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496A -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496A
KR20200026496A KR1020180104496A KR20180104496A KR20200026496A KR 20200026496 A KR20200026496 A KR 20200026496A KR 1020180104496 A KR1020180104496 A KR 1020180104496A KR 20180104496 A KR20180104496 A KR 20180104496A KR 20200026496 A KR20200026496 A KR 2020002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alary
payer
stor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18010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6496A/ko
Publication of KR2020002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여 제공사 회원 및 상기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을 회원으로 두고 가맹 판매점과 가맹 계약을 체결한 송금 중계사에 의해 운영되는 웹 서버가, 상기 송금 중계사가 배포한 급여 선사용 앱을 탑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인 결제자가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인 결제점에서 결제를 하였을 때 수행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PAYMENT METHOD BY USING AN ADVANCE ON SALARY AND STORE CODE}
본 발명은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매자로 하여금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로 물품/서비스 구매 대금을 먼저 결제할 수 있게 하되, 물품/서비스를 제공한 매장의 매장 코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제케 할 수 있는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대가로 지급하여야 하는 대금이 대부분 현금으로 결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오히려 현금 결제보다 카드 결제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는 IT 기술의 발달, 카드 소지의 편리함, 카드 사용으로 인한 절세 및 각종 혜택 등이 어우러진 결과라 볼 수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품/서비스 대금 결제용 카드는 크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구분될 수 있다.
신용카드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먼저 구매하고 나중에 선 구매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는 신용 거래에서 사용되는 카드이다.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한 경우,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 회사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공급자에게 결제액을 먼저 지불하고, 매월 지정된 날짜에 신용카드 사용자가 지정한 예금계좌로부터 한 달 간의 누적 결제액을 자동으로 지급받는다.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에서는 위와 같이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의 돈으로 먼저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므로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에게 빚을 지게 되는데, 그러면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에게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물론, 신용카드 회사는 신용카드 사용자의 신용도에 맞추어 신용카드 사용액의 한도를 설정해 놓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신용카드 사용자의 채무 불이행이 발생할 여지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실제로도 신용카드 사용자의 채무 불이행이 빈번하게 일어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체크카드를 이용한 상거래의 경우, 체크카드 사용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즉시 대금이 체크카드 사용자가 지정한 예금계좌로부터 공급자에게 지불된다. 즉, 체크카드 사용자는 자기 예금계좌의 잔액 범위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체크카드가 사용되면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신용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결제 한도가 제한적이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799호(카드 이용금약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앞서 본 바와 같이 신용카드는 결제 한도가 상대적으로 큰 반면 채무 불이행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체크카드는 채무 불이행의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으나 결제 한도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무 불이행의 위험 없이도 결제 한도 증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구매자로 하여금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를 물품/서비스 구매 대금으로 먼저 사용케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구매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매장에서 구매 대금을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기술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급여 제공사 회원 및 상기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을 회원으로 두고 가맹 판매점과 가맹 계약을 체결한 송금 중계사에 의해 운영되는 웹 서버가, 상기 송금 중계사가 배포한 급여 선사용 앱을 탑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인 결제자가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인 결제점에서 결제를 하였을 때 수행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위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은,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를 내포한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상기 결제 이벤트에서 입력받은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수신하거나,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 및 상기 결제액 모두를 내포한 변동형 매장 코드를 상기 결제 이벤트에서 입력받은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변동형 매장 코드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출금 계좌로부터 상기 결제자의 입금 계좌로 상기 결제액을 송금하여 줄 것을 상기 출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서버로 요청하는 결제액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 매장 코드는 상기 송금 중계사에 의해 생성되어 인쇄물에 인쇄된 후 상기 결제점에 비치된 것으로서,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이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활성화되는 카메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된다.
상기 변동형 매장 코드는 결제액을 입력받은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가 생성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이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활성화되는 카메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된다.
상기 웹 서버는, 가맹 판매점들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이면 "유지"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이면 "만료"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이면 "해지"로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웹 서버는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만료" 또는 "해지"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웹 서버는, 급여 소득자 회원들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이 사원 정보로 입력한 급여 소득자 회원의 퇴사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퇴사"로,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탈퇴"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선사용 한도를 초과하면 "초과 한도"로, 나머지의 경우에는 "유지"로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웹 서버는 상기 결제자의 상태가 "퇴사" 또는 "탈퇴" 또는 "한도 초과"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웹 서버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목록을 표시한 웹페이지를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제공하고, 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갱신하다가 급여일에는 위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모두의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한다.
