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218A -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218A
KR20200027218A KR1020180105256A KR20180105256A KR20200027218A KR 20200027218 A KR20200027218 A KR 20200027218A KR 1020180105256 A KR1020180105256 A KR 1020180105256A KR 20180105256 A KR20180105256 A KR 20180105256A KR 20200027218 A KR20200027218 A KR 2020002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dhesive sheet
weight
adhesive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295B1 (ko
Inventor
이상우
김진혁
백영빈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녹스첨단소재 filed Critical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to KR102018010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95B1/ko
Priority to CN201910826883.4A priority patent/CN110878191B/zh
Priority to JP2019161271A priority patent/JP6880129B2/ja
Publication of KR2020002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72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Adhesive sheet for display and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로는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대표적이다.
유기발광소자는 빠른 응답속도와 경박단소, 저소비전력, 자발광소자, 유연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소자,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조명 등에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유리기판 상에 투명전극,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금속전극의 순서로 증착되어 형성되며 양쪽 전극에서 공급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발광층에서 재결합하며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발광하는 원리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외부의 수분과 산소 또는 자외선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열화 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시키는 패키징(packaging) 기술이 중요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얇게 제조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시트을 포함하는데,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는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KR 10-0252953 B1(등록일: 2000.01.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주제수지 및 25℃에서 고상이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갖는 질소 오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를 구비하는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한 겔분율(gel fraction)이 50 ~ 88%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단, 상기 수학식 1에서 용해 후 점착층 무게는, 용해 전 점착층을 소정의 무게로 채취하여 200 메쉬(mesh)가 채취한 점착층을 감싸도록 형성시킨 후 메틸에틸케톤(MEK)에 넣고 40℃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방치한 뒤, MEK로 3회 헹군 후 메쉬에 있는 잔여 점착층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측정한 무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4의 직쇄형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FSO2)2N-, (CF3SO2)(CF3CO)N- 및 N(SO2F)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또한, 상기 조성물은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대전방지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1,0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를 0.02 ~ 0.3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PET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적어도 일면이 대전방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에 의해 점착되고, 일면이 대전방지 처리된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 필름은 하면이 실리콘 이형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이형 필름 간의 이형력이 1 ~ 7 gf/in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투과율이 88% 이상일 수 있고, 헤이즈(Haze)가 0.5 ~ 2.0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력이 1,300 gf/in 이상일 수 있다.
[측정방법]
베이스 필름을 글래스(glass)에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초당 5mm의 속도로 180° 박리시킬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는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의 분리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단면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22) 및, 상기 기재(12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층(121)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1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20)은 디스플레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디스플레이의 하부를 보호하며 장치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122) 및, 상기 기재(12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층(121)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때, 상기 점착층(121)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한 겔분율(gel fraction)이 50 ~ 88%이고, 바람직하게는 65 ~ 84%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단, 상기 수학식 1에서 용해 후 점착층 무게는, 용해 전 점착층을 소정의 무게로 채취하여 200 메쉬(mesh)가 채취한 점착층을 감싸도록 형성시킨 후 메틸에틸케톤(MEK)에 넣고 40℃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방치한 뒤, MEK로 3회 헹군 후 메쉬에 있는 잔여 점착층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측정한 무게를 나타낸다.
만일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한 겔분율이 50% 미만이면 점착층의 흐름성이 높아지고,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점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겔분율이 88%를 초과하면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벤딩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21)은 주제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주제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층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주제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 ~ 800,00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주제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미만이면 점착제의 유연성, 피착재와의 젖음성, 점착력 및 벤딩성능이 우수하지만, 응집력 감소로 인한 박리 시 점착층 파괴가 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을 초과하면 응집력과 점착력 유지에 우수하지만, 일정 분자량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감소할 수 있고 단단한 점착층 형성으로 피착재와의 젖음성과 벤딩성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25℃에서 고상인 대전방지제로, 상기 대전방지제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음이온성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가 25℃에서 고상인 대전방지제임에 따라, 베이스 필름(120)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적절한 표면저항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양이온성 염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갖는 질소 오늄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4의 직쇄형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의 음이온성 염은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FSO2)2N-, (CF3SO2)(CF3CO)N- 및 N(SO2F)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F6 -, BF4 -, I- 및 (CF3SO2)2N-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상기 조성물은 상기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대전방지제를 0.01 ~ 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1 ~ 4.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대전방지제가 0.01 중량부 미만이면 전기적 단락이 발생할 수 있고, 박리대전압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베이스 필름(120)의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 점착력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통상적으로 충분한 점착력을 나타내는 점착층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경화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 0.3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1 ~ 0.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층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경화되지 않을 수 있고, 겔분율이 저하됨에 따라 점착층의 흐름성이 높아지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점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경화제가 0.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층이 과경화되어, 겔분율이 포화됨에 따라 점착력 및 벤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 반응된 경화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121)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점착시트에 포함되는 점착층의 두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2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22)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점착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T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22)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점착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기재의 두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0 ~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3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필름(120)에 포함되는 기재(122)는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면이, 바람직하게는 하면이 대전방지 처리될 수 있다. 대전 방지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120)은 투과율이 88% 이상,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이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이 9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120)은 헤이즈가 0.5 ~ 2%, 바람직하게는 0.7 ~ 1.5%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20)의 점착력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충분히 높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필름은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력이 1,300 gf/i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착력이 1,400 gf/in 이상일 수 있다.
