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248A - 회계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계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248A
KR20230054248A KR1020220067001A KR20220067001A KR20230054248A KR 20230054248 A KR20230054248 A KR 20230054248A KR 1020220067001 A KR1020220067001 A KR 1020220067001A KR 20220067001 A KR20220067001 A KR 20220067001A KR 20230054248 A KR20230054248 A KR 2023005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ing
information
account
financial transa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균철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ublication of KR2023005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회계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회계장부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회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계지원 시스템{ACCOUNTING SUPPORTING SYSTEM}
본 개시는 회계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계좌의 거래내역에 대해 자동으로 회계처리가 가능한 회계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든 납세 의무자는 주기적으로 소득 신고와 같은 세무 신고를 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세법이나 세무 행정에 어두운 일반인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 세무사에게 자신의 세무, 회계 업무를 대행/관리하도록 위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무, 회계 업무를 위임하면 해당 세무사는 고객으로부터 일정액의 수임료를 지불 받고 고객이 제공한 매출 자료 및 증빙 자료에 의해 기장 업무 등을 대리하며, 아울러 고객이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소득 신고와 같은 세무 신고를 대행하게 된다.
여러 채널에서 회계가 발생하는 큰 규모의 회사에서는, 회사의 개별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등으로 금융기관의 은행 거래내역을 가져와 회계 업무를 처리한다. 그러나, 소규모 모임을 운영하는 개인이나 개인 사업자 등에서 개별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객은 세무사에 업무를 위임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은행 통장의 입출금 내역을 가지고 거래내역에 대한 회계 정산 작업을 수작업으로 처리하여 세무사에게 자료를 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개시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융계좌의 거래내역에 대해 자동으로 회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회계장부를 제공하거나 회계장부 작성을 지원할 수 있는 회계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회계장부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회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회계계정 과목 정보가 매핑됨으로써 정의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특정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회계계정을 상기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POS(point of sales) 시스템, 여신 결제 장치 및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것이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신용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된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외상매출 계정 및 상품매출 계정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되지 않은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수금 계정 및 외상매출 계정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참조하였음에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 결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상기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새로운 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계정 결정을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회계계정이 매출 계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와 소정의 저장매체에 미리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매출원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출 계정에 상응하는 매출원가계정을 더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매출원가계정을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금융사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계 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회계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식 부기 또는 복식 부기 형태로 제공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회계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분개 처리되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재무상태표, 상기 손익계산서 및 상기 현금흐름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열람 및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부는, 사용자 인증 처리 후, 외부 서버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자산 정보, 부채 정보 및 자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래핑(scraping)하거나 스크래핑하도록 지원하고, 스크래핑된 상기 자산 정보, 상기 부채 정보 및 상기 자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계정을 생성 및 매칭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가 회계처리 예외 요건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상기 회계처리 예외 요건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상기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 결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가 본인의 간편계좌결제 계좌로 이체하는 거래인 경우,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SNS 메시지,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서 참조하여,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금융계좌의 거래내역에 대해 자동으로 회계처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회계장부를 작성하거나, 사용자의 회계장부 작성이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의 회계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지원부(220), 회계처리부(230), 데이터베이스(database)(240), 및 금융거래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회계지원 시스템(2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는 모바일(또는 온라인)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또는 앱(app))의 설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는 회계지원 시스템(200)에 고객으로 등록된 각 사용자 별로 고객 정보, 계좌 정보, 계좌원장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계좌원장 정보는, 입금, 출금, 이체 등 각 금융계좌(또는 은행계좌)에 대한 금융거래 내역과 거래결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는 자동으로 회계 기장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각 