염료로는, 아조 염료 또는 안트라퀴논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넓은 파장 범위에서의 광 흡수를 달성하기 위해서 액정층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방성 염료의 이색비(dichroic ratio)는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방성 염료는 이색비가 5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용어「이색비」는, 예를 들어, p형 염료인 경우, 염료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편광의 흡수를 상기 장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에 평행한 편광의 흡수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방성 염료는 가시광 영역의 파장 범위 내, 예를 들면, 약 380 nm 내지 780 nm 또는 약 400 nm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적어도 일부의 파장 또는 어느 한 파장 또는 전 범위에서 상기 이색비를 가질 수 있다.
액정층 내에서의 이방성 염료의 함량은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호스트와 이방성 염료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이방성 염료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방성 염료의 비율은 목적하는 투과율과 액정 호스트에 대한 이방성 염료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변경할 수 있다.
액정층은 상기 액정 호스트와 이방성 염료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임의의 첨가제를 공지의 형태에 따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키랄 도펀트 또는 안정화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목적, 예를 들면, 목적하는 투과율의 가변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약 0.01μm 이상, 0.05μm 이상, 0.1μm 이상, 0.5μm 이상, 1μm 이상, 1.5μm 이상, 2μm 이상, 2.5μm 이상, 3μm 이상, 3.5μm 이상, 4μm 이상, 4.5μm 이상, 5μm 이상, 5.5μm 이상, 6μm 이상, 6.5μm 이상, 7μm 이상, 7.5μm 이상, 8μm 이상, 8.5μm 이상, 9μm 이상 또는 9.5μ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투과 상태에서의 투과율과 차단 상태에서의 투과율의 차이가 큰 광학 디바이스, 즉 콘트라스트 비율이 큰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두꺼울수록 높은 콘트라스트 비율의 구현이 가능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약 30 μm 이하, 25 μm 이하, 20 μm 이하 또는 15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능동 액정층 또는 이를 포함하는 능동 액정 필름은, 제 1 배향 상태와 상기 제 1 배향 상태와는 다른 제 2 배향 상태의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은, 예를 들면, 전압과 같은 외부 에너지의 인가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 상태 중에서 어느 한 상태가 유지되다가, 전압 인가에 의해 다른 배향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 상태는, 일 예시에서, 각각 수평 배향, 수직 배향, 트위스트 네마틱 배향 또는 콜레스테릭 배향 상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 모드에서 능동 액정 필름 또는 액정층은, 적어도 수평 배향, 트위스트 네마틱 배향 또는 콜레스테릭 배향이고, 투과 모드에서 능동 액정 필름 또는 액정층은, 수직 배향 또는 상기 차단 모드의 수평 배향과는 다른 방향의 광축을 가지는 수평 배향 상태일 있다. 능동 액정 필름은,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모드가 구현되는 통상 차단 모드(Normally Black Mode)의 소자이거나,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상기 투과 모드가 구현되는 통상 투과 모드(Normally Transparent Mode)를 구현할 수 있다.
액정층의 배향 상태에서 해당 액정층의 광축이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액정층의 광축의 방향은, 흡수축이나 투과축의 방향을 알고 있는 다른 편광판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측정 기기, 예를 들면, Jascp사의 P-2000 등의 pola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액정 호스트의 유전율 이방성, 액정 호스트를 배향시키는 배향막의 배향 방향 등을 조절하여 상기와 같은 통상 투과 또는 차단 모드의 능동 액정 필름을 구현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은, 대향 배치된 2장의 기재 필름과 상기 2장의 기재 필름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능동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은, 상기 2장의 기재 필름의 사이에서 상기 2장의 기재 필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및/또는 대향 배치된 2장의 기재 필름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기재 필름을 부착시키고 있는 실런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및/또는 실런트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되는 무기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필름; PC(polycarbonate) 필름; PE(polyethylene)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PVA(polyvinyl alcohol) 필름; DAC(diacetyl cellulose) 필름; Pac(Polyacrylate) 필름; PES(poly ether sulfone) 필름; PEEK(polyetheretherketon) 필름; PPS(polyphenylsulfone) 필름, PEI(polyetherimide) 필름; PEN(polyethylenemaphthatlate) 필름; PET(polyethyleneterephtalate) 필름; PI(polyimide) 필름; PSF(polysulfone) 필름; PAR(polyarylate) 필름 또는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서 금, 은, 이산화 규소 또는 일산화 규소 등의 규소 화합물의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 등의 코팅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가지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은 정면 위상차가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95nm 이하, 약 90nm 이하, 약 85nm 이하, 약 80nm 이하, 약 75nm 이하, 약 70nm 이하, 약 65nm 이하, 약 60nm 이하, 약 55nm 이하, 약 50nm 이하, 약 45nm 이하, 약 40nm 이하, 약 35nm 이하, 약 30nm 이하, 약 25nm 이하, 약 20 nm 이하, 약 15 nm 이하, 약 10nm 이하, 약 5nm 이하, 약 4nm 이하, 약 3nm 이하, 약 2nm 이하, 약 1nm 이하 또는 약 0.5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0nm 이상, 약 1nm 이상, 약 2nm 이상, 약 3nm 이상, 약 4nm 이상, 약 5nm 이상, 약 6nm 이상, 약 7nm 이상, 약 8nm 이상, 약 9nm 이상, 또는 약 9.5nm 이상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은, 예를 들면, 2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은 다른 예시에서 190nm 이하, 180nm 이하, 170nm 이하, 160nm 이하,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110nm 이하, 100nm 이하, 90nm 이하, 85 nm 이하, 80nm 이하, 70nm 이하, 60nm 이하, 50nm 이하, 40nm 이하, 30nm 이하, 20nm 이하, 10nm 이하, 5nm 이하, 4nm 이하, 3nm 이하, 2nm 이하, 1nm 이하 또는 0.5nm 이하일 수 있고, 0nm 이상, 10nm 이상, 20nm 이상, 30nm 이상, 40nm 이상, 50nm 이상, 60nm 이상, 70 nm 이상 또는 75 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절대값이 상기 범위 내라면 음수이거나, 양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음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면 위상차(Rin)는 하기 수식 1로 계산되는 수치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수식 2로 계산되는 수치이다.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상기 정면 및 두께 방향 위상차나 굴절률의 기준 파장은 약 550 nm이다.