상기 웹 서버는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결제액, 누적 결제액 및 월간 선사용 한도의 잔액을 포함하는 결제 처리 현황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은 상기 결제 처리 현황을 알리는 메시지가 매 결제 이벤트마다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여 소득자 회원이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를 가맹 판매점에서 먼저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가맹 판매점에서의 결제가 결제 수수료 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맹 판매점에서의 결제가 실행되기 전에 그 유효성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므로, 결제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여 제공사 회원 및 이에 소속된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현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을 수행하는 웹 서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급여 제공사의 회원 가입, 판매점 가맹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이 절차들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 급여 제공사의 회원 가입 >
급여 제공사가 자사 소속 급여 소득자의 복지 내지 편의를 위해 송금 중계사의 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우선 위 송금 중계사에 의해 운영되는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급여 제공사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이후, 급여 제공사는 "급여 제공사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정보 입력란들에 자사 정보[회사명, 회사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출금 계좌, 급여일, 아이디, 패스워드 등] 및 사원 정보[사원명, 사원 생년월일, 사원번호, 급여, 입사일, 퇴사일 등]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그러면 웹 서버(110)는 위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하고, 위 급여 제공사를 회원으로 등록한다(이하에서는 송금 중계사의 회원으로 등록된 급여 제공사를 "급여 제공사 회원"이라 함).
웹 서버(110)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급여 제공사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는데, 그러면 급여 제공사 회원은 회원 가입 이후라 하더라도 필요한 때마다 위 "급여 제공사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는 웹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
급여를 매월 정기적으로 받는 자인 급여 소득자가 송금 중계사의 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우선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이후, 급여 소득자는 위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정보 입력란들에 개인 정보(이름, 거주지 주소,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급여,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입력하고, 역시 위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제공된 급여 제공사 선택란에서 자신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를 선택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이때, 급여 소득자가 급여 제공사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웹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가 해당 선택란을 클릭하면 급여 제공사 회원들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급여 제공사 회원들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급여 소득자는 제공된 급여 제공사 회원들의 목록에서 자신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을 선택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검색 팝업창에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급여 제공사 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신청이 있으면, 웹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가 선택한 급여 제공사 회원의 사원들 중에 회원 가입을 신청한 급여 소득자와 일치하는 사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일 일치하는 사원이 있다면 급여 소득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이하에서는 카드사의 회원으로 등록된 급여 소득자를 "급여 소득자 회원"이라 함), 급여 소득자가 제공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이때, 웹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 회원의 급여에다가 미리 정해진 비율을 곱하여 급여보다 작은 월간 선사용 한도를 산출하고,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또한, 웹 서버(110)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에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직원들 중 급여 소득자 회원이 된 자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또한, 웹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도 제공하게 되는데, 그러면 급여 소득자 회원은 회원 가입 이후라 하더라도 필요한 때마다 위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 및 기 선택한 급여 제공사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정보는 카드사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한편, 급여 소득자는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위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 및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 수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여 소득자 회원은 송금 중계사가 배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인 "급여 선사용 앱"을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30)에 설치한 후, 위 "급여 선사용 앱"을 이용하여 물품/서비스 구매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급여 소득자는 "급여 선사용 앱"을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30)에 설치한 후 위 "급여 선사용 앱"을 통해서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 및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 수정을 할 수도 있다.
< 판매점 가맹 >
판매점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대가를 받고 제공하는 모든 업체를 의미한다. 송금 중계사는 다수의 판매점들과 "급여 선사용 앱"의 사용에 대한 가맹 계약을 맺어, 급여 소득자 회원의 편의를 도모한다.
송금 중계사와 가맹 계약을 맺은 가맹 판매점에 대한 가맹 정보[판매점 이름, 주소,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입금 계좌, 가맹 계약 기간, 가맹 계약 해지일 등]는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가맹 판매점 등록용 웹페이지"에 가맹 판매점이 직접, 또는 가맹 계약서를 보유한 송금 중계사가 접속하여, 신규로 입력하거나 기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110)는 "가맹 판매점 등록용 웹페이지"에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하고, 각 가맹 판매점들에게 고유 식별 코드(숫자 및 문자의 조합)를 부여한다.
한편, 가맹 판매점에는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앱"으로 결제할 때 사용될 매장 코드(예컨대, QR 코드 등)가 구비된다. 위 매장 코드의 구비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 매장 코드는 소정의 판에 인쇄된 고정형 매장 코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송금 중계사는 가맹 판매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정보로 포함된 고정형 매장 코드를 생성하여 위 판에 인쇄한 후 이 판을 우편 등의 방법으로 가맹 판매점에 발송한다. 그리고 가맹 판매점에는 고정형 매장 코드가 인쇄된 판이 비치된다.