금융계좌(이하, '회계기능 계좌'라 칭함) 별로, 대응하는 사용자가 설정한 회계처리기준에 대한 정보(이하, '회계처리기준 정보'라 칭함), 사용자에 의해 회계계정이 매칭된 내역, 회계처리결과 정보, 재무제표 데이터, 재무제표 파일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회계처리기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각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회계계정이 설정된 내역, 즉, 과거에 발생한 각 금융거래 또는 미래에 발생할 금융거래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회계계정이 결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회계계정 과목 정보가 매핑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회계지원 시스템(200)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 창구 단말기(미도시), 외부 서버(미도시))와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와이파이(Wi-Fi), 4G, 5G, LTE(long term evolution) 등 근거리/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지원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해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지원부(220)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설치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지원부(220)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설치 정보가 위치하는 웹 사이트의 링크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설치를 지원할 수도 있다.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용프로그램(예를 들어,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금융거래 관리부(250)는 은행의 창구의 창구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해 계좌 개설, 입금, 출금, 계좌 이체 등의 금융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거래 관리부(250)는 창구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회계기능 계좌의 개설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은행 창구에 방문하여 회계기능 계좌 개설을 신청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회계기능 계좌의 개설을 신청하여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금융거래 관리부(250)는 은행의 창구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입출금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해 대응하는 금융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금융거래 관리부(250)는 금융거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처리된 금융거래의 금융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계좌원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금융거래 관리부(250)가 회계지원 시스템(200) 내에 통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거래 관리부(250)는 회계지원 시스템(200)과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금융거래(입금, 또는 출금)가 발생하면, 금융거래 관리부(250)를 통해 회계기능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거래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획득된 금융거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또한 획득한 금융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금융거래에 대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회계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회계처리를 지원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동으로 작성된 회계장부(재무제표 파일)를 수정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회계장부를 수정하여 완성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와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회계장부가 제공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회계처리부(230)는 각 회계기능 계좌에 대한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회계기능 계좌에 대한 회계처리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해 대응하는 회계기능 계좌에 대한 회계처리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회계처리기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 입력으로 회계장부 작성을 위해 필요한 금융거래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사용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회계처리기준 정보는, 대응하는 회계기능 계좌의 재무제표에 사용할 회계계정(이하, '계정과목'이라 칭함)들, 계정 매칭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매칭 방식에 대한 정보는, 금융거래와 관련된 정보들(거래자(입출금 대상자), 거래 금액, 거래 날짜, 거래 위치, 거래 메모(적요) 등) 중 어느 정보에 따라서 어떻게 계정과목을 매칭할 것인지에 대해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계처리기준 정보는, 매출 계정과목(예를 들어, 후술하는 '매출액' 계정과목)으로 결정된 금융거래에 대해 각 상품 또는 서비스 별로 매출원가 계정과목을 결정하기 위한 매출원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출원가 정보는 각 상품 또는 서비스 별로 매출원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설정된 회계처리기준의 일 예를 나타낸다.
계정 매칭 방식 거래내용 계정과목
키워드(거래 적요) "교재" 매출액
거래자(이체 대상) 김갑동 수선비
키워드+거래자 "교재"+김을동 수수료
미 정의1(임의 계정) 택1 입금, 출금 가수금, 가지급금
미 정의2 입금, 출금 공란 처리
위 표 1에서, '거래 적요'는 입/출금 시 메모 형식으로 기재되는 항목을 나타내고, '거래자'는 해당 계좌로 금액을 입금한 대상자 또는 해당 계좌로부터 금액을 출금한(또는 이체 받은) 대상자를 나타낸다. 또한, 계정과목은 재무제표에 사용할 회계용 계정과목들을 나타낸다. 표 1을 예로 들면, 계정과목과 금융거래 내역을 매칭하는 계정 매칭 방식은, '키워드', '거래자', '키워드+거래자'를 이용한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거래 적요)' 매칭 방식은, 입/출금 시 거래 메모(적요)에 포함된 단어(즉, 문자(character) 정보)에 따라 계정과목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입/출금 시 작성된 거래 메모(적요)에 '교재'라는 단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금융거래는 '매출액'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거래자(이체대상)' 매칭 방식은, 금융거래의 거래자 즉, 입/출금의 대상자에 따라 계정과목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입/출금의 대상자가 '김갑동'이면, 해당 금융거래는 '수선비'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키워드+거래자' 매칭 방식은 결합유형으로서, 입/출금 시 작성된 거래 메모(적요)에 포함된 키워드 및 거래자에 따라서 계정과목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입/출금 시 거래 메모(적요)에 '교재'라는 단어가 포함되고 거래자가 '김을동'이면, 해당 금융거래는 '수수료'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위에서는 매칭 방식이 '거래자'를 포함하는 경우 거래자의 이름으로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매칭 방식이 '거래자'를 포함하는 경우 매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거래자의 이름 뿐만 아니라,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계좌정보 등 거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매칭 방식이 '거래자'를 포함하는 경우, 입/출금 시 작성된 거래 메모(적요)에 포함된 키워드로부터 거래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계정과목을 매칭할 수도 있다.