[수식 1]
정면 위상차(Rin) = d × (nx - ny)
[수식 2]
두께 방향 위상차(Rth) = d × (nz - ny)
수식 1 및 2에서 d는 기재 필름의 두께이고, nx는 기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y는 기재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는 기재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기재 필름이 광학 이방성인 경우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기재 필름들의 지상축들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약 -10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 -7도 내지 7도의 범위 내, -5도 내지 5도의 범위 내 또는 -3도 내지 3도의 범위 내이거나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지상축과 후술하는 편광자의 광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약 -10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 -7도 내지 7도의 범위 내, -5도 내지 5도의 범위 내 또는 -3도 내지 3도의 범위 내이거나 대략 평행할 수 있거나, 혹은 약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 내, 약 83도 내지 97도의 범위 내, 약 85도 내지 95도의 범위 내 또는 약 87도 내지 92도의 범위 내이거나 대략 수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상차 조절 또는 지상축의 배치를 통해서 광학적으로 우수하고 균일한 투과 및 차단 모드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열팽창 계수가 100 ppm/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 계수는, 다른 예시에서 95ppm/K 이하, 90ppm/K 이하, 85ppm/K 이하, 80ppm/K 이하, 75ppm/K 이하, 70 ppm/K 이하 또는 65 ppm/K 이하이거나, 10 ppm/K 이상, 20 ppm/K 이상, 30 ppm/K 이상, 40 ppm/K 이상, 50 ppm/K 이상 또는 55 ppm/K 이상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열팽창 계수는, 예를 들면, ASTM D696의 규정에 따르 측정할 수 있고, 해당 규격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필름을 재단하고, 단위 온도당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여 열팽창 계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TMA(ThermoMechanic Analysis) 등의 공지의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파단 신율이 90% 이상인 기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단 신율은 95% 이상,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140% 이상, 145% 이상, 150% 이상, 155% 이상, 160% 이상, 165% 이상, 170% 이상 또는 175% 이상일 수 있고, 1,000% 이하, 900% 이하, 800% 이하, 7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 400% 이하, 300% 이하 또는 200% 이하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파단 신율은 ASTM D882 규격에 따라 측정할 수 있고, 해당 규격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필름을 재단하고, Stress-Strain curve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힘과 길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이 상기 열팽창 계수 및/또는 파단 신율을 가지도록 선택되는 것에 의해 보다 우수한 내구성의 광학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50 μm 내지 200μm 정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능동 액정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예를 들면, 상기 능동 액정층을 향하는 면상에는 도전층 및/또는 배향막이 존재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면상에 존재하는 도전층은, 능동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도전층이 적용될 수 있다. 도전층으로는, 예를 들면,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금속, 전도성 나노와이어 또는 ITO(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도전층의 예는 상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능동 액정 필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종류의 도전층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면상에는 배향막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의 일면에 우선 도전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배향막은 능동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호스트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고,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배향막을 적용할 수 있다. 업계에서 공지된 배향막으로는, 러빙 배향막이나 광배향막 등이 있고, 본 출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배향막은 상기 공지의 배향막이고, 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광축의 배향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배향막의 배향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향 배치되어 있는 2장의 기재 필름의 각 면에 형성된 2개의 배향막의 배향 방향은 서로 약 -10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의 각도, -7도 내지 7도의 범위 내의 각도, -5도 내지 5도의 범위 내의 각도 또는 -3도 내지 3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서로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2개의 배향막의 배향 방향은 약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 내의 각도, 약 83도 내지 97도의 범위 내의 각도, 약 85도 내지 95도의 범위의 각도 내 또는 약 87도 내지 92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서로 대략 수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향 방향에 따라서 능동 액정층의 광축의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배향 방향은 능동 액정층의 광축의 방향을 확인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능동 액정 필름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학 디바이스의 적용 용도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이다.