[측정방법]
베이스 필름을 글래스(glass)에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초당 5mm의 속도로 180° 박리시킬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만일 상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베이스 필름(120)의 점착력이 1,300 gf/in 미만이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20)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는, 상기 점착층(12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121)에 의해 점착되고, 일면이 대전방지 처리된 이형 필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110)은 베이스 필름(120)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디스플레이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적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형 필름(110)을 가장 먼저 박리한 후 디스플레이에 베이스 필름(120)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이형 필름(110)의 이형력은 1 ~ 7 gf/in, 바람직하게는 2 ~ 6 gf/in일 수 있다. 만일 이형 필름(110)의 이형력이 1 gf/in 미만이면 이형필름이 베이스 필름(120)에서 작은 물리적 자극에도 과도하게 박리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120)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없고, 이형력이 7 gf/in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에 적용 시 박리가 용이하지 않아서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음에 따라 적절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형 필름(110)이 상술한 바와 같은 이형력을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이형 필름(110)의 하면을 이형처리(A) 할 수 있다. 상기 이형처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형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이형처리 하는 것이 적정 수준의 이형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110)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면이, 바람직하게는 상면과 하면이 대전방지 처리될 수 있다. 대전 방지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11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형 필름에 사용하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T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 필름(110)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점착시트에 사용될 수 있는 이형 필름의 두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30 ~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8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는 기재(122)의 상부면에 주제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가점착층을 형성시킨 기재(122)의 상부면에 이형 필름(110)을 합지하고 가점착층을 경화시켜서, 합지된 이형 필름(110) 및 베이스 필름(12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기재(122)의 상부면에 주제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조성물은 주제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경화제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아민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및 퓨란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아민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및 에테르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케톤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 5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 가점착층을 형성시킨 기재(122)의 상부면에 이형 필름(110)을 합지하고 가점착층을 경화시켜서, 합지된 이형 필름(110) 및 베이스 필름(120)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점착층을 형성시킨 기재(122)의 상부면에 이형 필름(110)을 합지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또는 조건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합지 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경화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착층 형성을 위한 경화 조건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 80℃에서 30 ~ 60 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에서 40 ~ 55 시간 동안 경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여 구현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 필름(120")은 디스플레이(300)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층(121") 및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기재(122")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120")을 포함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하부를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는 대전방지 처리를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흐름성이 낮으며, 합착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점착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벤딩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단차가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감소율이 낮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주제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0이고,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비닐 아세테이트가 랜덤 공중합된 공중합체를, 상기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로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0.22중량부, 대전방지제로 25℃에서 고상인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4.25 중량부 및 용매로 메틸 에틸 케톤 39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두께 75㎛의 PET 기재의 하부면에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를 하부면에 박막 도포하여 대전방지 처리한 기재의 상부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점착층을 형성하고, 두께 75㎛의 PET 기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를 박막 도포하여 대전방지 처리하고, 하부면에 실리콘 이형제를 박막 도포하여 실리콘 이형처리한 이형 필름의 하부면과 가점착층이 맞닿도록 배치시킨 후 상온에서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50℃에서 48시간 동안 경화시켜서, 두께 14㎛의 점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면에 적층된 이형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실시예 2 ~ 11 및 비교예 1 ~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주제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 경화제의 함량 및 대전방지제 함량 등을 변경하여,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대전방지제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25℃에서 액상인 N-헥실-4-메틸피리디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hex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CAS no. 929897-32-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0