계정과목과 금융거래를 매칭하는 계정 매칭 방식은 금융거래와 관련된 숫자(Numeric) 정보인 '입출금액' 기반의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금액' 매칭 방식은, 금융거래 금액(입출금 금액)에 따라 계정과목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금융거래 금액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소정의 범위에 속하거나, 또는 금융거래 금액이 특정 금액에 해당하면 해당 금융거래는 특정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계정과목과 금융거래를 매칭하는 계정 매칭 방식은 '거래일시'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거래일시' 매칭 방식은, 금융거래가 발생한 날짜에 따라 계정과목을 매칭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매월 특정 일에 입출금 되는 금액은 '임차료'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계정과목과 금융거래를 매칭하는 계정 매칭 방식은, 전술한 '키워드+거래자' 매칭 방식과 같이, 복수의 조건을 결합하여 생성된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융거래가 기 설정된 복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만 대응하는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특정 정보와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특정 정보와 관련된 회계계정을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한다.
회계처리부(230)는, 회계계정이 매출 계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와 소정의 저장매체에 미리 저장된 상품에 대한 매출원가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계정에 상응하는 매출원가계정을 더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이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회계처리부(230)는, 수신된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매출원가계정을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현금이체거래의 경우 계좌 거래 정보로 파악이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 카드 거래를 하므로 카드 영수증을 회계장부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여신 거래의 경우 거래 정보를 카드사(여신시스템)나 POS로부터 받아오는 방법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들 회사가 자신들의 데이터를 제3자에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카드사 서버는 일반적으로 결제금액과 가맹점 정보만 보유하고 있을 뿐 거래 상품 정보, 수량 정보는 갖고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고객이 자신의 영수증을 카메라 등으로 촬영해서 회계장부 작성에 이용한다면 편리하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회계처리기준을 벗어난 금융거래, 즉, 별도의 회계처리기준이 정의되지 않은 금융거래의 계정 매칭 방식은, 해당 금융거래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임의 계정과목에 매칭시키거나, 계정과목 매칭을 생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회계처리부(230)는,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참조하였음에도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 결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새로운 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계정 결정을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참조하였음에도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 결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금에 해당하는 금융거래는 '가수금' 계정과목에 매칭되고, 출금에 해당하는 금융거래는 '가지급금' 계정과목에 매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해당 금융거래에 대해서는 특정 계정과목으로 매칭시키는 대신, 거래 발생 항목으로 처리하고 계정과목 란은 공란으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가수금 계정과목과 가지급금 계정과목으로 매칭된 금융거래는, 이후 사용자에 의해 다른 계정과목으로 재 분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금융거래에 대한 게정과목 매칭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수금 계정과목 또는 가지급금 계정과목에 매칭된 금융거래를 다른 계정과목으로 매칭하도록 회계지원 시스템(200)에 요청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회계처리기준 정보가 설정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회계처리부(230)는 각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금융거래(입금, 또는 출금)가 발생하면, 해당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설정된 회계처리기준 정보에 기초해 해당 금융거래에 대해 회계처리를 수행하거나, 회계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즉, 회계처리부(230)는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금융거래가 발생하면, 해당 금융거래에 대해 획득된 금융거래 정보와 기 설정된 회계처리기준 정보에 기초해 해당 금융거래에 매칭되는 계정과목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회계처리부(230)는 해당 금융거래 내역을 특정 계정과목에 매칭함으로써, 매칭된 계정과목에 해당 금융거래 내역을 기장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회계처리부(230)에서 표 1의 회계처리기준에 따라서 금융거래 내역을 회계처리 하는 일 예를 나타내며, 각 금융 거래가 입금 및 출금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는 생략되었다.