광학 디바이스는,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상기 능동 액정 필름 대신 포함되거나, 혹은 상기 능동 액정 필름과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예를 들면, 흡수형 선형 편광자, 즉 일방향으로 형성된 광흡수축과 그와는 대략 수직하게 형성된 광투과축을 가지는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상기 능동 액정층의 제 1 배향 상태에서 상기 차단 상태가 구현된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배향 상태의 평균 광축(광축의 벡터함)과 상기 편광자의 광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80도 내지 100도 또는 85도 내지 95도를 이루거나, 대략 수직이 되도록 광학 디바이스에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35도 내지 55도 또는 약 40도 내지 50도가 되거나 대략 45도가 되도록 광학 디바이스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배향막의 배향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에, 전술한 것과 같이 대향 배치된 능동 액정 필름의 2장의 기재 필름의 각 면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배향 방향이 서로 약 -10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의 각도, -7도 내지 7도의 범위 내의 각도, -5도 내지 5도의 범위 내의 각도 또는 -3도 내지 3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서로 대략 평행한 경우에 상기 2개의 배향막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향막의 배향 방향과 상기 편광자의 광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80도 내지 100도 또는 85도 내지 95도를 이루거나, 대략 수직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2개의 배향막의 배향 방향이 약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 내의 각도, 약 83도 내지 97도의 범위 내의 각도, 약 85도 내지 95도의 범위의 각도 내 또는 약 87도 내지 92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서로 대략 수직인 경우에는 2장의 배향막 중에서 상기 편광자에 보다 가깝게 배치된 배향막의 배향 방향과 상기 편광자의 광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80도 내지 100도 또는 85도 내지 95도를 이루거나, 대략 수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능동 액정 필름(10)와 상기 편광자(20)는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능동 액정 필름(10)의 제 1 배향 방향의 광축(평균 광축)과 상기 편광자(20)의 광 흡수축이 상기 관계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편광자(20)가 후술하는 편광 코팅층인 경우에는 상기 편광 코팅층이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의 내부에 존재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의 기재 필름(110) 중 어느 하나의 기재 필름(110)과 능동 액정층(120)의 사이에 상기 편광 코팅층(201)이 존재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110)상에 전술한 도전층, 상기 편광 코팅층(201) 및 상기 배향막이 순차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상기 편광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자로는, 기존 LCD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소재, 예를 들면, PVA(poly(vinyl alcohol)) 편광자 등이나, 유방성 액정(LLC: Lyotropic Liquid Cystal)이나, 반응성 액정(RM: 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색소(dichroic dye)를 포함하는 편광 코팅층과 같이 코팅 방식으로 구현한 편광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코팅 방식으로 구현된 편광자는 편광 코팅층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유방성 액정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액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색성비(dichroic ratio)가 30 내지 40 정도인 유방성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유방성 액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편광 코팅층이 반응성 액정(RM: 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색소(dichroic dye)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이색성 색소로는 선형의 색소를 사용하거나, 혹은 디스코팅상의 색소(discotic dye)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은 능동 액정 필름과 편광자를 각각 하나씩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오직 하나의 상기 능동 액정 필름만을 포함하고, 오직 하나의 편광자만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디바이스는, 대향 배치되어 있는 2장의 외곽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상기 2장의 외곽 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 1 외곽 기판으로 호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외곽 기판으로 호칭할 수 있으나, 상기 제 1 및 2의 표현이 외곽 기판의 선후 내지는 상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능동 액정 필름과 함께 포함되는 편광자는 상기 2장의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는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대향 배치된 2장의 외곽 기판(30)의 사이에 상기 능동 액정 필름(10)와 편광자(20)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외곽 기판으로는, 예를 들면, 글라스 등으로 되는 무기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필름; PC(polycarbonate) 필름; PE(polyethylene)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PVA(polyvinyl alcohol) 필름; DAC(diacetyl cellulose) 필름; Pac(Polyacrylate) 필름; PES(poly ether sulfone) 필름; PEEK(polyetheretherketon) 필름; PPS(polyphenylsulfone) 필름, PEI(polyetherimide) 필름; PEN(polyethylenemaphthatlate) 필름; PET(polyethyleneterephtalate) 필름; PI(polyimide) 필름; PSF(polysulfone) 필름; PAR(polyarylate) 필름 또는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곽 기판에는, 필요에 따라서 금, 은, 이산화 규소 또는 일산화 규소 등의 규소 화합물의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 등의 코팅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외곽 기판으로는, 열팽창 계수가 100 ppm/K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 계수는, 다른 예시에서 95ppm/K 이하, 90ppm/K 이하, 85ppm/K 이하, 80ppm/K 이하, 75ppm/K 이하, 70 ppm/K 이하, 65 ppm/K 이하, 60 ppm/K 이하, 50 ppm/K 이하, 40 ppm/K 이하, 30 ppm/K 이하, 20 ppm/K 이하 또는 15 ppm/K 이하이거나, 1 ppm/K 이상, 2 ppm/K 이상, 3 ppm/K 이상, 4 ppm/K 이상, 5 ppm/K 이상, 6 ppm/K 이상, 7 ppm/K 이상, 8 ppm/K 이상, 9 ppm/K 이상 또는 10 ppm/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외곽 기판의 열팽창 계수 및 파단 신율의 측정 방식은 각각 전술한 기재 필름의 열팽창 계수 및 파단 신율의 측정 방식과 동일하다.
외곽 기판이 상기와 같은 열팽창 계수 및/또는 파단 신율을 가지도록 선택되는 것에 의해 보다 우수한 내구성의 광학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곽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0.3 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약 0.5 mm 이상, 약 1 mm 이상, 약 1.5 mm 이상 또는 약 2 mm 이상 정도일 수 있고, 10 mm 이하, 9 mm 이하, 8 mm 이하, 7 mm 이하, 6 mm 이하, 5 mm 이하, 4 mm 이하 또는 3 m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외곽 기판은, 평편(flat)한 기판이거나, 혹은 곡면 형상을 가지는 곡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장의 외곽 기판은 동시에 평편한 기판이거나, 동시에 곡면 형상을 가지거나, 혹은 어느 하나는 평편한 기판이고, 다른 하나는 곡면 형상의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동시에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은, 업계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D Profile Laser Sensor (레이저 센서), Chromatic confocal line sensor (공초점 센서) 또는 3D Measuring Conforcal Microscopy 등의 비접촉식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여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또한, 상기 기판과 관련해서 예를 들어, 표면과 이면에서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이 다른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외곽 기판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은 광학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2장의 외곽 기판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외곽 기판의 경우, 제 2 외곽 기판과 대향하는 면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과 제 2 외곽 기판의 경우 제 1 외곽 기판과 대향하는 면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이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면에서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이 일정하지 않고,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큰 곡률 또는 곡률 반경 또는 가장 작은 곡률 또는 곡률 반경 또는 평균 곡률 또는 평균 곡률 반경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양자가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가 10% 이내, 9% 이내, 8% 이내, 7% 이내, 6% 이내, 5% 이내, 4% 이내, 3% 이내, 2% 이내 또는 1% 이내일 수 있다. 