위 매장 코드는 가맹 판매점의 고유 식별 코드뿐만 아니라 결제액까지 포함된 변동형 매장 코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맹 판매점의 포스 단말기(120)가 바코드 인식 등의 방법으로 결제액을 입력받은 후 위 결제액 및 가맹 판매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정보로 포함된 변동형 매장 코드를 매 결제 시마다 생성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위 포스 단말기(120)는 바코드 인식기,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결제 기능을 구비하는 점에 통상의 포스 단말기와 동일하고, 위 변동형 매장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추가로 탑재하고 있는 점에서 통상의 포스 단말기에 비해 차별적이다.
< 결제 이벤트 발생 >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급여 소득자 회원이 자기의 모바일 단말기(130)에서 실행한 "급여 선사용 앱"으로 가맹 판매점에서 결제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 및 급여 소득자 회원을 각각 결제점 및 결제자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매장 코드가 고정형 매장 코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매장 코드가 고정형 매장 코드인 경우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30)에서 "급여 선사용 앱"의 결제 기능을 실행하는데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130)의 카메라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이후, 결제자는 결제점에 비치된 고정형 매장 코드를 카메라로 인식시키는데, 그러면 "급여 선사용 앱"은 결제액 입력 화면을 제공한다. 그 다음 결제자는 결제액 입력 화면에 결제점이 자신의 포스 단말기(120)를 통해 제시한 결제액을 입력하고 "결제 완료" 아이콘을 눌러 결제를 완료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급여 선사용 앱"은 결제점의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웹 서버(11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매장 코드가 변동형 매장 코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매장 코드가 변동형 매장 코드인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점에서는 우선 바코드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해 포스 단말기(120)에 결제액이 입력된다. 이후,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120)는 입력받은 결제액 및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정보로 포함된 변동형 매장 코드를 생성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이후, 결제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30)에서 "급여 선사용 앱"의 결제 기능을 실행하고, 이때 결제자 모바일 단말기(130)의 카메라가 활성화된다. 그 다음 결제자는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120)에 표시된 변동형 매장 코드를 카메라로 인식시킨 후 "결제 완료" 아이콘을 눌러 결제를 완료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급여 선사용 앱"은 변동형 매장 코드를 웹 서버(110)로 전송한다.
< 결제 이벤트 이후의 과정 >
위와 같은 방식으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웹 서버(110)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S110),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S130) 및 결제액 처리 단계(S150)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위 각 단계를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결제 정보 수신 단계(S110)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웹 서버(110)가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매장 코드가 고정형 매장 코드인 경우 웹 서버(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하는데, 위 고정형 매장 코드에는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바, 위 결제 정보에는 결제액 및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매장 코드가 변동형 매장 코드인 경우 웹 버서(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동형 매장 코드를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하는데, 이 변동형 매장 코드에는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 및 결제액이 포함되어 있는바, 위 결제 정보에는 결제액 및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결제 이벤트 이후 웹 서버(110)가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하는 결제 정보에는 매장 코드의 유형과 무관하게 항상 결제액 및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된다.
(2)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S130)
카드사 서버(1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유효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의 용이성 내지 신속성을 위해 웹 서버(110)는 모든 가맹 판매점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매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위 "유지"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인 상태를, "만료"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인 상태를, "해지"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인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웹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유지" 상태이면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만료" 상태 및 "해지" 상태이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
웹 서버(110)는 결제자의 상태가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유효한 것인지도 확인한다.
이 확인의 용이성 내지 신속성을 위해 웹 서버(110)는 모든 급여 소득자 회원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매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위 "퇴사"는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이 사원 정보로 입력한 위 급여 소득자 회원의 퇴사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인 상태를, "탈퇴"는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인 상태를, "한도 초과"는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선사용 한도를 초과한 상태를, "유지"는 위 세 경우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웹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결제자의 상태가 "유지" 상태이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퇴사" 상태, "탈퇴" 상태 및 "한도 초과" 상태 중 어느 하나이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의 판단 결과에 따라 웹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의 유효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버(110)는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 및 결제자의 상태가 모두 "유지"인 경우에만 결제 이벤트가 유효인 것으로 판단하고 결제 승인 신호를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 또는 이에 더하여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120)로도 송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 이벤트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하고 결제 거부 신호를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 또는 이에 더하여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120)로도 송신한다.
(3) 결제액 처리 단계(S150)
결제 이벤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웹 서버(110)는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출금 계좌에서 결제자의 입금 계좌로 결제액을 송금하여 줄 것을 위 출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서버(140)로 요청한다. 이후, 위 은행의 서버(140)는 위 출금 게좌에서 위 입금 계좌로 결제액을 송금한다.