금융거래 금액
(입금액/출금액)
거래 적요 거래자
(상대방)
계정과목 계정 매칭 방식
800,000 5월분 교재비 임꺽정 매출액 키워드
700,000 5월 청구분 김갑동 수선비 거래자
600,000 5월 교재대금 김을동 수수료 키워드+거래자
500,000 입금했어요 이현자 가수금 택1) 임의 계정 기장
400,000 출금이어요 이원수 - 택2) 사용자가 직접 매칭
위 표 2에서, 금융거래 내역(거래 금액, 거래 적요, 거래자 등)에 대한 정보는, 금융거래 관리부(250)에서 대응하는 회계기능 계좌의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거래 적요 항목에 "5월분 교재비"로 표기된 금융거래는 키워드 "교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 1의 키워드 매칭 방식에 따라 '매출액'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거래 금액 800,000원은 '매출액' 계정과목으로 회계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거래자가 "김갑동"으로 표기된 금융거래는, 표 1의 거래자 매칭 방식에 따라서 '수선비'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거래 금액 700,000원은 '수선비' 계정과목에 매칭되어 회계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거래 적요 항목에 "5월분 교재대금"로 표기되고 거래자가 '김을동'으로 표기된 금융거래는, 표 1의 키워드 및 거래자 매칭 방식에 따라서 '수수료' 계정과목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거래금액 600,000원은 '수수료' 계정과목에 매칭되어 회계처리 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거래 적요 및 거래자에 기재된 내용이 회계처리기준에 의해 정의된 내용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금융거래를 임의의 계정과목(예를 들어, '가수금')에 매칭시켜 회계처리 하거나, 후술하는 사용자의 회계처리 내역을 참조하여 계정과목 매칭을 수행하거나, 또는 계정과목 매칭을 생략할 수도 있다. 표 2를 예로 들면, 거래 적요에 '입금했어요'로 기재되고 거래자가 '이현자'인 금융거래는, '가수금' 계정과목에 임의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거래 적요에 '출금이어요'라고 기재되고 거래자가 '이원수'인 금융거래는 계정과목 매칭이 생략될 수도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이와 같이 계정과목이 임의로 매칭된 금융거래, 또는 계정과목이 매칭되지 않은 금융거래에 대해, 추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해 매칭되는 계정과목을 변경하거나 새로 설정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각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한 회계처리 내역을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회계처리 내역은, 회계기능 계좌에서 과거에 발생한 금융거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회계처리 된 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과거 금융거래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계정과목이 설정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회계기능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해 직접 계정과목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회계기능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해 계정과목을 설정하고, 대응하는 계정과목 설정 내역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또한 각 사용자의 회계처리 정보(예를 들어, 회계용 계정과목 설정 내역)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의 회계처리 패턴(예를 들어, 계정과목 설정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회계처리 패턴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금융거래에 대해 회계처리를 수행하거나, 회계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의 회계처리 패턴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계기능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해 회계용 계정과목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회계기능 계좌에서 발생한 각 금융거래에 대해 계정과목 매칭 및 회계처리가 완료되면, 계정과목 매칭 및 회계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이하, '회계처리결과 정보'라 칭함)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회계처리부(230)는 회계처리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가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계정과목 매칭 결과를 포함하는 회계처리결과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회계처리부(230)는 각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생성된 회계처리결과 정보에 기초해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BS),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IS), 현금흐름표(statement of cash flows, SCF) 등 회계장부 작성에 필요한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재무제표 데이터 생성 시, 대응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계기능 계좌 별로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회계기능 계좌의 회계처리결과 정보를 통합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회계처리결과 정보를 통합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선택되는 복수의 회계기능 계좌는 하나의 금융기관에 등록된 계좌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복수의 금융기관에 등록된 계좌들일 수도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의 재무제표 데이터가 좀 더 충실히 작성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의 금융계좌 외에 다른 자산에 대한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외부 서버(미도시)에 기록된 사용자의 자산 정보, 부채 정보, 자본 정보 등을 스크래핑(scraping)하거나, 스크래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회계처리부(230)는 스크래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계정과목을 생성하고 매칭하여 재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를 처리하는 다른 금융 서버(미도시) 또는 시스템(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s) 시스템, 여신 결제 장치, 가맹점 단말기 등)로부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 즉 신용카드 결제 정보 또는 신용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금융거래 정보에 기초해 계정과목 매칭 및 회계처리를 수행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회계처리부(230)는,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된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외상매출 계정 및 상품매출 계정을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고,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되지 않은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수금 계정 및 외상매출 계정을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POS 시스템에 신용카드 결제금액이 표시된 경우, 대응하는 결제금액이 카드사에 입금되기 전까지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매출채권 계정과목에 매칭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신용카드 결제내역을 