상기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는, 큰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을 CL이라고 하고, 작은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을 CS라고 할 때에 100Х(CL-CS)/CS로 계산되는 수치이다. 또한, 상기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장의 외곽 기판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는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는 0% 이상이거나, 0% 초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제어는,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와 같이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가 접착 필름으로 캡슐화된 구조에 있어서 유용하다.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이 모두 곡면인 경우에 광학 디바이스 내에서 양자의 곡률은 동일 부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2개의 외곽 기판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경우는, 제 1 외곽 기판의 곡률 중심과 제 2 외곽 기판의 곡률 중심이 모두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동일한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4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30)의 사이에 능동 액정 필름 등을 포함하는 캡슐화 부위(400)가 존재하는 측면 예시인데, 이 경우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30) 모두의 곡률 중심은 도면에서 하부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각각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의 구체적인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각각의 기판의 곡률 반경은, 100R 이상, 200R 이상, 300R 이상, 400R 이상, 500R 이상, 600R 이상, 700R 이상, 800R 이상 또는 900R 이상이거나, 10,000R 이하, 9,000R 이하, 8,000R 이하, 7,000R 이하, 6,000R 이하, 5,000R 이하, 4,000R 이하, 3,000R 이하, 2,000R 이하, 1,900R 이하, 1,800R 이하, 1,700R 이하, 1,600R 이하, 1,500R 이하, 1,400R 이하, 1,300R 이하, 1,200R 이하, 1,100R 이하 또는 1,050R 이하일 수 있다. 상기에서 R은 반지름이 1 mm인 원의 휘어진 경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예를 들어, 100R은 반지름이 100mm인 원의 휘어진 정도 또는 그러한 원에 대한 곡률 반경이다. 물론 기판이 평편한 경우에 곡률은 0이고, 곡률 반경은 무한대이다.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은 상기 범위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곡률이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중에서 곡률이 큰 기판의 곡률 반경이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곡률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 중에서 곡률이 큰 기판이 광학 디바이스의 사용 시에 보다 중력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2장의 외곽 기판 중에서 광학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서 보다 중력 방향에 배치되는 기판은 하부 기판으로 호칭하고, 다른 기판은 상부 기판으로 호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화를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 필름을 사용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이 수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는 통상 고온 및 고압이 적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에 캡슐화에 적용된 접착 필름이 고온에서 장시간 보관되는 등의 일부 경우에는 일부 재융해 등이 일어나서, 외곽 기판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에 힘이 작용하고, 내부에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기판간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을 위와 같이 제어하게 되면, 접착 필름에 의한 합착력이 떨어지게 되어도 복원력과 중력의 합인 알짜힘이 작용하여 벌어짐을 막아줄 수 있고, 오토클레이브와 같은 공정 압력에도 잘 견딜 수 있다.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를 상기 외곽 기판 내에서 캡슐화하고 있는 접착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접착 필름을 캡슐화제라고도 호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필름(40)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 기판(30)과 능동 액정 필름(10)의 사이, 능동 액정 필름(10)과 편광자(20)의 사이 및/또는 편광자(20)와 외곽 기판(30)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능동 액정 필름(10)과 편광자(20)의 측면에도 존재할 수 있고, 적절하게는 모든 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의 상부 및 하부와 모든 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접착 필름은, 상기 외곽 기판(30)과 능동 액정 필름(10), 능동 액정 필름(10)과 편광자(20) 및 편광자(20)와 외곽 기판(30)들을 서로 접착시키면서, 상기 능동 액정 필름(10)과 편광자(20)를 캡슐화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구조에 따라서 외곽 기판, 능동 액정 필름, 편광자 및 접착 필름을 적층한 후에 진공 상태에서 압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공지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 필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plastic Starch), 폴리아마이드 접착 필름, 아크릴계 접착 필름, 폴리에스테르 접착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접착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접착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필름(POE 필름) 등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접착 필름으로는,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가지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접착 필름은 정면 위상차가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95nm 이하, 약 90nm 이하, 약 85nm 이하, 약 80nm 이하, 약 75nm 이하, 약 70nm 이하, 약 65nm 이하, 약 60nm 이하, 약 55nm 이하, 약 50nm 이하, 약 45nm 이하, 약 40nm 이하, 약 35nm 이하, 약 30nm 이하, 약 25nm 이하, 약 20 nm 이하, 약 15 nm 이하, 약 10nm 이하, 약 9nm 이하, 약 8nm 이하, 약 7nm 이하, 약 6nm 이하, 약 5nm 이하, 약 4nm 이하, 약 3nm 이하, 약 2nm 이하 또는 약 1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면 위상차는 다른 예시에서 약 0nm 이상, 약 1nm 이상, 약 2nm 이상, 약 3nm 이상, 약 4nm 이상, 약 5nm 이상, 약 6nm 이상, 약 7nm 이상, 약 8nm 이상, 약 9nm 이상, 또는 약 9.5nm 이상일 수 있다.
접착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은, 예를 들면, 2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절대값은 다른 예시에서 약 190nm 이하, 180nm 이하, 170nm 이하, 160nm 이하,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 nm 이하 또는 115 nm 이하일 수 있거나nm 이상, 0nm 이상, 10nm 이상, 20nm 이상, 30nm 이상, 40nm 이상, 50nm 이상, 60nm 이상, 70nm 이상, 80 nm 이상 또는 90 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상기 범위 내의 절대값을 가지는 한 음수이거나nm 이상, 양수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정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각각 상기 수식 1 및 2에서 두께(d), 지상축 방향 굴절률(nx), 진상축 방향 굴절률(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접착 필름의 두께(d), 지상축 방향 굴절률(nx), 진상축 방향 굴절률(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로 대체하여 계산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게 계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착 필름의 두께는 상기 외곽 기판(30)과 능동 액정층(1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 능동 액정층(10)과 편광자(2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 및 편광자(20)와 외곽 기판(3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일 수 있다.