웹 서버(110)는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므로 결제자가 누구인지를 특정할 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112)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위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 및 이 급여 제공사 회원의 출금 계좌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결제 정보에는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웹 서버(110)는 이 고유 식별 코드와 데이터 베이스(112)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결제점의 입금 계좌도 특정할 수 있다.
(4) 결제액 처리 후 조치
결제액 처리가 이루어지고 나면 웹 서버(110)는 앞서 <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 부분에서 설명한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웹 서버(110)는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갱신한다. 그리고 급여일에 위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한다.
또한, 결제액 처리가 이루어지면, 웹 서버(110)는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 결제 처리 현황(결제액, 누적 결제액 및 월간 선사용 한도의 잔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하고, "급여 선사용 앱"은 위 결제 처리 현황(결제액, 누적 결제액 및 월간 선사용 한도의 잔액)을 알리는 메시지가 매 결제 이벤트마다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130)에 표시되도록 작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송금 중계사의 웹 서버 112 : 데이터베이스
120 : 가맹 판매점의 포스 단말기
130 :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 140 : 은행 서버
S110 : 결제 정보 수신 단계
S130 :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S150 : 결제액 처리 단계

Claims (7)

  1. 급여 제공사 회원 및 상기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을 회원으로 두고 가맹 판매점과 가맹 계약을 체결한 송금 중계사에 의해 운영되는 웹 서버가, 상기 송금 중계사가 배포한 급여 선사용 앱을 탑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인 결제자가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인 결제점에서 결제를 하였을 때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를 내포한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상기 결제 이벤트에서 입력받은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정형 매장 코드 및 결제액을 수신하거나,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 및 상기 결제액 모두를 내포한 변동형 매장 코드를 상기 결제 이벤트에서 입력받은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변동형 매장 코드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출금 계좌로부터 상기 결제자의 입금 계좌로 상기 결제액을 송금하여 줄 것을 상기 출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서버로 요청하는 결제액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매장 코드는 상기 송금 중계사에 의해 생성되어 인쇄물에 인쇄된 후 상기 결제점에 비치된 것으로서,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이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활성화되는 카메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형 매장 코드는 결제액을 입력받은 결제점의 포스 단말기가 생성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이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활성화되는 카메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가맹 판매점들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이면 "유지"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이면 "만료"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이면 "해지"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제점의 고유 식별 코드가 "만료" 또는 "해지"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급여 소득자 회원들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이 사원 정보로 입력한 급여 소득자 회원의 퇴사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퇴사"로, 급여 소득자 회원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탈퇴"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선사용 한도를 초과하면 "초과 한도"로, 나머지의 경우에는 "유지"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제자의 상태가 "퇴사" 또는 "탈퇴" 또는 "한도 초과"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목록을 표시한 웹페이지를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제공하고, 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갱신하다가 급여일에는 위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모두의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결제액, 누적 결제액 및 월간 선사용 한도의 잔액을 포함하는 결제 처리 현황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하고, 상기 급여 선사용 앱은 상기 결제 처리 현황을 알리는 메시지가 매 결제 이벤트마다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작동하는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KR1020180104496A 2018-09-03 2018-09-03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KR20200026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96A KR20200026496A (ko) 2018-09-03 2018-09-03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96A KR20200026496A (ko) 2018-09-03 2018-09-03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96A true KR20200026496A (ko) 2020-03-11

Family

ID=6980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96A KR20200026496A (ko) 2018-09-03 2018-09-03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4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99A (ko)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99A (ko)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953B1 (en) Fund withholding for payroll payments
US20150120426A1 (en) Consolidating and Leveraging Features of a Loyalty Program
US20150371212A1 (en) Integrated transaction and account system
US11030589B2 (en) Hosted disbursement system
US20160048929A1 (en) Payroll system with flexible disbursement options
US11393026B1 (en) Tax refund loan management platform
US20200320643A1 (en) Integration of transaction information with payroll information for payroll payment processing
US10083489B1 (en) Payroll correction
US73982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ortgage rebate transaction card account
US10956927B2 (en) Card-linked merchant promotional credit processing
JP2005070935A (ja) 推定口座残高参照システム、推定口座残高参照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0218169A1 (ja) 法定通貨バリュー、電子マネー、その他ポイント等の各種バリューのチャージ、入金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20076387A (ko) 세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421743B2 (ja) 決済媒体の有効化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312554A (ja) 経費精算方法、経費精算システム及び経費精算プログラム
KR20200026496A (ko) 매장 코드를 이용한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JP7331284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97232B1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JP7496450B1 (ja) キャッシュ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キャッシュ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キャッシュマネジメントプログラム
US11468519B1 (en) Automatic tax account management
KR20140069747A (ko)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JP737525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197233B1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KR101699106B1 (ko) 대출금 상환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30054248A (ko) 회계지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