관리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내역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신용카드 사용금액 결제일 전까지 해당 결제내역을 매입채무 계정과목 또는 미지급비용 계정과목에 매칭시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증권사 서버(미도시) 또는 증권거래소 서버(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주식 보유 내역을 포함하는 주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식 정보에 기초해 계정과목 매칭 및 회계처리를 수행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계처리부(230)는 등기소 서버(미도시)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한 부동산 내역을 포함하는 부동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동산 정보에 기초해 계정과목 매칭 및 회계처리를 수행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가 보유한 회계기능 계좌 또는 다른 자산에 대해 재무제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재무제표 데이터를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등의 회계처리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자산(예를 들어, 회계기능 계좌)에 대한 회계장부(예를 들어, 재무제표)를 열람 또는 작성할 수 있도록, 재무제표 데이터를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사용자의 재무제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회계장부가 작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재무제표 데이터를 전송 시, 특정 형식(예를 들어, 엑셀 파일)의 수정 가능한 재무제표 파일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작성된 재무제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재무제표 데이터를 전송 시, 회계장부, 즉 재무제표 파일로 변환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재무제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재무제표 파일 작성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회계지원 시스템(200)으로부터 재무제표 데이터 또는 재무제표 파일을 수신함으로써, 손쉽게 자신의 자산과 관련된 회계장부(재무제표 파일)를 단식 부기 또는 복식 부기 형태의 열람하거나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회계지원 시스템(200)으로부터 재무제표 파일을 수정 가능한 형태로 다운로드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다운로드된 파일을 분개 처리하여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계장보를 열람 및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가 회계처리 예외 요건으로서 정의되고, 회계처리부(230)는,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회계처리 예외 요건 정보와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 결정을 생략할 수 있다.
계좌에는 다양한 금융 거래 내역이 기록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그 중 일부에 대해 회계 작성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보유한 다른 계좌로 송금한 경우, 잘못 입금한 금액의 경우 회계 작성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이러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다.
한편, 사용자의 금융거래가 본인의 간편계좌결제 계좌로 이체하는 거래인 경우, 회계처리부(230)는, 사용자의 SNS 메시지, 이메일 데이터를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서 참조하여,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같은 간편결제 서버의 경우 은행계좌와 연동되어 자금 이체가 이루어진 후, 금융거래의 목적에 따라 개별 법인이나 개인의 간편결제 계좌로 이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은행 입장에서는 은행계좌에서 간편결제계좌로 이체한 정보 밖에 없어 회계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카카오톡의 송금메시지나 이메일로 수신되는 페이 결제 정보를 이용해서 회계계정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회계지원 시스템(200)에서 응용프로그램 지원부(220), 회계처리부(230), 및 금융거래 관리부(250)의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수행되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회계기능 계좌로 지정된 계좌의 입/출금 내역에 대해 회계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의 회계지원 방법은,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회계지원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계기능 통장을 개설할 수 있다(S11).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은행 창구에 방문하여 회계기능 계좌 개설을 신청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회계기능 계좌의 개설을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창구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회계기능 계좌의 개설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계기능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회계기능 계좌가 개설된 후,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회계기능 계좌의 회계처리 기준이 되는 정보들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회계기능 계좌의 회계처리기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 S12 단계에서, 회계처리기준에 대한 정보는 대응하는 회계기능 계좌의 재무제표에 사용할 계정과목 리스트, 각 계정과목에 대응하는 계정 매칭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정 매칭 방식은, 각 금융거래를 어떻게 각 계정과목에 매칭할 것인지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회계기능 계좌에 대해 입금, 출금 등의 금융거래가 발생하면(S13),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와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즉, 계정과목)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S14).
S14 단계에서,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금융거래 정보에 기재된 내용이 회계처리기준에 의해 정의된 내용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금융거래를 임의의 계정과목(예를 들어, ‘가수금’)에 매칭시켜 회계처리 하거나, 사용자의 회계처리 내역을 참조하여 계정과목 매칭을 수행하거나, 또는 계정과목 매칭을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회계처리 내역을 참조하여 계정과목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계처리 내역(예를 들어, 회계용 계정과목 설정 내역)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계처리 패턴(예를 들어, 계정과목 설정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회계처리 패턴에 기초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금융거래에 대해 계정과목을 결정할 수 있다.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S14에서 결정된 회계계정(즉, 계정과목)에 기초해 해당 금융거래에 대한 회계처리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고(S15), S15 단계에서의 회계처리결과에 기초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 회계장부 작성에 필요한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6).