접착 필름으로는, 영률(Young's modulus)이 0.1 내지 100 MPa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영률은, 예를 들면, ASTM D882에 규정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고, 해당 규격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필름을 재단하고, Stress-Strain curve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힘과 길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접착 필름이 상기와 같은 영률을 가지도록 선택되는 것에 의해 보다 우수한 내구성의 광학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200 μm 내지 600μm 정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접착 필름의 두께는 상기 외곽 기판(30)과 능동 액정 필름(1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 능동 액정 필름(10)과 편광자(2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 및 편광자(20)와 외곽 기판(30)의 사이의 접착 필름의 두께, 예를 들면 상기 양자간의 간격일 수 있다.
광학 디바이스는 또한, 버퍼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은, 상기 능동 액정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능동 액정 필름(10)의 양측에 버퍼층(50)이 존재하는 구조를 나타내지만, 상기 버퍼층(50)은 능동 액정 필름(10)의 일측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버퍼층은, 능동 액정 필름이 접착 필름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구조에서 층간 열팽창 계수의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완화하고, 보다 내구성이 있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버퍼층으로는, 영률(Young's modulus)이 1 MPa 이하인 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의 영률은 다른 예시에서 0.9 MPa 이하, 0.8 MPa 이하, 0.7 MPa 이하, 0.6 MPa 이하, 0.6 MPa 이하, 0.1 MPa 이하, 0.09 MPa 이하, 0.08 MPa 이하, 0.07 MPa 이하 또는 0.06 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다른 예시에서 약 0.001 MPa 이상, 0.002 MPa 이상, 0.003 MPa 이상, 0.004 MPa 이상, 0.005 MPa 이상, 0.006 MPa 이상, 0.007 MPa 이상, 0.008 MPa 이상, 0.009 MPa 이상, 0.01 MPa 이상, 0.02 MPa 이상, 0.03 MPa 이상, 0.04 MPa 이상, 또는 0.045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영률의 측정 방식은 전술한 접착 필름의 측정 방식과 같다.
버퍼층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전술한 영률을 나타내는 투명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계, 러버계 또는 규소계의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범위의 영률을 나타내어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압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는 수축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제에 의해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 중 어느 한 기판과 인접하여 존재하는 수축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인접하여 존재할 수도 있고, 양 기판 모두에 인접하여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1개의 수축성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1개의 수축성 필름은, 전술한 하부 외곽 기판에 인접하여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외곽 기판의 내측 또는 외측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외곽 기판의 내측은, 외곽 기판의 양 주표면 중에서 광학 디바이스에서 능동 액정 필름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외측은, 그 반대 주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수축성 필름과 외곽 기판의 사이에 접착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축성 필름은, 상기 외곽 기판의 전술한 내측 및/또는 외측 표면에 상기 접착 필름을 통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접착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캡슐화제로 적용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접착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접착 필름은, 전술한 폴리우레탄 접착 필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plastic Starch), 폴리아마이드 접착 필름, 아크릴계 접착 필름, 폴리에스테르 접착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접착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접착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필름 등일 수 있다.
도 7 내지 10은, 각각 하부 기판인 제 2 외곽 기판(302)에 인접하여 상기 수축성 필름(100)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7 및 8은, 상부 기판인 제 1 외곽 기판(301)과 제 2 외곽 기판(302)의 사이에 캡슐화제(40)로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10) 및/또는 편광자(20)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 2 외곽 기판(302)의 내측에 캡슐화제(40)를 형성하는 접착 필름에 의해 수축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며, 도 9 및 10은, 상부 기판인 제 1 외곽 기판(301)과 제 2 외곽 기판(302)의 사이에 캡슐화제(40)로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10) 및/또는 편광자(20)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 2 외곽 기판(302)의 외측에 접착 필름(401)에 의해 수축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축성 필름을 도입하는 것을 위해서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이나, 제조 후의 온도 변화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서도 캡슐화된 소자(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편광자)에 발생할 수 있는 음압을 최소화하고, 기포 등에 의해 White spot 등이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수축성 필름은, 적어도 임의의 방향에서 목적하는 저온 및/또는 고온 수축률을 나타내는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40℃에서의 수축률이 0.001% 내지 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수축률은, 0.005% 이상, 0.01% 이상,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 이상, 0.15% 이상, 0.2%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0.4% 이상, 0.45% 이상, 0.5% 이상, 0.55% 이상, 0.6% 이상, 0.65% 이상, 0.7% 이상, 0.75% 이상, 0.8% 이상, 0.85% 이상, 0.9% 이상, 0.95% 이상, 1% 이상, 1.05% 이상, 1.1% 이상, 1.15% 이상, 1.2% 이상, 1.25% 이상 또는 1.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률은 9.5% 이하, 9% 이하, 8.5% 이하,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5% 이하, 6% 이하, 5.5% 이하, 5% 이하,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3% 이하, 2.5, 2%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90℃에서의 수축률이 0.001% 내지 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수축률은, 0.005% 이상, 0.01% 이상,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0.05% 이상, 0.06% 이상, 0.07% 이상, 0.08% 이상, 0.09% 이상, 0.1% 이상, 0.15% 이상, 0.2%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0.4% 이상, 0.45% 이상, 0.5% 이상, 0.55% 이상, 0.6% 이상, 0.65% 이상, 0.7% 이상, 0.75% 이상, 0.8% 이상, 0.85% 이상, 0.9% 이상, 0.95% 이상, 1% 이상, 1.05% 이상, 1.1% 이상, 1.15% 이상, 1.2% 이상, 1.25% 이상 또는 1.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률은 9.5% 이하, 9% 이하, 8.5% 이하,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5% 이하, 6% 이하, 5.5% 이하, 5% 이하,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3% 이하, 2.5, 2%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40℃에서의 수축률 및 90℃에서의 수축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이다.