<비교예 4 ~ 7>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25℃에서 액상인 대전방지제의 함량 등을 변경하여 표 3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1. < 점착층의 겔분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대하여, 점착층 무게 0.2g을 채취하여 200 메쉬(mesh)에 넣고 감싸준다. 그리고 메틸에틸케톤(MEK)이 담긴 500ml PE 버틀에 점착층을 감싼 메쉬(mesh)를 넣고 40℃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메쉬(mesh)를 메틸에틸케톤(MEK)으로 3회 헹구어준다. 이후 메쉬에 있는 잔여 점착층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여 메틸에틸케톤(MEK)을 완전히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겔분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1
2. 이형 필름 이형력 , 베이스 필름 점착력 및 박리대전압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1인치 폭으로 재단한 후 초당 40mm의 속도로 180°로 박리시켜 이형 필름 이형력을 측정하였고,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1인치 폭으로 재단하여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표면을 세정한 Glass에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초당 5mm의 속도로 180°로 박리 시켜 점착층의 점착력을 측정하였으며,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를 100×100 mm로 재단한 후 초당 80mm의 속도로 180°로 이형 필름을 박리시켜서 점착층의 박리대전압(V)을 측정하였다. 이를 5회 반복 수행하여 평균 값이 0.05kV 이하인 경우 - ○, 0.05kV를 초과하는 경우 - ×로 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3.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점착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의 베이스 필름을 디스플레이 하부에 상온에서 롤 라미네이터로 부착한 다음, 24시간 경과시킨 후 온도 60℃ 및 상대습도 90%의 조건하에 500시간 동안 방치하여 부착된 하부 점착시트에 박리 현상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 ○,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 ×로 하여 베이스 필름 점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4. 고온, 고습 조건 방치 후 점착력 변화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의 베이스필름을 무알칼리 글래스(Non-alkali glass)에 부착하고, 온도 60℃ 및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 후 상온에서 충분히 방치시킨 후 베이스필름을 초당 5mm의 속도 및 180°로 박리 시켜 점착층의 점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초기 점착력을 100%로 기준하여, 이에 대한 점착력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점착력 변화율이 ± 20% 범위를 만족할 경우 - ○, 만족하지 못할 경우 - ×로 하였다. 이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5.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에 대하여, glass에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을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100g 무게의 구형 추를 높이 10cm에서 베이스 필름 면으로 낙하시켰을 경우 점착층과 glass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 ○, 기포가 발생할 경우 - ×로 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6. 벤딩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베이스 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부착하고 가로×세로 25mm×150mm로 절단한 후, 베이스 필름을 부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양 끝단이 맞닿도록 위치시켜 곡률 반경 3R로 설정하여 10000회 수행한 후, 아무런 이상도 없는 경우 - ○, 베이스 필름 내 층간 박리 및/또는 피착면과의 박리 등 어떠한 이상이라도 발생하는 경우 - ×로 하여 벤딩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조성물 주제수지 중량평균
분자량
600,000 100,000 400,000 800,000 1,200,000 600,000
경화제 함량
(중량부)
0.22 0.22 0.22 0.22 0.22 0.1
대전방지제 종류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함량
(중량부)
4.25 4.25 4.25 4.25 4.25 4.25
점착층의 겔분율(%) 78 66 77 78 76 65
이형 필름 이형력(gf/in) 3.5 8.3 4.5 3.7 2.6 5.9
베이스필름 점착력(gf/in) 1489 506(파괴) 1373 1604 1094 1852
점착층의 박리대전압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점착성능 평가 × ×
고온고습조건 방치 후 점착력 변화율(%) × ×
내충격성 평가 ×
벤딩성능 평가 × ×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비교예
1
조성물 주제수지 중량평균
분자량
600,000 600,000 600,000 600,000 600,000 600,000
경화제 함량
(중량부)
0.3 0.22 0.22 0.22 0.22 0.005
대전방지제 종류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화학식3
함량
(중량부)
4.25 0.005 0.5 2 7 4.25
점착층의 겔분율(%) 84 81 81 80 74 34
이형 필름 이형력(gf/in) 3.0 8.2 5.9 3.4 0.8 10.2
베이스필름 점착력(gf/in) 1312 1712 1665 1589 550 1989(파괴)
점착층의 박리대전압 ×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점착성능 평가 × ×
고온고습조건 방치 후 점착력 변화율(%) × ×
내충격성 평가 ×
벤딩성능 평가 ×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조성물 주제수지 중량평균
분자량
600,000 600,000 600,000 600,000 600,000 600,000
경화제 함량
(중량부)
0.5 0.22 0.22 0.22 0.22 0.22
대전방지제 종류 화학식3 화학식4 화학식4 화학식4 화학식4 화학식4
함량
(중량부)
4.25 4.25 0.005 0.5 2 7
점착층의 겔분율(%) 89 79 82 81 80 76
이형 필름 이형력(gf/in) 0.9 1.3 9.1 7.2 9.4 13.8
베이스필름 점착력(gf/in) 753 613 1521 1410 1202 490
점착층의 박리대전압 × ×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점착성능 평가 × × × ×
고온고습조건 방치 후 점착력 변화율(%) × × × ×
내충격성 평가
벤딩성능 평가 × ×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주제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 경화제의 함량, 대전방지제의 종류 및 함량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3, 4, 6, 7, 9 및 10이, 이 중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5, 8, 11 및 비교예 1 ~ 7에 비하여 이형 필름의 이형력이 적절하고, 베이스필름의 점착력,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의 점착성능 평가 결과가 우수하며, 내충격성 및 벤딩성능이 우수한 동시에 고온 및 고습 조건 방치 후에도 점착력의 변화율이 낮은 효과를 모두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111: 이형 필름 120,120',120": 베이스 필름
121,121',121": 점착층 122,122',122": 기재
300: 디스플레이

Claims (17)

  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주제수지 및 25℃에서 고상이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갖는 질소 오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를 구비하는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한 겔분율(gel fraction)이 50 ~ 88%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수학식 1]
    Figure pat00012