S16 단계에서,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재무제표 데이터가 좀 더 충실히 작성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의 금융계좌 외에 다른 자산에 대한 회계처리 내역이 포함되도록 재무제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계지원 방법은, 회계지원 시스템(200)이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외부 서버(미도시)에 기록된 사용자의 자산 정보, 부채 정보, 자본 정보 등을 스크래핑하거나 스크래핑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추가적인 계정과목을 생성 및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6 단계를 통해 재무제표 데이터가 생성되면,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생성된 재무제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재무제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회계장부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S17).
S17 단계에서,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재무제표 데이터를 열람 가능한 파일 형태, 또는 수정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의 회계장부가 제공 또는 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S16 단계를 통해 생성된 재무제표 데이터를 ERP, MIS 등의 회계처리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계지원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계좌에서 입금, 출금 등의 금융거래가 발생하면, 금융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회계처리하고 재무제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거래 내역에 대해 회계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금융거래 내역을 다운받아 수작업으로 회계 정산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회계지원 시스템
210: 인터페이스 모듈
220: 응용프로그램 지원부
230: 회계처리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금융거래 관리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회계장부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회계처리부를 포함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회계계정 과목 정보가 매핑됨으로써 정의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특정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회계계정을 상기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POS(point of sales) 시스템, 여신 결제 장치 및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것이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신용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된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외상매출 계정 및 상품매출 계정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미리 지정되지 않은 가맹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수금 계정 및 외상매출 계정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회계처리 기준 정보를 참조하였음에도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 결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상기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새로운 계정으로 결정하거나, 계정 결정을 생략하도록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회계계정이 매출 계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와 소정의 저장매체에 미리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매출원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출 계정에 상응하는 매출원가계정을 더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품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매출원가계정을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금융사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용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계 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회계계정 및 회계처리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회계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식 부기 또는 복식 부기 형태로 제공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회계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분개 처리되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재무상태표, 상기 손익계산서 및 상기 현금흐름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열람 및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부는,
    사용자 인증 처리 후, 외부 서버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자산 정보, 부채 정보 및 자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래핑(scraping)하거나 스크래핑하도록 지원하고, 스크래핑된 상기 자산 정보, 상기 부채 정보 및 상기 자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계정을 생성 및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 기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거래자, 거래 금액, 거래 위치 및 거래 일시 중 적어도 하나가 회계처리 예외 요건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금융거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기 정의된 회계처리 기준 정보 중 상기 회계처리 예외 요건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호 대응되면, 상기 금융 거래에 대한 회계계정 결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가 본인의 간편계좌결제 계좌로 이체하는 거래인 경우,
    상기 회계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SNS 메시지,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서 참조하여,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회계계정을 결정하거나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지원 시스템.
KR1020220067001A 2021-10-15 2022-05-31 회계지원 시스템 KR20230054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49 2021-10-15
KR20210137749 202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248A true KR20230054248A (ko) 2023-04-24

Family

ID=861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001A KR20230054248A (ko) 2021-10-15 2022-05-31 회계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59B1 (en) Payment processor financing of customer purchases
AU2018201228B2 (en) Employee Payroll Information Management
US201302684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and reporting of sales
US200401113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ue delivery
US20060136315A1 (en) Commissions and sales/MIS reporting method and system
US201401222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ccounting software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s
US11393026B1 (en) Tax refund loan management platform
EP33162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liabilities of debtor and improving composition of finances in batch factoring transactions by means of electronic recorded monetary claims
JP2017091012A (ja) 営業支援システム、営業支援サーバ、営業支援方法及び銀行業務処理方法。
US10083489B1 (en) Payroll correction
JP2020144596A (ja) キャッシュレス割り勘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20180204288A1 (en) Cash Flow Management System
US20120290471A1 (en) Payment Network with Multiple Vendor Participation Levels
US10650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heck assurance
US844767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egal tender decomposition of accounting system entries
WO2022271428A1 (en) Automatic tax account management
KR20220076387A (ko) 세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4248A (ko) 회계지원 시스템
US20160210599A1 (en) Automated Payment System for Consumer Bills
US20150262146A1 (en) Gratuity Exchange System
KR100539123B1 (ko) 신용카드로 급여를 지급하는 방법
Sheeba et al. ELECTRONIC BANKING SERVICES AND AWARENESS: A STUDY
Nimbalkar et al. A study of e-services of bank with special reference to private banks, Ahmednagar
CN115456747B (zh) 一种erp系统自动智能结账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68519B1 (en) Automatic tax accou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