또한, 상기 각 수축률은 수축성 필름의 임의의 어느 한 방향에서의 수축률일 수 있으며, 일 예시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의 모든 방향에서 확인되는 수축률 중에서 가장 큰 수축률 혹은 가장 작은 수축률이거나, 상기 모든 방향에서의 수축률의 평균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축성 필름이 후술하는 연신 고분자 필름인 경우, 상기 수축률은, 소위 MD(Mechanical Direction) 방향에서의 수축률이거나, TD(Transverse Direction) 방향에서의 수축률일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상기 수축률을 나타내는 방향이 소정 방항이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축성 필름은, 전술한 배향막의 배향 방향 혹은 광학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상기 수축성 필름의 상기 수축률을 나타내는 방향이 -30도 내지 30도의 범위 내, -25도 내지 25도의 범위 내, -20도 내지 20도의 범위 내, -15도 내지 15도의 범위 내, -10도 내지 10도의 범위내 혹은 -5도 내지 5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혹은 대략 평행하도록 광학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거나, 혹은 전술한 배향막의 배향 방향 혹은 광학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상기 수축성 필름의 상기 수축률을 나타내는 방향이 60도 내지 120도의 범위 내, 65도 내지 115도의 범위 내, 70도 내지 110도의 범위 내, 75도 내지 105도의 범위 내,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내 혹은 85도 내지 95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거나, 혹은 대략 수직하도록 광학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수축성 필름으로는 상기와 같은 수축률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공지의 연신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연신 고분자 필름은, 연신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고온 조건 및/또는 저온 조건에서 수축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 경우 수축률은, 제조 과정에서의 연신 배율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출원에서는 공지의 수축성 필름 중에서 상기와 같은 수축률을 나타내는 필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연신 고분자 필름인 수축성 필름의 예로는, DAC(diacetyl cellulose) 필름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 고분자 필름; 노르보르넨 유도체 필름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필름이나, PE(polyethylene)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필름이나 Pac(Polyacrylate) 필름 등의 아크릴 고분자 필름; PC(polycarbonate) 필름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PVA(polyvinyl alcohol) 필름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열의 필름; PES(poly(ether sulfone)) 필름; PEEK(polyetheretherketon) 필름; PPS(polyphenylsulfone) 필름; PEI(polyetherimide) 필름; PEN(polyethylenemaphthatlate) 필름; PI(polyimide) 필름; PSF(polysulfone) 필름; PAR(polyarylate) 필름 또는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축성 필름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전술한 수축률을 나타내는 필름 중에서 목적하는 광학 디바이스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정한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 외에도 필요한 임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위상차층, 광학 보상층, 반사 방지층, 하드코팅층 등의 공지의 구성을 적절한 위치에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적용되는 상기와 같은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 1 외곽 기판; 상기 제 1 외곽 기판과 대향 배치되어 있는 제 2 외곽 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제(상기 접착 필름)에 의해 캡슐화되는 상기 능동 액정 필름 및/또는 상기 편광자, 상기 캡슐화제를 형성하는 접착 필름이나 수축성 필름을 외곽 기판에 부착하는 접착 필름 및 상기 수축성 필름을 원하는 구조에 따라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층체를 적절한 합착 공정,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 적용하여 캡슐화를 완료하고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의 조건은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적용된 접착 필름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 및 압력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통상의 오토클레이트 공정의 온도는 약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 이상이며, 압력은 2기압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정 온도의 상한은 약 200℃ 이하, 190℃ 이하, 180℃ 이하 또는 170℃ 이하 정도일 수 있고, 공정 압력의 상한은 약 10기압 이하, 9기압 이하, 8기압 이하, 7기압 이하 또는 6기압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학 디바이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선글라스나 AR(Argumented Reality) 또는 VR(Virtual Reality)용 아이웨어(eyewear) 등의 아이웨어류, 건물의 외벽이나 차량용 선루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그 자체로서 차량용 선루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상기 광학 디바이스 또는 차량용 선루프를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외곽 기판의 곡률 또는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그 중에서 곡률 반경이 더 작은 기판, 즉 곡률이 더 큰 기판이 보다 중력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투과율의 가변이 가능한 광학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광학 디바이스는, 선글라스나 AR(Argumented Reality) 또는 VR(Virtual Reality)용 아이웨어(eyewear) 등의 아이웨어류, 건물의 외벽이나 차량용 선루프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6은 본 출원의 광학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은, 수축성 필름이 적용된 광학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수축률의 측정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수축성 필름의 수축률은 TA社의 DMA 장비(Q800)를 사용하여 하기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시편은, 폭이 약 5.3 mm이고, 길이가 약 10 mm가 되도록 제작하고, 상기 시편의 길이 방향의 양 말단을 측정 장비의 클램프에 고정한 후에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시편의 길이 10 mm는 클램프에 고정되는 부위를 제외한 길이이다. 상기와 같이 시편을 클램프에 고정한 후에 controlled force mode로 preload force 0.01N, 승온 속도 3.00℃/min 혹은 감온 속도 -3.00℃/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40℃에서 30분 유지된 후의 시편의 길이(L-40) 및 초기 길이(LO=10mm)를 통해 -40℃ 수축율(100Х(L-40-LO)/LO)을 측정하였고, 90℃에서 30분 유지된 후의 시편의 길이(L90) 및 초기 길이(LO=100) 측정 온도로 -40℃ 수축율(100Х(L90-LO)/LO)을 구하였다.
<측정 온도 조건 및 시간>
온도: 25℃ start → 90℃ (30분 유지) → 25℃ (30분 유지) → -40℃ (30분 유지) → 25℃ (30분 유지)
실시예 1.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에는 하기의 구성을 사용하였다.