    단, 상기 수학식 1에서 용해 후 점착층 무게는, 용해 전 점착층을 소정의 무게로 채취하여 200 메쉬(mesh)가 채취한 점착층을 감싸도록 형성시킨 후 메틸에틸케톤(MEK)에 넣고 40℃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방치한 뒤, MEK로 3회 헹군 후 메쉬에 있는 잔여 점착층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측정한 무게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4의 직쇄형 또는 C3 ~ C5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화학식 2]
    Figure pat0001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FSO2)2N-, (CF3SO2)(CF3CO)N- 및 N(SO2F)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염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화학식 3]
    Figure pat00015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대전방지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1,000,000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주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를 0.02 ~ 0.35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PET 기재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적어도 일면이 대전방지 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에 의해 점착되고, 일면이 대전방지 처리된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하면이 실리콘 이형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이형 필름 간의 이형력이 1 ~ 7 gf/in 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투과율이 88% 이상이고, 헤이즈(Haze)가 0.5 ~ 2 %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력이 1,300 gf/in 이상인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측정방법]
    베이스 필름을 글래스(glass)에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초당 5mm의 속도로 180° 박리시킬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0180105256A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5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56A KR102152295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201910826883.4A CN110878191B (zh) 2018-09-04 2019-09-03 显示器用粘结片及包括其的显示器
JP2019161271A JP6880129B2 (ja) 2018-09-04 2019-09-04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56A KR102152295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18A true KR20200027218A (ko) 2020-03-12
KR102152295B1 KR102152295B1 (ko) 2020-09-04

Family

ID=6972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256A KR102152295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0129B2 (ko)
KR (1) KR102152295B1 (ko)
CN (1) CN110878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49B1 (ko) * 2018-10-29 2020-09-04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52241B1 (ko) * 2018-10-30 2020-09-04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635550B1 (ko) * 2021-03-26 2024-02-08 (주)이녹스첨단소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953B1 (ko) 1997-07-31 2000-04-15 구자홍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3129785A (ja) * 2011-12-22 2013-07-04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感圧式接着剤フィルム
KR20130123325A (ko) * 2012-05-02 2013-11-1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5006301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48B1 (ko) * 2005-11-30 2007-05-1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332315B2 (ja) * 2007-09-03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5882774B2 (ja) * 2012-02-13 2016-03-0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CN104781360B (zh) * 2012-12-17 2017-09-22 三菱化学株式会社 无基材双面粘接片
KR101314202B1 (ko) * 2013-01-08 2013-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WO2016059926A1 (ja) * 2014-10-14 2016-04-2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偏光板および積層体
JP6525726B2 (ja) * 2015-05-21 2019-06-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2094917B1 (ko) * 2018-07-31 2020-03-30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953B1 (ko) 1997-07-31 2000-04-15 구자홍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3129785A (ja) * 2011-12-22 2013-07-04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感圧式接着剤フィルム
KR20130123325A (ko) * 2012-05-02 2013-11-1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5006301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0129B2 (ja) 2021-06-02
CN110878191A (zh) 2020-03-13
CN110878191B (zh) 2022-07-15
KR102152295B1 (ko) 2020-09-04
JP2020037690A (ja)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917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1801690B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패널
JP6880129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101801689B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패널
JP6880130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102152249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52241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20072360A (ko)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KR102635555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090073062A (ko) 편광 필름용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편광 필름
KR102493256B1 (ko) Oled 패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
KR101492909B1 (ko) 투명 열전도성 필름
KR102240907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 시트
KR20090084777A (ko) 편광 필름용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편광 필름
KR20070093936A (ko) 편광 필름용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편광 필름
KR20230000621A (ko) Oled 패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
KR20230000622A (ko) Oled 패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
KR2019004742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필름
JP2022085840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14561159A (zh) 表面保护薄膜
KR20110020139A (ko)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KR20150129377A (ko) 도전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