능동 액정 필름: 게스트-호스트 능동 액정 필름(셀갭: 약 12㎛, 기재 필름 종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액정/염료 혼합물 종류: Merck社의 MAT-16-969 액정과 이방성 염료(BASF社, X12)의 혼합물),
편광자: PVA(polyvinylalcohol)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
제 1 외곽 기판: 두께 3.85 mm, 곡률: 2400R인 glass 기판
제 2 외곽 기판: 두께 0.55 mm, 곡률 2400R인 glass 기판
캡슐화제(접착 필름):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접착 필름(두께: 약 0.38 mm, 제조사: Argotec사, 제품명: ArgoFlex)
캡슐화제(OCA): 3M社, 8146-5
수축성 필름: 연신 PVA계 편광 필름(MD(Mechanical Direction) 고온(90℃) 수축률: 1.32%, MD(Mechanical Direction) 저온(-40℃) 수축률: 1.32%, TD(Transverse Direction) 고온(90℃) 수축률: 0.17%, TD(Transverse Direction) 저온(-40℃) 수축률: 0.31%)
상기 수축성 필름, 상기 TPU 접착 필름, 상기 제 2 외곽 기판, 상기 OCA 캡슐화제, 상기 능동 액정 필름, 상기 TPU 접착 필름 및 상기 제 1 외곽 기판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층체의 제작 시에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볼록부가 모두 상부로 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수축성 필름(연신 PVA계 편광 필름)의 MD 방향이 액정 배향막의 배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적층체를 약 100℃의 온도 및 2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하여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수축성 필름,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실시예 1의 제 2 외곽 기판,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능동 액정 필름,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및 실시예 1의 제 1 외곽 기판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층체의 제작 시에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볼록부가 모두 상부로 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수축성 필름(연신 PVA계 편광 필름)의 MD 방향이 상기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의 광흡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적층체를 약 100℃의 온도 및 2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하여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축성 필름,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실시예 1의 제 2 외곽 기판,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능동 액정 필름,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및 실시예 1의 제 1 외곽 기판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층체의 제작 시에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볼록부가 모두 상부로 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적층체 제작시에는 수축성 필름으로서, 2측 연신 PET(poly(ethylene terephtalante)) 필름으로서, MD(Mechanical Direction) 방향 고온(90℃) 수축률이 0.51%이고, MD(Mechanical Direction) 방향 저온(-40℃) 수축률이 0.97%이며, TD(Transverse Direction) 방향 고온(90℃) 수축률이 0.51%이고, TD(Transverse Direction) 저온(-40℃) 수축률이 0.97%인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연신 PET 필름)의 MD 방향이 상기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의 광흡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적층체를 약 100℃의 온도 및 2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하여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축성 필름,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실시예 1의 제 2 외곽 기판,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능동 액정 필름, 실시예 1의 OCA 캡슐화제, 실시예 1의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 실시예 1의 TPU 접착 필름 및 실시예 1의 제 1 외곽 기판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층체의 제작 시에는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볼록부가 모두 상부로 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적층체 제작시에는 수축성 필름으로서, 1측 연신 PET(poly(ethylene terephtalante)) 필름으로서, MD(Mechanical Direction) 방향 고온(90℃) 수축률이 0.51%이고, MD(Mechanical Direction) 방향 저온(-40℃) 수축률이 0.97%이며, TD(Transverse Direction) 방향 고온(90℃) 수축률이 0.01%이고, TD(Transverse Direction) 저온(-40℃) 수축률이 0.01%인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상기 수축성 필름(연신 PET 필름)의 MD 방향이 상기 PVA계 선형 흡수형 편광자의 광흡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적층체를 약 100℃의 온도 및 2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수행하여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수축성 필름을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축성 필름을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수축성 필름을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광학 디바이스를 제조하였다.
기포 발생 여부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디바이스의 오목한 부위의 중심부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support)한 후에 히트 테스트(Heat Test)에 이어서 사이클링 테스트(Cylcing Test)를 진행한 후 상온에서 35일 정도 보관하여 기포에 의한 White spot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히트 테스트는, 상기 광학 디바이스를 100℃에서 168 시간 동안 유지하여 수행하였고, 사이클링 테스트 조건은 하기와 같다.
<사이클링 테스트 조건>
1 사이클 = 25℃ → 90℃ (4 시간 유지) → -40℃ (4 시간 유지) → 25℃
온도 변화 속도: 승온 1℃/분, 감온 -1℃/분
측정 습도(상대 습도): 90%
반복 횟수: 상기 1 사이클을 10회 반복(10 cycle)
상기 각각의 경우, White spot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1에서 P는 White spot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F는 White spot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히트테스트 사이클링테스트
실시예 1 P P
실시예 2 P P
실시예 3 P P
실시예 4 P P
비교예 1 F F
비교예 2 F F
비교예 3 F F

Claims (16)

  1. 제 1 외곽 기판; 상기 제 1 외곽 기판과 대향 배치되어 있는 제 2 외곽 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제에 의해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 또는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 중 어느 한 기판과 인접하여 존재하는 수축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학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사이에서 캡슐화제에 의해 캡슐화된 능동 액정 필름 및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은, 제 1 또는 제 2 외곽 기판의 내측 또는 외측에 존재하는 광학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과 외곽 기판의 사이에 접착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학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접착 필름은, 폴리우레탄 접착 필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plastic Starch), 폴리아마이드 접착 필름, 아크릴계 접착 필름, 폴리에스테르 접착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접착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접착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필름인 광학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은, -40℃에서의 수축률이 0.001% 내지 10%의 범위 내인 광학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은, 90℃에서의 수축률이 0.001% 내지 10%의 범위 내인 광학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은, 연신 고분자 필름인 광학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성 필름은 셀룰로오스 고분자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아크릴 고분자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계열의 필름; PES(poly(ether sulfone)) 필름; PEEK(polyetheretherketon) 필름; PPS(polyphenylsulfone) 필름; PEI(polyetherimide) 필름; PEN(polyethylenemaphthatlate) 필름; PI(polyimide) 필름; PSF(polysulfone) 필름; PAR(polyarylate) 필름 또는 불소 수지 필름인 광학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곡면 기판인 광학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은 모두 곡면 기판인 광학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곡률의 차이가 10% 이내인 광학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은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광학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곽 기판의 곡률 반경은, 각각 100R 이상인 광학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화제는 능동 액정 필름 또는 편광자 각각의 상부 및 하부와 모든 측면에 존재하는 광학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화제는 폴리우레탄 접착 필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plastic Starch), 폴리아마이드 접착 필름, 아크릴계 접착 필름, 폴리에스테르 접착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접착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접착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필름인 광학 디바이스.
KR1020180105602A 2018-09-04 2018-09-04 광학 디바이스 KR1024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02A KR102477378B1 (ko) 2018-09-04 2018-09-04 광학 디바이스
JP2021508295A JP7206523B2 (ja) 2018-09-04 2019-09-03 光学デバイス
US17/272,997 US11372290B2 (en) 2018-09-04 2019-09-03 Optical device
EP19857588.8A EP3848737A4 (en) 2018-09-04 2019-09-03 OPTICAL DEVICE
PCT/KR2019/011278 WO2020050572A1 (ko) 2018-09-04 2019-09-03 광학 디바이스
CN201980055971.7A CN112601991B (zh) 2018-09-04 2019-09-03 光学装置
TW108131641A TWI710808B (zh) 2018-09-04 2019-09-03 光學元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02A KR102477378B1 (ko) 2018-09-04 2018-09-04 광학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74A true KR20200027374A (ko) 2020-03-12
KR102477378B1 KR102477378B1 (ko) 2022-12-14

Family

ID=6972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02A KR102477378B1 (ko) 2018-09-04 2018-09-04 광학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2290B2 (ko)
EP (1) EP3848737A4 (ko)
JP (1) JP7206523B2 (ko)
KR (1) KR102477378B1 (ko)
CN (1) CN112601991B (ko)
TW (1) TWI710808B (ko)
WO (1) WO202005057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2327B2 (ja) * 1988-07-14 1998-02-10 旭硝子株式会社 補強液晶光学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調光装置
KR20060050706A (ko) * 2004-08-26 2006-05-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모두 위상차필름을 이용하는 광학 필름,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02769A (ko) * 2013-05-02 2016-01-08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헤드 장착형 광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60088741A (ko) * 2015-01-16 2016-07-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기재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3394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873A (ja) 2002-08-30 2004-03-25 Asahi Glass Co Ltd 調光窓
JP4218941B2 (ja) 2003-02-25 2009-0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83839A (ja) 2004-03-29 2005-10-13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0407000C (zh) 2004-09-29 2008-07-30 日东电工株式会社 液晶面板和液晶显示装置
JP2006106079A (ja) 2004-09-30 2006-04-2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7004085A (ja) 2005-06-27 2007-01-11 Asahi Glass Co Ltd 調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2210A (ja) 2005-09-12 2007-04-19 Asahi Glass Co Ltd 調光装置
JP2007279127A (ja) 2006-04-03 2007-10-25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液晶テレビ、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09100A (ja) * 2007-05-31 2009-01-1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
JP4175431B1 (ja) * 2007-09-21 2008-11-0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包装体、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128265A (ja) 2008-11-28 2010-06-10 Hayashi Telempu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ィスプレイ
JP2010210984A (ja) 2009-03-11 2010-09-24 Seiko Epson Corp 光学素子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5064530B2 (ja) 2010-04-28 2012-10-31 株式会社正興電機製作所 調光素子及び調光構造体
JP2012159695A (ja) * 2011-02-01 2012-08-23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For Advanced Display Materials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EP2877883B1 (en) * 2012-07-26 2017-08-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de-bondable optical articles
JP2015227974A (ja) *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6126130A (ja) * 2014-12-26 2016-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6218304A (ja) * 2015-05-22 2016-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6638239B2 (ja) * 2015-07-30 2020-01-2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DE102015009720A1 (de) 2015-07-31 2017-02-02 Gentherm Gmbh Klimatisier-Einrichtung für einen Sitz
JP2017065945A (ja) 2015-09-28 2017-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KR102258279B1 (ko) * 2015-12-02 2021-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8071714A1 (en) * 2016-10-12 2018-04-19 Akonia Holographics, Llc Spatially varying skew mirrors
KR101941118B1 (ko) 2016-11-25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필름셀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2327B2 (ja) * 1988-07-14 1998-02-10 旭硝子株式会社 補強液晶光学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調光装置
KR20060050706A (ko) * 2004-08-26 2006-05-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모두 위상차필름을 이용하는 광학 필름,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02769A (ko) * 2013-05-02 2016-01-08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헤드 장착형 광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60088741A (ko) * 2015-01-16 2016-07-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기재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3394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572A1 (ko) 2020-03-12
US20210325706A1 (en) 2021-10-21
CN112601991B (zh) 2023-03-31
JP7206523B2 (ja) 2023-01-18
KR102477378B1 (ko) 2022-12-14
US11372290B2 (en) 2022-06-28
TW202016584A (zh) 2020-05-01
TWI710808B (zh) 2020-11-21
EP3848737A1 (en) 2021-07-14
EP3848737A4 (en) 2021-10-27
JP2021536035A (ja) 2021-12-23
CN112601991A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398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41634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36102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18359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71277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66469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41637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83706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83673B1 (ko)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486855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477378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184392B1 (ko) 광학 디바이스
KR20200019350A (ko) 광학 디바이스
KR102354934B1 (ko) 광학 디바이스
KR102411602B1 (ko)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200103445A (ko)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및 광학 디바이스
KR20200103446A (ko)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및 광학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